KR100483348B1 -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348B1
KR100483348B1 KR1020040024408A KR20040024408A KR100483348B1 KR 100483348 B1 KR100483348 B1 KR 100483348B1 KR 1020040024408 A KR1020040024408 A KR 1020040024408A KR 20040024408 A KR20040024408 A KR 20040024408A KR 100483348 B1 KR100483348 B1 KR 100483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main processing
data
program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균
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트모어넷
정광균
정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트모어넷, 정광균, 정순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트모어넷
Priority to KR102004002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1Live connection to bus, e.g. hot-plu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처리장치 및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는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변장치가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주변장치가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음이 감지된 경우에, 주변장치로부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주 처리장치로 전송하여 주 처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주 처리장치에 주변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의 동작 환경에 따라 이에 적합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별도로 준비하여 주 처리장치에 설치할 필요 없이, 이들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주변장치에 사전에 저장하여 준비하여 주변장치의 주 처리장치에 접속될 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 처리장치의 기능 확장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DIGITAL SYSTEM INCLUDING A MAIN PROCESSING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주 처리장치을 위한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주변장치에 주변장치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여 준비함으로써, 주 처리장치에 주변장치를 접속할 때 주 처리장치에 주변장치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설치 및 저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PC, PDA, 휴대용 전화기 등의 디지털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로세서의 성능 향상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디지털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악,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점점 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다양한 주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주변 장치의 예로서는 PDA 또는 휴대용 전화기를 위한 디지털 카메라, 플레쉬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메모리 장치,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찾아주는 GPS 키트 등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PC에 주변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변장치를 PC에 접속하고, PC에는 접속된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및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 및 설치한다. 이렇게 PC에 설치된 프로그램들은 주변장치를 구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PC 등과 같은 디지털 시스템에 새로운 주변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새로이 접속되는 주변장치의 모델명 등을 파악하고 그 주변장치를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등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며, 특히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후에는 PC와 주변기기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데이터 입출력에 관련된 여러 가지 선택사항(IRQ 번호, DMA의 사용여부 등)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PC 등과 같은 디지털 시스템에 주변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할 때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플러그앤플레이(PNP: plug-and-play)라는 I/O 규격이 개발되었다. 플러그앤플레이 방식에서는,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선택사항(IRQ 번호, DMA 사용여부 등)의 설정작업을 PC가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즉, PC가 플러그앤플레이 규격을 지원하는 주변기기와 서로 통신하여, 현재 사용하지 않는 IRQ 번호와 DMA 채널 등을 검색하여 주변기기에 자동적으로 할당해 준다. 한편, PC에는 플러그앤플레이를 지원하는 부팅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서, PC가 부팅될 때 새로운 플러그앤플레이 주변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PC가 새로운 주변기기를 감지하면, 감지된 주변기기가 최적의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데이터 입출력 선택사항을 설정하고, 이후에는 이렇게 설정된 동작 환경대로 플러그앤플레이 주변기기가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앤플레이 규격을 이용하면 주변장치를 PC와 같은 주 처리장치에 접속할 때 필요한 선택사항의 설정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플러그앤플레이 규격을 이용하더라도, 플러그앤플레이 규격을 지원하는 주변장치의 리스트 및 이들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등은 주 처리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주 처리장치에는 앞으로 사용될지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많은 수의 주변장치를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어야 하는 부담이 남는다. 최근에는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주 처리장치에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다운로드해야 할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변장치에 주변장치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여 준비하고, 주 처리장치에 주변장치를 접속할 때 주 처리장치에 주변장치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설치 및 저장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주 처리장치의 기능의 확장성 및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주 처리장치 및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는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주 처리장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 상기 주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 1 I/O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장치는,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상기 주 처리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 2 I/O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주 처리장치는 상기 주변장치가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하여, 상기 제 1 I/O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주 처리장치 및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는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주변장치가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주변장치가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음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주변장치로부터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주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주 처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 처리장치(120) 및 주 처리장치(120)에 접속된 주변장치(14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주 처리장치(120)는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21),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I/O 인터페이스(123), 주 처리장치(120)의 제어 및 메모리(12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122)를 포함한다.
주 처리장치(120)의 메모리(121)에는 주 처리장치(120)의 초기화를 실행하는 부팅 프로그램, I/O 인터페이스(123)를 통한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프로그램, I/O 인터페이스(123)를 통하여 외부 기기(즉, 주변장치)가 접속되었는지 감시하는 주변장치 접속 감지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21)에는 I/O 인터페이스(123)를 통하여 접속된 주변장치(140)로부터 전송된 주변장치를 위한 프로그램들(예를 들어,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및 주변장치를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이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A) 및 기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B)이 존재한다.
메모리(121)의 영역(A)은 주변장치(140)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전에 결정되는 영역이지만, 주 처리장치(120)의 메모리 활용 상태에 따라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메모리(121)의 영역(A)과 영역(B)의 범위는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주 처리장치(120)의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21)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읽어서 실행하거나 I/O 인터페이스(123)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도 1에는 하나의 프로세서(122)가 주 처리장치(120)의 동작의 제어를 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주 처리장치(120)의 사용용도 등에 따라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 및/또는 I/O 제어 등의 특수 목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 처리장치(120)의 I/O 인터페이스(123)는 주 처리장치(120)와 주변장치(14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I/O 인터페이스(123)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PCMCIA, IEEE 1394 등과 같은 입출력 규격에 따라서 구현되거나 IR(적외선) 포트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주변장치(140)는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41),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I/O 인터페이스(143), 메모리(14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142)를 포함한다.
주변장치(140)의 메모리(141)는 주변장치(140)에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141)에는 I/O 인터페이스(143)를 통한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프로그램, 주변장치(140)를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및 주변장치를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A') 및 기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B')이 존재한다.
메모리(141)의 영역(A')은 주변장치(140)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전에 결정되는 영역으로, 영역(A')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는 그 프로그램이 실행될 환경, 즉, 주변장치(140)가 접속될 주 처리장치(120)의 하드웨어 사양 및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동작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주변장치(140)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는 특정 주 처리장치(120)를 위한 것이 될 수도 있지만, 주변장치(140)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주 처리장치의 사양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형태로 메모리(141)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 처리장치(120)가 PDA인 경우에, 주 처리장치는 Windows CE, Palm OS, Linux 등의 다양한 운영체제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주 처리장치(120)는 MP3 재생 기능,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화상 기록 및 재생, GPS를 이용한 경로탐색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장치(140)의 메모리(141)의 영역(A')에는 이러한 다양한 환경의 주 처리장치(120)에 적합하도록 구현된 다수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1)의 영역(A')에 저장된 다수의 프로그램은, 주 처리장치(120)의 다양한 동작환경, 특히 하드웨어 사양의 차이점에 따라 구별되어 구현된 다수의 낮은 레벨의 프로그램과 주변장치(140)를 이용한 기능을 구현하는 하나의 높은 레벨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41)의 영역(B')은 주 처리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확보된 공간으로, 이 영역(B')은 주 처리장치(120)의 메모리(121)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수신하여 백업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주변장치(140)의 영역(A')으로부터 주 처리장치(120)의 메모리(121)의 영역(A) 또는 영역(B)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의해서 스와핑(swapping)되는 기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장치(140)의 메모리(141)의 영역(B')을 확보함으로써, 주 처리장치(120)는 좀 더 효율적인 메모리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주변장치(140)의 프로세서(142)는 메모리(141)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읽어서 실행하거나 I/O 인터페이스(143)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도 1에는 하나의 프로세서(142)가 주변장치(140)의 동작의 제어를 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주변장치(140)의 사용용도 등에 따라 프로세서(142)는 생략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 및/또는 I/O 제어 등의 특수 목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장치(140)의 I/O 인터페이스(143)는 주 처리장치(120)와 주변장치(14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앞에서 주 처리장치(120)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I/O 인터페이스(143)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PCMCIA, IEEE 1394 등과 같은 입출력 규격에 따라서 구현되거나 IR(적외선) 포트 또는 블루투스 등의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 처리장치(120)에 주변장치(140)를 접속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주 디지털 시스템(120)의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21)에 저장된 주변장치 접속 감지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I/O 인터페이스(123)에 주변장치가 접속되었는지 감시한다 (단계 S210). I/O 인터페이스(123)를 통한 주변장치의 접속여부의 감시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 인터페이스(123)가 USB 규격에 따른 것이라면, 주변장치 접속 감지 프로그램은 부팅 프로그램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I/O 인터페이스(123)에 주변장치(140)가 접속되면, 주변장치 접속 감지 프로그램은 주변장치(140)의 접속을 감지하고, 프로세서(122)는 통신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주변장치(140)로부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주 처리장치(120)는 주변장치(140)로부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주 처리장치(120)의 하드웨어 사양 및 운영체제 등을 포함한 동작 환경에 관한 정보를 주변장치(140)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220). 주변장치(140)는 주 처리장치(120)로부터 수신된 동작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주변장치(140)의 메모리(141)로부터 선택하여 주 처리장치(12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30).
주변장치(140)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는 주변장치(140)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주변장치(140)를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이와 관련된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 및 데이터는 메모리(121)의 영역(A)에 저장된다 (단계 S240). 이 때, 주변장치(140)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은 주 처리장치(120)의 다양한 동작환경, 특히 하드웨어 사양의 차이점에 따라 구별되어 구현된 다수의 낮은 레벨의 프로그램 중의 하나와 주변장치(140)를 이용한 기능을 구현하는 하나의 높은 레벨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메모리(121)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백업이 필요한 경우 또는 메모리(121)의 영역(A)에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영역(A) 또는 영역(B)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I/O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주변장치(1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주 처리장치(120)에 접속된 주변장치(140)의 프로세서(142)는 메모리(141)에 저장된 통신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메모리(141)의 영역(A')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I/O 인터페이스(143)를 통해서 주 처리장치(120)로 전송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 처리장치(120)의 메모리(121)의 영역(A) 또는 영역(B)으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는 메모리(141)의 영역(B')에 저장될 수도 있다.
주변장치(140)의 메모리(141)의 영역(A')에는 주변장치(140)가 접속될 주 처리장치(120)의 하드웨어 사양 및 운영 체제 등을 포함한 동작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현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장치(140)가 다양한 종류의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메모리(141)의 영역(A')에 각 주 처리장치에 적합하도록 구현된 다수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모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주변장치(140)로부터 주 처리장치(120)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주변장치(140)가 주 처리장치(120)로부터 하드웨어 사양 및 운영체제 등을 포함한 동작 환경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메모리(141)의 영역(A')으로부터 선택하여 주 처리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주 처리장치(120)의 메모리(121)의 영역(A)에 주변장치(140)를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가 저장된 후에, 주 처리장치(120)의 프로세서(122)는 영역(A)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주변장치(140)를 이용한 기능을 수행한다(단계 S250). 주변장치(140)의 종류 및 그 응용분야에 따라, 메모리(121)의 영역(A)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만 수행되거나, 주변장치(140)의 메모리(141)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이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주 처리장치(120)의 메모리(121)에는 주변장치(140)의 도난방지 및 사용자 확인 등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121)에는 주 처리장치(120)에 할당된 고유번호(예를 들어, 주 처리장치(120)의 하드웨어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어서, 주변장치(140)가 주 처리장치(120)에 최초로 접속할 때, 주변장치(140)는 주 처리장치(120)로부터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메모리(141)에 저장한다. 주변장치(140)가 주 처리장치(120)에 최초로 접속한 후에는, 주변장치(140)가 주 처리장치(120)에 접속할 때마다, 메모리(141)에 저장된 고유번호와 메모리(121)에 저장된 고유번호를 비교하여, 고유번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주 처리장치(120)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주 처리장치(120)와 주변장치(14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시킴으로써, 주변장치(140)의 도난방지 및 사용자 확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이용한 응용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3a는 휴대용 전화기(주 처리장치)(320a)에 전자사전 팩 하드웨어(주변장치)(340a)를 접속한 응용 예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용 전화기(320a)의 I/O 인터페이스에 전자사전 팩(340a)이 접속되면, 휴대용 전화기(320a)는 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하드웨어 사양 등의 정보를 전자사전 팩(340a)에 전송한다. 전송되는 하드웨어 사양에는 휴대용 전화기(320a)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컬러 지원 여부, 오디오 재생 가능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사전 팩(340a)은 휴대용 전화기(320a)로부터 전송된 하드웨어 사양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적합한 전자사전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휴대용 전화기(320a)에 전송한다. 전송되는 전자사전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는 검색대상 단어를 입력하고 검색된 단어의 의미 등을 휴대용 전화기(320a)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또는 사전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대용량으로서 휴대용 전화기(320a)의 메모리에 저장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자사전 팩(340a)으로부터 휴대용 전화기(320a)로 전자사전 프로그램만 전송하고,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전자사전 팩(340a)에 저장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휴대용 전화기(320a)로 전송되는 전자사전 프로그램은 검색 대상 단어의 입력 및 단어의 의미의 출력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되며, 전자사전 팩(340a)에는 사전 데이터베이스의 압축 및 해제, 사전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단어의 의미에 해당하는 문자열의 이미지화(즉, 문자열에 해당하는 폰트의 검색 및 비트맵으로의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휴대용 전화기(320a)와 전자사전 팩(340a)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전사사전의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b는 휴대용 전화기(주 처리장치)(320b)에 어학학습용 팩 하드웨어(주변장치)(340b)를 접속한 응용 예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용 전화기(320b)의 I/O 인터페이스에 어학학습용 팩(340b)이 접속되면, 휴대용 전화기(320b)는 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하드웨어 사양 등의 정보를 어학학습용 팩(340b)에 전송한다. 전송되는 하드웨어 사양에는 휴대용 전화기(320b)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컬러 지원 여부, 오디오 재생 가능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어학학습용 팩(340b)은 휴대용 전화기(320b)로부터 전송된 하드웨어 사양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적합한 어학학습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휴대용 전화기(320b)에 전송한다. 전송되는 어학학습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예문을 휴대용 전화기(320b)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예문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또는 예문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휴대용 전화기(320b)에는 오디오를 재생하는 기능 및 재생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이어폰 잭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학학습 프로그램에 의해 재생되는 음성은 휴대용 전화기(320b)에 설치된 이어폰 잭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예문으로부터 변환된 음성이 휴대용 전화기(320b)에서 지원되지 않는 데이터 형식을 갖는 경우에는, 어학학습용 팩(340b)에 음성 재생을 위한 기능 및 이어폰 잭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c는 휴대용 전화기(주 처리장치)(320c)에 골프거리측정용 팩 하드웨어(주변장치)(340c)를 접속한 응용 예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휴대용 전화기(320c)의 I/O 인터페이스에 골프거리측정용 팩(340c)이 접속되면, 휴대용 전화기(320c)는 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하드웨어 사양 등의 정보를 골프거리측정용 팩(340c)에 전송한다. 전송되는 하드웨어 사양에는 휴대용 전화기(320c)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오디오 재생 가능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골프거리측정용 팩(340c)은 휴대용 전화기(320c)로부터 전송된 하드웨어 사양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적합한 골프거리측정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휴대용 전화기(320c)에 전송한다. 전송되는 골프거리측정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골프거리측정용 팩(340c)에 설치된 센서를 제어하여 골프장의 폴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프로그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예들에 의해 기술되었지만, 이것은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며,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기술된 범위에 한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주 처리장치에 주변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주 처리장치의 동작 환경에 따라 이에 적합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별도로 준비하여 주 처리장치에 설치할 필요 없이, 이들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주변장치에 미리 저장하여 준비하여 주변장치가 주 처리장치에 접속될 때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주 처리장치의 기능 확장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 처리장치 및 이에 접속하는 주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 처리장치 및 이에 접속하는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이용한 시스템의 응용 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주 디지털 시스템 121 : 메모리
122 : 프로세서 123 : I/O 인터페이스
140 : 주변장치 141 : 메모리
142 : 프로세서 143 : I/O 인터페이스

Claims (10)

  1. 주 처리장치 및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는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 처리장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 상기 주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 1 I/O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장치는,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상기 주 처리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 2 I/O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주 처리장치는 상기 주변장치가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하여, 상기 제 1 I/O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하는
    디지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는 상기 주변장치에 접속될 수 있는 다수의 주 처리장치의 동작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현된 다수의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주 처리장치는 상기 주변장치가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주 처리장치의 하드웨어 사양 및/또는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동작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 I/O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주변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주변장치는 상기 수신된 동작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현된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제 2 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주 처리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처리장치로 송신되는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주변장치에 접속될 수 있는 다수의 주 처리장치의 동작환경의 차이점에 따라 구별되어 구현된 다수의 낮은 레벨의 프로그램 중의 하나와 주변장치를 이용한 응용 기능을 구현하는 하나의 높은 레벨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처리장치가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1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 1 메모리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상기 제 1 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주변장치로 전송하여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및 상기 제 2 메모리는 제 1 고유번호 및 제 2 고유번호를 각각 저장하며,
    상기 주 처리장치는 상기 주변장치가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한 경우에, 제 1 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2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고유번호와 상기 제 2 고유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주 처리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스템.
  6. 주 처리장치 및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는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가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주변장치가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음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주변장치로부터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주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주 처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의 메모리는 상기 주변장치에 접속될 수 있는 다수의 주 처리장치의 동작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현된 다수의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가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주 처리장치의 하드웨어 사양 및/또는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동작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변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동작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현된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주변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주변장치로부터 상기 주 처리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처리장치로 송신되는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주변장치에 접속될 수 있는 다수의 주 처리장치의 동작환경의 차이점에 따라 구별되어 구현된 다수의 낮은 레벨의 프로그램 중의 하나와 주변장치를 이용한 응용 기능을 구현하는 하나의 높은 레벨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상기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주 처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상기 주변장치로 전송하여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처리장치의 메모리 및 상기 주변장치의 메모리는 제 1 하드웨어 고유번호 및 제 2 하드웨어 고유번호를 각각 저장하며,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가 상기 주 처리장치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제 2 하드웨어 고유번호와 상기 제 1 하드웨어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주 처리장치와 상기 주변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24408A 2004-04-09 2004-04-09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483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408A KR100483348B1 (ko) 2004-04-09 2004-04-09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408A KR100483348B1 (ko) 2004-04-09 2004-04-09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3348B1 true KR100483348B1 (ko) 2005-04-15

Family

ID=3730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408A KR100483348B1 (ko) 2004-04-09 2004-04-09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34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2160B1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913106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100553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auto-install function in digital device
JP3785968B2 (ja) 無線通信端末
US20060160569A1 (en) Cellular phone and portable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US20070143016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data
US10165611B2 (en) Bluetooth pair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699743A1 (en) Image view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EP2584468A1 (en) Electronic systems and management methods using the same
CN107908491B (zh) 卡屏检测与解决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063962B (zh) 管理大容量存储装置的方法及电子装置
CN116339838A (zh) 服务器启动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630812B1 (ko) 단말 가이드와 결합되는 휴대 단말 및 자동 환경 설정 방법
CN108448177B (zh) 一种充电方法及终端
US2019023072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pairing method thereof
KR102194306B1 (ko)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0483348B1 (ko) 주 처리장치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RU2494449C1 (ru) Терминал, использующий перифери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ругого терминала под управлением первого терминала, и способ их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CN111143726A (zh) 一种信息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6933626B (zh) 应用关联方法及装置
CN109886199B (zh) 信息处理方法、装置、车辆及移动终端
JP200617853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ドライバソフトのインストール制御方法
US87683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computer connecting mode in portable terminal
CN107767504B (zh) 车辆解锁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20152336A1 (e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 driver of an expansion car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