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301B1 - 식물성 천연 유기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농작물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천연 유기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농작물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301B1
KR100481301B1 KR1020040032914A KR20040032914A KR100481301B1 KR 100481301 B1 KR100481301 B1 KR 100481301B1 KR 1020040032914 A KR1020040032914 A KR 1020040032914A KR 20040032914 A KR20040032914 A KR 20040032914A KR 100481301 B1 KR100481301 B1 KR 100481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rmanium
solution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러스
Priority to KR102004003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ertiliz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흡수가 가능한 형태의 액상 게르마늄(게르마늄 수용액)을 작물의 재배과정에 처리하여 식물이 흡수하도록 하고 흡수 전이된 게르마늄이 탄소동화작용에 의해 식물성 유기게르마늄(Phyto-germanium)의 형태로 식물체 내에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식물성 유기게르마늄(Phyto-germanium)이 농산물에 함유되도록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 및 식물에 공급하고자 하는 무기게르마늄(게르마늄용액)을 외부의 환경에 변화되지 않는 안정한 형태의 제형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르마늄이 함유된 형태의 부가가치가 높은 기능성 작물을 재배 생산하여 경쟁력이 확보된 농산물을 생산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식물성 천연 유기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농작물의 재배방법{Process for cultivating crops containing natural phyto-germanium}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식물 흡수가 가능한 형태의 액상 게르마늄(게르마늄 수용액)을 작물의 재배과정에 처리하여 식물이 흡수하도록 하고 흡수 전이된 게르마늄이 탄소동화작용에 의하여 유기게르마늄(Phyto-germanium)의 형태로 식물체 내에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식물성 유기게르마늄(Phyto-germanium)이 함유된 농산물을 재배하는 방법 및, 다른 일면에 있어서, 식물에 공급하고자하는 액상의 게르마늄(게르마늄 수용액)을 외부의 환경조건에 변화되지 않는 안정한 형태의 제형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① 일반적인 관행 농법으로 유기 게르마늄이 함유된 농산물 생산이 가능하도록 식물이 직접 흡수 가능한 형태로 용해되어 있으며 ② 액상 게르마늄이 온도나 수분 함량과 같은 외부의 조건에 변화되지 않는 안정화된 상태인 게르마늄 용액을 작물의 재배과정에 처리하여, 생산된 농산물에 천연 식물성 유기게르마늄이 다량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의약이나 건강식품이 아닌 주식(主食)에서 필수적인 영양원을 공급받음은 물론 약리효과가 충분히 검증된 식물성 유기게르마늄의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게르마늄은 천연광물 또는 지표의 토양층에 미량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일부 지하수에서도 미량이나마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게르마늄이 다량 함유된 토양에서 자라는 다년생의 식물이나 또는 게르마늄이 함유된 지하수가 흐르는 지역에서 자라는 일부식물에서는 분석결과 식물체내에 유기게르마늄을 미량이나마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무기 게르마늄은 다량 복용시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나타내며, 유기 게르마늄은 여러 가지의 임상 실험 결과로 입증된 것처럼 현대의 수많은 불치병을 치료하는 놀라운 효과를 나타내어, 의료용 항암제, 성인병 예방 및 치료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e-132로 불리는 화학 합성 유기게르마늄[(GeCH2CH2COOH)2O3]이나 효모를 이용한 생합성 유기게르마늄의 경우 인체나 동물에 놀라울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지만 제품이 100% 유기화가 이뤄지지 않아 이에 대한 보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인삼이나 산삼과 같은 약용 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식물성 유기게르마늄은 안정성에서나 효과면에서 매우 탁월하여 최고의 상품 가치를 지닌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식물과 게르마늄관련 일부 문헌에서는 산삼이나 인삼과 같은 약용식물과 건강식품으로 섭취하는 각종 자연식물에 게르마늄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하기 표 1 참조), 식물 속의 게르마늄 함유량를 확인하기 위해 정량분석을 하면 실제적으로는 그보다 훨씬 낮은 수치이거나 거의 들어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번호 종류 Ge함유량(ppm) 번호 종류 Ge 함유량(ppm)
1 산삼 2,000~4,000 10 고려인삼 250~320
2 원삼 0~6 11 노회 80
3 산두근 98~250 12 당귀 300~800
4 연지 700~2,000 13 색덩굴 110~510
5 구기 150~194 14 감초 56
6 호도 119 15 마음 0.9~35.4
7 무이 800~2,000 16 마른버섯 116
8 일본녹차 279 17 스리랑카차 389
9 인도차 316 18 압축차 8.5
지금까지 몇 종류의 게르마늄 농산물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나 게르마늄이 함유되어 있음을 증명할 수 있는 분석확인서가 없었으며 실질적인 분석 결과 게르마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었다. 이것은 ① 게르마늄이 극미량( 대략 5ppm 이하) 포함된 광물질을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② 작물이 자라는 작토층에 공급하고 비료나 농약과 함께 섞어 엽면시비 하여 사용하였는데 생산된 농산물에서는 분석 결과(ICP/MS)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게르마늄이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한 광물질을 대량으로 사용하여도 게르마늄이 함유된 농산물은 얻을 수 없다. 이것은 모든 토양층(작토층)에 존재하는 기존 게르마늄의 양과 공급하고자 하는 광물질에 포함된 게르마늄의 양을 비교하였을 경우 첫째, 게르마늄의 양에 차이가 없기 때문이며, 둘째, 공급된 게르마늄이나 토양에 존재하는 게르마늄이 모두 식물이 흡수할 수 없는 형태의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게르마늄의 효율적인 흡수에 관하여 보다 더 진보적인 형태의 게르마늄과 효율적인 처리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였다.
본 발명자는 식물이 직접 흡수 가능한 게르마늄의 제형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이를 액상화하고 안정화시킬 경우 작물의 직접 흡수율이 현저히 높아져서 고부가가치의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게르마늄을 식물 흡수가 가능하면서 수분 및 온도 등의 외부환경조건에 안정화된 형태의 액상 게르마늄(게르마늄 수용액)을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정화된 액상 게르마늄을 작물의 재배과정에 처리하거나 공급하여 식물이 높은 흡수율로 흡수하도록 하고 특성화시키고, 흡수 전이된 게르마늄이 탄소동화작용에 의하여 유기게르마늄(Phyto-germanium)의 형태로 식물체 내에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식물성 유기게르마늄(Phyto-germanium)이 농산물에 함유되도록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여러 농법에 게르마늄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정화된 형태의 액상 게르마늄(게르마늄 수용액)을 입제(粒製)형태 즉, 고형화된 형태로 가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식물 흡수가 가능한 형태의 액상 게르마늄(게르마늄 수용액)을 작물의 재배과정에 처리하여 식물이 흡수하도록 하고 흡수 전이된 게르마늄이 탄소동화작용에 의하여 유기게르마늄(Phyto-germanium)의 형태로 식물체 내에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식물성 유기게르마늄(Phyto-germanium)이 함유된 농산물을 재배하는 방법 및, 다른 일면에 있어서, 식물에 공급하고자하는 액상 게르마늄(게르마늄 수용액)을 외부의 환경에 변화되지 않는 안정성을 확보한 형태의 제형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반적인 관행 농법으로 유기 게르마늄이 함유된 농산물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식물이 직접 흡수 가능한 형태로 용해된 게르마늄을 액상(게르마늄 수용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작물의 재배과정에 처리하여, 생산된 농산물에 천연 식물성 유기게르마늄이 다량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의약이나 건강식품이 아닌 주식(主食)에서 필수적인 영양원을 공급받음은 물론 약리효과가 충분히 검증된 식물성 유기게르마늄의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농산물"은 농업적인 방식이나 생물학적인 방식으로 재배되는 상품성을 갖는 모든 식용 또는 약용의 작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과실류나 원예류, 채소류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특정 작물을 대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 예를 들면 벼, 보리, 콩, 사과, 배, 복숭아, 오이, 딸기, 토마토, 도라지, 인삼, 감자, 고구마 등을 포함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농산물의 가격이 갈수록 하락하고 있으며 저가의 고품질 외국농산물 수입이 증가되어 우리나라의 농업은 피폐화될 수밖에 없는 입장에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게르마늄이 함유된 농산물은 저가의 농산물이 난무하는 농산물 시장에서 충분한 가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외국 농산물이 수입되더라도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합성 게르마늄은 약제 또는 건강식품에 투여하여 사용되므로 일상적인 식생활을 통해서 쉽게 섭취할 수 없고 필요한 양의 섭취에 꾸준한 인내와 노력이 요구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는 직접적으로 식물 흡수가 거의 불가능한 게르마늄을 식물에 적용하는 것 보다는 첫째,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잘 용해된 게르마늄 용해액에 대한 기술을 적용하여 식물 흡수가 가능한 형태로 1차적으로 가공하고, 둘째, 외부환경요인이 변하더라도 용해된 게르마늄의 특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품을 안정화시키며, 즉 온도 습도와 같은 환경 변화에도 흡수 가능한 형태의 게르마늄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며, 셋째 길항 작용이나 생육 억제 또는 장해를 나타내지 않고 지속적으로 흡수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건을 정확히 제시해주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게르마늄 용해액의 제조 방법은 구체적으로
a) 무기게르마늄 또는 유기게르마늄에 물 또는 알칼리 수용액을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100:0.1~10의 비율로 첨가한 후 이를 35~12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시킴으로써 게르마늄을 식물의 직접 흡수가 가능한 상태로 액상화 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용해액이 온도, 수분 등의 변화에 대해 쉽게 반응하지 않도록 차아인산나트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게르마늄의 양을 기준으로 약 1: 0.5~2의 비율로 첨가하는 한편, 용액의 pH를 6 내지 8의 범위로 조정하여 상기 용해액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동화작용에 의해 식물성 유기 게르마늄이 농산물에 고농도로 생성되게 하는 작물의 재배 방법은 구체적으로
a) 무기게르마늄 또는 유기게르마늄에 물 또는 알칼리 수용액을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100:0.1~10의 비율로 첨가한 후 이를 35~12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시켜 게르마늄을 식물의 직접 흡수가 가능한 상태로 액상화 시키는 단계,
b) 상기 용해액이 온도, 수분 등의 변화에 대해 쉽게 반응하지 않도록 차아인산나트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게르마늄의 양을 기준으로 약 1: 0.5~2의 비율로 첨가하는 한편, 용액의 pH를 6 내지 8의 범위로 조정하여 상기 용해액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안정화 게르마늄 용액을 농작물에 2~50 ppm의 최종 농도로 1~20회 정도 토양의 근권층에 처리하거나 엽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게르마늄의 액상화는 먼저 순수게르마늄을 적절한 용매 및 특정 조건하에서 용해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용매는 물 또는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질산, 염산 등의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알칼리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알칼리 수용액이 특히 바람직하며, 그 예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강알칼리 수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 용액을 사용한다. 특히, 탄산칼륨 수용액과 수산화칼륨 수용액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게르마늄 용해액으로 사용되는 용매는 예를 들면 증류수를 사용하거나 또는 증류수와 수산화칼륨을 약 1:0.5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 또는 증류수와 탄산칼륨을 약 1:0.5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상기 알칼리액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알칼리수 원액을 2:1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게르마늄과 용매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용매: 순수 게르마늄(GeO2)는 게르마늄의 함량이 낮을수록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는 100:0.1~10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대략 100:1의 비율이 가장 경제적이다.
상기 적절히 배합된 혼합액은 적절한 기간, 예컨대 30분 내지 24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시간 동안, 가장 바람직하게는 3시간 정도 교반하에 숙성시킴으로써 게르마늄 용해액을 얻는다. 게르마늄 용해에 있어서 온도 조건은 매우 민감할 수도 있으며, 용해 과정은 35 ~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110℃,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 98℃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약 95℃의 온도가 최적의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게르마늄은 용해가 되었다하더라도 주변의 조건에 따라서, 예를 들면 실온에서도 결정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안정화시켜야 한다. 즉, 증류수를 사용하여 용해를 시키더라도 저온에서는 90%까지 결정화가 되어버리므로 게르마늄 용해액을 포장에 적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게르마늄을 온도나 수분에 대해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게르마늄 용해액의 pH를 6 내지 8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4로 조정해주는 것이 좋으며, 안정화제로는 차아인산나트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게르마늄의 양을 기준으로 약 1: 0.5~2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게르마늄의 양과 비슷하게 맞춰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차아인산나트륨 대신에 동일한 기능성을 갖는 공지의 안정화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안정화 무기 게르마늄 수용액은 농축된 상태이므로, 포장에서 뿌리에서 가장 흡수하기에 좋고, 식물에 생육장해나 억제 등이 나지 않는 적절한 농도로 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적용하고자 하는 대상 식물에 따라서 다양한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실제 시비 또는 분무 상태에 따라서 다르나 가급적 소량을 자주 가해주는 것이 좋다. 엽면시비의 경우에는 최종농도 2~10ppm으로 가해주는 것이 좋고, 50ppm을 사용하여도 특별한 장해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캘러스의 상태에서는 Ge를 기준으로 1000ppm까지의 농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c) 단계의 공급을 식물의 성장 상태에 따라 수 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후 조건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나 미량을 반복하여, 예컨대 1 주일 또는 2 주일의 주기로 분무 공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1 ~ 20회 정도로 나누어 자주 적용해주는 것이 유기게르마늄을 고농도로 흡수하는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수도작 작물(예컨대, 쌀)의 재배 과정에서 작물 스스로 게르마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 가능한 형태의 게르마늄을 공급하고, 광합성 작용의 결과로 수확하고자하는 쌀(예, 정백미)에서 천연 식물성 유기게르마늄이 다량 함유되도록 수도작 작물의 재배과정에 게르마늄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된 액상의 게르마늄 용해액 또는 상기 용해액에 비료용 부형제를 첨가하여 배합하거나, 조립한 과립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제형을 제공한다. 따라서, 입제, 펠릿 제형을 제공함으로써 여러 가지 농산물에 두루 적용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게르마늄 용해액은 용해액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약이나 비료와 배합하여 적용하여도 좋으며 일반적으로 농약살포시에 필요에 따라 혼용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토양 개량효과가 탁월한 소성된 패화석이나 미세하게 분쇄된 광물질과 혼합하여 고형(예, 입상)의 형태로 제조한다면 토양에 처리하였을 경우 바로 물에 용해되기 용이한 상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토양개량 효과는 물론 게르마늄이 함유된 농산물을 얻을 수 있다.
화본과 작물인 벼는 규산질 비료와 특히 친화성이 있을 뿐 아니라 비슷한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게르마늄을 규산성분의 비료나 부형제와 함께 혼합하여 작토층이나 농작물의 표면 또는 수경 방식을 통하여 작물에 적용할 경우 흡수율이 더욱 증대될 뿐 아니라 과잉공급으로 인한 생육피해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욱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된 액상 또는 고상의 무기 게르마늄 제형을 농작물의 생육기에 따라 1~20 회 반복 적용함으로써 농산물 내에 유기 게르마늄 함유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내에 유기게르마늄을 고농도로 축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무기 게르마늄 제형을 작물의 재배 환경에 따라 농작물의 생육기에 적합하게 농작물에 공급하여 농산물 내의 유기 게르마늄 함유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게르마늄 함유 용액의 제조
이산화 게르마늄(GeO2) 또는 유기게르마늄을 1kg을 구매하여 이를 물 100 리터를 가하고, 교반날개가 장착된 저장조에서 95 ℃, 5시간 동안 교반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게르마늄 용해액을 얻고, 이를 pH를 7.4로 조정하고, 차아인산나트륨을 1kg을 가하여 안정화시켰다.
실시예 2: 안정화 게르마늄 액제를 사용한 벼의 재배
상기 안정화 게르마늄 함유 용액을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실험포장에 (100 평방미터이상) 이앙하기 전 본답토양층에 게르마늄 일정량을 희석 처리하고 재배과정인 유효분얼기, 수잉기, 출수기 때 경엽에 처리한 결과, 수확한 벼를 정백미로 도정하였으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및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 분석한결과(분석기기-ICP/MS) 처리구에 따라 유기 게르마늄 함량이 현저히 증가된 결과를 얻었다.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냈다. 게르마늄 용해액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는 게르마늄이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게르마늄 함량(mg/kg)
처리수 2회 적용 4회 적용 6회 적용
실험구 0.02 0.08 0.98
대조구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시험예 1: 쌀에서의 게르마늄 함량 변화
위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게르마늄(게르마늄 수용액)제형은 식물체에 흡수되기에 양호한 상태로 조성되어 있으므로 과도하게 적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양의 유기 게르마늄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험 결과에 기초하여, 게르마늄을 실제적인 농업에 접목하여 사용한 바 생산된 농산물(쌀-전남 영암, 무안, 신안, 장흥 등)에서 분석결과 게르마늄이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20여종의 다양한 작물에 재배실험을 확대하여 실시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식물성 유기게르마늄이 함유된 농산물을 생산하여 1) 단시간 내에 저비용, 고농도로 유기게르마늄을 생합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손쉽게 농산물에서 기본적인 영양 성분을 섭취함은 물론 식물성 유기게르마늄이 나타내는 약리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여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하며, 2) 식물성 유기게르마늄이 함유된 차별화된 농산물이 고가(高價)에 판매됨으로써 생산자에게 고소득을 창출시키며, 3) 수입개방으로 농산물이 저가(低價)에 수입 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식물성 유기게르마늄이 함유된 농산물이 국내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갖도록 하여 농가소득은 물론 국내 시장을 보호하고, 4) 식물성 유기게르마늄이 함유된 농산물을 외국으로 수출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Claims (6)

  1. a) 무기 게르마늄 또는 유기 게르마늄에 물 또는 알칼리 수용액을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100:0.1~10의 비율로 첨가한 후 이를 35~12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시킴으로써 게르마늄을 식물의 직접 흡수가 가능한 상태로 액상화 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용해액이 온도, 수분 등의 변화에 대해 쉽게 반응하지 않도록 차아인산나트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게르마늄의 양을 기준으로 약 1: 0.5~2의 비율로 첨가하는 한편, 용액의 pH를 6 내지 8의 범위로 조정하여 상기 용해액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된 게르마늄 용해액의 제조 방법.
  2. a) 무기 게르마늄 또는 유기 게르마늄에 물 또는 알칼리 수용액을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100:0.1~10의 비율로 첨가한 후 이를 35~12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시킴으로써 게르마늄을 식물의 직접 흡수가 가능한 상태로 액상화 시키는 단계,
    b) 상기 용해액이 온도, 수분 등의 변화에 대해 쉽게 반응하지 않도록 차아인산나트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게르마늄의 양을 기준으로 약 1: 0.5~2의 비율로 첨가하는 한편, 용액의 pH를 6 내지 8의 범위로 조정하여 상기 용해액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안정화 게르마늄 용액을 농작물에 2~50 ppm의 최종 농도로 1~20회 정도 토양의 근권층에 처리하거나 또는 엽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동화작용에 의해 식물성 유기 게르마늄이 농산물에 고농도로 함유되게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
  3.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정화된 게르마늄 용해액.
  4. 삭제
  5. 제3항에 따른 안정화된 게르마늄 용해액에 비료용 부형제를 첨가하여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제형.
  6. 제5항에 따른 게르마늄 제형을 농작물에 1~20 회 반복 적용함으로써 농작물 내에 유기게르마늄 함유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내에 유기게르마늄을 고농도로 축적시키는 방법.
KR1020040032914A 2003-11-06 2004-05-11 식물성 천연 유기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농작물의 재배방법 KR100481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914A KR100481301B1 (ko) 2003-11-06 2004-05-11 식물성 천연 유기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농작물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68 2003-11-06
KR1020040032914A KR100481301B1 (ko) 2003-11-06 2004-05-11 식물성 천연 유기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농작물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1301B1 true KR100481301B1 (ko) 2005-04-07

Family

ID=3730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914A KR100481301B1 (ko) 2003-11-06 2004-05-11 식물성 천연 유기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농작물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3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55B1 (ko) 2010-12-21 2013-05-06 (주)바이오넬 게르마늄 딸기의 생산방법
WO2015119369A1 (ko) * 2013-12-06 2015-08-13 (주)한국게르마늄팜스 고농도의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딸기의 재배방법
KR20170018532A (ko) 2015-08-10 2017-02-20 김용기 게르마늄과 셀레늄을 함유하는 산삼 배양근의 생산방법
KR101994168B1 (ko) 2018-11-19 2019-09-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기림 식물의 게르마늄 흡수율을 높이는 기능성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14158A (ko) * 2020-07-28 2022-02-04 박상만 유기 게르마늄 이온수를 이용한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식물의 재배 방법
JP2023511460A (ja) * 2020-01-28 2023-03-17 ヨン カン、ユン ナノ有機ゲルマニウム及びナノ有機セレンを用いた機能性作物の栽培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55B1 (ko) 2010-12-21 2013-05-06 (주)바이오넬 게르마늄 딸기의 생산방법
WO2015119369A1 (ko) * 2013-12-06 2015-08-13 (주)한국게르마늄팜스 고농도의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딸기의 재배방법
KR20170018532A (ko) 2015-08-10 2017-02-20 김용기 게르마늄과 셀레늄을 함유하는 산삼 배양근의 생산방법
KR101994168B1 (ko) 2018-11-19 2019-09-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기림 식물의 게르마늄 흡수율을 높이는 기능성비료 및 그 제조방법
JP2023511460A (ja) * 2020-01-28 2023-03-17 ヨン カン、ユン ナノ有機ゲルマニウム及びナノ有機セレンを用いた機能性作物の栽培方法
JP7354457B2 (ja) 2020-01-28 2023-10-02 ヨン カン、ユン ナノ有機ゲルマニウム及びナノ有機セレンを用いた機能性作物の栽培方法
KR20220014158A (ko) * 2020-07-28 2022-02-04 박상만 유기 게르마늄 이온수를 이용한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식물의 재배 방법
KR102457989B1 (ko) 2020-07-28 2022-10-24 박상만 유기 게르마늄 이온수를 이용한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식물의 재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uri et al. Growth and quality of cucumber, tomato, and green bean under foliar and soil applications of an aminochelate fertilizer
KR100866587B1 (ko) 게르마늄 및 셀레늄 함유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이로부터제조된 액상비료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방법
JP5080184B2 (ja) 植物活力剤組成物
RU2163919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Gonnella et al. Yield and quality of lettuce grown in floating system using different sowing density and plant spatial arrangements
KR101120635B1 (ko) 고품질 ? 고기능성 과채류의 재배방법
KR101527264B1 (ko) 고칼슘 복숭아 및 그 재배 방법
KR100543524B1 (ko) 과실 및 과채류 착색촉진용 복합비료
KR101374501B1 (ko) 타우린을 함유하는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우린 함유 농작물 재배방법
KR100481301B1 (ko) 식물성 천연 유기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농작물의 재배방법
RU2675485C1 (ru) Получение и применение агрохимической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полидисперсного хитозана
RU2268868C2 (ru) Жидкое комплексное удобрение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Nguyen et al. Effects of Composite Inorganic, Organic Fertilizer and Foliar Spray of Multi-nutrients on Growth, Yield and Quali ty of Cherry Tomato
Chohura et al. Suitability of some nitrogen fertilizers for the cultivation of early cabbage.
AU2006200467B2 (en) Micronutrient chelate fertilizer
KR102082251B1 (ko) 완효성 액상 복합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3845388A (zh) 一种有机红薯专用水溶肥料及其制备方法
KR101002570B1 (ko) 기능성 사과 재배를 위한 베타카로틴 조성물
RU210944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атурального регулятора роста растений
CN108633691A (zh) 一种蔬菜种植用有机矿物质营养土
El-Mehrat et al. Effectiveness of compost and potassium silicate under low rate of mineral fertilizers on production, quality, marketability and NPK contents of banana plants
KR100189604B1 (ko) 활성 칼슘 비료 및 그 제조방법
Shehata The Infuence of organic manures and foliar spray of moringa extract on growth, quality and yield of tomato
Avdeenko et al. Effect of micro fertilizers on productivity and quality of lactuca-sativa varieties
KR102358075B1 (ko) 규소와 천일염을 이용한 수용성비료 조성물 및 제조제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