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800B1 -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800B1
KR100480800B1 KR10-2002-0070736A KR20020070736A KR100480800B1 KR 100480800 B1 KR100480800 B1 KR 100480800B1 KR 20020070736 A KR20020070736 A KR 20020070736A KR 100480800 B1 KR100480800 B1 KR 100480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se station
message
mobile terminal
stat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436A (ko
Inventor
전효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800B1/ko
Priority to US10/699,680 priority patent/US20040105400A1/en
Priority to CNB200310116508XA priority patent/CN100512529C/zh
Publication of KR2004004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Packet Data Service Network)에서 이동 단말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에 도어먼트(Dormant)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인지를 구분하여 해당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해 주도록 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이동 단말 자신이 도어먼트 기능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과 기지국 제어기간의 특정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며, 기지국 제어기가 해당 특정 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메시지 내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단말이 해당 도어먼트 기능 지원 가능한 이동 단말인 경우에만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프로토콜 리비전의 정보를 참조하지 않고도 해당 특정 메시지 내의 정보만으로도 도어먼트 기능이 적용되는 단말인지를 쉽게 확인하여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Method of Controlling Dormant in the Packet Data Service Network}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이동 단말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에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인지를 구분하여 해당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해 주도록 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과, 기지국(20)과, 기지국 제어기(30)와, 교환기(40)와, PCF(50)와, PDSN(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지국(20)은 내부에 BSP(21)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 단말(10)과 무선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30)는 상기 기지국(20)과 정합하고 상기 교환기(40)와 정합하며, 자원 할당, 호 제어, 핸드오프 제어, 전력 제어, 음성 및 패킷 처리 등을 수행한다.
상기 교환기(40)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30)와 정합하여 음성 호 스위치 제어, 호 처리, 과금/인증/가입자 정보 처리 등을 수행한다.
상기 PCF(50)는 상기 PDSN(60)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패킷 도어먼트 처리 등을 수행한다.
상기 PDSN(60)은 고정 망(Fixed Network)의 패킷 데이터 전송과 무선 망 상의 패킷 데이터 전송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상기 PCF(50)를 통해 상기 교환기(40)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패킷 데이터 호(Packet Data Call)는 3 가지의 상태를 가지는데, 즉 활성/접속 상태(Active/Connected State)와, 도어먼트 상태와, 유휴/비활성 상태(Null/Inactive State)를 가진다.
해당 활성/접속 상태는 상기 이동 단말(10)과 기지국 제어기(30)간에 물리적 트래픽 채널(Physical Traffic Channel)이 존재하여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30)와 교환기(40)간의 사용자 트래픽(User Traffic)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유지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30)와 PCF(50)간의 사용자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유지하며, 상기 PCF(50)와 PDSN(60)간의 사용자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유지하는 상태이다.
해당 도어먼트 상태는 상기 이동 단말(10)과 기지국 제어기(30)간에 물리적 트래픽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이동 단말(10)과 PDSN(60)간에 PPP(Point-to-Point Protocol) 링크(Link)를 유지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30)와 교환기(40)간의 사용자 트래픽(User Traffic)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해제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30)와 PCF(50)간의 사용자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해제하며, 상기 PCF(50)와 PDSN(60)간의 사용자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유지하는 상태이다.
해당 유휴/비활성 상태는 상기 이동 단말(10)과 기지국 제어기(30)간에 물리적 트래픽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이동 단말(10)과 PDSN(60)간에 PPP 링크가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30)와 교환기(40)간의 사용자 트래픽(User Traffic)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30)와 PCF(50)간의 사용자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PCF(50)와 PDSN(60)간의 사용자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그러면, 상기 도어먼트 상태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먼트 기능이란 특정 시간 동안에 전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기지국 제어기 이하의 무선 자원을 해제하여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며, 해당 패킷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에 무선 자원만을 재할당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재개하는 기능이다. 패킷 데이터 호의 특성에 있어서, 전송 매체 상의 패킷 데이터의 전송 빈도는 시간적으로나 양적으로 비연속적(Discontinuous)이고 버스트(Burst)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해당 도어먼트 기능은 자원의 효율화 측면으로 볼 때 매우 유효한 기능이다.
즉, 상기 도어먼트 기능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활성/접속 상태에서 상기 도어먼트 상태로 천이하는 기능으로, 해당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에 한하여 해당 사용자가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제공받지 않는 상황이 되는 경우에 시스템에서 해당 가입자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을 일시적으로 회수하여 다른 가입자에게 할당할 수 있도록 처리해 주며,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 할당 동작을 수행하면서 소요되는 호 설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TCP/IP 설정 정보를 이동 단말과 패킷 서비스 망(즉, PDSN)에서 서로 보유하며, 해당 도어먼트 기능의 수행으로 무선 자원이 회수된 상태인 가입자가 재접속을 요구하는 경우에 해당 TCP/IP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빠른 재접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리고, 상기 도어먼트 기능은 IS-95B의 프로토콜 리비전(Protocol Revision) 4 이상에서부터 제공된 기능으로, IS-95B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며, 시스템에서는 IS-95B, IS-95C 이상의 이동 단말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도어먼트 기능을 반드시 제공하여야 한다.
그런데, IS-95A의 프로토콜 리비전으로 상기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도 있으며, 또한 IS-95B 이상이면서 상기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이동 단말도 있다.
이런 경우에, 만약 해당 이동 단말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면, 종래의 기술에서는 해당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한 이동 단말이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는지의 구분, 즉 상기 도어먼트 기능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인지 아니면 상기 도어먼트 기능이 적용되지 않는 이동 단말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으므로, 상기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이동 단말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에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인지를 구분하여 해당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해 주도록 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과 제공하지 않는 이동 단말이 동일한 버전으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시스템으로 요구하는 경우에, 해당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인지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이동 단말의 경우에만 해당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이동 단말로부터 도어먼트 기능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특정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받아, 해당 특정 메시지 내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 단말에게 해당 도어먼트 기능을 적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프로토콜 리비전의 정보를 참조하지 않고도 해당 특정 메시지 내의 정보만으로도 해당 도어먼트 기능이 적용되는 단말인지를 쉽게 확인하여 해당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이동 단말 자신이 도어먼트 기능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과 기지국 제어기간의 특정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며, 기지국 제어기가 해당 특정 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메시지 내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단말이 해당 도어먼트 기능 지원 가능한 이동 단말인 경우에만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수신되는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 또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상태 요구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상태 응답 메시지를 사용하며, 해당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 또는 해당 상태 응답 메시지 내의 여분 영역에 상기 도어먼트 기능 지원 여부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먼트 기능 제공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에서 발신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서비스 접속 메시지를 수신받아 자신의 도어먼트 기능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를 수신받아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를 분석하여 도어먼트 기능 지원 가능 단말인 경우에 도어먼트 타이머를 구동시켜 주며, 활성/접속 상태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 시에 해당 도어먼트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여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는 메시지 형태, 승인 순서 번호, 메시지 순서 번호, 승인 요구 식별자, 메시지 암호 식별자,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 서비스 접속 순서 번호 및 여분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는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 및 서비스 접속 순서 번호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발신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 교환기 측으로 서비스를 요구한 후에 자원 할당 요구를 수신받아 기지국으로 자원 할당을 요구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전달받은 이동 단말의 서비스 옵션 정보와 도어먼트 타이머 정보를 검증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 옵션인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의 도어먼트 지원 여부에 대한 판단 준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확장 채널 할당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한 후에 서비스 접속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를 생성시켜 자신이 도어먼트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지에 대한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먼트 기능 제공 단계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 내의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결과로 도어먼트 기능 지원 가능 단말인 경우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도어먼트 타이머를 구동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PDSN으로 시그널링 정보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록을 요구한 후에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자원 할당 완료를 교환기에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과 PDSN간의 PPP 접속 설정 및 이동 IP 등록 절차를 수행하여 활성/접속 상태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도어먼트 타이머가 구동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도어먼트 타이머의 설정 값 동안에 패킷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활성/접속 상태에서 도어먼트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먼트 기능 제공 단계는 상기 분석 결과로 도어먼트 기능 지원 불가능 단말인 경우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도어먼트 타이머를 구동시키지 않도록 하여 상기 활성/접속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를 위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70)과, 기지국(80)과, 기지국 제어기(90)와, 교환기(100)와, PDSN(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 단말(70), 기지국(80), 교환기(100) 및 PDSN(110)의 구성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90)는 상기 기지국(80)과 정합하고 상기 교환기(100)와 정합하며, 자원 할당, 호 제어, 핸드오프 제어, 전력 제어, 음성 패킷 처리, 패킷 도어먼트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특히 상기 이동 단말(70)로부터 상기 기지국(80)을 통해 도어먼트 기능에 대하여 특정 메시지의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70)의 도어먼트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프로토콜 리비전 정보를 참조하지 않고도 해당 특정 메시지의 특정 정보만을 참조하여 도어먼트 기능의 처리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해당 특정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70)과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사이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메시지(예로, 상기 이동 단말(70)로부터의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 또는 상기 이동 단말(70)과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사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메시지(예로, 상기 기지국 제어기(90)의 상태 요구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 단말(70)의 상태 응답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특정 메시지 내의 특정 정보는 해당 특정 메시지에서 사용하지 않는 필드(field)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 중 여분 영역(Reserved Field)을 사용한다. 해당 특정 정보의 값을 '0' 또는 '1'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0'의 경우에는 도어먼트 미지원 이동 단말을 나타내도록 하며, 해당 '1'의 경우에는 도어먼트 지원 이동 단말을 나타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90)는 자원 할당, 호 제어, 핸드오프 제어, 전력 제어, 음성 및 패킷 처리 등을 수행하는 CCP(91)와, 도어먼트 기능을 처리하는 SDU(92)와, 상기 PDSN(11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PCF(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CCP(91)는 상기 이동 단말(70)로부터 상기 기지국(80)을 통해 발신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 도어먼트 처리에 관련하여 설정되어 있는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70)의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 정보를 상기 SDU(92)로 전송해 준다.
상기 SDU(92)는 상기 CCP(91)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 단말(70)의 서비스 옵션 정보와 도어먼트 타이머 정보를 검증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 옵션인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70)의 도어먼트 지원 여부에 대한 판단 준비를 수행하며, 서비스 접속 메시지를 생성시켜 상기 이동 단말(70)로 전송한 후에 상기 이동 단말(70)로부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를 수신받아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를 확인하여 도어먼트 타이머를 구동시켜 주며, 활성/접속 상태에서 해당 도어먼트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단말(70)이 도어먼트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지를 판단하여 도어먼트 기능을 처리해 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을 도 3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단말(70)에서 발신 메시지(Mobile Origination Message)를 억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통해 기지국(80)으로 전송하게 되면, 해당 기지국(80) 내의 BSP(81)는 해당 이동 단말(70)로부터 발신 메시지를 수신받아 승인 지시 메시지(bs_ack_order)를 생성시켜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70)로 전송해 줌과 동시에, 발신 메시지(MobOrg_B2C)를 기지국 제어기(90)로 전송해 준다.
이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CCP(91)는 상기 기지국(80)으로부터 발신 메시지(MobOrg_B2C)를 수신받아 서비스 요구 메시지(CM Service Request_C2M)를 구성하여 교환기(100)로 전송한 후에, 소정의 시간 내에 해당 교환기(100)로부터 무선 자원의 할당을 요구하는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Assignment Request_M2C)를 수신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CCP(91)는 상기 기지국(80)으로 전송할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AssgnReq_C2B)를 생성시켜 전달해 준 후에, 상기 기지국(80) 내의 BSP(81)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AssgnRsp_B2C)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에 자원 할당 승인 메시지(AssgnAck_C2B)를 생성시켜 상기 기지국(80)으로 전송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80) 내의 BSP(81)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90)로부터 자원 할당 승인 메시지(AssgnAck_C2B)를 수신받아 유휴 트래픽 메시지(null_traffic)를 생성시켜 상기 이동 단말(70)로 전송해 준다.
그런 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CCP(91)는 링크 선택 메시지(SelTcLink_C2S)를 생성시켜 도어먼트 처리와 관련하여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서비스 옵션 정보와 함께 해당 링크 선택 메시지(SelTcLink_C2S)에 실어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SDU(92)로 전송해 준다.
이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SDU(92)는 상기 CCP(91)로부터 수신되는 링크 선택 메시지(SelTcLink_C2S)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단말(70)의 서비스 옵션 정보와 도어먼트 타이머 정보를 검증하는데, 이때 해당 서비스 옵션 정보가 패킷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70)의 도어먼트 지원 여부에 대한 판단 준비를 수행한 후에, 해당 링크 선택 메시지(SelTcLink_C2S)에 대한 링크 선택 수행 메시지(SelTcLinkAct_S2C)를 생성시켜 상기 CCP(91)로 전송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CCP(91)는 확장 채널 할당(Extended Channel Assignment)을 위한 ECAM(Extended Channel Assignment Message) 전송 메시지(Ab_ECAM Transfer)를 생성시켜 상기 기지국(80)으로 전송해 준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80) 내의 BSP(81)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90)로부터 ECAM 전송 메시지(Ab_ECAM Transfer)를 수신받아 ECAM을 생성시켜 상기 이동 단말(70)로 전송해 준 후에, 상기 이동 단말(70)로부터 프리앰블 메시지(Preamble)를 수신받는다.
한편,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SDU(92)는 상기 링크 선택 수행 메시지(SelTcLinkAct_S2C)를 상기 CCP(91)로 송신한 후에, 승인 지시 메시지(bs_ack_order)를 생성시켜 상기 이동 단말(70)로 전송해 준다.
그런 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SDU(92)는 상기 이동 단말(70)로부터 승인 지시 메시지(ms_ack_order)를 수신받는 경우에 서비스 접속 메시지(so_connect)를 생성시켜 상기 이동 단말(70)로 전송해 준 후에, 상기 이동 단말(70)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so_complete)를 수신받는다.
이 때, 상기 이동 단말(70)은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so_complete) 내에 도어먼트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삽입시켜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SDU(92)로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 단말(70)은 도어먼트 기능에 대하여 자신이 도어먼트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지에 대한 여부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so_complete) 내에 삽입시켜 주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so_complete)의 포맷(Format)은 IS-95B의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8 비트(Bits)의 메시지 형태, 3 비트의 승인 순서 번호(Acknowledgement Sequence Number), 3 비트의 메시지 순서 번호(Message Sequence Number), 1 비트의 승인 요구 식별자(Acknowledgement Required Indicator), 2 비트의 메시지 암호 식별자(Message Encryption Indicator), 1 비트의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 3 비트의 서비스 접속 순서 번호 및 3 비트의 여분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다르게는,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so_complete)의 포맷은 IS-95C의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비트의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 및 3 비트의 서비스 접속 순서 번호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는 '0' 또는 '1'로 표시하는데, 해당 '0'의 경우에는 도어먼트 지원 가능 이동 단말을 나타내도록 하며, 해당 '1'의 경우에는 도어먼트 지원 불가능 이동 단말을 나타내도록 한다.
이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SDU(92)는 상기 이동 단말(7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so_complete)를 확인하여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를 분석하는데, 즉 상기 이동 단말(70)이 도어먼트 기능이 적용되는 단말인지 아니면 도어먼트 기능이 적용되지 않는 단말인지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70)이 도어먼트 기능이 적용되는 단말인 경우에는 도어먼트 타이머를 구동시켜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반면에 상기 이동 단말(70)이 도어먼트 기능이 적용되지 않는 단말인 경우에는 도어먼트 타이머를 구동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어먼트 기능이 제공되지 않도록 해 준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SDU(92)는 링크 선택 수행 메시지(MsSelLinkAct_S2C)를 생성시켜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CCP(91)로 전송해 주며, 이에 상기 CCP(91)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PCF(93)와의 사용자 트래픽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와 해당 PCF(93)와의 시그널링 정보(Signaling Information)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셋업하기 위한 셋업 메시지(Setup)를 생성시켜 해당 PCF(93)로 전송해 준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PCF(93)는 PDSN(110)과의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요구 메시지(Registration Request)를 생성시켜 해당 PDSN(11)으로 전송해 준 후에, 해당 PDSN(11)으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Registration Reply)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PCF(93)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CCP(91)와의 사용자 트래픽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CCP(91)와의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메시지(Connect)를 생성시켜 상기 CCP(91)로 전송해 준다.
이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CCP(91)는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AssgnCmpl_C2M)를 생성시켜 상기 교환기(100)로 전송해 줌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70)과 PDSN(110)간의 PPP 접속 설정 및 이동 IP 등록 절차를 수행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활성/접속 상태가 된다.
그런 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90) 내의 SDU(92)는 상기 도어먼트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때 상기 도어먼트 타이머가 구동하고 있으면 상기 이동 단말(70)이 도어먼트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로 판단하여 상기 PDSN(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패킷 데이터의 량을 측정하여 상기 도어먼트 타이머의 설정 값 동안에 패킷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활성/접속 상태에서 도어먼트 상태로 천이해 준다. 또한, 해당 이동 단말의 경우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가 하나 이상 수신되면, 상기 도어먼트 타이머를 초기화시켜 재구동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도어먼트 타이머가 구동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70)이 도어먼트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로 판단하여, 상기 도어먼트 타이머의 설정 값 동안에 패킷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활성/접속 상태에서 상기 도어먼트 상태로 천이해 주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활성/접속 상태를 계속 유지시켜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이동 단말로부터 도어먼트 기능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특정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받아 해당 특정 메시지 내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 단말에게 해당 도어먼트 기능을 적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프로토콜 리비전의 정보를 참조하지 않고도 해당 특정 메시지 내의 정보만으로도 해당 도어먼트 기능이 적용되는 단말인지를 쉽게 확인하여 해당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Packet Data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망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Dormant) 처리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도 3에 있어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Service Connect Complete Message)의 포맷(Format)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있어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의 포맷을 다른 예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0 : 이동 단말(Mobile Station)
80 :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81 : BSP(Base Station Processor)
90 :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91 : CCP(Call Control Processor)
92 : SDU(Selection and Distribution Unit)
93 : PCF(Packet Control Function)
100 :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110 :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Claims (8)

  1.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이동 단말 자신이 도어먼트 기능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과 기지국 제어기간의 특정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며, 기지국 제어기가 해당 특정 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메시지 내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단말이 해당 도어먼트 기능 지원 가능한 이동 단말인 경우에만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수신되는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 또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상태 요구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상태 응답 메시지를 사용하며, 해당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 또는 해당 상태 응답 메시지 내의 여분 영역에 상기 도어먼트 기능 지원 여부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먼트 기능 제공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에서 발신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서비스 접속 메시지를 수신받아 자신의 도어먼트 기능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를 수신받아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를 분석하여 도어먼트 기능 지원 가능 단말인 경우에 도어먼트 타이머를 구동시켜 주며, 활성/접속 상태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 시에 해당 도어먼트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여 도어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는 메시지 형태, 승인 순서 번호, 메시지 순서 번호, 승인 요구 식별자, 메시지 암호 식별자,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 서비스 접속 순서 번호 및 여분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는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 및 서비스 접속 순서 번호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발신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 교환기 측으로 서비스를 요구한 후에 자원 할당 요구를 수신받아 기지국으로 자원 할당을 요구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전달받은 이동 단말의 서비스 옵션 정보와 도어먼트 타이머 정보를 검증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 옵션인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의 도어먼트 지원 여부에 대한 판단 준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확장 채널 할당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한 후에 서비스 접속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를 생성시켜 자신이 도어먼트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지에 대한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먼트 기능 제공 단계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접속 완료 메시지 내의 도어먼트 지원 여부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결과로 도어먼트 기능 지원 가능 단말인 경우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도어먼트 타이머를 구동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PDSN(Packet Data Switching Node)으로 시그널링 정보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록을 요구한 후에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자원 할당 완료를 교환기에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과 PDSN간의 PPP(Point-to-Point Protocol) 접속 설정 및 이동 IP(Internet Protocol) 등록 절차를 수행하여 활성/접속 상태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도어먼트 타이머가 구동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도어먼트 타이머의 설정 값 동안에 패킷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활성/접속 상태에서 도어먼트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먼트 기능 제공 단계는 상기 분석 결과로 도어먼트 기능 지원 불가능 단말인 경우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도어먼트 타이머를 구동시키지 않도록 하여 상기 활성/접속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KR10-2002-0070736A 2002-11-14 2002-11-14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KR10048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736A KR100480800B1 (ko) 2002-11-14 2002-11-14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US10/699,680 US20040105400A1 (en) 2002-11-14 2003-11-04 System and method for dormant control in the packet data service network
CNB200310116508XA CN100512529C (zh) 2002-11-14 2003-11-14 分组数据服务网络中的休眠控制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736A KR100480800B1 (ko) 2002-11-14 2002-11-14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436A KR20040042436A (ko) 2004-05-20
KR100480800B1 true KR100480800B1 (ko) 2005-04-07

Family

ID=3238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736A KR100480800B1 (ko) 2002-11-14 2002-11-14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105400A1 (ko)
KR (1) KR100480800B1 (ko)
CN (1) CN10051252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285B1 (ko) 2020-05-04 2021-06-02 정태민 유입과 배출 방출수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양식장용 소수력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7265B2 (en) * 2001-06-13 2008-1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ity management entity for high data rat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7330462B2 (en) * 2003-03-26 2008-02-12 Lucent Technologies Inc. Managing wireless packet service resources
US7359353B2 (en) * 2004-04-21 2008-04-15 Motorola, Inc. Access network and method for improved inter-PDSN dormant mode handoff
KR100689471B1 (ko) * 2004-08-09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모든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를 구분하는 방법 및 장치
JP4677988B2 (ja) * 2004-08-10 2011-04-27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移動局
KR100606084B1 (ko) * 2004-08-17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슬립 식별자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CN100415013C (zh) 2004-10-09 2008-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集群通讯过程中听者状态及位置识别的实现方法
KR100751101B1 (ko) * 2004-11-05 2007-08-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ip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756548B2 (en) * 2005-09-19 2010-07-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hat uses a multi-mode base station
KR101207467B1 (ko) * 2005-12-16 2012-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그장치
KR100806210B1 (ko) * 2006-09-06 2008-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ppp 자원의해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600244B (zh) * 2009-01-21 2013-05-29 美商威睿电通公司 基站和移动设备之间的无线通信
CN102480799B (zh) * 2010-11-24 2015-1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网络及其通知机器类通信设备离线的方法
CN113812185B (zh) 2019-01-08 2022-07-29 欧芬诺有限责任公司 应用于多载波通信系统中的省电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121A (ko) * 1998-05-11 1999-12-06 윤종용 이동 통신 시스템의 휴지상태에서 데이터 발생 시 채널 형성방법
KR20000066756A (ko) * 1999-04-20 2000-11-15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44936A (ko) * 1999-11-01 2001-06-05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
WO2001052574A1 (en) * 2000-01-10 2001-07-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wireless system for terminating a dormant mode in a packet data session
KR20020014566A (ko) * 2000-08-18 2002-02-25 윤종용 무선 패킷 데이터시스템의 도먼트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
KR20020014970A (ko) * 2000-08-19 2002-02-27 윤종용 무선 패킷 데이터시스템의 도먼트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639B1 (en) * 1999-12-22 2002-07-23 Qualcomm, Incorporated Notifying a mobile terminal device of a change in point of attachment to an IP internetwork to facilitate mobility
US7327704B2 (en) * 2001-10-03 2008-02-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ormant mode, packet data mobile handoffs
DE60140471D1 (de) * 2001-12-13 2009-12-24 Sony Deutschland Gmbh Adaptive Dienstqualitätsreservierung mit vorheriger Ressourcenzuweisung für Mobilfunksysteme
US20030211847A1 (en) * 2002-05-09 2003-11-13 Nortel Networks Limited Managing transition of a mobile station to an idle state upon call relea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121A (ko) * 1998-05-11 1999-12-06 윤종용 이동 통신 시스템의 휴지상태에서 데이터 발생 시 채널 형성방법
KR20000066756A (ko) * 1999-04-20 2000-11-15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44936A (ko) * 1999-11-01 2001-06-05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
WO2001052574A1 (en) * 2000-01-10 2001-07-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wireless system for terminating a dormant mode in a packet data session
KR20020014566A (ko) * 2000-08-18 2002-02-25 윤종용 무선 패킷 데이터시스템의 도먼트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
KR20020014970A (ko) * 2000-08-19 2002-02-27 윤종용 무선 패킷 데이터시스템의 도먼트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285B1 (ko) 2020-05-04 2021-06-02 정태민 유입과 배출 방출수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양식장용 소수력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436A (ko) 2004-05-20
CN100512529C (zh) 2009-07-08
US20040105400A1 (en) 2004-06-03
CN1501648A (zh)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5985B1 (en) Method for activating a dormant mobile unit in a distributed network
KR100459126B1 (ko) 통신망의 세션 유지 제어 방법
US6937861B2 (en) Connection management for dual mode access terminals in a radio network
KR100480800B1 (ko)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에서 도어먼트 처리 방법
JP4673537B2 (ja) 移動局によるパケット交換ページの受信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
AU2005222894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sup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3860375B2 (ja) 継続して通信接続を確立する方法、移動局および基地局サブシステム
KR100594140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CN1947435B (zh) 快速呼叫建立方法
US200200553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common channel for data communications
US7551613B2 (en) Method of supporting reactivation of a dormant session using stored service configurations
KR100378370B1 (ko) 이동 통신시스템의 동시 서비스 제공 방법
CA2386652A1 (en)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wireless resources in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14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01436A1 (en) Call setup method for minimizing call setup delay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10060453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US200800950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resources between core network and base station controll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7004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시 서비스 방법
KR20020021825A (ko) 차세대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단순한 아이피와 이동성아이피 서비스 지원시스템 및 방법
US200500364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imultaneous re-activation of multiple dormant service instances in a CDMA2000 network
JP4572718B2 (ja) 伝送路資源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無線回線制御装置
KR100393105B1 (ko) 고속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단말기 인증 호관리방법
KR100493280B1 (ko)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제어 방법
KR100905594B1 (ko) 방문자 노드 관리자와 홈 노드 관리자간의 세션 자원 해제장치 및 방법
KR20060011657A (ko) Ptt 시스템의 호 설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