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794B1 - 폐규석 미분을 이용한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규석 미분을 이용한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794B1
KR100480794B1 KR10-2002-0025651A KR20020025651A KR100480794B1 KR 100480794 B1 KR100480794 B1 KR 100480794B1 KR 20020025651 A KR20020025651 A KR 20020025651A KR 100480794 B1 KR100480794 B1 KR 10048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fine powder
weight
waste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758A (ko
Inventor
김영도
조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공간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공간세라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공간세라믹
Priority to KR10-2002-002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7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2Glass ; Devitrified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0Dry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실리카 성분이 97% 이상이고 170메쉬로 입도 조절된 폐규석 미분 5∼45중량%와 점토 55∼95중량%와 유리분말 0∼5중량%를 혼합한 후, 혼합물의 수분함량을 17∼20%로 조절하고 진공압출 성형기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80∼200℃에서 36∼48시간 건조시킨 다음, 1,100∼1,200℃의 온도에서 24∼36시간 소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제품은 소성변형이 작고 강도가 높으며, 흡수율이 낮다.

Description

폐규석 미분을 이용한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A Clay Brick Using Fine Powder Of Waste Silica St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규석 미분을 이용하여 소성변형이 작고 고강도인 벽돌 및 바닥제를 제공할 수 있는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토로 이루어진 바닥벽돌은 그 외면이 자연적이고 깨끗하며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각종 약품에 대한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견고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우수한 건축바닥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점토질의 바닥벽돌이 가지는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소성변형이 커서 제품의 정확한 규격과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0-38199호를 들 수 있는데, 이 기술은 폐석분, 물, 점토를 배합하고 성형한 후, 250 내지 1,05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열처리하여서 점토벽돌을 제조하며, 얻어진 점토벽돌은 일반 벽돌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다소 증가하고, 흡수율이 7 내지 8%로 일반 벽돌 10% 정도보다 다소 감소하게 되었다.
또한 첨가한 폐석분의 경우 폐석분 발생시 작업 중에 발생하는 철가루의 혼입(약 6%)으로 인해 소성 후 표면에 철가루가 연소되어 매끄럽지 못한 표면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색상도 일반 바닥재나 컬러벽돌에는 적용이 불가능하고 적벽돌만이 가능하여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철가루를 폐석분으로부터 제거하는 2차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 기술에서 사용되는 폐석분의 구성성분은 SiO2 성분이 65%정도, Al2O3 성분이 15% 정도, CaO 성분이 10% 정도, Fe2O3 등 기타성분이 10% 정도이며, 화강암 가공시 발생되는 폐석분이다.
즉, SiO2와 Al2O3를 제외한 성분이 약 20% 정도이며, 이로 인하여 벽돌의 원료가 되는 점토보다 낮은 온도에서 소결하게 되며, 소성시 K2O 등 불순물에 해당되는 성분은 부분적으로 녹게되어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규석미분을 이용하되 적벽돌 외에 바닥재나 컬러벽돌에도 적용이 가능한 점토벽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성변형이 적고 강도가 우수한 벽돌 및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수율이 더욱 감소된 벽돌 및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토벽돌 제조방법은 실리카 성분이 97% 이상이고 170메쉬로 입도 조절된 폐규석 미분을 5∼45중량%와 점토 55∼95중량%를 혼합한 후, 혼합물의 수분함량을 17∼20%로 조절하고 진공압출 성형기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80∼200℃에서 36∼48시간 건조시킨 다음, 1,100∼1,200℃의 온도에서 24∼36시간 소성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특히, 점토벽돌의 흡수율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폐규석 미분과 점토에 유리분말을 5중량% 이내로 혼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폐규석은 규석광산에서 규석을 채광 후 이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분으로 실리카 성분을 97% 이상 함유하고 있다.
적절한 입도의 규석은 비료용 또는 제련작업 공정의 첨가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적절한 입도를 얻기 위하여 분쇄할 때 발생한 미분은 지금까지 그 적절한 용도가 발견되지 아니하여 야적되거나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점토벽돌 및 바닥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고령토와 점토(1차, 2차점토)를 주원료로 하는 소지를 진공 압출성형하고 건조시킨 후 소성하는데, 본 발명은 점토벽돌 및 바닥재의 소성시 일어나는 소성변형을 감소시키고 제품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점토벽돌의 주원료에 대한 구성성분으로서 폐규석 미분을 첨가한다.
이때 첨가되는 폐규석 미분은 170메쉬(90㎛) 이하의 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170메쉬 이상의 것을 사용하면 충진성이 떨어지고 치밀한 미세조직을 얻지 못한다.
이와 같은 입도 조정된 폐규석 미분의 사용량은 5% 이상 45% 이하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입도조정 규석분이 5% 미만일 경우 점토벽돌의 소성변형 및 흡수율의 감소 효과가 미흡하고, 45%를 초과할 경우에는 성형의 충진성이 떨어져 전체 소성변형률이 오히려 증가되기 때문이며, 특히 흡수율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폐유리분말을 5% 이내 첨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공정은 폐규석 미분을 5∼45중량%, 점토 55∼95%중량를 혼합 분쇄하여 유리분말 0∼5%를 첨가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의 수분함량을 17∼20%로 하여 진공압출 성형기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80∼200℃에서 36∼48시간 건조 후 1,100∼1,200℃의 온도에서 24∼36시간 소성결합 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얻어진 벽돌 또는 바닥재는 소성변형이 3% 이내이며, 흡수율은 6% 이내이고, 흰색에 가까운 밝은 색을 띠므로 안료를 첨가하여 원하는 색상을 부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벽돌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벽돌 외에 바닥재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중량%로 점토 55%와 규석분 40%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기 점토, 폐규석 미분 혼합물의 수분함량을 18%로 하여 진공압출성형기로 성형한 벽돌 및 바닥벽돌 제품을 165℃에서 40시간 건조시킨 후 1,150℃에서 36시간 예열, 소성 후 냉각시켜서 소성변형이 작은 점토벽돌을 제조하였으며, 얻어진 벽돌의 물성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구분 시료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흡수율(%) 5.8 4.3 11
변형율(%) 2.9 2.7 10.6
압축강도(kgf/㎠) 402 418 215
휨강도(N/㎟) 8.4 8.8 4.9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점토-폐규석 미분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유리분말을 5중량% 첨가하였다.
(비교예)
점토 80%와 마사토 20%를 혼합분쇄 후 상기 점토와 마사토의 혼합물의 수분함량을 18%로 조절하여 진공압출성형기로 성형한 벽돌 및 바닥벽돌 제품을 200℃에서 44시간 건조시킨 다음, 1,150℃에서 40시간 예열, 소성 후 냉각시켜서 소성벽돌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벽돌 및 바닥벽돌은 규석광산에서 규석을 채굴하여 분쇄시 발생하는 폐규석 미분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자원대체의 효과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얻어진 제품은 소성변형이 작고 강도가 높으며, 흡수율이 낮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폐규석 미분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3)

  1. 실리카 성분이 97% 이상이고 170메쉬로 입도 조절된 폐규석 미분 5∼45중량%와 점토 55∼95중량%를 혼합한 후, 혼합물의 수분함량을 17∼20%로 조절하고 진공압출 성형기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80∼200℃에서 36∼48시간 건조시킨 다음, 1,100∼1,200℃의 온도에서 24∼36시간 소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규석 미분을 이용한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리분말이 점토-폐규석 미분 100중량%에 대하여 5중량% 이내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규석 미분을 이용한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3. 실리카 성분이 97% 이상이고 170메쉬로 입도조절된 폐규석 미분 5∼45중량%와 점토 55∼95중량%를 혼합한 후, 혼합물의 수분함량을 17∼20%로 조절하고 진공압출 성형기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80∼200℃에서 36∼48시간 건조시킨 다음, 1,100∼1,200℃의 온도에서 24∼36시간 소성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폐규석 미분을 이용한 점토벽돌.
KR10-2002-0025651A 2002-05-09 2002-05-09 폐규석 미분을 이용한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48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651A KR100480794B1 (ko) 2002-05-09 2002-05-09 폐규석 미분을 이용한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651A KR100480794B1 (ko) 2002-05-09 2002-05-09 폐규석 미분을 이용한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758A KR20030087758A (ko) 2003-11-15
KR100480794B1 true KR100480794B1 (ko) 2005-04-06

Family

ID=3238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651A KR100480794B1 (ko) 2002-05-09 2002-05-09 폐규석 미분을 이용한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0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376B1 (ko) 2017-09-29 2018-03-12 주식회사 선일로에스 폐쇼트볼과 폐유리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특성의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54384C1 (ru) * 2011-01-11 2012-06-27 Юлия Алексеевна Щепочкина Масс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кирпича
KR101696716B1 (ko) * 2015-10-07 2017-01-16 김대건 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인공 석재블록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5653A (ja) * 1988-12-27 1990-07-06 Showa Kogyo Kk 陶磁器質焼結体
JPH0852720A (ja) * 1994-08-12 1996-02-27 Ube Ind Ltd 粘土瓦の製造方法
KR100186278B1 (ko) * 1995-12-27 1999-04-15 정종순 규석 광산 부산물과 제지슬러지 소각회를 주원료로하는 구조용 인공경량골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1266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삼한 씨원 광산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벽돌 및 바닥벽돌의 제조방법
KR20020066459A (ko) * 2001-02-10 2002-08-17 허창린 폐자재를 이용한 투수 블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5653A (ja) * 1988-12-27 1990-07-06 Showa Kogyo Kk 陶磁器質焼結体
JPH0852720A (ja) * 1994-08-12 1996-02-27 Ube Ind Ltd 粘土瓦の製造方法
KR100186278B1 (ko) * 1995-12-27 1999-04-15 정종순 규석 광산 부산물과 제지슬러지 소각회를 주원료로하는 구조용 인공경량골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1266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삼한 씨원 광산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벽돌 및 바닥벽돌의 제조방법
KR20020066459A (ko) * 2001-02-10 2002-08-17 허창린 폐자재를 이용한 투수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376B1 (ko) 2017-09-29 2018-03-12 주식회사 선일로에스 폐쇼트볼과 폐유리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특성의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758A (ko) 200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0720A (ko) 섬유 유리 폐기물로부터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321977B1 (ko)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흙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17966A (ko) 폐유리를 활용한 세라믹 타일 조성물 및 그 타일의제조방법
KR101171787B1 (ko) 정수슬러지 몰탈 및 그를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RU2361841C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масса
KR101279881B1 (ko) 유약 조성물을 도포한 슬래그 벽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64801B1 (ko) 레드머드 세라믹 및 이의 제조방법
US3651184A (en) Process for fast-fire ceramic tile using nepheline syenite and clay
KR100555879B1 (ko)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내열도기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480794B1 (ko) 폐규석 미분을 이용한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1508737B1 (ko) 폐유리가 함유된 점토벽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25913A (ko) 석분오니를 함유하는 내장용 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608287B1 (ko) 무연탄 매립 석탄회 함유 소성벽돌 및 그의 제조 방법
CN1229299C (zh) 利用高炉渣制造白色陶瓷的方法及其制品
KR101127530B1 (ko) 소석회를 이용한 다색성 점토벽돌 제조방법
KR20010095350A (ko) 석탄재를 이용한 벽돌 및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0446091B1 (ko) 동슬래그를 함유한 소성벽돌
KR100495026B1 (ko) 굽지 않는 고강도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421698B1 (ko) 건축용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JPH02175653A (ja) 陶磁器質焼結体
KR102117863B1 (ko) 슬래그 및 석분을 함유하는 고강도 대리석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98873A (ko) 건설 폐기물에서 얻어지는 폐토사를 이용한 점토 조성물
KR100529422B1 (ko) 유리연마 슬러지를 함유하는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용혼화재 조성물
KR101063329B1 (ko) 제강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0144691B1 (ko) 폐고령토를 주원료로 하는 경량벽돌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