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382B1 - Linear motor having coil modules - Google Patents

Linear motor having coil modu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382B1
KR100480382B1 KR10-2002-0006883A KR20020006883A KR100480382B1 KR 100480382 B1 KR100480382 B1 KR 100480382B1 KR 20020006883 A KR20020006883 A KR 20020006883A KR 100480382 B1 KR100480382 B1 KR 10048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inear motor
connection
mover
co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8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67073A (en
Inventor
사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져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져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져스텍
Priority to KR10-2002-000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382B1/en
Publication of KR2003006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38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구자석이 마련된 고정자와 이에 대하여 직선으로 이동하는 코일을 구비하는 이동자를 구비하는 리니어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석을 구비하는 고정자와 다수의 권취 코일을 구비하는 이동자를 포함하되, 코일이 상기 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에 있어서, 이동자는 이동 몸체와, 이동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에 복수의 권취 코일이 구비된 다수의 코일 모듈을 구비하는 리니어 모터가 제공된다. 상기 각각의 코일 모듈은 평판형이고 고리형인 다수의 권취 코일이 횡방향으로 배열된 코일 유닛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 코일 유닛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각 코일 모듈을 결합하여 코일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유닛은 외부로 노출된 접속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 코일 유닛은 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회로가 내장된 커넥터 장치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장치는 내부 회로가 상기 코일 유닛 사이를 병렬 혹은 직렬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motor having a stator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and a mover having a coil moving in a straight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tor having a magnet and a mover having a plurality of winding coils, wherein the coil is driven by the magnet, the m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body and the moving body. There is provided a linear motor having a plurality of coil modules each having a plurality of winding coils. Each coil module may include a coil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flat coil and annular winding coils are arrang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may combine the coil modules to form a coil assembly such that each coil unit is parallel to each other. . In addition, the coil unit may have a connection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each coil unit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or device with a built-in circuit connecting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or devic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internal circuit connects the coil units in parallel or in series.

Description

다수의 코일 모듈을 갖는 리니어 모터 {LINEAR MOTOR HAVING COIL MODULES}Linear motor with multiple coil modules {LINEAR MOTOR HAVING COIL MODULES}

본 발명은 선형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구자석이 마련된 고정자와 이에 대하여 직선으로 이동하며 이동코일장치가 마련된 이동자를 구비하는 리니어 모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driv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ear motor having a stator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and a mover provided with a moving coil device in a straight line.

리니어 모터는 자석을 구비하는 고정자와, 자석을 따라 직선운동하도록 구동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이동자로 이루어지는 전기 구동장치이다. 리니어 모터는 반도체 장비 및 공작기계 등 선형운동이 필요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A linear motor is an electric drive device comprising a stator having a magnet and a mover having a coil driven to linearly move along the magnet. Linear motors are widely used in applications requiring linear motion, such as semiconductor equipment and machine tools.

리니어 모터에는 다수의 단위 권취 코일이 배열되고 이것을 에폭시 등의 수지로 몰딩한 단위 코일 유닛이 구비된다. 추력을 높이기 위해서 이동자에는 이 단위 코일 유닛을 다수 개 사용하는데, 이들은 나란히 배열되어 고정된다. 단위 코일 유닛을 고정할 때에는 알루미늄재료로 이루어진 단일의 이동자 블록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The linear motor is provided with a unit coil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winding coils are arranged and molded in resin such as epoxy. To increase the thrust, the mover uses a plurality of unit coil units, which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fixed. When fixing the unit coil unit is fixed to a single mover block made of aluminum material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자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문제점은 코일의 수리 및 교체시 발생한다. 코일에 과전류가 흘러 코일이 타는 등의 원인으로 코일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이동자 전체를 리니어 모터로부터 분리해낸 후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일단 떼어낸 이동자를 리니어 모터에 결합시킬 때에는 엔코더의 설정을 새로이 해야 하며, 신호의 설정도 다시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이동자를 결합할 때에 직진도, 직각도 등도 다시 맞추어 주어야 한다. 만일, 복합 제품인 경우 이동자에 달려 있는 다른 리니어 모터 또는 다른 장치의 부품들도 함께 분해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However, the mov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some problems. The problem arises in the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coil. The coil needs to be repaired or replaced due to excessive current flow through the coil.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 must be performed after separating the entire mover from the linear motor. In addition, once the detached mover is coupled to the linear motor, the encoder has to be newly set up and the signal has to be set again. Also, when combining the mover, the straightness, the squareness, and the like must be adjusted again. In the case of a combination product,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disassembling parts of other linear motors or other devices, which depend on the mov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존의 구성에 의한 이동자를 구비하는 리니어 모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모듈화한 코일 등을 구비한 이동코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자 전체를 리니어 모터로부터 분리할 필요없이 코일이 결합되어 있는 코일 조립체만을 리니어 모터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리니어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분리가 용이한 다수의 코일 모듈들을 쉽게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연결장치가 구비된 이동코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ing coil device having a coil and the like modularized to be detachable and coupled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linear motor having a mo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ear moto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eparating only the coil assembly to which the coil is coupled from the linear motor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entire mover from the linear motor.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il device having a connection device for easily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il modules that are easily separated.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자석을 구비하는 고정자와 다수의 권취 코일을 구비하는 이동자를 포함하되, 상기 코일이 상기 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는 이동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에 복수의 권취 코일이 구비된 다수의 코일 모듈을 구비하는 리니어 모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or having a magnet and a mover having a plurality of winding coils, wherein the coil is driven by the magnet, wherein the mover has a moving body and the moving body. There is provided a linear motor having a plurality of coil modules detachably coupled to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nding coils, respectively.

상기 각각의 코일 모듈은 평판형이고 고리형인 다수의 권취 코일이 횡방향으로 배열된 코일 유닛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 코일 유닛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각 코일 모듈을 결합하여 코일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유닛은 외부로 노출된 접속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 코일 유닛은 상기 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회로가 내장된 커넥터 장치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돌출되어 있고 돌출부에 접속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 장치는 상기 접속부가 끼워지는 홈이 마련되고 상기 홈 내에는 접속부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장치는 내부 회로가 상기 코일 유닛 사이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ach of the coil modules may include a coil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flat coil and annular winding coils are arrang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may combine the coil modules to form a coil assembly such that each coil unit is parallel to each other. . In addition, the coil unit may have a connection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each coil unit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or device with a circu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art may protrude, a connec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in the protrusion, and the connector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fitted, 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groove. The connector devic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internal circuit connects the coil units in parallel or in seri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리니어 모터의 이동코일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유닛으로서 다수의 대체로 평판형이고 고리형의 권취 코일이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들과 나란히 배열되며 일단부에 접속단자가 노출된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단자가 노출되도록 상기 코일과 회로기판을 플라스틱 수지제로 몰딩한 코일 유닛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il unit used in a mobile coil device of a linear motor includes a plurality of generally flat and annular winding coils arranged transversely,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coils, and connected to one end. There is provided a coil unit having a circuit board with exposed terminals, and molding the coil and the circuit board with a plastic resin so as to expose the connection termina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을 참조하면, 리니어 모터(10)는 고정자(20)와, 이동자(30)와, 위치 감지 장치(40)와, 리니어 모션 가이드(50)와, 하우징(6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linear motor 10 includes a stator 20, a mover 30, a position sensing device 40, a linear motion guide 50, and a housing 60.

고정자(20)는 지지 프레임(21)과 요크(22)를 구비한다. 지지 프레임(21)의 양쪽에는 각각 지지벽(23, 24)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요크(22)는 단면 형상이 'E' 자형으로서, 세로로 형성된 기초부(25)와 기초부(25)로부터 가로로 평행하게 뻗어 나온 세 개의 날개부(26a, 26b, 26c)를 구비한다. 날개부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 면에는 각각 영구자석(27)이 마주보도록 부착된다. 요크(22)의 기초부(25) 바깥면이 지지 프레임(21)의 지지벽(22)의 안쪽과 접하도록 요크(22)와 지지 프레임(21)이 고정된다.The stator 20 has a support frame 21 and a yoke 22. Support walls 23 and 2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21 in parallel. The yoke 22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E' shape and includes a vertically formed base portion 25 and three wings 26a, 26b and 26c extending horizontally parallel from the base portion 25. Permanent magnets 27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wing facing each other. The yoke 22 and the support frame 21 are fixed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25 of the yoke 22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support wall 22 of the support frame 21.

도1과 도2를 함께 참조하면, 이동코일장치 또는 이동자(30)는 고정자(20)의 위쪽에 위치하는데, 이동 몸체(31)와 이동 몸체(31) 아래에 위치하는 코일 조립체(32)를 구비한다. 이동 몸체(31)는 수평 지지대(33)와, 수평 지지대(33)의 위에 마련되는 두 개의 연결용 지지대(34)와, 수평 지지대(33) 아래에 마련되는 코일 조립체 결합부(35)로 구성된다. 두 연결용 지지대(34)는 수평 지지대(33)로부터 수직상방으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추후 리니어 모터가 구동할 대상이 연결되어 결합된다. 코일 조립체 결합부(35)는 수평 지지대(33)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결합부(35)에는 후술하는 코일 조립체(32)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홈(36)이 마련된다. 결합홈(36)의 일측면 하부에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단(37)이 마련된다.1 and 2 together, the moving coil device or the mover 30 is located above the stator 20, and the moving assembly 31 and the coil assembly 32 located below the moving body 31 are shown. Equipped. The moving body 31 is composed of a horizontal support 33, two connecting supports 34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pport 33, and a coil assembly coupling part 35 provided below the horizontal support 33. do. Two connecting support 34 is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vertically from the horizontal support 33, the object to be driven in the future linear motor is connected and coupled. Coil assembly coupling portion 35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33). Coupling portion 35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36 formed to be fitted to the coil assembly 32 to be described later. A fixed end 37 extending horizontally is provided under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36.

코일 조립체(32)는 이동 몸체(31)의 결합홈(36)에 끼워지는 고정부재(38)와 고정부재(38) 아래에 일렬로 위치하는 제1, 제2 코일 모듈(39, 39a)을 구비한다. 고정부재(38)는 이동코일장치를 따라 연장된 길다란 막대형태의 부재로서 고정단(37)에 의해 형성된 결합홈(36)에 맞추어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돌출된 걸림부(381)가 마련된다. 두 코일 모듈(39, 39a)은 후술할 회로기판(393, 393a)의 접속부(395, 395a)를 제외하고는 외관은 대체로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제1, 제2 코일 모듈(39, 39a)은 각각 제1, 제2 코일 지지대(391, 391a)와 제1, 제2 코일 지지대(391, 391a)의 일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1, 제2 코일 유닛(392, 392a)을 구비한다. 대체로 평판형인 두 코일 유닛(392, 392a)은 서로 평행하도록 각각의 코일 지지대(391, 391a)에 접착제에 의한 접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두 코일 지지대(391, 391a)는 상기 고정부재(38)와 같이 길다랗게 연장되는 막대형태이다.The coil assembly 32 includes a fixing member 38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6 of the movable body 31 and first and second coil modules 39 and 39a positioned in a line under the fixing member 38. Equipped. The fixing member 38 is a long rod-shaped member extending along the moving coil device, and a protruding locking portion 381 is provided at one side so that the fixing member 38 can be fitted to the coupling groove 36 formed by the fixing end 37. do. The two coil modules 39 and 39a have substantially the same appearance except for the connection portions 395 and 395a of the circuit boards 393 and 393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and second coil modules 39 and 39a are respectively fixed to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il supports 391 and 391a and the first and second coil supports 391 and 391a, respectively. 2 coil units 392 and 392a are provided. The two generally flat coil units 392 and 392a are fixed to the respective coil supports 391 and 391a by a method such as bonding with an adhesive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The two coil supports 391 and 391a have a rod shape that extends as long as the fixing member 38.

도3을 참조하면, 제1 코일 유닛(392)은 코일부(394)와 코일부(394)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회로기판(393)을 구비한다. 코일부(394)는 다수의 권취 코일(500)을 구비한다. 각각의 권취코일(500)은 와이어를 고리형태로 감은 것으로서 자속을 가로지르는 작동 코일부(502, 504)와 이들 작동 코일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코일부(506, 508)를 구비한다. 권취 코일(500)에 전류를 가하면 자속을 가로지르는 작동 코일부(502, 504)에 로렌츠 힘이 발생하여 코일이 이동할 수 있다.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권취 코일은 하나의 권취 코일(500b)의 각 구동 코일부(502b, 504b) 사이에 다른 두 상의 권취 코일(500a, 500c)의 구동 코일부(504a, 502c)가 오도록 배열된다. 결국 구동 코일부(502a, 502b, 504a, 502c, 504b, 502d, 504c)들이 차례로 일렬로 배열되게 된다. 한편 연결 코일부들은 코일 유닛의 두께를 최소화하도록 구동 코일부로부터 두께의 1/2만큼씩 편의(오프셋;offset)되어 있으며 서로 겹쳐진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코일 유닛(392)의 권취 코일(500a, 500b, 500c)에는 그 중간에 홀소자가 배치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일 유닛은 코일 코어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코일 유닛은 코일 코어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공심형 코일 유닛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coil unit 392 includes a coil unit 394 and a first circuit board 393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il unit 394. The coil unit 394 includes a plurality of winding coils 500. Each winding coil 500 is wound in a wire shape and has an operating coil portion 502, 504 that crosses the magnetic flux and a connecting coil portion 506, 508 that connects between these operating coil portions.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winding coil 500, a Lorentz force may be generated in the working coil units 502 and 504 that cross the magnetic flux, thereby moving the coil. As can be seen in FIG. 3, each of the winding coils is formed between the driving coil portions 504a of the winding coils 500a and 500c of the other two phases between each of the driving coil portions 502b and 504b of one winding coil 500b. 502c) is arranged. As a result, the driving coil parts 502a, 502b, 504a, 502c, 504b, 502d, and 504c are arranged in a row.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coil parts are offset (offset) by 1/2 of the thickness from the driving coil part so as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coil unit and overlap each other.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hall elements are disposed in the winding coils 500a, 500b, and 500c of the first coil unit 392. The coil unit as shown in FIG. 3 can be said to be a coil core type. However, the coi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il core type. For example, an air core coil unit can also be used.

도3과 도4의 (a)를 함께 참조하면, 다수의 권취 코일의 연결 코일부(506)들이 결합되는 부분의 한측면에 제1 회로기판(393)이 부착된다. 이 기판(393)에는 도선이 형성되며, 각 권취 코일의 와이어 단자, 홀소자 등이 연결된다. 제1 회로기판(393)은 일측면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접속부(395)를 구비한다. 제1 접속부(395)는 모두 12개의 접속단자(396)를 구비한다. 접속단자(396)는 접속부(395) 양면에 각각 6개씩 마련된다. 이중 6개의 접속단자는 3상의 전원에 대한 입/출력단자(입/출력 각각 3개씩)이고, 나머지 6개는 상기 권취코일(500)에 마련되는 홀소자 등에 연결되는 신호 단자(HA, HB, HC, VCC, GND, TS)이다. 도4의 (b)를 참조하면, 제2 회로기판(393a)은 모두 6개의 접속단자(396a)를 갖는 접속부(395a)를 구비한다. 이 6개의 접속단자는 모두 전원의 입/출력단자이다. 제2 코일 유닛에는 별도의 홀소자 등이 구비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코일 조립체는 각 코일 유닛의 접속부를 연결해주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커넥터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3 and 4 (a) together, the first circuit board 393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coupling coil parts 506 of the plurality of winding coils are coupled. Conducting wires are formed on the substrate 393, and wire terminals, hall elements, and the like of each winding coil are connected. The first circuit board 393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395 formed by extending one side there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95 includes all twelve connecting terminals 396. Six connection terminals 396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395. Six of the connection terminals are input / output terminals (three inputs / outputs, respectively) for three-phase power, and the remaining six are signal terminals HA, HB, and the like connected to a hall element provided in the winding coil 500. HC, VCC, GND, TS). Referring to Fig. 4B, the second circuit board 393a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395a having all six connecting terminals 396a. All six connection terminals are input / output terminals of the power supply. The second coil unit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hall element or the lik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il assembly has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of each coil unit. The connector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다시 도3을 참조하면, 제1 코일 유닛(392)은 제1 접속부(395)를 제외한 제1 회로기판(393)과 코일부(394) 전체가 몰딩 처리(일점쇄선으로 표시)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코일 유닛(392a)도 제1 코일 유닛(392)과 동일한 형태로 몰딩 처리된다.Referring to FIG. 3 again, in the first coil unit 392, the entire first circuit board 393 and the coil portion 394 except for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95 are molded (marked with dashed lines).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coil unit 392a is also molded in the same form as the first coil unit 392.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8)와 두 코일 모듈(39, 39a)은 고정부재(38)로부터 아래 코일 모듈(39a)까지 관통하여 끼워지는 결합볼트(301)와 이에 대응하는 너트(302)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이동몸체(31)의 결합홈(36)에 끼워진 코일 조립체(32)는 수평 지지대(33)와, 결합부(35)의 일측면으로부터 결합홈(36) 내로 삽입된 고정볼트(303)에 의해 보다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다.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the fixing member 38 and the two coil modules 39 and 39a correspond to the coupling bolts 301 inserted through the fixing member 38 from the fixing member 38 to the lower coil module 39a and corresponding thereto. Is integrally coupled by a nut 302. The coil assembly 32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6 of the movable body 31 is fixed by the horizontal support 33 and the fixing bolt 303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6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35. It is fixed in a more accurate position.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이동자(30)의 두 코일 유닛(392, 392a)은 서로 평행하도록 각각의 코일 지지대(391, 391a)에 고정된다. 두 코일유닛(392, 392a) 중 위에 위치하는 제1 코일 유닛(392)은 요크(22)의 위 날개부(26a)와 가운데 날개부(26b)에 부착된 영구자석(27) 사이에 삽입된다. 나머지 제2 코일 유닛(392a)은 요크(22)의 세 날개부 중 가운데 날개부(26b)와 아래 날개부(26c)에 부착된 영구자석(27) 사이에 삽입된다.1 and 2, two coil units 392, 392a of the mover 30 are fixed to respective coil supports 391, 391a such that they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coil unit 392 positioned above the two coil units 392 and 392a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wing 26a of the yoke 22 and the permanent magnet 27 attached to the center wing 26b. . The remaining second coil unit 392a is inserted between the permanent wing 27 attached to the middle wing 26b and the lower wing 26c of the three wings of the yoke 22.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리니어 모션 가이드(50)는 고정자(20)와 이동자(30) 사이에 설치되는데, 리니어 모션 블록(52)과 리니어 모션 가이드 레일(54)을 구비한다. 리니어 모션 가이드 레일(54)은 지지 프레임(21)의 각각의 지지벽(23) 상부에 고정된다. 리니어 모션 블록(52)은 이동자(30)의 수평 지지대(33) 하부에 고정된다. 위치 감지 장치(40)가 이동자(30)의 수평 지지대(33)의 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linear motion guide 50 is installed between the stator 20 and the mover 30, and includes a linear motion block 52 and a linear motion guide rail 54. The linear motion guide rails 54 are fixed on top of each support wall 23 of the support frame 21. The linear motion block 52 is fixed below the horizontal support 33 of the mover 30. The position sensing device 4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33 of the mover 30.

하우징(60)은 좌, 우의 측면 케이스(62, 64)와 전, 후면 마구리 부재(66)로 구성된다. 좌, 우의 측면 케이스(62, 64)는 지지 프레임(21)에 고정되는데, 상부가 수평으로 꺾여져 리니어 모터의 안쪽을 위에서 덮는다. 마구리 부재(66)는 지지 프레임(21)의 길이방향 양끝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1에서는 마구리 부재(66)의 절반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를 위하여 절단한 면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의 형상이다.The housing 60 is composed of the left and right side cases 62 and 64 and the front and rear flap members 66. The left and right side cases 62 and 64 are fixed to the support frame 21, the upper side of which is bent horizontally to cover the inside of the linear motor from above. The copper member 66 is fix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1. In Fig. 1, only half of the flap member 66 is shown, which is gener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ut face for illustration.

도1의 리니어 모터로부터 코일 모듈을 분리하고 결합하는 과정을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리니어 모터(10)로부터 마구리 부재(66)를 분리한다. 그 다음 이동 몸체(31)의 수평 지지대(33)의 상부와 결합부(35)의 일측면으로부터 고정볼트(303)를 푼다. 그 다음 코일 조립체(32)를 결합홈(36)으로부터 옆으로 당겨 빼내어 분리한다. 리니어 모터(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코일 조립체(32)는 결합볼트(301)와 너트(302)를 해체함으로써 고정부재(38), 제1 코일 모듈(39), 제2 코일 모듈(39a)로 분해된다. 결합 순서는 상기 분리 과정의 역순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리니어 모터로부터 이동자를 분리할 필요없이 코일 조립체만을 리니어 모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A process of separating and coupling the coil module from the linear motor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rst, the copper member 66 is separated from the linear motor 10. Then, the fixing bolt 303 is releas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33 of the movable body 31 and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35. Then pull the coil assembly 32 sideways from the coupling groove 36 to separate it. The coil assembly 32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linear motor 10 is disengaged from the coupling bolt 301 and the nut 302 to the fixing member 38, the first coil module 39, and the second coil module 39a. Decompose The bonding order is the reverse of the separation process. In this way, only the coil assembly can be separated from the linear motor without the need to separate the mover from the linear motor.

도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32f)는 고정부재(38f)와, 고정부재(38f) 아래로 일렬로 결합된 제1, 제2, 제3, 제4 코일 모듈(39c, 39d, 39e, 39f)과, 커넥터 블록(80)을 구비한다. 고정부재(38f)와 네 개의 코일 모듈(39c, 39d, 39e, 39f) 사이의 결합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2에서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정부재(38f)와 네 개의 코일 모듈(39c, 39d, 39e, 39f)을 관통하는 결합볼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제2, 제3, 제4 코일 모듈(39c, 39d, 39e, 39f)은 각각 제1, 제2, 제3, 제4 코일 접속부(점선으로 표시)(393c, 393d, 393e, 393f)를 구비한다. 제1 코일 모듈(39c)에 마련된 제1 접속부(393c)는 도4의 (a)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며, 도4의 (b)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제2, 제3, 제4 코일 모듈(39d, 39e, 39f)에 각각 마련된 세 개의 접속부(393d, 393e, 393f)보다 6개 많은 접속단자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coil assembly 32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fixing member 38f and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il modules 39c coupled in a row under the fixing member 38f. 39d, 39e, 39f, and connector block 80 are provided. Alth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holding member 38f and the four coil modules 39c, 39d, 39e, and 39f is not shown, the fixing member 38f and the four coil modules 39c and 39d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 in FIG. , 39e, 39f) through the coupling bol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il modules 39c, 39d, 39e, and 39f respectively hav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il connections (indicated by dotted lines) 393c, 393d, 393e, and 393f.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93c provided in the first coil module 39c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4A, and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oil modules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4B. 6 connection terminals are provided rather than three connection parts 393d, 393e, and 393f provided respectively at 39d, 39e, and 39f.

도5와 도6을 함께 참조하면, 커넥터 블록(80)은 사각기둥 형태로서 일측면에는 제1, 제2, 제3, 제4 코일 접속부(393c, 393d, 393e, 393f)가 각각 끼워지는 제1, 제2, 제3, 제4 접속홈(82c, 82d, 82e, 82f)이 마련되며, 반대편 측면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과 전기신호가 연결되는 전원 연결 커넥터 리셉터클(84)과 신호 연결 커넥터 리셉터클(86)이 구비된다.5 and 6 together, the connector block 80 h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il connections 393c, 393d, 393e, and 393f are fitted to one side thereof, respectively.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nnection grooves 82c, 82d, 82e, and 82f are provided, and on the opposite side, a power connection connector receptacle 84 and a signal connection connector receptacle to which power and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outside are connected. 86 is provided.

상기와 같이 네 개의 코일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자를 구비하는 리니어 모터는 그에 맞는 적절한 요크를 구비하여야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 경우 요크는 세로로 형성된 기초부와 기초부로부터 가로로 평행하게 뻗어 나온 다섯 개의 날개부를 구비한다. 날개부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 면에는 각각 영구자석이 마주보도록 부착함으로써 네 개의 코일 유닛이 요크의 날개부 사이로 각각 하나씩 들어가도록 한다.A linear motor having a mover comprising four coil modules as described above should have a suitable yoke for it. Although not shown, the yoke has a longitudinally formed base and five wings extending laterally parallel from the base. On each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wing facing each other, the permanent magnets face each other so that the four coil units enter each one of the wings of the yoke.

리니어 모터는 여러 코일 유닛들을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와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작업 특성에 따라 사양이 설정된 리니어 모터에서 그 사양에 적합한 연결을 사용하면 보다 좋은 운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리 결선된 회로 구성을 예를 들면 두 종류로 나뉘어 준비한 커넥터 블록을 교체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을 쉽게 바꿀 수 있다. 즉, 병렬용 커넥터 블록을 장착하면 병렬 연결의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직렬용 커넥터 블록을 장착하면 직렬 연결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4개의 코일 유닛을 2개씩 병렬 연결한 후 직렬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는 것을 커넥터 블록도 당업자라면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ear motor vary depending on the case where several coil unit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Therefore, using a connection suitable for the specification in the linear motor whose specifications are set according to the working characteristics, bett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can be easily changed by, for example, replacing the connector block prepared by dividing the pre-wired circuit configuration into two types. That is, when the parallel connector block is mounted, the parallel connectio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When the serial connector block is mou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ial connection can be obtaine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connector block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at a configuration in which four coil unit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n connected in series is also possible.

도7과 도8은 각각 도5에서 사용된 네 개의 코일 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병렬용 커넥터와 직렬용 커넥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7과 도8 모두 좌측은 각각 1번에서 4번 코일 접속부가 끼워지는 접속홈의 각 단자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외부로부터의 3상 전원 및 6개의 전기신호 단자(HA, HB, HC, VCC, GND, TS)가 도시되어 있다. 1번 접속홈은 6개의 전원 입/출력 단자(입/출력 각각 3개씩)와 6개의 전기신호 단자(HA, HB, HC, VCC, GND, TS)를 구비하며, 나머지 2번부터 4번까지의 3개의 접속홈은 6개의 전원 입/출력 단자(입/출력 각각 3개씩)를 갖는다. 참고로 제1 내지 제4 접속홈의 IN A, B, C는 A상, B상, C상의 전원입력단자를 가리키며 OUT A, B, C는 A상, B상, C상의 전원출력단자를 가리킨다. 리셉터클(84)의 A,B, C는 전원측 A상, B상, C상 단자를 가리킨다. 제1 접속홈 및 리셉터클(86)의 HA, HB, HC는 A상, B상, C상의 홀소자 접속단을 가리킨다. VCC는 직류전원입력단이며, GND는 그라운드(접지)단이고, TS는 온도센서출력단을 가리킨다.7 and 8 are circuit diagrams of a parallel connector and a serial connector for connecting four coil units used in FIG. 5, respectively. In Fig. 7 and Fig. 8, the left side shows each terminal of the connection groove into which the coil connection parts 1 to 4 are fitted, respectively, and on the right side, the external three-phase power supply and six electric signal terminals HA, HB, HC, VCC. , GND, TS) are shown. Connection groove 1 has 6 power input / output terminals (3 inputs / outputs 3 each) and 6 electric signal terminals (HA, HB, HC, VCC, GND, TS). The three connection grooves of the power supply have six power input / output terminals (three inputs / outputs). For reference, IN A, B, and C of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grooves indicate power input terminals of A, B, and C phases, and OUT A, B, and C indicate power output terminals of A, B, and C phases. . A, B, and C of the receptacle 84 indicate power supply side A phase, B phase, and C phase terminals. HA, HB, and HC of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nd the receptacle 86 refer to the Hall element connection ends of the A phase, B phase, and C phase. VCC is the DC power input terminal, GND is the ground (ground) terminal, and TS is the temperature sensor output terminal.

도7을 참조하면, 좌측에 도시된 네 개의 접속홈의 전원 입력단자들은 병렬로 연결되며 우측에 도시된 3상의 외부 전원은 이들과 연결되어 있다. 네 개의 접속홈의 전원 출력 단자들은 모두 공통 단자로 묶여 있다. 우측에 도시된 6개의 외부 전기신호 단자는 좌측에 도시된 1번 접속홈의 6개의 전기신호 단자에 각각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7, power input terminals of four connection grooves shown on the left side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ree phase external power sources shown on the right side are connected to them. The power output terminals of the four connection grooves are all tied to a common terminal. The six external electrical signal terminals shown on the right side are connected to six electrical signal terminals of the first connecting groove shown on the left side, respectively.

도8을 참조하면, 우측에 도시된 3상의 외부 전원은 1번 접속홈의 전원 입력단자로 연결된다. 1번 접속홈의 전원 출력단자는 2번 접속홈의 전원 입력단자로 연결되고, 2번 접속홈의 전원 출력단자는 3번 접속홈의 전원 입력단자로 연결되며 3번 접속홈의 출력단자는 4번 접속홈의 전원 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전원이 직렬로 연결된다. 우측에 도시된 외부 전기신호 단자는 좌측에 도시된 1번 접속홈의 전기신호 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8에 도시한 커넥터 블록은 직렬 연결을 제시한다.Referring to Figure 8, the three phase external power source shown on the right is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groove. The power output terminal of connection 1 is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terminal of connection 2, the power output terminal of connection 2 is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terminal of connection 3 and the output terminal of connection 3 is 4 The power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external electrical signal terminal shown on the right sid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ignal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groove shown on the left sid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nnector block shown in Fig. 8 suggests a serial connection.

상기 실시예에서는 코일 모듈이 2개 또는 4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3개 또는 5개 이상의 코일 모듈이 연결된 리니어 모터가 제공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6 내지 도8에서 4개의 코일 모듈을 연결하는 커넥터 블록(32f)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도1에서와 같이 두 개의 코일 유닛을 구비하는 이동자에 필요한 커넥터는 두 개의 접속홈을 구비하며, 나머지 구성은 상기와 동일하다. 당업자라면 3개 또는 5개 이상의 접속홈이 구비된 접속 커넥터 블록도 사용되는 코일 블록에 맞추어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wo or four coil modules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linear motor may be provided in which three or more coil modules are connected. 6 to 8, the connector block 32f connecting the four coil modules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the connector required for the mover having two coil units is provided with two connection grooves,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a connection connector block provided with three or five or more connection grooves can also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oil block to be used.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 구성부가 이동자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구성된 리니어 모터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서는, 코일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이동자 전체를 리니어 모터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자의 코일 구성부는 각각의 독립된 단위 코일 모듈들로 쉽게 분해되므로 원하는 코일만을 쉽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리니어 모터의 각각 독립된 단위 코일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쉽게 연결해주는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near motor configured such that the coil componen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over. In this configuration,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coil is easy. This is because the whole mover does not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linear moto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il component of the mover is easily disassembled into respective independent unit coil modules, only the desired coil can be easily repaired or replac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ion device for easily connecting each independent unit coils of the linear motor in series or in parallel.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lso fall within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의 사시도로서, 내부가 보이도록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near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which is cut away so that the inside is visible;

도2는 도1의 리니어 모터에 구비된 이동자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ver provided in the linear motor of FIG.

도3은 도1의 코일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 코일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에폭시 몰딩부를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도면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coil unit constituting the coil assembly of FIG.

도4는 도1의 각 코일 유닛에 사용하는 회로기판의 접속부를 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제1 코일 유닛에 사용하는 제1 회로기판을, (b)는 제2 코일 유닛에 사용하는 제2 회로기판을 도시한 사시도FIG. 4 is a perspective view mainly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of a circuit board used in each coil unit of FIG. 1, wherein (a) is a first circuit board used for the first coil unit, and (b) is used for the second coil unit.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ircuit board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에 구비되는 이동코일장치의 한쪽 끝단부분만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one end portion of the moving coil device provided in the linear mo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is mounted.

도6은 도5의 커넥터의 접속홈이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groove of the connector of FIG. 5. FIG.

도7은 도5의 커넥터의 회로 구성도로서 코일 조립체에 구비된 코일 유닛을 병렬로 연결하는 회로를 도시한 도면FIG. 7 is a circuit diagram of the connector of FIG. 5 and illustrates a circuit for connecting the coil units included in the coil assembly in parallel. FIG.

도8은 도5의 커넥터의 회로 구성도로서 코일 조립체에 구비된 코일 유닛을 직렬로 연결하는 회로를 도시한 도면 FIG. 8 is a circuit diagram of the connector of FIG. 5 and illustrates a circuit for connecting the coil units provided in the coil assembly in series.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리니어 모터 20 : 고정자10: linear motor 20: stator

27 : 영구자석 30 : 이동자27: permanent magnet 30: mover

31 : 이동 몸체 32 : 코일 조립체31 moving body 32 coil assembly

36 : 결합홈 37 : 고정단36: coupling groove 37: fixed end

39 : 코일 모듈 80 : 커넥터 블록39: coil module 80: connector block

301 : 결합 볼트 303 : 고정볼트301: coupling bolt 303: fixing bolt

381 : 걸림부 392 : 코일 유닛381: engaging portion 392: coil unit

393 : 회로기판 395 : 접속부393: circuit board 395: connection

396 : 접속단자 500 : 권취 코일396: connection terminal 500: winding coil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자석을 구비하는 고정자와 다수의 권취 코일을 구비하는 이동자를 포함하되, 상기 코일이 상기 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에 있어서,A linear motor including a stator having a magnet and a mover having a plurality of winding coils, wherein the coil is driven by the magnet, 상기 이동자는 이동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에 복수의 권취 코일이 구비된 다수의 코일 모듈을 구비하며,The mover has a moving body, and a plurality of coil module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body, each having a plurality of winding coils, 각각의 코일 모듈은 평판형이고 고리형인 다수의 권취 코일이 횡방향으로 배열된 코일 유닛을 구비하며,Each coil module includes a coil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flat coil and annular winding coils are arranged in a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코일 유닛은 외부로 노출된 접속부를 갖는The coil unit has a connection exposed to the outside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제4항에 있어서, 각 코일 유닛에 마련된 상기 회로기판의 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회로가 내장된 커넥터 장치를 더 구비하는 리니어 모터.The linear motor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device in which a circu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circuit boards provided in each coil unit is incorpor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돌출되어 있고 돌출부에 접속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 장치는 상기 접속부가 끼워지는 홈이 마련되고 상기 홈 내에는 접속부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단자가 마련된 리니어 모터.The linear motor of claim 5, wherein the connection part protrudes, th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onnector device is provid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fitted, 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in the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장치는 내부 회로가 상기 코일 유닛 사이를 병렬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리니어 모터.6. The linear motor of claim 5, wherein the connector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an internal circuit connects in parallel between the coil uni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장치는 내부 회로가 상기 코일 유닛 사이를 직렬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리니어 모터.6. The linear motor of claim 5, wherein the connector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an internal circuit connects in series between the coil units. 삭제delete
KR10-2002-0006883A 2002-02-06 2002-02-06 Linear motor having coil modules KR100480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883A KR100480382B1 (en) 2002-02-06 2002-02-06 Linear motor having coil modu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883A KR100480382B1 (en) 2002-02-06 2002-02-06 Linear motor having coil modu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073A KR20030067073A (en) 2003-08-14
KR100480382B1 true KR100480382B1 (en) 2005-04-06

Family

ID=3222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883A KR100480382B1 (en) 2002-02-06 2002-02-06 Linear motor having coil modu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03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495B1 (en) * 2002-07-05 2004-12-29 삼익Lms주식회사 Linear motor with cooling control system
KR101254211B1 (en) * 2012-04-05 2013-04-18 크레신 주식회사 Linear vib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4558A (en) * 1988-02-04 1989-10-20 Trilogy Syst Corp Linear motor
JPH05168218A (en) * 1991-12-12 1993-07-02 Hitachi Metals Ltd Linear motor
JP2000050613A (en) * 1998-07-29 2000-02-18 Shicoh Eng Co Ltd Linear motor
KR20010109920A (en) * 2000-06-05 2001-12-12 진우성 A moving coil type linear direct current mo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4558A (en) * 1988-02-04 1989-10-20 Trilogy Syst Corp Linear motor
JPH05168218A (en) * 1991-12-12 1993-07-02 Hitachi Metals Ltd Linear motor
JP2000050613A (en) * 1998-07-29 2000-02-18 Shicoh Eng Co Ltd Linear motor
KR20010109920A (en) * 2000-06-05 2001-12-12 진우성 A moving coil type linear direct current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073A (en)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706B1 (en) Modular type linear motor armature, modular type linear motor having the armature, and conveyor apparatus
US9543802B2 (en) Motor drive apparatus
US7576452B2 (en) Coreless linear motor and canned linear motor
TWI338431B (en)
JPH11262236A (en) Linear motor
US7312540B2 (en) Linear motor armature and linear motor
WO2007043690A1 (en) Electric motor
US20020149281A1 (en) Stator for an electric machine
JP2004357353A (en) Linear electromagnetic actuator
KR100480382B1 (en) Linear motor having coil modules
US6622369B1 (en) Method for assembling an armature of a moving coil type linear motor
JP4327298B2 (en) Drive coil for linear motor
JP3409223B2 (en) Linear motor
JP2002171741A (en) Linear motor
JP3856196B2 (en) Armature coil connecting device for linear motor
JP2002281728A (en) Linear actuator
KR100302404B1 (en) Method for Assembling Coil Moving Type Linear Motor
JP5391851B2 (en) Linear motor mover
KR100332061B1 (en) Armature of Linear Motor
JP2004023954A (en) Armature block for moving-magnet type linear motor, linear motor armature, linear drive block, and linear motor
JP2000278929A (en) Linear motor
KR101421314B1 (en) Linear motor armature and linear motor
KR20000027450A (en) Fixed stru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 in motor
JP2000308328A (en) Linear motor
JP5467476B2 (en) Linear motor m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