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067B1 -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0067B1 KR100480067B1 KR10-2002-0062967A KR20020062967A KR100480067B1 KR 100480067 B1 KR100480067 B1 KR 100480067B1 KR 20020062967 A KR20020062967 A KR 20020062967A KR 100480067 B1 KR100480067 B1 KR 1004800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battery
- portable terminal
- converter
- output volta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일정의 정전압으로 변환시켜 단말기에 장착된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에 입력시키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류 소모를 줄여 배터리의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본체(220)에 장착된 배터리(210)로부터 동작 전압을 공급받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10)의 출력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 변환기(230)와, 상기 AC 변환기(230)의 출력 전압을 일정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본체(220)로 공급하는 DC 변환기(24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 절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여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컨텐츠 서비스 등의 증가로 사용자들은 공간 및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통화는 물론 인터넷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에 동작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장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전압은 4.2V~2.8V 정도로 가변되면서 단말기 본체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도1의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20)로 동작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11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20)에는 배터리(110)의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전압 레귤레이터(LDO : Low Drop Out)(121~123)와, 상기 배터리(110)의 출력 전압을 인지하면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씨피유(124)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기술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110)에서 출력되는 전압(Vb)이 본체(120)로 공급되면 전압 레귤레이터(121~123)는 상기 전압(Vb)을 안정화시켜 각 부로 전압,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본체(120)는 배터리(110)의 출력 전압(Vb)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류를 소모한다. 예를 들어, 입력 전압이 3V일 경우 배터리(110)의 출력 전압과 본체(120)의 입력 전압과의 차이만큼 열로 소모된다.
그런데, 전압 레귤레이터(121~123)의 출력 단자측의 부하 전류가 클 경우 출력 전압이 흔들릴 위험이 있으므로 입력 전압을 최소 범위 내에서 높여야 한다.
그리고, 씨피유(124)는 배터리(110)의 출력 전압(Vb)을 감지하여 A/D 변환 등의 처리를 통해 상기 배터리(110)의 출력 전압 레벨을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씨피유(124)는 상기에서 검출된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110)의 전압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110)의 출력 전압(Vb)을 검출하는 기능은 별도의 회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배터리의 출력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류를 소모함으로 불필요한 전류 소모로 인하여 배터리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일정의 정전압으로 변환시켜 단말기에 장착된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에 입력시키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류 소모를 줄여 배터리의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창안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터리로부터 공급 전압을 공급받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그 정전압을 동작 전압으로 공급하는 정전압 공급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압 공급 모듈은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 변환기와, 상기 AC 변환기의 출력 전압을 일정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본체로 공급하는 DC 변환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배터리 내에 정전압 변환 모듈을 내장하여 높은 레벨의 직류 출력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교류 전압을 낮은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전압으로 공급함으로써 배터리의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장치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20)에 장착된 배터리(210)로부터 동작 전압을 공급받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10)의 출력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 변환기(230)와, 상기 AC 변환기(230)의 출력 전압을 일정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본체(220)로 공급하는 DC 변환기(24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220)에는 DC 변환기(240)의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전압 레귤레이터(LDO : Low Drop Out)(221~223)와, 배터리(210)의 출력 전압을 인지하면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씨피유(224)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2의 회로를 배터리(210)에 내장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210)에서 출력되는 높은 레벨의 직류(DC) 전압은 AC 변환기(230)를 거쳐 교류 전압으로 변환된 후 다시 DC 변환기(240)을 거쳐 낮은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본체(220)로 전압,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본체(220)에 구비되는 전압 레귤레이터(221~223)는 상기 DC 변환기(240)의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켜 각 부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210)의 출력 전압과 전압 레귤레이터(221~223)의 입력 전압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종래보다 대기 시간이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10)의 출력전압이 5V, 기기의 입력 전압이 3V이라고 가정할 경우 AC 변환기(230)와 DC 변환기(240)에서의 출력값과 입력값은 동일함으로 배터리(210)의 출력값과 기기 입력값에서 전압값은 고정이어서 전류값만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210)의 출력 전압과 전압 레귤레이터(221~223)의 입력 전압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배터리(210)의 출력 전류의 소모가 줄어든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체(220) 내부로 동작 전압이 공급될 때 씨피유(224)는 배터리(210)의 출력 전압(Vb)을 감지하여 A/D 변환 등의 처리를 통해 상기 배터리(210)의 출력 전압 레벨을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씨피유(224)는 상기에서 검출된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210)의 전압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도2의 회로를 배터리(210) 내부에 내장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210)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단자를 구비하여야 함으로 도2의 회로를 본체(220) 내부의 전압 레귤레이터(221~223) 전단에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전압 공급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배터리와 단말기 칩의 입력 전압과의 차이만큼 대부분 열로 소모되는 단점을 개선하여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보다 적은 전류로 단말기를 구동시킴으로써 통화 및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전압 공급 장치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류 절감 장치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0 : 배터리 220 : 본체
230 : AC 변환기 240 : DC 변환기
Claims (4)
- 배터리로부터 공급 전압을 LDO(Low Drop Out) 레귤레이터를 통해 소정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내부로 공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그 정전압을 동작 전압으로 공급하는 정전압 공급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정전압 공급 수단은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 변환기와,상기 AC 변환기의 출력 전압을 일정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전압으로 공급하는 DC 변환기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정전압 공급 수단은휴대용 단말기 본체에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정전압 공급 수단은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배터리에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62967A KR100480067B1 (ko) | 2002-10-15 | 2002-10-15 |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62967A KR100480067B1 (ko) | 2002-10-15 | 2002-10-15 |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33736A KR20040033736A (ko) | 2004-04-28 |
KR100480067B1 true KR100480067B1 (ko) | 2005-03-31 |
Family
ID=3733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62967A KR100480067B1 (ko) | 2002-10-15 | 2002-10-15 |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800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2165B1 (ko) * | 2009-03-02 | 2015-09-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
-
2002
- 2002-10-15 KR KR10-2002-0062967A patent/KR1004800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33736A (ko) | 2004-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10052762A1 (en) | Power suppl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power supply device | |
KR100621101B1 (ko)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13557B1 (ko) | 전자기기 및 그 전원제어방법 | |
KR100736748B1 (ko) |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 |
US6498467B1 (en) | Ultra-low-power mode for a voltage regulator | |
US20030025396A1 (en) | Power supply system | |
US20150054340A1 (en) | Power Bootstrapping for Lowering Quiescent Current | |
US8773086B1 (en) | Circuits and methods for dynamic voltage management | |
KR100480067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 | |
US10797596B2 (en) | Transient booster for zero static loadline switching regulator | |
KR20050065394A (ko) |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모리 전류 누설을 줄이기 위한 방법및 장치 | |
JP2004215413A (ja) |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電力制御方法 | |
US7149911B2 (en) | Portable computer with desktop type processor | |
KR100997482B1 (ko) |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공급장치 및 방법 | |
US20110074335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
CN109586363B (zh) | 一种充电电路 | |
CN108196481B (zh) | 一种供电调节方法和电子设备 | |
CN112799496A (zh) | 计算机零功耗待机控制装置、方法及系统 | |
TWI522785B (zh) | 電力供應裝置 | |
US8572414B2 (en) | Power supply system of electronic device with improved power saving in S5 state | |
KR100690612B1 (ko) | 개인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교환 장치 | |
Wittmann et al. | Highly efficient power management in wearables and IoT devices | |
CN216599050U (zh) | 一种带负载自动检测功能的便携电源 | |
CN115113669B (zh) | 供电电路和供电方法 | |
KR0144383B1 (ko) | 여유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컴퓨터의 충전 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