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592B1 -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592B1
KR100479592B1 KR10-2002-0054078A KR20020054078A KR100479592B1 KR 100479592 B1 KR100479592 B1 KR 100479592B1 KR 20020054078 A KR20020054078 A KR 20020054078A KR 100479592 B1 KR100479592 B1 KR 10047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flection point
image output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493A (ko
Inventor
류정원
Original Assignee
류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원 filed Critical 류정원
Priority to KR10-2002-005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5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08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tinctive and separately oriented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associated to the pointing device, e.g. remote cursor controller with distinct and separately oriented LEDs at the tip whose radiations are captured by a photo-detector associated to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공중파 내지 지상파를 이용하여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A/V신호 및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에서 전송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합성하거나 소정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출력용 셋탑박스;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에서 입력되는 합성 A/V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상기 영상출력부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간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화면상에 반사점을 형성하는 포인터부; 및 상기 포인터부에서 상기 화면상에 생성한 반사점의 위치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값 및 반사점의 파장이나 주파수 변화에 따른 버튼선택 정보를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반사점 정보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하여 서비스제공자와 사용자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가능하여, 서비스제공자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으며 사용자는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를 즉각적으로 이용하거나 반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GRAPHIC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S USING LASER}
본 발명은 공중파 내지 지상파 및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와 사용자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방향 텔레비전 기술은 디지털 텔레비전과 방송매체를 기반으로 영상과 음성은 물론 데이터 정보를 시청자와 방송사간 양방향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텔레비전으로, 텔레비전 시청자가 수상기를 통해 인터넷 등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상품주문, 주식동향 및 교통정보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디지털 양 방향 전송 기술을 기반으로 하므로 디지털 양 방향 전송 에 따른 인프라가 구성되어야 하며, 시청자는 고가의 디지털 양 방향 전송 매체 및 위성 또는 공중파를 이용한 송신 장치 등을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 및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매체에서는 상기와 같은 직접적인 정보 교환 및 능동적 대응이 불가능하였고, 또한 소정의 대응을 위해서는 별도의 수단, 예를 들어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전화 등을 이용하여 시청자가 의사표현을 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 및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범위가 매우 한정적인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홈쇼핑 방송의 경우, 홈쇼핑 방송사는 공중파 내지 지상파를 통하여 시청자가 보유하고 있는 일반 아날로그 텔레비전으로 상기 홈쇼핑 방송사가 제공하는 영상 및 정보를 시청하고 만일 시청자가 물건의 구입을 원하는 경우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구입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구입을 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방송사측은 통신료 및 전화를 받는 인력이 필요하여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일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시청자의 참여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전화를 이용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공중파 내지 지상파를 이용하여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A/V신호 및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에서 전송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거나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영상출력용 셋탑박스,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에 수신된 A/V신호 및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아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간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화면상에 반사점을 형성하는 포인터부 및 상기 포인터부에서 상기 화면상에 생성한 반사점의 위치값 및 반사점의 파장이나 주파수 변화에 따른 반사점의 정보를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반사점 정보 검출부를 포함하여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시청중에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으며 소정의 의사표시를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공중파 내지 지상파를 이용하여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A/V신호 즉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 및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프로그램중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 서버에서 전송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A/V신호 및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합성하여 영상출력부로 전송하거나 소정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출력용 셋탑박스;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에서 합성 A/V신호를 입력받아 방송국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고 동시에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래픽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간을 갖는 그래픽의 구간에 반사점을 형성하여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의사표시를 하는 포인터부; 및 상기 포인터부에서 상기 화면상에 생성한 반사점의 위치값 및 반사점의 파장이나 주파수 변화에 따라 버튼이 선택된 것을 인식하는 버튼선택 정보를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반사점 정보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는 상기 A/V신호를 수신하는 A/V신호 수신부;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수신부; 상기 A/V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A/V신호와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에 따른 그래픽을 합성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부를 거쳐 합성된 A/V신호를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합성 A/V신호 출력부; 상기 반사점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반사점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반사점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는 반사점 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부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광을 생성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발광부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및 선택을 판별 하기 위한 광의 파장 및 주파수를 변경하는 소정의 버튼;을 포함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 및 전원부를 포함하고 일측에 상기 스위치 및 버튼을 노출시키는 본체;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하고 일측에 구비된 버튼을 통하여 포인팅을 할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영상출력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부; 사용자의 선택으로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에서 소정의 제어신호발생을 명령하기 위한 다수의 명령키로 이루어진 명령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 등에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내장되는 형태가 가능 하다.
또한, 상기 반사점 정보 검출부는 소정의 범위의 빛을 입력받는 광학계 렌즈;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빛에 감응하는 광학센서로 이루어진 CCD칩; 상기 광학센서의 수평값과 수직값을 통하여 감응한 센서의 위치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한 반사점의 위치값을 추출하는 위치값 추출부; 반사점의 파장 변화 나 점멸하는 주파수 변화를 통해 버튼선택 여부를 인식하는 버튼선택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위치값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치값 및 누름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버튼선택 정보를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반사점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점 정보 전송부는 상기 위치값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치값과 버튼선택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반사점의 파장 내지 주파수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반사점 정보 입력부; 상기 반사점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라디오주파수로 변조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소정의 전송주파수로 증폭을 하여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로 송신을 하는 무선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방법은 (a) 방송국에서 공중파 내지 지상파를 이용하여 A/V신호를 송출하는 A/V신호 송출단계; (b) 서비스제공자의 서버에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송출된 A/V신호 및 상기 (b)단계에서 전송된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수신된 A/V신호 및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영상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는 출력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소정의 특정구간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선택된 지점의 위치값을 추출하는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 추출단계; (g) 상기 (f)단계에서 추출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의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 전송단계; (h) 상기 (g)단계에서 전송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정보처리를 하는 정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시스템에 따른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 영상출력부(10), 포인터부(6) 및 반사점 정보 검출부(9)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는 방송국(1)으로부터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공중파 내지 지상파등 영상 및 음성신호의 전송수단(2)을 통하여 전송된 A/V(Audio/Video)신호를 수신하고, 동시에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 서버(3)로부터 인터넷망(4)을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소정의 정보는 상기 방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국(1)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인터페이스를 하기위한 소정의 그래픽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는 상기 전송수단(2)을 통하여 수신된 A/V신호 및 상기 인터넷망(4)을 통하여 전송된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합성하여 합성된 A/V신호를 상기 영상출력부(10)로 출력한다. 이하 도 2에서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영상출력부(10)는 음극선관(cathode-ray tube)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빔프로젝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에서 입력받은 합성된 A/V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영상출력부(10)는 어느 특정된 영상출력장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A/V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텔레비전수상기, 컴퓨터 모니터, 빔프로젝터 등을 말한다.
상기 포인터부(6)는 상기 영상출력부(10)에 구비된 화면(7)상에 반사점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반사점은 화면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영상출력부(10)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간(8)내에 반사점에 형성되면 상기 그래픽에 따른 소정의 의사표시가 이루어진다. 이하 도 3에서 상기 포인터부(6)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반사점 정보 검출부(9)는 소정의 필터링을 하여 상기 포인터부(6)에 의하여 화면(7)상에 형성된 반사점의 위치정보 및 반사점의 파장 내지 주파수의 변화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정보 등을 인터넷망(4)을 통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로 전송한다. 이하 도 4에서 상기 반사점 정보 검출부(9)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이용하여 판매상품을 광고하고, 상기 광고를 시청한 시청자가 소정의 구입방법을 통하여 판매상품을 구입하는 홈쇼핑프로그램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홈쇼핑프로그램 관련 A/V신호는 방송국(1)에서 송출이 되어 공중파 내지 지상파로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로 전송되고, 동시에 시청자가 구비하고 있는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의 주소와 상기 주소와 관련된 시청자의 개인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서비스제공자 서버에서 구입관련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하여(4)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로 전송된다.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로 전송된 홈쇼핑프로그램 관련 A/V신호 및 구입관련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는 소정의 합성단계를 거쳐 영상출력장치(10) 즉 텔레비전수상기를 통하여 홈쇼핑 관련 영상 및 구입관련 그래픽(8)으로 출력된다.
이를 시청하는 시청자가 구매을 원하는 경우 상기 구입관련 그래픽(8)에 상기 포인터부(6)를 이용하여 선택을 하면 시청자의 구매의사가 표현이 된 것이며, 이는 상기 영상출력부(10)의 출력화면(7) 내의 포인터부(5)에 의하여 형성된 반사점의 정보를 검출하는 반사점 정보 검출부(9)를 통하여 반사점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반사점의 정보는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를 통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3)로 전송이된다.
이렇게 전송된 반사점의 정보에 따라 상기 반사점의 위치값이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간에 속하고, 버튼의 선택이 검출이 되는 경우 이는 구매의사의 전달로 판단이 되고, 보안 인증 과정을 거쳐 판매물품의 구매가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시스템에 따른 영상출력용 셋탑박스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는 A/V신호 수신부(51),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수신부(52), 합성부(53), 합성 A/V신호 출력부(54), 반사점 정보 수신부(55) 및 반사점 정보 송신부(56)로 구성된다.
상기 A/V신호 수신부(51)는 방송국(1)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프로그램 관련 A/V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수신부(52)는 서비스제공자 서버(3)로부터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A/V신호 및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는 합성부(53)에 입력되어 합성된다. 이때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이므로 소정의 신호처리단계를 통하여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른 문자 내지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문자 내지 이미지는 상기 A/V신호와 합성되어 합성 A/V신호를 형성한다. 상기 합성 A/V신호 출력부(54)는 상기 합성부(53)에서 합성된 합성 A/V신호를 상기 영상출력부(1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반사점 정보 수신부(55)는 상기 반사점 정보 검출부(9)에서 검출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반사점 정보 수신부(55)는 유선으로 상기 구간검출부(9)와 연결될수 있지만 라디오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한 무선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점 정보 수신부(55)를 통하여 수신된 반사점 정보는 상기 반사점 정보 송신부(56)를 통하여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서비스제공자 서버(3)로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시스템에 따른 포인터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포인터부(6)는 발광부(62), 전원부(66) 및 온/오프하는 스위치(64) 및 선택버튼(6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62)는 상기 영상출력부(10)의 화면(7)상에 소정의 반사점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가시 또는 비가시광을 발광한다. 이때 발광되는 광은 직진성 및 집광성이 뛰어난 레이저(Laser)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 빛이나 다른 포인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식별력을 갖기 위한 특정한 패턴으로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62)에 의하여 반사점이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생성된다.
상기 선택버튼(65)은 상기 발광부(62)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발광하도록 하며, 상기 도 3에는 상기 선택버튼(65)이 하나인 경우만 도시되어 있으나,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또다른 선택버튼이 필요한 경우, 선택버튼을 추가하여 상기 패턴과 다른 식별력을 갖는 패턴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광을 생성하는 발광회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광회로로 구성되며 어느 특정한 발광회로로 구성되어 발광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포인터부(6)는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수상기용 리모콘 콘트롤러에 상기 발광부(62) 및 선택버튼(65)을 부가하여 종래의 리모콘 콘트롤러와 병행하여 사용될 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발광부(62) 및 전원부(66)를 포함하고 일측에 상기 스위치(64) 및 선택버튼(65)를 노출시키는 본체(69)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손각락에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68)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포인터부(6)를 손가락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시스템에 따른 구간검출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반사점 정보 검출부(9)는 광학계 렌즈(91), 광학센서로 이루어진 CCD칩(92, Charge Coupled Device Chip), 위치값 추출부(93), 버튼선택 정보 추출부(94) 및 반사점 정보 전송부(95)로 구성된다.
상기 광학계 렌즈(91)는 소정의 빛을 입력받는 렌즈로 일반적으로 반사점 정보 검출시에 사용되는 렌즈이며 어느 특정한 렌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학계 렌즈(91)를 통하여 입력된 빛은 픽셀(Pixel)이라 하는 광학센서로 이루어진 CCD칩(92)에 입력된다. 상기 광학센서로 이루어진 CCD칩(92)은 빛을 부하로 변화시키고 읽는 주기일 때는 전압으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상기 광학계 렌즈(91)를 통하여 입력된 반사점은 상기 상기 광학센서로 이루어진 CCD칩(92)을 통하여 위치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값에 따라 상기 위치값 추출부(93) 및 버튼선택 정보 추출부(94)에서 상기 반사점의 영상출력부(10) 화면(7)상의 위치값 및 반사점의 파장, 점멸하는 주파수 변화에 따라 버튼선택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반사점의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는 상기 반사점 정보 전송부(95)를 통하여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반사점 정보 전송부(9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전송할 정보를 입력받는 반사점 정보 입력부(951), 상기 반사점 정보 입력부(951)를 통하여 입력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소정의 변조를 하는 라디오주파수 변조부(952) 및 상기 라디오주파수 변조부(952)에서 변조된 신호를 무선으로 공중에 송출하는 무선송신부(953)로 구성하여 무선으로 상기 반사점 정보 추출부(93)에서 추출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영상출력용 셋탑박스(5)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방법은 (a) 방송국에서 공중파 내지 지상파를 이용하여 A/V신호를 송출하는 A/V신호 송출단계(S10); (b) 서비스제공자의 서버에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전송단계(S20); (c) 상기 (a)단계에서 송출된 A/V신호 및 상기 (b)단계에서 전송된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A/V신호 및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른 문자 및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A/V신호를 생성하는 합성 A/V신호 생성단계(S30); (d) 상기 (c)단계에서 생성된 합성 A/V신호를 영상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는 합성 영상 출력단계(S40); (e)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합성 영상중에 포함되어 소정의 구간을 형성하는 문자 내지 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S50); (f) 상기 (e)단계에서 선택된 지점의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추출하는 반사점 정보 추출단계(S60); (g) 상기 (f)단계에서 추출된 반사점 정보를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의 서버로 전송하는 반사점 정보 전송단계(S70); (h) 상기 (g)단계에서 전송된 반사점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정보처리를 하는 정보처리 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V신호 송출단계(S10)는 방송국에서 공중파 내지 지상파를 이용하여 방송을 목적으로 하는 방송프로그램을 송출하며, 이때 방송프로그램은 홈쇼핑과 같은 특정한 목적을 위한 방송프로그램은 물론 쇼프로그램, 퀴즈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의 모든 방송프로그램이 될수 있으며, 상기 방송프로그램이 텔레비전수상기 내지 텔레비전수신 튜너가 구비된 영상출력장치 등을 통하여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송주파수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송출한다. 즉, 현재 상용되고 있는 일반 텔레비전방송의 송출을 말한다.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전송단계(S20)는 상기 A/V신호 송출중에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상기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와 의사교환이 필요한 경우 영상출력 중의 문자 내지 이미지를 통하여 의사전달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는 서비스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영상출력용 셋탑박스로 전송이 된다. 이때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는 문자 내지 이미지 형태로 영상출력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합성 A/V신호 생성단계(S30)는 상기 A/V신호 송출단계(S10)에서 송출된 A/V신호 및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전송단계(S20)에서 전송된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A/V신호 및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른 문자 내지 이미지를 상기 영상신호와 합성하여 합성 A/V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전송된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는 디지털 형태 이므로 상기 정보에 따른 소정의 문자 내지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영상 출력단계(S40)는 상기 합성 A/V신호 생성단계(S30)에서 생성된 합성 A/V신호를 영상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의 소정의 구간에 상기 합성된 문자 내지 이미지가 출력된다.
상기 선택단계(S50)는 상기 합성 영상 출력단계(S40)에서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합성 영상중에 포함되어 소정의 구간을 형성하는 문자 내지 이미지를 선택하여 시청자 내지 사용자 등은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에 의한 문자 내지 이미지를 통하여 의사표시를 한다. 예를 들어 홈쇼핑프로그램의 경우, 홈쇼핑 영상과 함께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에 의한 구입이미지가 화면상에 표현되고, 상기 구입이미지를 포인터부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구매자의 구입의사를 서비스제공자에게 전달하다.
상기 반사점 정보 추출단계(S60)는 상기 선택단계(S50)에서 선택된 지점의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른 문자 내지 이미지는 출력되는 화면상에 소정의 구간 내지 범위를 갖고 있고, 상기 구간 내지 범위 내에 상기 포인터부에 의한 반사점이 생성되고 포인터에 포함되어 있는 버튼을 사용자가 눌러서 반사점의 패턴이 변화된 경우 상기 문자 내지 이미지에 따른 의사표시라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함으로 상기 반사점의 위치가 어디에 생성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반사점의 위치값을 추출하고 버튼이 눌렸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반사점의 파장 및 주파수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반사점의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는 광학계 렌즈와 CCD칩 등으로 이루어진 반사점 정보 검출부를 이용하여 화면 전체 중의 반사점 위치를 2차원 X-Y 좌표값으로 표현 되고, 하나 이상의 버튼선택 정보는 B1 ON/OFF, B2 ON/OFF ... 등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형성되는 구간의 구간값에 상기 반사점의 위치값이 상기 구간값에 포함되고 선택을 나타내는 버튼선택 정보가 ON 된 경우, 이는 상기 문자 내지 이미지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 전송단계(S70)는 상기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 추출단계(S60)에서 추출된 위치값 및 버튼 정보를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의 서버로 전송한다. 이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한 서비스제공자의 서버에 있는 상기 정보의 문자 내지 이미지의 구간값과 반사점의 위치값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반사점 정보 추출단계(S60)에서 추출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서비스제공자 서버로 전송을 하여 구간값과 반사점의 위치값을 비교하여 구간값에 상기 반사점의 위치값이 포함이 되고 선택을 나타내는 버튼이 눌려졌으면, 이는 소정의 문자 내지 이미지에 따른 의사표시가 이루어진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홈쇼핑 서비스제공자 서버에서 제공하는 구매이미지가 화면상 제공되는 범위에 반사점의 위치값이 포함되고 선택을 나타내는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구매자의 구매의사표현으로 판단한다.
상기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에 따른 정보처리단계(S80)는 반사점 정보 전송단계(S70)단계에서 전송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정보처리를 한다. 예를 들어 홈쇼핑프로그램의 경우, 만일 구매이미지의 구간값과 추출되어 전송된 반사점의 위치값을 비교한 결과 상기 반사점의 위치값이 상기 구간값에 포함되고 선택을 나타내는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 이는 구매자의 구매의사로 판단을 하고, 홈쇼핑프로그램 중에 판매되고 있는 물품이 상기 구매의사를 전달한 구매자에게 판매가 확정이 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서비스제공자 내지 방송국 등과 서비스수혜자 내지 시청자 간의 상호 의사전달이 영상출력장치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영상출력용 셋탑박스, 영상출력부, 포인터부 및 반사점 정보 검출부로 시스템을 구성하고 A/V신호 송출단계(S10),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전송단계(S20), 합성 A/V신호 생성단계(S30), 합성 영상 출력단계(S40), 선택단계(S50), 반사점 정보 추출단계(S60), 반사점 정보 전송단계(S70) 및 반사점 정보에 따른 정보처리단계(S80)를 수행하여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하여 방송국 내지 서비스제공자와 시청자 내지 서비스수혜자 간에 소정의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일방적이고 수동적인 시청 형태를 시청자의 적극적인 프로그램 참여 형태로 전환이 가능하다. 특히, 홈쇼핑프로그램의 경우 홈쇼핑프로그램 시청자가 물품을 구매시에 전화 등을 이용한 구매의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가 있으며, 즉시 구매자의 구매의사 전달로 홈쇼핑프로그램에 관련한 소비를 촉진시키고 동시에 물품의 판매에 관련된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따른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따른 영상출력용 셋탑박스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따른 포인터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따른 반사점 정보 검출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따른 위치값 전송을 무선으로 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Claims (8)

  1. 아날로그신호 형태의 공중파 내지 지상파를 이용하여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A/V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에 있어서,
    상기 A/V신호를 수신하는 A/V신호 수신부;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 부터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수신부; 상기 A/V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A/V신호와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에 따른 그래픽을 합성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부를 거쳐 합성된 A/V신호를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합성 A/V신호 출력부; 반사점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반사점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는 반사점 정보 송신부;로 이루어진 영상출력용 셋탑박스,
    상기 영상출력부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간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화면상에 반사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광을 생성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발광부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및 선택을 판별 하기 위한 광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소정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포인터부 및
    소정의 범위의 빛을 입력받는 광학계 렌즈;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빛에 감응하는 광학센서로 이루어진 CCD칩; 상기 광학센서의 수평값과 수직값을 통하여 감응한 센서의 위치로 상기 포인터부에 의한 반사점의 위치값을 추출하는 위치값 추출부; 상기 반사점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버튼선택 정보를 추출하는 버튼선택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위치값 추출부 및 버튼선택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상기 영상출력용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반사점 정보 전송부;로 이루어진 반사점 정보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a) 방송국에서 공중파 내지 지상파를 이용하여 A/V신호를 송출하는 A/V신호 송출단계;
    (b) 서비스제공자의 서버에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전송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송출된 A/V신호 및 상기 (b)단계에서 전송된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A/V신호 및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른 문자 및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A/V신호를 생성하는 합성 A/V신호 생성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생성된 합성 A/V신호를 영상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는 합성 영상 출력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합성 영상중에 포함되어 소정의 구간을 형성하는 문자 내지 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선택된 지점의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추출하는 반사점 정보 추출단계;
    (g) 상기 (f)단계에서 추출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를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의 서버로 전송하는 반사점 정보 전송단계;
    (h) 상기 (g)단계에서 전송된 위치값 및 버튼선택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정보처리를 하는 정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2-0054078A 2002-09-09 2002-09-09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7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078A KR100479592B1 (ko) 2002-09-09 2002-09-09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078A KR100479592B1 (ko) 2002-09-09 2002-09-09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493A KR20040022493A (ko) 2004-03-16
KR100479592B1 true KR100479592B1 (ko) 2005-04-06

Family

ID=3732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078A KR100479592B1 (ko) 2002-09-09 2002-09-09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5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860A (ko) * 1999-06-30 2001-01-15 윤종용 원격 포인팅시스템
KR20010026856A (ko) * 1999-09-09 2001-04-06 윤종용 빛을 이용한 직접 포인팅시스템
KR20010096117A (ko) * 2000-04-17 2001-11-07 이연주 동영상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JP2002063103A (ja) * 2000-08-22 2002-02-28 Hikari Tsushin Inc 付加情報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20056136A1 (en) * 1995-09-29 2002-05-09 Wistendahl Douglass A. System for converting existing TV content to interactive TV programs operated with a standard remote control and TV set-top box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6136A1 (en) * 1995-09-29 2002-05-09 Wistendahl Douglass A. System for converting existing TV content to interactive TV programs operated with a standard remote control and TV set-top box
KR20010004860A (ko) * 1999-06-30 2001-01-15 윤종용 원격 포인팅시스템
KR20010026856A (ko) * 1999-09-09 2001-04-06 윤종용 빛을 이용한 직접 포인팅시스템
KR20010096117A (ko) * 2000-04-17 2001-11-07 이연주 동영상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JP2002063103A (ja) * 2000-08-22 2002-02-28 Hikari Tsushin Inc 付加情報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493A (ko) 200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0216B1 (ko) 인터넷 접근을 위한 url 수신이 있는 텔레비전
US20020167484A1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server, medium and controlling method
CN101897178B (zh) 视频输出设备和视频输出方法
KR101793738B1 (ko) 미디어 id 정합 기반의 방송 ar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236613A1 (en) TV remote with image capability
US8873933B2 (en) Method for operat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ideo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0171863B2 (en) Interactive advertisement
EP0263635A2 (en) Apparatus for effecting market research with the aid of two-directional communication
KR101840869B1 (ko) 방송화면 연동 커머스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30073330A (ko) 상품구매 및 영상 부가 정보시스템
KR100479592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4987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external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to be executed thereby
JP2002063103A (ja) 付加情報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319478B1 (ko) 방송 화면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9568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798225B1 (ja) コード画像を用いた情報伝達システムおよび情報伝達方法
CN114365067A (zh) 服务器设备、广播接收装置、服务器管理设备及信息联动系统
KR100777269B1 (ko) 방송 수신기와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JP2001285837A (ja) 受信装置、送信装置、操作装置、情報管理装置、受信データ処理方法、操作方法、および情報管理方法
JP2007096866A (ja) 表示装置、集計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等
KR101519035B1 (ko)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060081204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EP1241887A2 (en) System for serving information relating to broadcast video information
KR102646048B1 (ko) 머신러닝 기반 가로세로 영상 변환 및 송출 장치
KR100465826B1 (ko) 영상 정보 전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