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515B1 - 기입 보조 펄스에 의한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의 휘도 효율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기입 보조 펄스에 의한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의 휘도 효율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515B1
KR100479515B1 KR10-2002-0027770A KR20020027770A KR100479515B1 KR 100479515 B1 KR100479515 B1 KR 100479515B1 KR 20020027770 A KR20020027770 A KR 20020027770A KR 100479515 B1 KR100479515 B1 KR 10047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tain
discharge
electrode
writ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868A (ko
Inventor
태흥식
진성일
조병권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2-0027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515B1/ko
Publication of KR20030089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중에 기입 전극에 기입 펄스를 보조적으로 인가하여 이후의 자기 소거 방전 발생을 트리거(trigger)함으로써 휘도 효율 및 휘도를 개선하는 구동 방법과 기입 펄스의 크기 및 폭을 제어하여 최적의 휘도 효율 및 휘도 값을 얻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적, 녹 및 청색을 발광하는 방전 셀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화소를 가지며, 방전 셀을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유지 전극(X, Y) 및 기입 전극(Z)을 가지는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휘도 및 휘도 효율 개선을 위하여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하는 유지 기간 동안의 구동 방법이며, (a) 상기 한 쌍의 유지 전극 중 한 전극에 유지 전압을 인가하고, 다른 한 전극에 기준 전위를 인가하여 주된 유지 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주된 유지 방전이 종료된 후, 상기 유지 전극에 인가된 유지 전압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기입 전극에 소정 폭 및 소정 레벨을 갖는 기입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입 펄스의 인가 구간은 상기 유지 전극에 인가된 유지 전압의 하강 에지 구간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입 보조 펄스에 의한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휘도 효율 개선 방법{METHOD FOR IMPROVEMENT OF LUMINANCE EFFICIENCY USING SELF-ERASING DISCHARGE DUE TO AUXILIARY ADDRESS PULS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및 휘도 효율의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지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중에 기입 전극에 기입 펄스를 보조적으로 인가하여 이후의 자기 소거 방전 발생을 트리거(trigger)하여 휘도 효율 및 휘도를 개선하는 구동 방법과 상기 기입 펄스의 크기 및 폭을 제어하여 최적의 휘도 효율 및 휘도 값을 얻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 면적(>40인치), 풀컬러 벽걸이 평판 고 품위 TV(HD TV)를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많은 연구에 힘입어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C PDP)이 평판 디스플레이 중에서 가장 기대되는 기술이 되고 있다. 그러나, 고 품질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휘도 효율이 더욱 개선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자기-소거 방전을 이용하여 휘도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구동 방법을 제안한다.
유지 기간 동안에, 플라즈마 방전이 셀에서 생성되면, 그에 따라 벽 전하(wall charge)가 신속히 생성된다. 이 벽 전하는 안정된 방전을 위해 다음 유지 방전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좀 다른 관점에서 보면, 벽 전하 자체는 형광층의 자극 소스(source)인 진공 자외선(VUV)을 발생시키는 데에 직접 기여하지는 않는다. 벽 전하가 진공 자외선을 발생시키는데 재사용되지는 않지만, AC PDP의 휘도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여할 수 있다. 유지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자기 소거 방전의 주된 특성은 주 방전에서 유지 전극상에 누적되는 벽전하를 사용하여 다시 한번 VUV를 발생시키는 점에 있다. 나아가서, 자기 소거 방전은 세 개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0으로 세팅될 때 벽 전하에 의해서만 발생되기 때문에, 자기 소거 방전은 추가적인 전력 소모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자기 소거 방전은 휘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자기 소거 방전이 발생되면, 대부분의 벽전하는 공간 전하로 전환된다. 따라서, 다음번의 주 방전이 심각하게 약해진다. 이 다음번 주 방전의 약화는, 자기 소거 방전을 일으키기 위하여 두 개의 인접한 유지 전극 사이에 유지 펄스가 인가되기 때문에, 벽 전하에 인가되는 전계가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강한 전계는 벽 전하의 공간 전하로의 변환 비율을 지나치게 높게 한다. 따라서, 자기 소거 방전이 휘도 효율을 개선할 수는 있지만 휘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AC PDP의 휘도의 감소 없이도 휘도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지 펄스의 인가 동안에 기입 전극에도 펄스를 인가하는 새로운 구동 방법을 제안한다. 기입 펄스는 유지 펄스의 하강 에지(falling edge)에 동기되어 인가되며 전계는 벽 전하가 누적되는 유지 전극의 유지 전극에 강하게 인가되지 않게 된다. 주 방전을 포함하여 자기 소거 방전 동안 발생되는 전류 및 IR(823nm) 파형이 기입 펄스의 크기와 폭의 변화에 따라 관측되었다. 또한, AC PDP 패널에 대한 휘도 및 휘도 효율에 미치는 기입 펄스의 크기와 폭의 영향이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적, 녹 및 청색을 발광하는 방전 셀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화소를 가지며, 상기 방전 셀을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유지 전극(X, Y) 및 기입 전극(Z)을 가지는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휘도 및 휘도 효율 개선을 위하여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하는 유지 기간 동안의 구동 방법이며, (a) 상기 한 쌍의 유지 전극 중 한 전극에 유지 전압을 인가하고, 다른 한 전극에 기준 전위를 인가하여 주된 유지 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b) 상기 주된 유지 방전이 종료된 후, 상기 유지 전극에 인가된 유지 전압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기입 전극에 소정 폭 및 소정 레벨을 갖는 기입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입 펄스의 인가 구간은 상기 유지 전극에 인가된 유지 전압의 하강 에지 구간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a) 상기 한 쌍의 유지 전극 중 한 전극에 유지 전압을 인가하고, 다른 한 전극에 기준 전위를 인가하여 주된 유지 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주된 유지 방전이 종료된 후, 상기 유지 전극에 인가된 유지 전압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기입 전극에 소정 폭 및 소정 레벨을 갖는 기입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입 펄스의 인가 구간은 상기 유지 전극에 인가된 유지 전압의 하강 에지 구간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여기서, 상기 (b) 단계 이후, (c) 상기 기입 펄스의 트리거(trigger) 작용에 의해 자기 소거 방전이 일어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유지 전압 및 상기 기입 펄스는, 이들이 하강시에 기준 전위에 이르는 시간이 일치하도록, 상기 유지 전극 및 상기 기입 펄스의 하강 에지(falling edge)가 서로 동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기입 펄스의 인가에 의한 기입 전극 전위의 상승 레벨은 휘도 및 휘도 효율을 최적화하도록 미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기입 펄스 인가 시점은 휘도 및 휘도 효율을 최적화하도록 미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의한 최적화 방법은, 적, 녹 및 청색을 발광하는 방전 셀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화소를 가지며, 상기 방전 셀을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유지 전극(X, Y) 및 기입 전극(Z)을 가지는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휘도 및 휘도 효율 최적화 방법이며,
(a) 상기 한 쌍의 유지 전극 중 한 전극에 유지 전압을 인가하고, 다른 한 전극에 기준 전위를 인가하여 주된 유지 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주된 유지 방전이 종료한 후, 상기 유지 전극에 인가된 유지 전압이 지속되는 동안의 어느 한 시점에서 상기 기입 전극에 소정의 폭 및 전압 레벨을 갖는 기입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기입 펄스의 인가에 의한 기입 전극 전위의 상승 레벨을 제어하여 휘도 및 휘도 효율이 최적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의한 최적화 방법은, 적, 녹 및 청색을 발광하는 방전 셀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화소를 가지며, 상기 방전 셀을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유지 전극(X, Y) 및 기입 전극(Z)을 가지는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휘도 및 휘도 효율 최적화 방법이며,
(a) 상기 한 쌍의 유지 전극 중 한 전극에 유지 전압을 인가하고, 다른 한 전극에 기준 전위를 인가하여 주된 유지 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주된 유지 방전이 종료한 후, 상기 유지 전극에 인가된 유지 전압이 지속되는 동안의 어느 한 시점에서 상기 기입 전극에 소정의 폭 및 전압 레벨을 갖는 기입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기입 펄스의 인가 시점을 제어하여 휘도 및 휘도 효율이 최적화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AC PDP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400 Torr의 압력으로 He-Ne-Xe 혼합 가스가 패널에 채워진다. 전류계로 유지 기간 동안 유지 전극 X, Y 및 기입 전극 Z를 통하여 흐르는 실제 전류를 측정하였다. AC PDP로부터 방출되는 가시 광의 휘도가 PR-704 분광계로 측정되었다. 대응하는 IR(823nm) 신호가 광섬유를 통하여 검출되었고 PMT 튜브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에 디스플레이되었다.
도 2는 유지 기간 동안 보조 기입 펄스를 사용하는 자기 소거 방전을 위한 새로운 구동 방법을 나타낸다. 기입 펄스가 인가되지 않는 통상의 구동 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의 구동 방법에서는 유지 펄스의 하강 에지에서 기입 펄스가 인가된다. 구동 조건들은 일례로서 180V의 유지 전압, 50KHz의 유지 주파수, 8μsec의 유지 펄스 폭 등이다. 연속되는 유지 펄스 사이의 자기 소거 방전을 생성하기 위해서, 기입 펄스가 인가되어 그 하강 에지가 유지 펄스의 하강 에지와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세 전극에 인가되는 모든 전압이 0일 때, 자기 소거 방전을 생성한다. 또한, 보조 펄스의 크기 및 펄스 폭을 변화시켜 자기 소거 방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도 3a에서는 본 발명의 자기 소거 방전을 위한 구동 방법에서, 세 개의 전극에 인가되는 유지 및 기입 전극 전압 펄스들 Vx, Vy 및 Va와, 유지 기간 동안 AC PDP로부터 측정된 실제 파형을 기초로 대응되는 전류 및 IR(823nm)의 추이를 도시하였다. 변화된 Vx, Vy 및 Va에 관련된 PDP 셀 내부에서의 공간 전하 및 벽 전하의 거동에 대한 모델을 도 3b에 나타내었다. 구동 조건은 도 1 및 도 2의 경우와 동일하다. 유지 전압 Vx가 유지 전극 X에 인가되면, 도 3b의 (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전의 유지 전압 펄스에 의해 생성되는 벽 전하(도 3b의 (i))에 의해 플라즈마 방전이 생성된다. 이것은 IR을 발생시키는 주 방전이다. 이 방전에서 전력 소모가 일어난다. 전자와 이온은 각각 반대 극성을 가진 유지 전극 X 및 Y에 누적되고, 반면에 무시될 수 있는 양의 이온이 0V의 기입 전극 상에 또한 누적된다(도 3b의 (iii)). 약 7.5μsec의 시점에서, 기입 펄스 Va가 기입 전극 A에 인가된다. 이러한 갑작스런 양의 펄스 인가에 의해 야기되는 전계는 기입 전극에 누적되는 양의 벽 전하 중 일부를 제거하고, 또한 유지 전극에 누적되는 벽 전하에 영향을 미친다(도 3b의 (iv)).
도 3b의 (v)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펄스 Vx와 기입 펄스 Va의 모두는 동시에 신속히 0으로 하강하고, 다른 소규모의 방전, 즉 자기 소거 방전이 유기된다. 세 개의 전극에 인가되는 외부 전압이 0이기 때문에 유지 및 기입 전극에 누적된 벽 전하에 의해서만 부가적 방전이 발생된다. 기입 펄스는 자기 소거 방전을 트리거(trigger)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기 소거 방전에 의해 8.0μsec-8.3μsec 사이에 소량의 전류가 흐르고, 세 개의 전극에 인가되는 외부 전압은 도 3a의 (v)에 나타낸 바와 같이, 0이다.
따라서, 자기 소거 방전 동안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PDP 셀로 외부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며, 이는 이러한 자기 소거 방전이 AC PDP의 휘도 효율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서, 이 방전에서는, 자기 소거 방전이 기입 전압 펄스와 유지 전압 펄스의 합에 의하여 트리거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벽전하가 자기소거 방전이 종료한 후에도 잔류한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자기 소거 방전은 두 개의 인접한 유지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유지 펄스에 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주 방전을 통하여 벽 전하가 누적되는 유지 전극에 인가되는 전계의 세기는 자기 소거 방전 동안에 대부분의 벽 전하를 제거하기에 충분히 강하다. 달리 말하면, 자기 소거 방전에 의하여 벽 전하가 대부분 공간 전하로 변환되면, 자기 소거 방전 이후의 다음 주 방전 세기는 크게 감소하고, 그에 의하여 AC PDP의 휘도가 감소한다. 특히, 낮은 구동 주파수의 경우, 이어지는 유지 펄스 사이의 간격이 길기 때문에, 휘도는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휘도의 감소 없이 자기 소거 방전을 사용하여 휘도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벽 전하의 공간 전하로의 변환 비율이 적절히 조정되어야 한다.
유지 기간 동안 유지 전압 펄스만에 의한 종래 기술의 자기 소거 방전과 달리, 기입 펄스를 사용한 본 발명의 자기 소거 방전에서는 휘도가 감소하지 않는다. 도 3b의 (iv)와 (v)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소거 방전은 기입 전극에 기입 펄스를 인가하여 개시되고, 그에 의하여 유지 전극 사이에 상대적으로 약한 전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상당량의 벽 전하가 자기 소거 방전 이후에도 남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음 번의 주 방전 동안 방출되는 IR 세기는 자기 소거 방전이 없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지 않으며, 자기 소거 방전이 있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 비해서는 크게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입 펄스에 의해 트리거되는 자기 소거 방전을 사용하는 경우에서 휘도의 감소 없이 휘도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4a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 AC PDP로부터 측정된 유지 전류 및 IR(823nm) 파형을 나타낸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기입 펄스의 크기를 변화시킨 경우의 유지 전류 및 IR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기입 펄스의 폭을 변화시킨 경우의 유지 전류 및 IR의 파형을 나타낸다. 구동 조건들은 예를 들어 180V의 유지 전압, 50KHz의 유지 주파수, 8μsec의 유지 펄스 폭 등일 수 있다. 도 4a의 종래 기술의 구동 방식에서, 일반적인 사각 유지 펄스의 상승 및 하강 에지들에서 통상의 변위 전류 및 방전 전류가 관측된다. 반면에, 두 개의 연속된 유지 펄스 사이에서 다른 방전 전류는 관측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IR은 유지 펄스에 의해서 생성되는 주 방전에서 한 번만 발광된다.
한편, 도 4b 및 4c의 본 발명의 구동 방식에서는, 자기 소거 방전과 같은 부가적인 플라즈마 방전을 트리거하기 위한 기입 펄스가 유지 펄스의 하강부에 인가된다. 도 4b의 기입 펄스의 폭은 600nsec로 고정되어 있다. 반면에, 크기는 30V에서 90V로 변화한다. 기입 펄스의 크기가 30V일 때, 자기 소거 방전은 발생하지 않으며, 자기 소거 방전을 트리거하기 위해서는 이 크기는 지나치게 낮다. 60V 조건에서는, 자기 소거 방전은 두 개의 이어지는 유지 펄스들 사이에서 발생되고, 전력 소모 없이 자기 소거 방전에 의해 소량의 IR이 한번 더 발생된다. 대응되는 주 방전 전류가 상당히 감소하나 주 방전에서 발광되는 IR은 약간 감소한다. 기입 펄스의 크기를 60V에서 90V로 증가시켰을 때, 방전 전류는 상당히 감소하나, 총 IR 발광은 오히려 약간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자기 소거 방전의 세기는 기입 펄스의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주 방전 전류는 감소하나 IR 세기는 약간 증가한다. 도 4c는 90V의 일정한 기입 전극 전압에서 400nsec에서 800nsec로 기입 펄스 폭이 증가할 경우 IR 및 유지 전류 파형의 변화를 나타낸다. 펄스 폭이 도 4c에 나타낸 방향으로 증가할 경우, 자기 소거 방전 동안 방출되는 IR의 세기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일정한 전압에 대해 펄스 폭이 넓을수록 휘도 효율이 더 향상되었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한 한 예로서 기입 펄스의 크기와 펄스 폭의 증가에 따라 휘도 효율, 휘도, 그리고 전력 소모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5a의 펄스 폭은 600nsec, 도 5b의 펄스 크기는 90V이다. 도 5a는 40V보다 낮은 기입 펄스 전압은 자기 소거 방전을 유기 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기입 펄스 전압이 증가하여 50V를 넘는 경우, 자기 소거 방전 세기는 증가하여 휘도 효율은 8%에서 28%로 증가하며, 대응되는 휘도는 약간 증가한다(약 3.5%). 자기 소거 방전 동안 전력 소모는 없다. 또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전의 자기 소거 방전에 의하여 주 방전이 약해졌기 때문에, 주 방전 동안의 전력 소모는 또한 감소한다. 도 5b는 90V의 일정한 전압을 갖는 기입 펄스의 폭이 400nsec에서 800nsec으로 증가할수록 대응되는 휘도 효율은 23.6%에서 37.5%로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800nsec의 펄스 폭에서 최대 약 40%까지 휘도 효율이 증가한다. 도 5a 및 5b의 결과와 같이, 휘도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전력 소모는 감소한다. 자기 소거 방전을 트리거하기 위한 기입 전극 전압 펄스의 적절한 제어에 의하여 휘도의 감소 없이 AC PDP의 휘도 효율의 개선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위 실시예에서 인가하는 각 펄스의 전압 크기나 폭들은 단지 한 예시에 불과하며,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이 자명하다. 또한, AC PDP의 설계에 따라서 기입 전극 전압 펄스의 크기나 폭의 최적치는 달라질 수 있음이 당연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기입 펄스에 의해 트리거되는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하여 휘도 효율을 개선하면서도 휘도를 유지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유지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중에 기입 전극에 가하여지는 기입 펄스의 크기 및 폭을 제어하여 최적의 휘도 효율 및 휘도 값을 가지는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AC PDP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유지 기간 동안 보조 기입 펄스를 사용하는 자기 소거 방전을 위한 본 발명의 새로운 구동 방법을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자기 소거 방전을 위한 구동 방법에서, 세 개의 전극에 인가되는 유지 및 기입 전극 전압 펄스들 Vx, Vy 및 Va와, 유지 기간 동안 AC PDP로부터 측정된 실제 파형을 기초로 대응되는 전류 및 IR(823nm)의 추이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서의 구동 방법에 따라 변화된 Vx, Vy 및 Va에 관련된 PDP 셀 내부에서의 공간 전하 및 벽 전하의 거동에 대한 모델을 나타낸다.
도 4a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 AC PDP로부터 측정된 유지 전류 및 IR(823nm) 파형을 나타낸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기입 펄스의 크기를 변화시킨 경우의 유지 전류 및 IR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기입 펄스의 폭을 변화시킨 경우의 유지 전류 및 IR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한 한 예로서 기입 펄스의 크기와 펄스 폭의 증가에 따라 휘도 효율, 휘도, 그리고 전력 소모의 변화를 나타낸다.

Claims (7)

  1. 적, 녹 및 청색을 발광하는 방전 셀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화소를 가지며, 상기 방전 셀을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유지 전극(X, Y) 및 기입 전극(Z)을 가지는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휘도 및 휘도 효율 개선을 위하여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하는 유지 기간 동안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한 쌍의 유지 전극 중 한 전극에 유지 전압을 인가하고, 다른 한 전극에 기준 전위를 인가하여 주된 유지 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주된 유지 방전이 종료된 후, 상기 유지 전극에 인가된 유지 전압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기입 전극에 소정 폭 및 소정 레벨을 갖는 기입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입 펄스의 인가 구간은 상기 유지 전극에 인가된 유지 전압의 하강 에지 구간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전압 및 상기 기입 펄스는, 이들이 하강시에 기준 전위에 이르는 시간이 일치하도록, 상기 유지 전극 및 상기 기입 펄스의 하강 에지(falling edge)가 서로 동기된 것인 구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기입 펄스의 전위 레벨은 60 ~ 100 V 인 것인 구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기입 펄스의 폭은 400 ~ 2000 ns인 것인 구동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2-0027770A 2002-05-20 2002-05-20 기입 보조 펄스에 의한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의 휘도 효율 개선 방법 KR10047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770A KR100479515B1 (ko) 2002-05-20 2002-05-20 기입 보조 펄스에 의한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의 휘도 효율 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770A KR100479515B1 (ko) 2002-05-20 2002-05-20 기입 보조 펄스에 의한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의 휘도 효율 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868A KR20030089868A (ko) 2003-11-28
KR100479515B1 true KR100479515B1 (ko) 2005-04-06

Family

ID=3238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770A KR100479515B1 (ko) 2002-05-20 2002-05-20 기입 보조 펄스에 의한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의 휘도 효율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690B1 (ko) 2005-10-21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40096B1 (ko) * 2005-10-21 2007-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40095B1 (ko) 2005-10-21 2007-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520A (ko) * 1999-03-16 2000-10-16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10000955A (ko) * 2000-10-31 2001-01-05 태흥식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휘도 및 발광 효율 증가를위한 구동 방법 및 구동 장치
KR20010004101A (ko) * 1999-06-28 2001-01-15 김영환 휘도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KR20010064068A (ko) * 1999-12-24 2001-07-09 박종섭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10073680A (ko) * 2000-01-19 2001-08-01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10090945A (ko) * 2000-04-08 2001-10-22 김영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순환방전에 의한 구동방법
KR20020033664A (ko) * 2002-01-30 2002-05-07 태흥식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휘도 및 발광 효율 증가를위한 구동 방법 및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520A (ko) * 1999-03-16 2000-10-16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10004101A (ko) * 1999-06-28 2001-01-15 김영환 휘도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KR20010064068A (ko) * 1999-12-24 2001-07-09 박종섭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10073680A (ko) * 2000-01-19 2001-08-01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10090945A (ko) * 2000-04-08 2001-10-22 김영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순환방전에 의한 구동방법
KR20010000955A (ko) * 2000-10-31 2001-01-05 태흥식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휘도 및 발광 효율 증가를위한 구동 방법 및 구동 장치
KR20020033664A (ko) * 2002-01-30 2002-05-07 태흥식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휘도 및 발광 효율 증가를위한 구동 방법 및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868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7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US6940475B2 (en)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device
US7965259B2 (en) Plasma display device
KR2004011164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2002006533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2003006902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US8068069B2 (en)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JP200004763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KR1004939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7710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011164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JP200004763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JP410033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H1033363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4357778B2 (ja)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US20100118056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KR100479515B1 (ko) 기입 보조 펄스에 의한 자기 소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의 휘도 효율 개선 방법
JPWO2007099904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496703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US20090278863A1 (en) Plasma display panel drive method and plasma display device
KR1003858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리셋 구동장치
KR10058937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US20090153439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panel drive method
US20090289960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panel drive method
KR2005003769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