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737B1 -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 Google Patents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737B1
KR100478737B1 KR10-2003-0015719A KR20030015719A KR100478737B1 KR 100478737 B1 KR100478737 B1 KR 100478737B1 KR 20030015719 A KR20030015719 A KR 20030015719A KR 100478737 B1 KR100478737 B1 KR 10047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ll
medical bed
ba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048A (ko
Inventor
서진홍
Original Assignee
서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홍 filed Critical 서진홍
Priority to KR10-2003-0015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73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3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using optical disks, e.g. CD, CD-ROM, to store accompaniment information in digital fo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점을 유지하는 로드셀(load cell)을 탈부착 가능한 셀프레임에 장착하고, 상기 셀프레임을 의료용 침대 상단에 장착시킴으로써, 로드셀이 항상 영점을 유지하여 체중측정시 발생하는 오차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체중을 측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로드셀이 하중을 받지 않아 로드셀의 손상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부착 가능한 셀프레임으로 인하여 셀프레임의 교체가 용이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부(10) 상단으로 상기 패널부(10) 너비와 동일한 셀프레임(100)이 다수개의 고정 클램프(20)로 체결되어져 있되, 상기 셀프레임(100)의 소정 위치에는 로드셀(1)이 장착된 다수개의 로드셀부(30)와 상기 셀프레임(10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부(40)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A medical bed possible weight measurement}
본 발명은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점을 유지하는 로드셀(load cell)을 탈부착 가능한 셀프레임에 장착하고, 상기 셀프레임을 의료용 침대 상단에 장착시킴으로써, 로드셀이 항상 영점을 유지하여 체중측정시 발생하는 오차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체중을 측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로드셀이 하중을 받지 않아 로드셀의 손상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부착 가능한 셀프레임으로 인하여 셀프레임의 교체가 용이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침대는 활동에 많은 제약이 수반되는 환자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거동이 힘든 환자의 몸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비가 구비되어져 있다. 그 중에서도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측정장치로는 의료용 침대의 상측에 장착된 해먹(hammock)으로 환자를 이동시킨 후 체중을 측정하는 장치나, 의료용 침대하단의 이동휠에 체중측정장치를 장착한 후 영점처리된 체중계를 통해 체중을 측정하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해먹을 이용한 체중측정장치는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환자를 이동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체중 측정시 거동이 힘든 환자의 신체가 많이 움직이게 되어 환자가 불편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이동휠 하단에 체중계를 장착한 체중측정장치는 침대의 무게와 환자의 체중에 의해 지속적으로 하중을 받게 되므로 장치의 파손이나 오작동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근래에는 전자저울의 필수적 무게측정소자(素子)인 로드셀을 의료용 침대의 메인 프레임 내측으로 형성시켜 중환자의 체중측정을 용이하게 한 것이 있으나, 이는 로드셀이 항상 작동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로드셀에 환자의 무게로 인한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로드셀의 파손이나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환자의 치료를 위해 침대를 이동시킬 때, 불균일한 바닥면을 통과하거나 강한 충격을 받게 될 수도 있는데, 이때 침대의 메인 프레임에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로드셀에 강한 하중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로드셀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손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에서 파손된 로드셀은 부분적인 부품교체가 불가능하여 전체 침대를 교체해야하는 등의 비능률적인 문제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의료용 침대의 패널부 상단으로 상기 패널부와 동일한 사이즈의 셀프레임을 장착하여 상기 패널부와 셀프레임을 고정 클램프로 체결하고, 상기 셀프레임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로드셀부와 수평유지부를 장착함으로써,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지 않을 때에는 로드셀이 하중을 받지 않아 로드셀의 파손과 오작동을 방지하고, 로드셀이 장착된 셀프레임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로드셀의 파손시 교체와 수리가 용이하며, 이로 인하여 제품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형상의 메인 프레임(11) 상측으로 상부 패널(12), 제 1 중간 패널(13), 제 2 중간 패널(14), 하부 패널(15)로 구분되어 있는 패널부(10)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11) 내측으로는 로드셀(1)이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의료용 침대(가)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1a 또는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부(10) 상단으로 상기 패널부(10) 너비와 동일한 셀프레임(100)이 다수개의 고정 클램프(20)로 체결되어져 있되, 상기 셀프레임(100)의 소정 위치에는 로드셀(1)이 장착된 다수개의 로드셀부(30)와 상기 셀프레임(10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부(40)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셀프레임(100)은 도 1a 또는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으로 다수개의 프레임바(101)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110), 제 1 중간 프레임(120), 제 2 중간 프레임(130), 하부 프레임(140)으로 구분되어 힌지부(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고, 상부 프레임(110)의 중심 프레임바(101) 하측과, 제 1,2 중간 프레임(120)(130)의 중심 프레임바(102)(103) 상하측과, 하부 프레임(140)의 중심 프레임바(104) 상측에는 소정형상의 베어링 가이드부(70)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110)의 하측 저면에는 다수개의 클램프 삽입홈(8)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로드셀(1)은 도 1a 또는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프레임(100) 내부에 삽설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수평유지부(40)에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61')(61")가 장착된 구동모터(62')(62") 사이에 스크류(63')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63')에는 일측으로 수평유지바(41)가 결합되어 있는 "ㅍ" 형상의 이동바(42) 타측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바(42)의 양측에는 클램프 체결부(80)(80')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고정 클램프(2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공(21)이 형성된 다면체 형상의 고정편(22) 하측으로 "" 형상의 프레임 홀더(23)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홀더(23)의 하측으로 고정공(24)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로드셀부(30)의 로드셀(1) 일측으로는 도 6a 또는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승강핀(2)이 삽입되어 있는 셀홀더(9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셀홀더(90) 내측으로 성형된 회전축 요입홈(91)에는 소정형상의 회동 클램프(5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 클램프(50)의 일측으로는 셀구동부(60)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로드셀부(30)와 수평유지부(40)는 통상의 위치센서(150)를 통해 이동간격이 조절된다.
상기에서, 승강핀(2)은 도 6a 또는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요입부(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부(4) 상단으로는 걸림편(5)이 장착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회동 클램프(50)는 도 6a 또는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고정축 삽입부(51)가 성형되어 있고, 하측으로 회전축(52)이 성형되어 있는 다면체(53)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면체(53) 일측으로는 승강핀(2)의 요입부(4)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요철부(54)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셀구동부(60)에는 도 6a 또는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클러치(61)가 장착되어 있는 구동모터(6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61)의 일측으로는 스크류(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63)의 일측으로는 클러치 고정축(64)과 결합되어 있는 이동체(65)가 장착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상부 프레임(110)은 하측 저면에는 고정 클램프(20)의 고정편(22)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프레임(110) 중심의 프레임바(101)에는 이동홈(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바(101)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홈(6)과 동일한 이동홈(6')이 형성된 이동바 가이드부(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수평유지바(4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수평유지바, 제 2 수평유지바, 제 3 수평유지바로 분리되어 있고, 분리된 중심부는 스크류(63")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2,3 수평유지바의 일측으로는 다수개의 베어링(43)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클램프 체결부(80)(8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로드(81)와 고정홀더(82)에 삽입된 클램프 고정핀(83)을 연결대(84)로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84)는 지지홀더(85)를 통해 지지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도 1a 또는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개의 프레임바(101)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110), 제 1 중간 프레임(120), 제 2 중간 프레임(130), 하부 프레임(140)을 힌지부(3)로 결합하여 하나의 셀프레임(100)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110) 중심의 프레임바(101) 양측에는 이동바(42)가 이동하는 이동홈(6)을 형성하며, 상부 프레임(110) 하측 저면에는 다수개의 클램프 삽입홈(8)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 프레임 사이에는 수평유지바(41)의 베어링(43)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베어링 가이드부(70)를 부착하고, 상부 프레임(110)의 중심 프레임바(101) 일측에는 이동바 가이드부(7)를 형성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110)과 제 2 중간 프레임(130)의 양측 프레임바(101)(103)에는 구동모터(61)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 로드셀부(30)를 장착하고, 상부 프레임(110)의 중심 프레임바(101)에는 수평유지부(40)를 장착한 후, 의료용 침대(가)의 패넬부(10) 상단에 상기 셀프레임(100)을 안착시킨다.
안착시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하측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8)에는 고정 클램프(20)의 다면체(22)를 삽입하고, 다면체(22) 하단의 프레임 홀더(23)는 패넬부(10)의 일측에 삽입하여 볼트로 체결하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의료용 침대(가)로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 의료용 침대(가)로 체중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통상의 콘트롤 박스나 원격제어 리모콘을 통해 제어하게 되는데, 먼저 수평유지부(40)를 작동시켜 상부 프레임(110), 제 1 중간 프레임(120), 제 2 중간 프레임(130), 하부 프레임(140)의 수평을 유지시키고, 동시에 클램프 체결부(80)(80')를 통해 패널부(10)와 셀프레임(10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 후, 셀프레임(100)을 상승시켜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수평유지부(40)의 구조와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6a 또는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유지부(40)는 상부 프레임(110)의 중간 프레임바(101) 내,외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먼저 프레임바(101)의 내측에는 양단으로 클러치(61')(61")가 장착된 구동모터(62')(62") 사이에 스크류(63')를 장착하고, 상기 스크류(63')에는 일측으로 수평유지바(41)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바(42)의 타측을 장착한다. 그리고 프레임바(101)의 외측에는 상기 이동바(42)와 연결되어 이동하는 클램프 체결부(80)(8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클램프 체결부(80)(80')는 프레임바(101)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편(9)에 이동로드(81)를 장착하고, 상기 이동로드(81)의 종단에는 지지홀더(85)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대(84)를 장착하며, 상기 연결대(84)의 종단에는 고정홀더(82)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83)을 장착하여서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수평유지부(40)를 구동모터(62')(62")로 구동하게 되면, 구동모터(62')(62")에 의해 스크류(6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스크류(63')의 회전에 의해 이동바(42)는 위치센서(150)에 입력된 값만큼 제 2 중간 프레임(130)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동바(42)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수평유지바(4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프레임(100)에 장착된 베어링 가이드부(70)를 통해 상부 프레임(110)과 제 1 중간 프레임(120), 제 1 중간 프레임(120)과 제 2 중간 프레임(130), 제 2 중간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40)의 이격공간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전체 셀프레임(100)의 수평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42)의 양측으로 연결된 각 이동로드(81)는 이동바(42)의 이동으로 인하여 소정간격만큼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이동로드(81) 하단의 연결대(84)는 이동로드(81)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 5a 또는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대(84)와 연결된 고정핀(83)이 고정홀더(82)와 고정 클램프(20)의 삽입공(21)에서 인출된다. 즉, 상기 고정핀(83)의 인출로 인하여 패널부(10)와 셀프레임(100)의 고정이 해제되고 따라서 셀프레임(100)의 승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셀프레임(100)의 승강을 통해 체중을 측정하고 나면, 구동모터(62')(62")에 의해 스크류(6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63')의 회전에 의해 이동바(42)는 원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각 프레임의 이격공간에 위치한 수평유지바(41)는 이격공간을 벗어나고, 각 수평유지바(41)의 분리 부분인 스크류(63")가 이격공간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42)의 양측으로 연결된 각 이동로드(81)도 원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로드(81)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핀(83)이 다시 고정홀더(82)와 고정 클램프(20)의 삽입공(21)에 삽입되어 해제되어 있는 패널부(10)와 셀프레임(100)이 재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로드셀부(30)의 구조와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로드셀부(30)는 도 6a 또는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의 양측 프레임바(101)와 제 2 중간 프레임(130)의 양측 프레임바(103)에 장착되는 것으로, 통상의 로드셀(1) 일측으로 걸림편(5)이 장착된 승강핀(2)이 삽입된 셀홀더(90)를 장착하고, 상기 셀홀더(9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 요입홈(91)에는 회전축(52)이 성형되어 있는 회동 클램프(50)를 장착하며, 장착시 회동 클램프(50)의 요철부(54)가 승강핀(2)의 요입부(4)에 삽입되도록 장착한 후, 상기와 같이 셀홀더(90)와 회동 클램프(50)에 의해 결합된 로드셀(1)은 셀프레임(100)의 외측 프레임바(101)(103) 내부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 클램프(50)는 고정축 삽입부(51)를 통해 프레임바(101)(103) 외측의 셀구동부(60)와 연결되는데, 셀구동부(60)는 클러치(61)가 장착된 구동모터(62)의 일측으로 스크류(63)를 장착하고, 상기 스크류(63)에 고정축(64)이 장착된 이동체(65)를 장착하여 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축(64)을 회동 클램프(50)의 고정축 삽입부(51)에 연결 장착함으로써 로드셀부(30)로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로드셀부(30)의 구동모터(62)가 구동되면, 구동모터(62)에 의해 스크류(6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스크류(63)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63)에 삽입된 이동체(65)는 위치센서(150)에 입력된 값만큼 소정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체(65)의 고정축(64)을 통해 연결된 회동 클램프(50)가 힘을 받아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클램프(50)의 요철부(54)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요철부(54)의 하강을 통해 승강핀(2)이 셀프레임(100)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승강핀(2)에 의해 전체 셀프레임(100)이 상승되는 것이다. 즉, 상기 셀프레임(100)의 상승을 통해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하중이 전체 셀프레임(100)에 가해지고, 상기 하중이 로드셀(1)에 전달되어 체중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환자의 체중 측정이 완료되면 다시 구동모터(62)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스크류(6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을 통해 스크류(63)에 장착된 이동체(65)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체(65)의 고정축(64)을 통해 연결된 회동 클램프(50)가 힘을 받아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클램프(50)의 요철부(54)가 다시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승되어 있던 셀프레임(100)이 하강하여 로드셀(1)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구동모터(62)(62')는 유선 뿐만 아니라, 셀프레임(100) 하측에 밧데리를 장착하여 무선으로도 구동이 가능한데, 상기와 같은 밧데리 충전시에는 기계 내,외부와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에서 전자유도를 통한 비접속 충전방식을 이용하여 충전하게 된다. 또한 로드셀부(30)와 수평유지부(40)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통상의 콘트롤박스도 셀프레임(100) 내측으로 장착시켜 측정데이타는 유,무선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같은 의료용 침대(가)를 다수개 구비한 병원에서는 의료용 침대(가)의 구동장치와 측정데이타를 중앙제어부에서 관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제시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실시예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로드셀이 장착된 셀프레임을 통상의 의료용 침대 패널부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시킴으로써, 영점체크가 가능한 로드셀을 통해 체중의 오차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체중을 측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로드셀이 작동하지 않아 로드셀에 하중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로드셀의 파손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가 필요할 경우 침대 전체를 구매할 필요없이 셀프레임만 구매하여 의료용 침대에 장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a 또는 1b는 본 발명의 전체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수평유지부의 요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수평유지바와 베어링 가이드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고정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또는 5b는 본 발명에서 고정 클램프와 클램프 고정핀의 장착상태에 따른 셀프레임의 승강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6a 또는 6b는 본 발명에서 로드셀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및 결합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서 회동 클램프의 회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8a 또는 8b는 본 발명에서 셀프레임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로드셀 2: 승강핀 3: 힌지부
4: 요입부 5: 걸림편 6,6': 이동홈
7: 이동바 가이드부 8: 클램프 삽입홈 9: 지지편
10: 패널부 11: 메인프레임 12: 상부 패널
13: 제 1 중간패널 14: 제 2 중간패널 15: 하부 패널
20: 고정 클램프 21: 삽입공 22: 고정편
23: 프레임 홀더 30: 로드셀부 40: 수평유지부
41: 수평유지바 42: 이동바 43: 베어링
50: 회동 클램프 51: 고정축 삽입부 52: 회전축
53: 다면체 54: 요철부 60: 셀구동부
61,61': 클러치 62,62': 구동모터 63,63': 스크류
64: 클러치 고정축 65: 이동체 70: 베어링 가이드부
80,80': 클램프 체결부 81: 이동로드 82: 고정홀더
83: 고정핀 84: 연결대 85: 지지편
90: 셀홀더 91: 회전축 요입홈 100: 셀홀더
101,102,103,104: 프레임바 110: 상부 프레임 120: 제 1 중간 프레임
130: 제 2 중간 프레임 140: 하부 프레임 150: 위치센서
가: 의료용 침대

Claims (13)

  1. 소정형상의 메인 프레임(11) 상측으로 상부 패널(12), 제 1 중간 패널(13), 제 2 중간 패널(14), 하부 패널(15)로 구분되어 있는 패널부(10)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11) 내측으로는 로드셀(1)이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의료용 침대(가)에 있어서, 패널부(10) 상단으로 상기 패널부(10) 너비와 동일한 셀프레임(100)이 다수개의 고정 클램프(20)로 체결되어져 있되, 상기 셀프레임(100)의 소정 위치에는 로드셀(1)이 장착된 다수개의 로드셀부(30)와 상기 셀프레임(10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부(40)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셀프레임(100)은 중심으로 다수개의 프레임바(101)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110), 제 1 중간 프레임(120), 제 2 중간 프레임(130), 하부 프레임(140)으로 구분되어 힌지부(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고, 상부 프레임(110)의 중심 프레임바(101) 하측과, 제 1,2 중간 프레임(120)(130)의 중심 프레임바(102)(103) 상하측과, 하부 프레임(140)의 중심 프레임바(104) 상측에는 소정형상의 베어링 가이드부(70)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110)의 하측 저면에는 다수개의 클램프 삽입홈(8)이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3. 제 1항 에 있어서, 로드셀(1)은 셀프레임(100) 내부에 삽설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수평유지부(40)에는 클러치(61')(61")가 장착된 구동모터(62')(62") 사이에 스크류(63')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63')에는 일측으로 수평유지바(41)가 결합되어 있는 "ㅍ" 형상의 이동바(42) 타측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바(42)의 양측에는 클램프 체결부(80)(80')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클램프(20)는 삽입공(21)이 형성된 다면체 형상의 고정편(22) 하측으로 "" 형상의 프레임 홀더(23)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홀더(23)의 하측으로는 고정공(24)이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로드셀부(30)의 로드셀(1) 일측으로는 소정형상의 승강핀(2)이 삽입되어 있는 셀홀더(9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셀홀더(90) 내측으로 성형된 회전축 요입홈(91)에는 소정형상의 회동 클램프(5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 클램프(50)의 일측으로는 셀구동부(60)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7. 제 1항에 있어서, 로드셀부(30)와 수평유지부(40)는 통상의 위치센서(150)를 통해 이동간격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8. 제 6항에 있어서, 승강핀(2)은 상측으로 요입부(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부(4) 상단으로는 걸림편(5)이 장착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9. 제 6항에 있어서, 회동 클램프(50)는 상측으로 고정축 삽입부(51)가 성형되어 있고, 하측으로 회전축(52)이 성형되어 있는 다면체(53)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면체(53) 일측으로는 승강핀(2)의 요입부(4)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요철부(54)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10. 제 6항에 있어서, 셀구동부(60)에는 일측으로 클러치(61)가 장착되어 있는 구동모터(6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61)의 일측으로는 스크류(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63)의 일측으로는 클러치 고정축(64)과 결합되어 있는 이동체(65)가 장착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11. 제 2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110)은 하측 저면에는 고정 클램프(20)의 고정편(22)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프레임(110) 중심의 프레임바(101)에는 이동홈(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바(101)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홈(6)과 동일한 이동홈(6')이 형성된 이동바 가이드부(7)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12. 제 4항에 있어서, 수평유지바(41)는 제 1 수평유지바, 제 2 수평유지바, 제 3 수평유지바로 분리되어 있고, 분리된 중심부는 스크류(63")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2,3 수평유지바의 일측으로는 다수개의 베어링(43)이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13. 제 4항에 있어서, 클램프 체결부(80)(80')는 이동로드(81)와 고정홀더(82)에 삽입된 클램프 고정핀(83)을 연결대(84)로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84)는 지지홀더(85)를 통해 지지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KR10-2003-0015719A 2003-03-13 2003-03-13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KR100478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719A KR100478737B1 (ko) 2003-03-13 2003-03-13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719A KR100478737B1 (ko) 2003-03-13 2003-03-13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524U Division KR200317904Y1 (ko) 2003-03-13 2003-03-13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048A KR20030031048A (ko) 2003-04-18
KR100478737B1 true KR100478737B1 (ko) 2005-03-28

Family

ID=2957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719A KR100478737B1 (ko) 2003-03-13 2003-03-13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7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359B1 (ko) 2007-09-06 2009-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구속 자동 체중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20093575A (ko) 2020-12-28 2022-07-05 (주)인더텍 사용자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KR20220093581A (ko) 2020-12-28 2022-07-05 (주)인더텍 사용자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359B1 (ko) 2007-09-06 2009-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구속 자동 체중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20093575A (ko) 2020-12-28 2022-07-05 (주)인더텍 사용자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KR20220093581A (ko) 2020-12-28 2022-07-05 (주)인더텍 사용자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048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78199A1 (en) Sensor unit, bed for a patient and method of modifying a patient&#39;s bed
JP5737162B2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装着装置及び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移載装置
KR100478737B1 (ko)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CN210236085U (zh) 称重运输线
KR200317904Y1 (ko) 체중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침대
JP3472541B2 (ja) 印刷資材昇降装置
EP1441645A1 (en) Assembly of a medical examination device and a combination of a frame and a patient table, as well as such a combination
CN214909449U (zh) 一种心力衰竭病人护理用新型病床
KR101503808B1 (ko) 승강형 수납장
KR101640501B1 (ko)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CN109330223B (zh) 一种便捷书架及智能存书系统
CN109998833B (zh) 一种移位机
JP6059081B2 (ja) ベッド装置の連動部材
KR101369653B1 (ko)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CN214049423U (zh) 一种肿瘤护理用病床
TW202027682A (zh) 尿量測定裝置
CN214317993U (zh) 一种转动式智能皮肤成像检测装置
CN217043772U (zh) 一种医疗器械清洗设备
CN216439472U (zh) 一种重症护理患者翻身设备
CN217386260U (zh) 一种电子商务用的计算机
CN211824700U (zh) 一种负载触发式感应衡量台秤
CN217828246U (zh) 一种用于医用移位车的平移机构及医用移位车
CN218773893U (zh) 直立式扫描成像系统
CN215077097U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计算机展示柜
CN213908831U (zh) 一种手环式腕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