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307B1 - 공구착탈장치 - Google Patents

공구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307B1
KR100478307B1 KR10-1998-0702609A KR19980702609A KR100478307B1 KR 100478307 B1 KR100478307 B1 KR 100478307B1 KR 19980702609 A KR19980702609 A KR 19980702609A KR 100478307 B1 KR100478307 B1 KR 10047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ring
tool
ring
key
no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128A (ko
Inventor
데츠오 스기무라
Original Assignee
구로다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로다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로다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3Retention by bayonet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9/00Chucks or sockets
    • Y10S279/904Quick change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666Radially reciprocating jaws
    • Y10T279/17692Moving-cam actuator
    • Y10T279/17743Reciprocating cam sleeve
    • Y10T279/17752Ball or roller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863Shouldered-tang holding
    • Y10T279/17871Cap
    • Y10T279/17881Scre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94Tool-support
    • Y10T408/95Tool-support with tool-retaining means
    • Y10T408/957Tool adap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352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 Y10T409/309408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with cutter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52Milling with cutter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상하부 노치(25a)와 좌우 노치가 플랜지부(23)에 구비되어 있다. 플랜지부(23)의 외주의 전방에 압축스프링(42)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는 제1 조작환(41)이 구비되어 있다. 후방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44), 스트레이트부(45), 그리고 주축에서 키홈내로 끼워지도록 좌우 노치를 통해 뻗어 있는 스트레이트부의 배면의 좌우에 배치된 구동키부가 조작환(41)에 구비되어 있다. 조작환(41)의 후방에 구비된 것은 제2 조작환(51)인데 그 사이에 2개의 스페이서(52)가 있다. 조작환(51)은 그 내면의 후방에서 주축의 래치와 결합되는 걸림클릭(54)과, 내면의 전방에서 전방 내면으로 경사진 테이퍼부(57)로 구비되어 있다. 조작환(51)과 스페이서(52)는 제1 강구(55)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복수의 제2 강구(58)는 테이퍼부(44), 스페이서(52) 그리고 테이퍼부(57)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구착탈장치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주축에 공구를 착탈하기 위한 공구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공구착탈장치로는, 가령 일본 실개소 53-144586호 공보, 일본 특개소 57-107747호 공보, 일본 특개평 6-134608호 공보 등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실개소 53-144586호 공보의 공구착탈장치는 홀더 본체가 주축에 나사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 특개소 57-107747호 공보의 공구착탈장치는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그리고, 특개평 6-134608호 공보의 공구착탈장치는 가령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1)에는 본체(2)가 착탈자재로 장착되고, 본체(2)에는 조작부(3)와 공구부착부(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3)는 클릭부(5a)를 갖는 제1 환부재(環部材; 5)가 본체(1)의 플랜지부(2a)의 외주에 설치되고, 이 제1 환부재(5)의 외주에는 제2 환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2)의 테이퍼부(2b)와, 제1 환부재(5)의 스트레이트부(5b)와, 제2 환부재(6)의 테이퍼부(6a) 사이에 볼(7)이 배치되고, 환부재(5, 6)는 압축스프링(8, 9)으로 주축(1)측으로 각각 가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환부재(6)의 테이퍼부(6a)가 볼(7)을 본체(2)의 테이퍼부(2b)와 제1 환부재(5)의 스트레이트부(5b)의 사이에 압입함으로써 제1 환부재(5)를 공구(T)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본체(2)를 주축(1)측으로 가압하여 본체(2)의 플랜지부(2a)와 제1 환부재(5)의 클릭부(5a)가 주축(1)의 걸림부(1a)에 밀접하여 주축(1)과 본체(2)의 고정력이 향상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중의 특개소 57-107747호 공보의 공구착탈장치는 조작성을 실개소 53-144586호 공보의 공구착탈장치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축방향의 내하중성을 실개소 53-144586호 공보의 공구착탈장치보다 열화시켜, 본체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피가공물에 대한 축방향의 치수정밀도가 안정되지 않거나, 본체에 고주파 진동이 발생하거나, 기계주축이나 본체가 쉽게 마모되거나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특개평 6-134608호 공보의 공구착탈장치는 주축(1)에 본체(2)를 장착할 때에 공구부착부(4)를 유지하여 본체(2)를 압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공구부착부(4)에 부착한 공구(T)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본체(2)의 회전으로 볼(7)에 원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본체(2)의 테이퍼부(2b)에 대한 볼(7)의 가압력이 감소하고, 본체(2)의 플랜지부(2a)와 제1 환부재(5)의 클릭부(5a)가 주축(1)의 걸림부(1a)에 밀접하는 힘이 약해져서 본체(2)가 축방향으로 이동해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주축에 홀더 본체를 용이, 안전 또한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공구착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개시
전부(前部)에 공구를 유지하고 후부를 기계주축의 끼워맞춤구멍에 끼워맞춤하고 중간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홀더본체와, 플랜지부의 전방 외주에 슬라이딩 자유로이 설치한 제1 조작환과, 제1 조작환의 외주에 스페이서를 통하여 설치하고 기계주축의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클릭을 갖는 제2 조작환과, 제1 조작환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 공구착탈장치로서, 플랜지부에는 상하의 노치와 좌우의 노치를 설치하고, 제1 조작환의 후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내방으로 경사한 제1 테이퍼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제1 테이퍼부의 후부에는 상기 좌우의 노치를 지나 기계주축의 키홈에 끼워맞춤하는 키부를 설치하고, 스페이서의 전부에는 축방향으로 대략 직각의 전면을 설치함과 동시에 후부에는 상기 상하의 노치에 끼워맞춤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제2 조작환의 내면전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내방으로 경사진 제2 테이퍼부를 설치하고, 제1 조작환의 제1 테이퍼부와 스페이서의 전면과 제2 조작환의 제2 테이퍼부의 사이에 다수의 전동부재를 배치하고, 제2 조작환을 파지하여 홀더본체를 기계 주축에 착탈할 수 있으므로 그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예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예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기계주축과 함께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우측면도,
도 5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홀더 본체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홀더 본체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4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4의 B-B선에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C-C선에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도 11은 작용 설명도,
도 12는 제2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
도 13은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을 도 3∼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공작기계의 주축(11)과 함께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4는 우측면도, 도 5는 분해사시도이고, 주축(11)에는 홀더본체(12)가 착탈되게 되어 있다. 홀더본체(12)의 전부, 즉 주축(11)과 반대측에는 도시하지 않는 공구를 착탈하기 위한 공구착탈부(13)가 설치되고, 홀더본체(12)의 후부 즉, 주축(11)측에는 공구의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공구길이 조절부(14)가 설치되고, 홀더본체(12)의 대략 중간부에는 주축(11)에 홀더본체(12)를 착탈할 때에 조작하는 조작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주축(11)의 축심에는 홀더본체(12)를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구멍(11a)이 설치되고, 끼워맞춤구멍(11a)의 개구부는 테이퍼구멍(11b)으로 되어 있다. 주축(11)의 선단부 외주에는 환상홈(11c)이 형성되고, 이 환상홈(11c)의 전부는 걸림부(11d)로 되어 있다. 걸림부(11d)의 전면은 홀더본체(12)의 후술하는 플랜지부의 후면이 맞닿는 맞닿기면(11e)으로 되어 있고, 걸림부(11d)의 후면은 후술하는 걸림클릭이 걸리는 걸림면(11f)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부(11d)의 좌우측에는 2개의 키홈(11g)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본체(12)에는, 주축(11)의 끼워맞춤구멍(11a)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21)와, 주축(11)의 테이퍼구멍(11b)에 끼워맞춤하는 테이퍼부(22)와, 주축(11)의 맞닿기면(11e)에 맞닿는 플랜지부(23)와, 후술하는 스토퍼를 끼워맞춤하는 스토퍼홈(24)이 후부에서 순차로 설치되어 있다. 테이퍼부(22)를 설치함으로써 진동에 대한 정밀도 향상이 도모되고, 도 7의 도시와 같이 플랜지부(23)에는, 상하 2개의 얕은 노치(25a)와, 좌우 2개의 깊은 노치(2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본체(12)의 축심의 후부에는 세로홈(26a)을 구비한 스트레이트구멍(26)이 형성되고, 전부에는 테이퍼구멍(2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홀더본체(12)의 축방향 위치는, 플랜지부(23)의 후면(23a)과 주축(11)의 맞닿기면(11e)의 맞닿기에 의해 결정되나, 테이퍼부(22)와 테이퍼구멍(11b)의 끼워맞춤에 의해 결정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23)의 후면(23a)과 맞닿기면(11e)의 맞닿기에 의해 홀더본체(12)의 축방향 위치가 결정되는 구조에서는 테이퍼부(22)와 테이퍼구멍(11b)은 불필요하게 된다.
공구착탈부(13)는 가령 콜릿척으로 되고, 홀더본체(12)의 테이퍼구멍(27)에 콜릿(31)이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홀더본체(12)의 외주에는 너트(3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콜릿(31)은 연결환(33)과 볼(34)에 의해 너트(32)에 연결되고, 너트(32)의 회전으로 콜릿(31)이 축방향으로 구동되고, 드릴, 엔드밀 등의 공구가 콜릿(31)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공구길이 조절부(14)에서는, 스트레이트구멍(26)에 슬라이딩부재(35)가 끼워맞춤되고, 슬라이딩부재(35)는 세로홈(26a)에 끼워맞춤한 키(36)에 의해 회전이 규제된다. 슬라이딩부재(35)의 전부(前部)에는 노치(35a)가 형성되고, 공구의 후단이 노치(35a)에 끼워맞춤됨으로써 공구의 회전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레이트구멍(26), 슬라이딩부재(35)의 후방에는 나사(37)와 고정륜(輪)(38)이 순차 부착되어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12)의 플랜지부(23)의 전방에는 제1 조작환(41)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로이 설치돼 있다. 제1 조작환(41)의 내주면의 전부에는 둘레홈(41a)이 형성되고, 이 둘레홈(41a)내에는 압축스프링(42)이 배치되어 있다. 압축스프링(42)의 전부는, 스토퍼홈(24)에 끼워장착된 스토퍼(43)에 의해 위치결정되고, 제1 조작환(41)은 압축스프링(42)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제1 조작환(41)에는 후방을 향하여 내방으로 경사진 테이퍼부(44)가 연설(延設)되고, 이 테이퍼(44)에는 스트레이트부(45)가 연설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45)의 후부의 좌우측에는 플랜지부(23)의 깊은 노치(25b)를 관통하여 주축(11)의 키홈(11g)에 끼워맞춤하는 2개의 구동키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구동키부(46)는, 홀더본체(12)의 끼워맞춤부(21)를 주축(11)의 끼워맞춤구멍(11a)에 끼워맞춤할 때에, 구동키부(46)가 키홈(11g)에 정합하지 않을 때는 구동키부(46)가 주축(11)의 맞닿기면(11e)에 의해 가압되고, 제1 조작환(41)이 압축스프링(4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구동키부(46)가 키홈(11g)에 정합할 때에 구동키부(46)는 압축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키홈(11g)에 끼워맞춤하고, 주축(11)의 회전력이 홀더본체(12)에 전달되게 되어 있다.
제1 조작환(41)의 후방에는 제2 조작환(51)이 스페이서(52, 53)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 조작환(51)의 후부에는 주축(11)의 걸림부(11d)에 걸리는 상하 2개의 걸림클릭(54)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조작환(51)의 내면중앙부에는, 제1 강구(鋼球; 55)의 대략 절반을 끼워맞춤하는 상하 2개의 끼워맞춤구멍(56)이 형성되고, 제2 조작환(51)의 내면 전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내방으로 경사진 테이퍼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52, 53) 끼리는 좌우 대칭이 되고, 제1 조작환(41)의 구동키부(46)의 폭을 피하여 환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스페이서(52, 53)에는 플랜지부(23)의 얕은 노치(25a)에 끼워맞춤하는 돌기(52a, 5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52a, 53a)의 근방의 스페이서(52, 53)의 외면에는 제1 강구(55)의 대략 절반을 끼워맞춤하는 긴홈(52b, 5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긴홈(52b, 53b)의 길이방향은 축방향이 되고, 제2 조작환(51)은 긴홈(52b, 53b)의 범위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돌기(52a, 53a)가 플랜지부(23)의 노치(25a)에 끼워맞춤함으로써 스페이서(52, 53)의 회전이 규제되고, 제1 강구(55)가 끼워맞춤구멍(56)에 끼워맞춤함으로써 제2 조작환(51)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조작환(41)의 테이퍼부(44)와, 제2 조작환(51)의 테이퍼부(57)와, 스페이서(52, 53)의 전면(52c, 53c) 사이에는 다수의 제2 강구(58)가 환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강구(58)가 노치(25b)에서 후방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조작환(41)의 스트레이트부(45)에는 스토퍼(59)가 스프링핀(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강구(58)는 지름방향으로 이동자유로우면 롤러 형상이나 쐐기 형상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스토퍼(59)는 제1 조작환(41)의 조작에 의해 강구(58) 배열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주축(11)에 홀더본체(12)를 장착할 때는 제2 조작환(51)을 파지하고, 그 걸림클릭(54)을 주축(11)의 키홈(11g)에 삽통할 수 있도록 홀더본체(12)를 회전하여, 홀더본체(12)의 끼워맞춤부(21)를 주축(11)의 끼워맞춤구멍(11a)에 끼워맞춤한다. 이에 따라 걸림클릭(54)이 키홈(11g)을 통과하여 환상홈(11c)내에 진입하고, 제1 조작환(41)의 구동키부(46)의 후면(46a)이 주축(11)의 맞닿기면(11e)에 의해 가압되고, 제1 조작환(41)은 압축스프링(42)을 압축시키면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이 상태로 홀더본체(12)를 임의의 방향으로 90도만 회전시키면 제1 조작환(41)의 구동키부(46)는 키홈(11g)에 정합한 후에 압축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키홈(11g)에 끼워맞춤한다.
동시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작환(41)이 후방으로 슬라이딩할 때에, 제2 강구(58)가 데이퍼부(44)에 올라앉아, 제2 조작환(51)의 테이퍼부(57)와 스페이서(52, 53)의 전면(52c, 53c)과의 사이에 압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조작환(51)이 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스페이서( 52, 53)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2 조작환(51)의 걸림클릭(54)과 홀더본체(12)의 플랜지부(23)가 주축(11)의 걸림부(11d)를 강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홀더본체(12)가 회전할 때에는 제2 강구(58)에 지름방향의 원심력(F1)이 작용하여 그 분력(F2)이 테이퍼부(57)를 더욱 강하게 가압하고, 플랜지부(23)와 걸림클릭(54)이 걸림부(11d)를 더 강한 힘으로 지지한다.
한편, 주축(11)에서 홀더본체(12)를 해체할 때는 제1 조작환(41)을 압축스프링(42)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제1 조작환(41)의 구동키부(46)를 주축(11)의 키홈(11g)에서 해체하고, 그 후에 홀더본체(12)를 임의의 방향으로 90도만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2 조작환(51)의 걸림클릭(54)과 주축(11)의 키홈(11g)이 정합하기 때문에 홀더본체(12)를 주축(11)에서 뽑아내기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는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주축(11)에 홀더본체(12)를 압입하고, 90도만 회전하는 것만으로 주축(11)에 홀더본체(12)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그 조작을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조작부(15)를 파지하여 주축(11)에 홀더본체(12)를 압입하기 때문에, 공구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조작환(41)의 데이퍼부(44)와, 제2 조작환(51)의 데이퍼부(57)와, 스페이서(52, 53)의 전면(52c, 53c) 사이에 제2 강구(58)를 배치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42)의 가압력으로 강구(58)를 외방으로 가압하도록 했기 때문에, 제2 조작환(51)을 전방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스페이서(52, 53)를 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 조작환(51)의 걸림클릭(54)과 홀더본체(12)의 플랜지부(23)에 의해 주축(11)의 걸림부(11d)를 강하게 지지할 수 있고, 주축(11)에 홀더본체(12)를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홀더본체(12)가 회전할 때에, 제2 강구(58)가 원심력으로 제2 조작환(51)과, 스페이서(52, 53)를 더욱 강한 힘으로 가압함으로 주축(11)에 홀더본체(12)를 더욱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에, 다수의 제2 강구(58)를 배치했기 때문에, 1개당 강구(58)에 대한 부하를 감소할 수 있고, 테이퍼부(44)나 테이퍼부(57)에 압흔(壓痕)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 제1 실시예는 주축(11)에 홀더본체(12)를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축방향의 치수정밀도를 안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고주파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주축(11)이나 홀더본체(12)의 마모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가공불량을 방지하고, 공구수명을 향상할 수 있고, 보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삭감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고속회전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가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조작환(41)의 테이퍼부(44)와, 제2 조작환(51)의 테이퍼부(57)와의 경사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압축스프링(42)의 설정하중에 대하여 본체(12)의 주축(11)에의 부착하중을 배수로 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홀더본체(12)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압축스프링(42)에 가해지는 하중은 수분의 1로 족하기 때문에 내인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제1 조작환(41)과 제2 조작환(51)의 외면에는 제3 조작환(61)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작환(51)의 외면전부에는 축방향을 향하여 후연(後緣)으로 개구하는 키홈(51a)이 형성되고, 제3 조작환(61)의 내면에는 제2 조작환(51)의 키홈(51a)에 끼워맞춤하는 키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조작환(61)의 회전방향은 키홈(51a)과 키(61a)의 크기에 따라 규제되고, 축방향은 키홈(51a)과 키(61a)의 길이에 따라 규제되게 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더러, 제3 조작환(61)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제1 조작환(41)을 조작할 수 있게 되고, 제1 조작환(41)과 제2 조작환(51)을 1개의 부재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실시예는, 공구길이 조절부(14)의 슬라이딩부재(35)에 노치(35a)를 설치하였으나, 회전 정지가 없는 드릴을 사용할 경우에는 노치(35a)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제1 조작환(41)에 스토퍼(59)를 스프링핀(60)에 의해 고정하였으나, 제1 조작환(41)을 프라이스반(盤) 등에 의해 형성하면, 스토퍼(59)를 일체 형성할 수 있고, 다른 부재로서의 스토퍼(59)나 핀(60)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형태는 주축(11)이 다축기계와 같이 스트레이트형의 경우이고, 홀더본체(12)의 후단에 테이퍼섕크를 설치함으로써 머시닝센터에도 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구착탈장치는 제2 조작환을 파지하여 홀더본체를 기계주축에 착탈할 수 있으므로 그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제2 조작부를 파지하여 기계주축에 홀더본체를 압입하기 때문에 공구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작환이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딩할 때에, 제1 조작환이 전동부재를 외방으로 가압하고, 전동부재가 스페이서를 후방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제2 조작환을 전방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기계주축에 홀더본체를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홀더본체가 회전할 때의 전동(轉動)부재의 원심력에 의해 전동부재가 스페이서를 후방으로 더 강하게 가압함과 동시에 제2 조작환을 전방으로 더 강하게 가압하기 때문에, 주축에 홀더본체를 더욱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전부에 공구를 유지하고 후부를 기계주축의 끼워맞춤구멍에 끼워맞춤하고 중간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홀더본체와, 플랜지부의 전방의 외주에 슬라이딩 자유로이 설치한 제1 조작환과, 제1 조작환의 외주에 스페이서를 통하여 설치하고, 기계주축의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클릭을 갖는 제2 조작환과, 제1 조작환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 공구착탈장치로서, 플랜지부에는 상하의 노치와 좌우의 노치를 설치하고, 제1 조작환의 후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내방으로 경사진 제1 테이퍼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제1 테이퍼부 후부에는 상기 좌우의 노치를 통과하여 기계주축의 키홈에 끼워맞춤하는 키부를 설치하고, 스페이서의 전부에는 축방향으로 대략 직각의 전면을 설치함과 동시에 후부에는 상기 상하의 노치에 끼워맞춤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제2 조작환의 내면 전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내방으로 경사진 제2 테이퍼부를 설치하고, 제1 조작환의 제1 테이퍼부와 스페이서의 전면과 제2 조작환의 제2 테이퍼부 사이에 다수의 전동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착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의 노치와 좌우의 노치는 깊이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착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에는 상기 전동부재가 상기 좌우의 노치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일체 또는 별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착탈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조작환의 제1 테이퍼부의 경사각도와, 제2 조작환의 제2 테이퍼부의 경사각도와,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제2 조작환의 걸림클릭의 걸림력을 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착탈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조작환의 외주에 제3 조작환을 설치하고, 제2 조작환의 외면에는 축방향을 향하여 후연으로 개구하는 키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3 조작환의 내면에는 상기 키홈에 끼워맞춤하는 키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착탈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제2 조작환의 외주에 제3 조작환을 설치하고, 제2 조작환의 외면에는 축방향을 향하여 후연으로 개구하는 키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3 조작환의 내면에는 상기 키홈에 끼워맞춤하는 키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착탈장치.
KR10-1998-0702609A 1996-08-26 1997-08-25 공구착탈장치 KR100478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260896A JP3169339B2 (ja) 1996-08-26 1996-08-26 工具着脱装置
JP96-242608 1996-08-26
PCT/JP1997/002933 WO1998008641A1 (fr) 1996-08-26 1997-08-25 Dispositif de fixation/liberation d'out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128A KR19990064128A (ko) 1999-07-26
KR100478307B1 true KR100478307B1 (ko) 2005-09-02

Family

ID=1709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609A KR100478307B1 (ko) 1996-08-26 1997-08-25 공구착탈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62779A (ko)
JP (1) JP3169339B2 (ko)
KR (1) KR100478307B1 (ko)
DE (1) DE19780892T1 (ko)
TW (1) TW353629B (ko)
WO (1) WO1998008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7026A1 (de) * 1999-02-19 2000-08-24 Komet Stahlhalter Werkzeug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erkzeugs mit einer Maschinenspindel
DE10052016A1 (de) * 2000-10-20 2002-05-08 Horn P Hartmetall Werkzeugfab Rotierendes Werkzeug, insbesondere Fräswerkzeug
EP1952923A1 (en) * 2007-02-01 2008-08-06 MARIO PINTO S.p.A. Collet chuck for machine tools
US8454284B2 (en) * 2008-12-01 2013-06-04 Kennametal Inc. Milling cutter coupling system
EP2403671A1 (en) * 2009-03-03 2012-01-11 Westport Medical, Inc. Bit holders
KR101535306B1 (ko) * 2009-10-19 2015-07-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램 스핀들의 툴 클램핑장치
US8292150B2 (en) 2010-11-02 2012-10-23 Tyco Healthcare Group Lp Adapter for powered surgical devices
EP4344820A1 (en) * 2022-09-27 2024-04-03 Sugino Machine Limited Tool holder and tool magazin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68917B (ko) * 1969-03-24 1974-07-29 Bofors Ab
DE2811328C2 (de) * 1978-03-16 1986-09-2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Bohrfutter
JPS61188041A (ja) * 1985-02-16 1986-08-21 Mori Tekkosho:Kk 工作機械用の親子ツ−ルシヤンク
US4710079A (en) * 1985-06-11 1987-12-01 T. M. Smith Tool International Corp. Quick change spindle adapter for tool holder
US4795291A (en) * 1986-08-25 1989-01-03 Ettco Tool & Machine Co., Inc. Method for achieving interchangeability of tool inserts
JP3261180B2 (ja) * 1992-10-26 2002-02-25 エヌティーツール株式会社 工具取付装置
US5372465A (en) * 1993-04-20 1994-12-13 T. M. Smith Tool International Corp. Quick change spindle adaptor for tool holder
DK130593D0 (da) * 1993-11-19 1993-11-19 Joran Bor A S Boropsaetningssystem
JP3364698B2 (ja) * 1994-03-28 2003-01-08 エヌティーツール株式会社 工具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62779A (en) 2000-05-16
KR19990064128A (ko) 1999-07-26
JPH1058211A (ja) 1998-03-03
WO1998008641A1 (fr) 1998-03-05
DE19780892T1 (de) 1998-12-10
JP3169339B2 (ja) 2001-05-21
TW353629B (en) 199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6173A (en) Tool holder
KR100259551B1 (ko) 파지력이 증가된 잠금기구를 구비한 공구유니트 클램핑장치
US7112020B2 (en) Cutting tool configured for improved engagement with a tool holder
EP1038619B1 (en) Tool holder
JP4861984B2 (ja) 工具ホルダアセンブリ
KR100478307B1 (ko) 공구착탈장치
US5651726A (en) Mounting apparatus for grinding wheels
JPH1110418A (ja) 保持工具
KR20180130288A (ko) 스핀들 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KR101664325B1 (ko)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US4585380A (en) Tool attaching device in a machine tool
US20030177877A1 (en) Adjustable live center apparatus
JP3115815B2 (ja) 工具ホルダー
KR100611360B1 (ko) 벨트 노칭 머신용 성형 풀리 조립체
JPH06114612A (ja) 工具保持装置
JPS6125743A (ja) 交換工具の工具ホルダロック機構
JP2939196B2 (ja) 搬送ローラ
KR101148181B1 (ko) 공구홀더 장착시스템
JP2784149B2 (ja) 工具ホルダー
JP2793112B2 (ja) チャック装置
JP2000000705A (ja) 工具チャック
KR200337623Y1 (ko) 밀링머신용 아버의 결합구조
JP4330119B2 (ja) 組立ブローチ工具を用いたブローチ加工方法
JPS63191513A (ja) 柄付組立ホブ
JPH05309506A (ja) ボーリング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