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748B1 - Sectional waterway pipe - Google Patents

Sectional waterway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748B1
KR100475748B1 KR10-2001-0081806A KR20010081806A KR100475748B1 KR 100475748 B1 KR100475748 B1 KR 100475748B1 KR 20010081806 A KR20010081806 A KR 20010081806A KR 100475748 B1 KR100475748 B1 KR 100475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side wall
floor
pres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23810A (en
Inventor
한재명
Original Assignee
한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명 filed Critical 한재명
Priority to KR10-2001-008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748B1/en
Publication of KR2002002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8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7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내지 대형의 수로관의 제작, 운반, 및 시공이 수월하며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조립식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fabricated water pipes that are easy to manufacture, transport, and construction of small to large water pipes, and that can be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의 조립식 수로관은 바닥 구조체와 그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로 완성되는 조립식 수로관과, 적어도 하나의 유공부가 있는 바닥 구조체와 그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는 띠형의 배수구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식생부를 갖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로 완성되는 조립식 수로관을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fabricated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a prefabricated water pipe composed of a bottom structure and a pair of side wall structures assembled with the bottom structure, a bottom structure having at least one perforated portion, and a strip-shaped drain hole assembled with the bottom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refabricated waterway tube is composed of a pair of side wall structure having a vegetation part.

본 발명의 조립식 수로관에 의하면, 조립가능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작, 운반 그리고 시공이 편리하며, 특히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수로관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assembled, it is convenient to manufacture, transport, and construction, and in particular, various water pipe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ite conditions.

Description

조립식 수로관{SECTIONAL WATERWAY PIPE}Prefabricated Water Pipes {SECTIONAL WATERWAY PIPE}

본 발명은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내지 대형의 수로관의 제작, 운반, 및 시공이 수월하며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조립식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water pipe that is easy to manufacture, transport, and construction of small to large water pipes and can be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수로관이 제공되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수로관은 시공현장에 따라 소형에서부터 대형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가 다양하며 형상 또한 다양하다. 종래의 수로관은 일반적으로 정형의 거푸집(즉,몰드)에 의해서 제작되며, 이와 같이 완성된 수로관은 시공현장으로 각각 운반된 후에 서로 연설되어 인공수로(channel)를 형성한다.Conventionally, various types of concrete water pipes have been provided. The water pipes provided in this way vary in size and shape, from small to large,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site. Conventional water pipes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a formwork (ie, a mold), and the completed water pipes are conveyed to each construction site and then addressed with each other to form a channel.

하지만, 종래의 수로관은 그 제작단계에서 부터 시공단계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시공단계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로관은 그 수로관을 성형하는 거푸집에 의해서 제작되는데, 종래의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완성품의 수로관을 성형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의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ater pipe has a wide range of problems from the manufacturing stage to the construction stage. That is, in the construction step, as described above, the waterway tube is manufactured by the formwork for molding the waterway tube, the conventional formwork is generally difficult to manufacture because it is manufactured to form the waterway tube of the finished product.

또한 운송단계에 있어서, 시공현장으로 운송되는 수로관의 크기가 클 경우 하나의 운송수단 예컨대, 트럭으로 한번에 대량의 수로관을 시공현장으로 운반할 수 없기에, 따라서 많은 수의 운송수단을 구비하거나, 아니면 수로관 제작소와 시공현장을 빈번히 왕래해야만 했다. 따라서 물류비가 증가되었다.In addition, in the transportation stage, when a large number of water pipes are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a large number of water pipes cannot be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by a single vehicle, for example, a truck, and thus a large number of means of transportation or water pipes are provided. I had to travel to and from the factory and construction site frequently. Therefore, logistics costs have increased.

마지막으로 시공단계에 있어서, 크기가 큰 수로관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건설기계를 구비하여야만 했다. 하지만, 이러한 건설기계는 시공현장의 주변여건에 따라 작업의 제약을 많이 받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크기가 큰 수로관을 사용하여 수로를 형성할 경우 각각의 수로관의 정밀이음이 어렵기 때문에 시공이 어렵고 구조적 안정성 또한 취약했다.Lastly, in the construction stage, in order to construct a large water pipe, it was necessary to have suitable construction machinery. However, these construction machines had a problem of being restricted by work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Especially, when the waterway pipes are formed using a large waterway pipe, the precision connection of each waterway pipe is difficult, so the construction is difficult and structural. Stability was also weak.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가능한 소형 내지 대형의 수로관을 제공함으로써 제작, 운반 그리고 시공이 편리한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ipe which is convenient to manufacture, transport and construction by providing a small to large assembleable water pip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ipe that can be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손된 부분의 보수 등과 같은 관리가 편리한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ipe which is easy to manage, such as repair of a broken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연친화적인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friendly water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난 수로를 시공할 수 있는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ipe which can be constructed with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 운반 그리고 시공에서 발생하는 비용 및 파손에 따른 보수 등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ipe which can reduce the management costs such as the costs incurred in manufacturing,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and repairs due to damag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수로관은 조립가능한 형태로 제공된다. The prefabricated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an assemblable form.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조립식 수로관은 바닥 구조체와,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를 포함한다.The prefabricated water pip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structure and a pair of sidewall structures assembled with the bottom structure.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바닥 구조체는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면서 바닥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과,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structure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loor structure and a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or structure, and the step-like settled portion formed on one end of the floor structur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측벽 구조체는 "ㄴ"자형이고, "ㄴ"자 형은 수평 구조체와 수평 구조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벽 구조체로 구분되고, 벽 구조체의 양단부는 교호로 형성되는 계단부를 구비하고, 수평 구조체는 끼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wall structure is a "b" shape, the "b" shape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structure and a wall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rizontal structure, and both ends of the wall structure are staircases formed alternately. And a horizontal structure may comprise fitting projections.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바닥 구조체는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측벽 구조체는 벽 구조체와 수평 구조체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보강용 리브를 더 포함하고, 보강용 리브는 결합공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ottom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coupl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bottom structure, wherein the sidewall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cross sections of the wall structure and the horizontal structure facing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rib, the reinforcing rib may include at least one groove having a coupling hole.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벽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식생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 wall structure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vegetation.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의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 내에는 복수의 돌기부 또는 복수의 유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jections or a plurality of perforations may be formed in the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on the top surface of the floor structure.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른 조립식 수로관은 적어도 하나의 유공부가 있는 바닥 구조체와,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는 띠형의 배수구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식생부를 갖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를 포함한다.The prefabricated water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idewall structures having a bottom structure having at least one perforated portion and at least one vegetation portion having a strip-shaped drain hole assembled with the bottom structure.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있어서, 바닥 구조체는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면서 바닥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과,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structure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loor structure and a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or structure, and the stepped set-up portion formed in one end of the floor structur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있어서, 측벽 구조체는 "ㄴ"자형이고, "ㄴ"자 형은 수평 구조체와 수평 구조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벽 구조체로 구분되고, 벽 구조체의 양단부는 교호로 형성되는 계단부를 구비하고, 수평 구조체는 끼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wall structure is a "b" shape, the "b" shape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structure and a wall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rizontal structure, and both ends of the wall structure are stairways alternately formed. And a horizontal structure may comprise fitting projections.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있어서, 바닥 구조체는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측벽 구조체는 벽 구조체와 수평 구조체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보강용 리브를 더 포함하고, 보강용 리브는 결합공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loor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coupl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floor structure, wherein the side wall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cross sections of the wall structure and the horizontal structure facing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rib, the reinforcing rib may include at least one groove having a coupling hole.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있어서, 식생부는 벽 구조체에 형성된다.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wall structure.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있어서, 유공부는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의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 내에 형성된다.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ations are formed in a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tructure.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있어서,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의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 내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of the top surface of the floor structur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바닥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각각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i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or structure constituting the water pip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wall structure constituting the water pip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pipe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rolled ou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이하, "제1 수로관"이라 한다)(1)은 종래의 수로관과 마찬가지로 바닥 구조체(10)와 한 쌍의 측벽 구조체(50a)(50b)를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수로관(1)은 바닥 구조체(10)와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가 서로 조립되어 완성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water pi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water pip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the bottom structure 10 and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water pipe. Sidewall structures 50a and 50b. However, the first water pip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by assembling the bottom structure 10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structures 50a and 50b to each other.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로관(1)의 바닥 구조체(10)는 일단이 계단형인 안치부(11)를 포함한다. 바닥 구조체(10)의 상단면에는 바닥 구조체(10)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13a)(13b)이 형성되며, 각각의 끼움홈(13a)(13b)의 인접부분에는 그 외측으로 바닥 구조체(10)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공(15a 내지 15d)이 형성된다. 3, the bottom structure 10 of the first water pipe 1 includes a settling portion 11 having a stepped e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tructure 10, a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13a and 13b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or structure 10, and adjacent portions of each of the fitting grooves 13a and 13b are forme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5a to 15d penetrating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bottom structure 10 are formed to the outside.

또한, 제1 수로관(1)의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특히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는 서로 대칭구조이므로 제1 측벽 구조체(50a)만을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50a and 50b of the first water pipe 1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Particular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50a and 50b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Only the sidewall structure 50a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 구조체(50a)는 "ㄴ"자형을 갖는다. 이하, 제1 측벽 구조체(50a)를 벽 구조체(51)와 수평 구조체(53)로 구분한다. 제1 측벽 구조체(50a)는 그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벽 구조체(51)의 단면(즉, 우측단면)과 그 단면과 마주보는 수평 구조체(53)의 단면(즉, 상단면; 도면상에는 점선으로 표시됨) 사이에 형성된 보강용 리브(55)를 포함하며, 벽 구조체(51)는 수평 구조체(53)에 대해서 수직하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sidewall structure 50a has a “b” shape. Hereinafter, the first side wall structure 50a is divided into a wall structure 51 and a horizontal structure 53. The first sidewall structure 50a has a cross section (ie, a right end face) of the wall structure 51 and a cross section (ie, a top face thereof) facing the cross section (ie, a top face;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the drawing) for structural stability thereof. And a reinforcing rib 55 formed therebetween, and the wall structure 51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structure 53.

벽 구조체(51)의 양 단부(59a)(59b)는 각각의 계단부(60a)(60b)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 계단부(60a)(60b)는 교호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포개질 수 있다.Both ends 59a and 59b of the wall structure 51 are formed with respective stepped portions 60a and 60b, and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portions 60a and 60b are formed alternately so as to cover each other. Can be modified.

그리고, 상술한 리브(55)에는 복수의 홈부(63a)(63b)가 형성되고, 각각의 홈부(63a)(63b)는 수평 구조체(53)를 관통하는 결합공(65a)(65b)을 포함하며, 이러한 결합공(65a)(65b)을 포함하는 홈부(63)의 갯수는 하나의 끼움홈(13a)에 인접한 결합공(15a)(15b)의 갯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63a and 63b are formed in the rib 55 described above, and each of the groove portions 63a and 63b includes coupling holes 65a and 65b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structure 53. The number of the grooves 63 including the coupling holes 65a and 65b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coupling holes 15a and 15b adjacent to the fitting groove 13a.

수평 구조체(53)의 하단면에는 제1 측벽 구조체(50a)의 길이방향으로 띠형의 끼움 돌출부(67)가 돌출되고, 이 끼움 돌출부(67)는 끼움홈(13a)(13b) 중 하나의 끼움홈(13a)과 결합된다(도 3 참조). 참조부호 (69)는 측벽 구조체(50a)를 운반 및 이동시키기 위한 운반용 고리이다.A band-shaped fitting protrusion 67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structure 5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idewall structure 50a, and the fitting protrusion 67 fits one of the fitting grooves 13a and 13b. Is engaged with the groove 13a (see FIG. 3). Reference numeral 69 is a carrying ring for carrying and moving the side wall structure 50a.

본 발명의 제1 수로관(1)은 이와 같은 구조의 바닥 구조체(10)와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가 서로 조립되어 완성되며, 그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In the first water pip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tructure 10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structures 50a and 50b of such a structure are assembled to each other, and the assembly process is as follows.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바닥 구조체(10)의 상단면에는 제1 측벽 구조체(50a)가 안치된다. 이때, 바닥 구조체(10)의 끼움홈(13a)에는 제1 측벽 구조체(50a)의 끼움 돌출부(67)가 결합되고, 바닥 구조체(10)의 결합공(15a)(15b)의 상측에는 제1 측벽 구조체(50a)의 결합공(65a)(65b)이 위치된다. Referring back to FIG. 2, the first sidewall structure 50a is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tructure 10. 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67 of the first side wall structure 50a i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13a of the bottom structure 10, and the first side of the coupling hole 15a and 15b of the bottom structure 10 is provided. Coupling holes 65a and 65b of the sidewall structure 50a are located.

그 후, 제1 측벽 구조체(50a)의 결합공(65a)(65b)과 이에 대응하는 바닥 구조체(10)의 결합공(15a)(15b)에는 볼트(70)가 삽입되고, 마지막으로 바닥 구조체(10)의 하단면으로 돌출된 볼트(70)의 일부분에 와셔(도시하지 않았음)와 너트(80)를 견고하게 체결하면서 바닥 구조체(10)에 제1 측벽 구조체(50a)를 조립시킨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바닥 구조체(10)에 제2 측벽 구조체(50b)를 조립하면, 제1 수로관(1)이 완성된다. 이와는 달리 바닥 구조체(10)의 끼움홈(13a)(13b)에 일시에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의 끼움 돌출부(67)를 결합시킨 다음 조립하여 제1 수로관(1)을 완성할 수도 있다.Thereafter, bolts 70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65a and 65b of the first sidewall structure 50a and the coupling holes 15a and 15b of the bottom structure 10 corresponding thereto. The first side wall structure 50a is assembled to the bottom structure 10 while fastening the washer (not shown) and the nut 80 to a part of the bolt 70 protru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10. When the second side wall structure 50b is assembled to the bottom structure 10 in the same manner, the first water pipe 1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the fitting projections 67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structures 50a and 50b are temporarily joined to the fitting grooves 13a and 13b of the bottom structure 10, and then assembled to assemble the first channel tube 1. You can also complete

도 5는 각각의 제1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우선하여, 조립된 수로관(1)의 바닥 구조체(10)의 안치부(11)에 안치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수로관(1')의 바닥 구조체(10')의 단부를 안치시킨다.FIG. 5 shows a state in which each of the first water pipes is speeched. First, another place in which the settling portion 11 ′ is not formed in the settling portion 11 of the bottom structure 10 of the assembled water pipe 1 is shown. The end of the bottom structure 10 'of the water pipe 1' is settled.

이 경우에, 수로관(1')의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는 그에 형성된 제1 계단부(60a')(60a')가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의 제2 계단부(60b)(60b)와 포개지면서 바닥 구조체(10')의 상단면에 안치되며, 그후에 바닥 구조체(10')와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는 상술한 바닥 구조체(10)와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의 조립방법과 동일하게 조립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제1 수로관(1)을 연설하면 수로(channel)가 완성된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50a 'and 50b' of the water pipe 1 'hav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50a' formed therein. Nes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tructure 10 'while overlapping with the second stepped portions 60b and 60b of the bottom 50b, thereafter the bottom structure 10'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50a '. 50b 'is assemb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ssembly method of the floor structure 10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50a and 50b described above. In this same manner, each of the first water pipes 1 is addressed to complete a channel.

여기서, 각각의 바닥 구조체가 연설될 때에 각각의 안치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예컨대, 수로관(1)의 안치부(11)와 수로관(1')의 안치부(11') 사이의 공간부(도 5 참조), 이 공간부는 볼트와 너트 등을 체결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특히, 바닥 구조체의 끼움홈 및 그와 결합되는 측벽 구조체의 끼움 돌출부와, 측벽 구조체의 제1 및 제2 계단부는 측벽 구조체에 전달되는 측압으로부터 바닥 구조체에 대한 측벽 구조체의 조립 안정성을 유지시킨다.Here, when each floor structure is addressed,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each set portion, for example, between the settle portion 11 of the water channel 1 and the set portion 11 'of the water channel 1'. The space portion (see FIG. 5), which is used as a space for fastening bolts and nuts. In particular, the fitting groove of the floor structure and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side wall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portions of the side wall structure maintain the assembly stability of the side wall structure to the floor structure from the sid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side wall structure.

도 6과 도 7은 바닥 구조체(10)의 변형예(10a)(10b)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은 바닥 구조체(10)의 상단면에 복수의 돌기부(91)가 형성됨을, 도 7은 바닥 구조체(10)의 상단면에 복수의 유공부(93)가 형성됨을 각각 보여주고 있다. 돌기부(91)는 각종 어패류 등의 서식지 및 특히 유속이 빠를 경우 어패류 등의 피난처 및 이동로로 제공되고, 유공부(93)는 수생식물(예컨대, 수초)등이 자생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된다. 유공부(93) 내에는 수생식물의 뿌리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바닥 구조체(10b)에서 수생식물이 자생할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각종 어패류 등이 모여들기 때문에 생태계 보호에 큰 도움을 줄 수가 있다.6 and 7 show modified examples 10a and 10b of the floor structure 10, respectively, and FIG. 6 shows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91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loor structure 10. Shows that the plurality of holes 93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tructure 10, respectively. Protrusions 91 are provided to habitats such as various shellfish and shellfish, in particular when the flow rate is high, such as shelter and moving paths such as fish and shellfish, and the pore 93 is used as a place where aquatic plants (eg, plants) can grow. . In the pore 93, the root of the aquatic plant is located. As such, when aquatic plants grow natively in the bottom structure 10b, various kinds of fish and shellfish naturally gather, which can greatly help to protect the ecosystem.

특히, 상술한 각각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10a)(10b)는 돌기부(91) 및 유공부(93)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닥 구조체(10)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와 조립되어 새로운 변형된 수로관(도시하지 않았음)으로 완성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된 수로관은 제1 수로관(1)을 조립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또한 각각의 변형된 수로관의 연설방법도 각각의 제1 수로관(예컨대, 수로관(1)에 수로관(1')을 연설하기 위한 방법 )을 연설하는 방법과 동일하다.In particular, each of the above-described deformed floor structures 10a and 10b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floor structure 10 except for the protrusion 91 and the hole 9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s are the same. It can be assembled with the structures 50a and 50b to be completed with a new modified water pipe (not shown), which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first water pipe 1, and also for each modified water pipe. The method of speaking of the water pipes is also the same as the method of speaking each of the first water pipes (for example, a method for addressing the water pipes 1 'to the water pipe 1).

한편, 제1 수로관 및 변형된 수로관에 있어서, 끼움홈(13a)(13b) 및 결합공(15a 내지 15d)과, 리브(55a)에 형성된 결합공(65a)(65b)을 포함하는 홈부(63a)(63b)와, 끼움 돌출부(67)의 갯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된 것으로서,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irst water pipe and the modified water pipe, the groove portion 63a includes fitting grooves 13a and 13b and coupling holes 15a to 15d and coupling holes 65a and 65b formed on the rib 55a. ) 63b and the number of fitting projections 67 are not limited as shown in FIGS. 1 to 6, but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e number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cessary.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B-B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각각의 제2 실시예의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i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wall structure constituting the water pip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water pipe of each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oken.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로관(이하, " 제2 수로관"이라고 한다)(100)의 구조는 상술한 제1 수로관(1)의 구조와 유사하다.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structure of the water pi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water pipe")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first water pipe 1 described above.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수로관(100)의 바닥 구조체(110)의 구조는 제1 수로관(1)의 바닥 구조체(10)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제2 수로관(100)의 바닥 구조체(110)구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수로관(1)의 바닥 구조체(10)의 구조와 동일하게 안치부(11)와, 한 쌍의 끼움홈(13a)(13b)과 그리고 끼움홈(13a)(13b)에 인접하는 복수의 결합공((15a) 와 (15c)는 도 9에 도시되어 있고, (15b) 와 (15d)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포함하며, 그 형성 위치 또한 제1 수로관(1)의 바닥 구조체(10)와 동일하다.To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tructure 110 of the second water pip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tructure 10 of the first water pipe (1). That is, although not shown, the bottom structure 110 of the second water pipe 100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tructure 10 of the first water pipe 1, the mounting portion 11 and a pair of fitting grooves 13a. 13b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djacent to the fitting grooves 13a and 13b (15a and 15c are shown in FIG. 9 and 15b and 15d are not shown). It includes, the formation position is also the same as the bottom structure 10 of the first water pipe (1).

하지만, 제2 수로관(100)의 한 쌍의 측벽 구조체(150a)(150b)의 구조는 제1 수로관(1)의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의 구조와 다소 구조상의 차이가 있다. 즉, 제1 수로관(1)의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는 바닥 구조체(10)에 대해서 직강하형의 수직구조인 반면에, 제2 수로관(100)의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150a)(150b)는 바닥 구조체(110)에 대해서 경사구조를 갖는다는 것이다(도 8과 도 9 참조). 이러한 구조는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150a)(150b)에 전달되는 측압(즉, 토압)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게다가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However, the structure of the pair of side wall structures 150a and 150b of the second water pipe 100 differs somewhat from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structures 50a and 50b of the first water pipe 1. There is.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50a and 50b of the first water pipe 1 ar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tructure 10, while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of the second water pipe 100 are vertical. The two sidewall structures 150a and 150b have an inclin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tructure 110 (see FIGS. 8 and 9). Such a structure can effectively reduce the side pressure (ie, earth pressure)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150a and 150b, and also provide an advantage of appropriately respon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제2 수로관(100)의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150a)(150b)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특히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150a)(150b)는 서로 대칭구조이므로 제1 측벽 구조체(150a)만을 설명한다.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150a and 150b of the second water pip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as follows.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150a and 150b are symmetric with each other. Therefore, only the first sidewall structure 150a will be describ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 구조체(150a)는 "ㄴ"자형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제1 측벽 구조체(150a)를 벽 구조체(151)와 수평 구조체(153)로 구분한다. 벽 구조체(151)는 수평 구조체(153)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벽 구조체(151)의 단면(즉, 우측단면)과 그 단면과 마주보는 수평 구조체(153)의 단면(즉, 상단면; 도면상에는 점선으로 표시됨) 사이에는 보강용 리브(55)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0, the first sidewall structure 150a has a "b" shape. Hereinafter, the first sidewall structure 150a is divided into a wall structure 151 and a horizontal structure 153. The wall structure 151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tructure 153, and has a cross section (ie, a right end surface) of the wall structure 151 and a cross section (ie, a top surface) of the horizontal structure 153 facing the cross section. Reinforcing ribs 55 are formed between each other).

이와 같은 제1 측벽 구조체(150a)에 형성된 구성요소는 제1 수로관(1)의 제1 측벽 구조체(50a)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간단히 설명하면, 벽 구조체(151)의 양 단부(59a)(59b)에는 서로 포개질 수 있는 각각의 계단부(60a)(60b)가 형성되고, 상술한 리브(55)에는 복수의 홈부(63a)(63b)가 형성되고, 홈부(63a)(63b)는 결합공(65a)(65b)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수평 구조체(153)의 하단면에는 끼움 돌출부(67)가 형성된다. 참조부호 (69)는 측벽 구조체(150a)를 운반 및 이동시키기 위한 운반용 고리이다.The components formed on the first sidewall structure 150a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the first sidewall structure 50a of the first water pipe 1. In brief, both end portions 59a and 59b of the wall structure 151 are formed with stepped portions 60a and 60b that can b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the ribs 55 described above have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63a. ) 63b is formed, and the groove portions 63a and 63b include coupling holes 65a and 65b,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tting protrusion 67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structure 153. Reference numeral 69 is a carrying ring for carrying and moving the sidewall structure 150a.

본 발명의 제2 수로관(100)은 상술한 바닥 구조체(110)와 측벽 구조체(150a)로 완성되며, 특히 제2 수로관(100) 조립방법은 제1 수로관(1)의 조립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기술을 생략하고, 완성된 제2 수로관(100)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The second water pip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with the above-described bottom structure 110 and the side wall structure 150a, and in particular,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second water pipe 100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first water pipe 1. Omitting the description, the completed second water pipe 100 is shown in FIGS. 8 and 9.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수로관을 연설하는 방법(예컨대, 수로관(100)에 수로관(100')을 연설하기 위한 방법)도 각각의 제1 수로관을 연설하는 방법(예컨대, 수로관(1)에 수로관(1')을 연설하기 위한 방법)과 동일하다. Also, as shown in FIG. 11, a method of speaking each second water pipe (eg, a method for speaking the water pipe 100 ′ to the water pipe 100) also a method of speaking each first water pipe (eg, Method for addressing the water pipe 1 'to the water pipe 1).

도 12 및 도 13은 바닥 구조체(110)의 변형된 예(110a)(110b)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변형된 바닥 구조체(110a)(110b)의 구조는 제1 수로관(1)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10a)(10b)(도 6 및 도 7 참조)의 구조와 동일하며, 그 효과 또한 제1 수로관(1)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10a)(10b)와 동일하다. 12 and 13 show modified examples 110a and 110b of the floor structure 110, respectively, wherein the structure of the modified floor structures 110a and 110b is a modified bottom of the first water pipe 1;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structures 10a and 10b (see FIGS. 6 and 7), and the effect thereof i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modified bottom structure 10a and 10b of the first water pipe 1.

그리고, 제2 수로관(100)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110a)(110b)는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150a)(150b)와 조립되어 새로운 변형된 수로관(도시하지 않았음)을 완성할 수 있고, 이러한 변형된 수로관은 제2 수로관(100)의 조립방법과 동일하며, 각각의 변형된 수로관을 연설하는 방법 또한 각각의 제2 수로관을 연설하는 방법(예컨대, 수로관(100)에 수로관(100')을 연설하기 위한 방법)과 동일하다.In addition, the modified bottom structures 110a and 110b of the second water pipe 100 may be assembl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structures 150a and 150b to complete a new modified water pipe (not shown). The modified water pipe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second water pipe 100, and the method of speaking each of the modified water pipes is also a method of speaking each of the second water pipes (for example, the water pipe 100 to the water pipe 100). Method for speaking ').

한편, 제2 수로관(100) 및 변형된 수로관에 있어서, 끼움홈(13a)(13b) 및 결합공(15a 내지 15d)과, 리브(55)에 형성된 결합공(65a)(65b)을 포함하는 홈부(63a)(63b)와, 끼움 돌출부(67)의 갯수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된 것으로서,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 water pipe 100 and the modified water pipe, the fitting grooves 13a and 13b and coupling holes 15a to 15d and coupling holes 65a and 65b formed in the rib 55 are included. The number of the groove portions 63a and 63b and the fitting projections 67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s. 8 to 13 and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number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cessary.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C-C선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각각의 제3 실시예의 수로관이 각각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ip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wall structure constituting the water pip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pipe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addressed.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수로관(이하, "제3 수로관"이라 한다)(200)의 구조는 제1 수로관(1)의 구조와 대체로 유사하다. 즉 제3 수로관(200)의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250a)(250b)가 제1 수로관(1)의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에는 없는 복수의 식생부(203a)(203b)를 구비한 것만을 제외하고는 제1 및 제2 측벽구조체(50a)(50b)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structure of the water pi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water pipe") 200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water pipe 1. That is, the plurality of vegetation parts 203a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structures 250a and 250b of the third water pipe 200 are not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structures 50a and 50b of the first water pipe 1.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50a and 50b, except that the 203b is provided.

여기서 식생부(植生部; 203a, 203b)는 식물(예컨대, 잔디)이 식재되고 식재된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장소이고, 식생부(203a)(203b)에는 식생용 흙이 담겨진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부(203a)(203b)에는 배수구(205a)(205b)가 구비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205a)(205b)는 식생부(203a)(203b)가 부착된 단면(즉, 좌측단면;도시하지 않았음)에서 이와 대응되는 단면(즉, 우측단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배수구(205a)(205b)는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250a)(25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Here, the vegetation part 203a, 203b is a place where a plant (for example, grass) is planted and the planted plant may grow, and the vegetation part 203a, 203b contains the vegetation soil. As shown in FIG. 15, the vegetation parts 203a and 203b are provided with drain holes 205a and 205b, and as shown in FIG. 16, the drain holes 205a and 205b are vegetation parts 203a and 203b. Is formed to penetrate from a cross section (i.e., left cross section; not shown) to which a cross section is attached (i.e., a right cross sec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ba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250a) 250b.

이러한 배수구(205a)(205b)는 측벽 구조체(250a)(250b)의 배토(背土)에 존재하는 물을 배수하는 역할을 하고, 배수구(205a)(205b)를 통해 배수된 물은 식생부(203a)(203b)로 유입되어 식물 성장용으로 이용된다. 더욱이, 식생부(203a)(203b)는 배수구(205a)(205b)를 통해 과다하게 유입되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식생부용 배수구(도시하지 않았음)를 더욱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측벽 구조체(250a)(250b)의 배토(背土)에 존재하는 물이 배수구(205a)(205b)에 의해서 배수되기 때문에 측벽 구조체(250a)(250b)의 배토(背土) 즉, 지반을 더욱 안정화시킨다. The drains 205a and 205b serve to drain the water existing in the topsoil of the sidewall structures 250a and 250b, and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drains 205a and 205b is a vegetation part ( 203a) and 203b are used for plant growth. Furthermore, the vegetation parts 203a and 203b may further include vegetation drains (not shown) capable of draining the excess water flowing through the drains 205a and 205b, in particular the sidewall structure ( Since water existing in the tops of the 250a and 250b is drained by the drains 205a and 205b, the tops of the sidewall structures 250a and 250b, that is, the ground is further stabilized.

상술한 바와 같이, 식생부(203a)(203b)를 포함하는 제3 수로관(200)은 자연친화적인 구조체이다. 즉, 식생부(203a)(203b)에서 자생하는 식물은 비교적 작은 조류 및 각종 곤충류 등이 서식 및 번식할 수 있는 장소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water pipe 200 including the vegetation parts 203a and 203b is a nature friendly structure. That is, the plants native to the vegetation parts 203a and 203b are provided as places where relatively small birds and various insects can inhabit and breed.

이러한 특성을 갖는 제3 수로관(200)은 그 구조가 제1 수로관(1)의 구조와 유사하다. 설명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로관(200)의 구조는 식생부(203a)(203b)을 제외하고는 제1 수로관(1)의 구조와 동일하다. 더욱 설명하면, 제3 수로관(200)의 바닥 구조체(210)와, 식생부(203a)(203b)를 제외한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250a)(250b)는 제1 수로관(1)의 바닥 구조체(10)와,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50a)(50b)와 동일하다. 더욱이, 제3 수로관(200)의 바닥 구조체(210)는 제2 수로관(100)의 바닥 구조체(110)와도 동일하다. 여기서, 식생부(203a)(203b)는 완성된 제3 수로관(20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벽 구조체(51)의 단면(도 14 및 도 15 참조)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식생부(203a)(203b) 및 배수구(205a)(205b)의 갯수는 한정된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된 것으로서, 그 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The third water pipe 200 having such characteristics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at of the first water pipe 1. Referring to FIG. 16, the structure of the third water pipe 2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water pipe 1 except for the vegetation parts 203a and 203b.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structure 210 of the third water pipe 200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250a and 250b except for the vegetation parts 203a and 203b are the bottom of the first water pipe 1. The structure 10 is identical to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structures 50a and 50b. In addition, the bottom structure 210 of the third water pipe 200 is the same as the bottom structure 110 of the second water pipe 100. Here, the vegetation parts 203a and 203b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cross section (see FIGS. 14 and 15) of the wall structure 51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leted third water pipe 200, and FIGS. 14 to 15. The number of vegetation parts 203a and 203b and the drains 205a and 205b shown in FIG. 17 is not limited and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number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cessary.

이에 따라, 제3 수로관(200)은 제1 및 제2 수로관(1)(100)의 조립방법과 동일하며, 각각의 제3 수로관을 연설하는 방법(예컨대, 수로간(200)에 수로관(200')을 연설하기 위한 방법)도 각각의 제1 및 제2 수로관을 연설하는 조립방법(예컨대, 수로간(1)에 수로관(1')을 연설하기 위한 방법 및 수로관(100)에 수로관(100')을 연설하기 위한 방법)과 동일하다(도 17 참조).Accordingly, the third water pipe 200 is the same as the assembly method of the first and second water pipes 1 and 100, and the method of addressing each of the third water pipes (eg, the water pipe 200 to the channel 200). ') Is also a method of assembl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ater pipes (e.g., a method for addressing the water pipe 1' to the inter-channel 1 and the water pipe 100 at the water pipe 100). Method for speaking ') (see FIG. 17).

도 18과 도 19는 바닥 구조체(210)의 변형된 예(210a)(210b)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변형된 바닥 구조체(210a)(210b)는 제1 수로관(1)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10a)(10b)(도 6 및 도 7 참조)의 구조 및 효과와, 제2 수로관(100)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110a)(110b)의 구조(도 12와 도 13 참조) 및 효과와 동일하다. 18 and 19 show modified examples 210a and 210b of the floor structure 210, respectively, wherein the modified floor structures 210a and 210b are the modified floor structures (1) of the first water pipe (1). 10a) 10b (see FIGS. 6 and 7) and the same structure (see FIGS. 12 and 13) and effects of the modified bottom structures 110a and 110b of the second water pipe 100. Do.

그리고, 제3 수로관(200)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210a)(210b)는 제1 및 제2 측벽 구조체(250a)(250b)와 조립되어 새로운 변형된 수로관(도시하지 않았음)을 완성할 수 있고, 이러한 변형된 바닥 구조체(210a)(210b)는 제3 수로관(210)의 조립방법과 동일하게 조립되며, 각각의 변형된 수로관을 연설하는 방법 또한 각각의 제3 수로관이 연설하는 방법(예컨대, 수로간(200)에 수로관(200')을 연설하기 위한 조립방법)과 동일하다.In addition, the modified bottom structures 210a and 210b of the third water pipe 200 may be assembl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structures 250a and 250b to complete a new modified water pipe (not shown). The modified floor structures 210a and 210b are assemb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ssembly method of the third water pipe 210, and the method of speaking each of the modified water pipes also includes the method of speaking each of the third water pipes (e.g., , Assembling method for addressing the water pipe 200 'to the waterway 200).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수로관에서 파생된 새로운 수로관(300)(400)(500)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20 to 22 show new water pipes 300, 400 and 500, respectively, derived from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의 수로관(300)은 제1 내지 제3 수로관(1)(100)(200)이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10)(110)(210)의 구조와 동일한 바닥 구조체(310)와, 제1 수로관(1)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50b)와, 그리고 제2 수로관(100)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150a)가 서로 조립되어 완성된 것이다. 도면상에서는, 좌측에는 측벽 구조체(50b)가, 우측에는 측벽 구조체(150a)가 위치되어 있지만, 이는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측벽 구조체(50b)와 측벽 구조체(150a)의 조립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The water pipe 300 of FIG. 20 has the same bottom structure 310 as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tructures 10, 110, and 210 included in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1, 100, and 200, and the first One side wall structure 50b included in the water pipe 1 and one side wall structure 150a included in the second water pipe 100 are assembled to each other. In the drawing, the side wall structure 50b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and the side wall structure 150a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ssembly positions of the side wall structure 50b and the side wall structure 150a may be interchanged.

도 21의 수로관(400)은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이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10)(110)(210)의 구조와 동일한 바닥 구조체(410)와, 제1 수로관(1)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50b)와, 그리고 제3 수로관(200)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250a)가 서로 조립되어 완성된 것이다. 도면상에는, 좌측에는 측벽 구조체(50b)가, 우측에는 측벽 구조체(250a)가 위치되어 있지만, 이는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측벽 구조체(50b)와 측벽 구조체(250a)의 조립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The water pipe 400 of FIG. 21 has the same bottom structure 410 as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tructures 10, 110, and 210 included in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1, 100, and 200, and the first One side wall structure 50b included in the water pipe 1 and one side wall structure 250a included in the third water pipe 200 are assembled to each other. In the drawing, the side wall structure 50b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and the side wall structure 250a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ssembly positions of the side wall structure 50b and the side wall structure 250a may be interchanged.

도 22의 수로관(500)은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이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10)(110)(210)의 구조와 동일한 바닥 구조체(510)와, 제2 수로관(100)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150b)와, 제3 수로관(200)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250a)가 서로 조립되어 완성된 것이다. 도면상에는, 좌측에는 측벽 구조체(150b)가, 우측에는 측벽 구조체(250a)가 위치되어 있지만, 이는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측벽 구조체(150b)와 측벽 구조체(250a)의 조립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The water pipe 500 of FIG. 22 has the same bottom structure 510 as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tructures 10, 110, and 210 included in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1, 100, and 200, and the second water pipes 500 and 2. One side wall structure 150b included in the water pipe 100 and one side wall structure 250a included in the third water pipe 200 are assembled to each other. In the drawing, the sidewall structure 150b is positioned at the left side and the sidewall structure 250a is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ssembly positions of the sidewall structure 150b and the sidewall structure 250a may be interchanged.

한편, 상술한 수로관(300 내지 500)은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이 포함하는 각각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10a, 10b)(110a, 110b)(210a, 210b)를 사용하여 새로운 각각의 변형된 수로관(도시하지 않았음)을 완성할 수 있고, 또한 수로관(300 내지 500)은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의 조립방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각각의 수로관(300 내지 500)을 연설하는 방법 또한 각각의 제1 내지 제 3 수로관(1)(100)(200)을 연설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Meanwhile, the aforementioned water pipes 300 to 500 are each deformed bottom structures 10a, 10b, 110a and 110b included in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1, 100 and 200. Each new modified waterway pipe (not shown) can be used, and the waterway pipes 300 to 500 are the same as the assembly method of the first to third waterway pipes (1) (100) (200). . In addition, the method of speaking each of the water pipes 300 to 500 is also the same as the method of speaking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1, 100 and 200.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에 의해서 수로관(300 내지 500)이 파생될 수 있는 것은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이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10)(110)(210)가 동일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더욱이 이러한 바닥 구조체(10)(110)(210)와 조립되는 각 측벽 구조체(50a, 50b)(150a, 150b)(250a, 250b)의 부분의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As such, the water pipes 300 to 500 may be derived by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1, 100 and 200, which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1, 100 and 200 include.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floor structures 10, 110, 210 are identical, and furthermore, each sidewall structure 50a, 50b, 150a, 150b, 250a, which is assembled with such floor structures 10, 110, 210.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part of 250b) is the same.

따라서, 시공자는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이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10)(110)(210)와 다양한 형태의 측벽 구조체(50a, 50b)(150a, 150b)(250a, 250b)를 이용하여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하여 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actor may use the floor structures 10, 110, 210 and the side wall structures 50a, 50b, 150a, 150b of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1, 100, 200. 250a, 250b)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to form a channel.

그리고, 제1 내지 제 3수로관 및 상술한 변형된 수로관을 조립 완성하는 바닥 구조체와 측벽 구조체의 접합면 및 각각의 측벽 구조체의 접합면(즉,계단부)에는 엑폭시수지 또는 고무패킹 또는 코킹재(calking material) 등을 사용하여 수밀성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좋다. 게다가,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부분 등에서도 코킹재 등을 사용하면 더욱 안정된 수로관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poxy resin or a rubber packing or caulking material may be provided on the joint surface of the bottom structure and the side wall structure and the joint surface (ie, the staircase) of each of the side wall structures to assemble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and the modified water pipes. (calking material) is used to maintain the water tightnes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stable water pipe by using a caulking material or the like in the part where the bolt and the nut are faste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수로관은 조립형태로 완성되기 때문에 그 효과 또한 다양하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기초로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부재에 대한 도면부호의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leted in an assembled form, the effects also vary. Hereinafter, the effec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member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수로관은 조립가능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작, 운반, 그리고 시공이 편리하다.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수로관은 각각의 바닥 구조체와 측벽 구조체에 의해서 조립되기 때문에 바닥 구조체를 위한 거푸집 및 측벽 구조체를 위한 거푸집을 개별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거푸집의 제작이 용이하며 수요에 따라 바닥 구조체 또는 측벽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고, 재고관리에도 편리하며, 또한 거푸집의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an assemblable form, they are convenient to manufacture, transport, and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are assembled by the respective bottom structures and the side wall structures, the formwork for the floor structure and the formwork for the side wall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Therefore,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formwork,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loor structure or sid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demand, it is convenient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also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formwork.

또한, 제1 내지 제3 수로관를 완성하기 위한 바닥 구조체와 측벽 구조체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단계에서 부터 개별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바닥 구조체와 측벽 구조체는 완성된 수로관보다 크기 및 무게가 작다. 따라서 많은 수의 바닥 구조체 및 측벽 구조체를 운송수단에 의해서 일시에 대량으로 시공현장으로 운송할 수 있어 물류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수로관을 완성하는 바닥 구조체와 측벽 구조체의 조립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단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며, 특히 바닥 구조체와 측벽 구조체의 크기 및 무게가 완성된 수로관보다 작기 때문에 소형의 건설기계로도 제1 내지 제3 수로관을 조립하는데 충분하므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ttom structure and the side wall structures for completing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ar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manufacturing step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structure and the side wall structures are smaller in size and weight than the completed water pipes. Therefore, a large number of floor structures and side wall structures can be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in large quantities at a time by means of transportation, thereby reducing the logistics cost. And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ottom structure and the side wall structure to complete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is simple as described above, so the construction is easy, especially sin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bottom structure and the side wall structure is smaller than the completed water pipes Since construction machinery is sufficient to assemble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수로관은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수로관이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는 모두 동일하고, 그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는 제1 내지 제3 수로관을 구성하는 측벽 구조체의 부분 또한 모두 동일하다. 이에 따라, 바닥 구조체에 제1 내지 제3 수로관의 측벽 구조체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립된 수로관을 적용시킬 수 있다(도 20 내지 도 22 참조).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applied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structures included in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are all the same, and the parts of the side wall structures constituting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assembled with the bottom structure are also the same. Accordingly, since the side wall structures of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can be variously applied to the floor structure, the water pipes assembled in various form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see FIGS. 20 to 22).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수로관은 파손된 부분의 보수 등과 같은 관리가 편리하다. 설명하면, 제1 내지 제3 수로관은 바닥 구조체와 측벽 구조체에 의해 조립형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수로관으로 시공된 후에, 측벽 구조체의 하나 또는 모두가 파손된 경우에는 그 파손된 하나 또는 모두의 측벽 구조체와 동일한 하나 또는 모두의 측벽 구조체만을 교체하면 되고, 바닥 구조체가 파손된 경우에는 새로운 바닥 구조체로 교체한 다음 파손된 바닥 구조체에서 사용된 측벽 구조체를 그대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관리가 쉽고, 관리비용 또한 절감된다. The first to third waterway pip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sy to manage, such as repair of damaged parts. In other words, since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are constructed by the bottom structure and the side wall structures, if one or all of the side wall structures are broken after being constructed with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the broken one Alternatively, only one or all sidewall structures that are identical to all sidewall structures need to be replaced, and if the floor structure is broken, it is easy to manage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place it with a new floor structure and then use the sidewall structure used in the broken floor structure. In addition, administrative costs are also reduced.

본 발명의 수로관은 자연친화적이다.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어패류 등의 서식 및 번식을 유도할 수 있는 돌기부 또는 유공부를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와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식생부를 포함하는 측벽 구조체가 제공되기 때문에 자연친화적이다. 또한, 각각의 측벽 구조체의 일단면(즉, 외부로 노출되는 단면)에는 자연친화적인 무늬(예컨대, 물결무늬) 등이 더욱 부가될 수 있다.The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ature friend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ide wall structure including a bottom structure including protrusions or perforations capable of inducing the breeding and propagation of various fish and shellfish and a vegetation part in which plants can grow is provided. to be. In addition, a natural pattern (eg, a wave pattern) may be further added to one end surface (ie, a cross sec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each sidewall structure.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수로관은 그로부터 시공되는 수로의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한다. 설명하면, 각각의 제1 내지 제3 수로관은 각각의 측벽 구조체의 대응 계단부가 서로 포개지면서 수로를 시공하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의 측벽 구조체에 측압(즉, 토압)이 전달되어도 그 전달된 측압은 다른 측벽 구조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쉽게 상쇄된다. 이에 따라. 수로의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다.The first to third waterway tub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waterway constructed therefrom. In other words, since each of 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constructs a channel with corresponding step portions of each side wall structu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even when side pressure (i.e., earth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side wall structure of any part, the delivered side pressure is It is easily offset because it is transferred to other sidewall structures. Accordingly.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hannel is maximized.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수로관은 제작, 운반 그리고 시공에서 발생하는 비용 및 파손에 따른 보수 등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The first to third water pip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nagement costs, such as the costs incurred in the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and repair due to damage. This is as described above.

지금까지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s merely illustrati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로관은 조립가능한 형태의 바닥 구조체와 측벽 구조체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작, 운반 그리고 그를 사용하여 수로관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는 측벽 구조체는 다양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수로관을 제공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수로관은 조립가능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파손된 부분의 보수 등과 같은 관리가 편리하고, 바닥 구조체와 측벽 구조체에 어패류용 돌기부 또는 식물용 유공부 및 식생부를 더욱 구비하므로 자연친화적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bottom structure and side wall structure of an assemblable form, the water pipe can be easily constructed, transported and used to construct the water pipe, and the side wall structure to be assembled with the floor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Due to the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can provide a variety of water pipes, because the water pip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ssembly is easy to manage, such as repair of the damaged parts, and the protrusions or plants for fish and shellfish on the floor structure and the side wall structure It is nature friendly because it has more pores and vegetation parts.

또한, 본 발명의 수로관은 측벽 구조체에 각각의 측벽 구조체가 끼움 연설될 수 있는 계단부를 더욱 구비하므로, 이러한 측벽 구조체로 시공된 수로의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나며, 또한 조립가능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그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p portion to which each side wall structure can be fitted to the side wall structure, the structural cost of the water channel constructed with such side wall structure is excellent and is provided in an assembling form, so that the management cost Can reduce the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i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바닥 구조체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or structure constituting the water pip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wall structure constituting the water pip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각각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pipe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speeched;

도 6은 도 3의 하나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modified floor structure of FIG. 3, FIG.

도 7은 도 3의 다른 하나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modified floor structure of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i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 10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wall structure constituting the water pip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각각의 제2 실시예의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pipes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speeched;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의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modified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의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modified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사시도,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ip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의 C-C선 단면도,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 16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wall structure constituting the water pip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각각의 제3 실시예의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pipes of the third embodiment are speeched;

도 1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의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modified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변형된 바닥 구조체의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modified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20은 본 발명의 하나의 변형된 수로관의 단면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modified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변형된 수로관의 단면도,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modified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변형된 수로관의 단면도이다.22 is a sectional view of yet another modified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00, 200, 300, 400, 500 : 수로관1, 100, 200, 300, 400, 500: water pipe

10, 110, 210, 310, 410, 510 : 바닥 구조체10, 110, 210, 310, 410, 510: floor structure

50a, 50b, 150a, 150b, 250a, 250b : 측벽 구조체Side wall structure: 50a, 50b, 150a, 150b, 250a, 250b

11 : 안치부 13a, 13b : 끼움홈11: Settlement part 13a, 13b: Fitting groove

15a 내지 15d : 바닥 구조체의 결합공 51, 151 : 벽 구조체15a to 15d: joining holes of the floor structure 51, 151: wall structure

53, 153 : 수평 구조체 55 : 보강용 리브53, 153: horizontal structure 55: reinforcing rib

59a, 59b : 단부 60a, 60b : 계단부59a, 59b: end portion 60a, 60b: stepped portion

63a, 63b : 홈부 65a, 65b : 측벽 구조체의 결합공63a, 63b: groove portion 65a, 65b: coupling hole of the side wall structure

67 : 끼움 돌출부 69 : 운반용 고리67: fitting protrusion 69: carrying ring

70 : 볼트 80 : 너트70: bolt 80: nut

91 : 돌기부 93 : 유공부91: protrusion 93: hole

203a, 203b : 식생부 205a, 205b : 배수구203a, 203b: Vegetation part 205a, 205b: Drainage

Claims (14)

바닥 구조체와, 상기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수로관에 있어서,In the prefabricated water pipe comprising a bottom structure and a pair of side wall structures to be assembled with the floor structure, 상기 바닥 구조체는 상기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바닥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과, 상기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포함하며,The floor structure includes a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floor structure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or structure, and a stepped settl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loor structure. 상기 측벽 구조체는 "ㄴ"자형이고, 상기 "ㄴ"자 형은 수평 구조체와 상기 수평 구조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벽 구조체로 구분되고, 상기 벽 구조체의 양단부는 교호로 형성되는 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구조체는 끼움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The sidewall structure is a "b" shape, the "b" shape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structure and a wall structu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structure, both ends of the wall structure has a stepped portion formed alternately, A prefabricated water pip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structure includes a fitting proj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체는 상기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 구조체는 상기 벽 구조체와 상기 수평 구조체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보강용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용 리브는 결합공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The floor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floor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coupl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floor structure, wherein the side wall structure is disposed between a cross section of the wall structure and the horizontal structure facing each other. And a reinforcing rib formed, wherein the reinforcing rib includes at least one groove having a coupling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식생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3. The prefabricated water pipe of claim 2, wherein the wall structur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vegetation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의 상기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 내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4. The prefabricated water pipe of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tructur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의 상기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 내에는 복수의 유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4. The prefabricated water pip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in the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tructure. 적어도 하나의 유공부가 있는 바닥 구조체와, 상기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는 띠형의 배수구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식생부를 갖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수로관에 있어서,A prefabricated water pipe comprising a bottom structure having at least one perforated portion and a pair of sidewall structures having at least one vegetation portion having a strip-shaped drain hole assembled with the bottom structure, 상기 바닥 구조체는 상기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바닥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과, 상기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포함하며,The floor structure includes a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floor structure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or structure, and a stepped settl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loor structure. 상기 측벽 구조체는 "ㄴ"자형이고, 상기 "ㄴ"자 형은 수평 구조체와 상기 수평 구조체에 대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벽 구조체로 구분되고, 상기 벽 구조체의 양단부는 교호로 형성되는 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구조체는 끼움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The sidewall structure is a "b" shape, the "b" shape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structure and a wall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tructure, both ends of the wall structure has a stepped portion formed alternately, The horizontal structure is a prefabricated water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tting projec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체는 상기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 구조체는 상기 벽 구조체와 상기 수평 구조체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보강용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용 리브는 결합공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The floor structure of claim 6, wherein the bottom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coupl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bottom structure, wherein the sidewall structure is disposed between a cross section of the wall structure and the horizontal structure facing each other. And a reinforcing rib formed, wherein the reinforcing rib includes at least one groove having a coupling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는 상기 벽 구조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8. The prefabricated water pip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vegeta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wall structur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부는 상기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의 상기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The prefabricated water pipe of claim 8, wherein the perforations are formed in the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tructur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의 상기 한 쌍의 띠형의 끼움홈 내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The prefabricated water pip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pair of band-shaped fitting grooves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1-0081806A 2001-12-20 2001-12-20 Sectional waterway pipe KR1004757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806A KR100475748B1 (en) 2001-12-20 2001-12-20 Sectional waterway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806A KR100475748B1 (en) 2001-12-20 2001-12-20 Sectional waterway pip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298U Division KR200283240Y1 (en) 2001-12-27 2001-12-27 Sectional waterway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810A KR20020023810A (en) 2002-03-29
KR100475748B1 true KR100475748B1 (en) 2005-03-15

Family

ID=1971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806A KR100475748B1 (en) 2001-12-20 2001-12-20 Sectional waterway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7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008B1 (en) * 2012-07-03 2014-05-07 김광중 Concrete waterway with enhanced workability and watertightne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6305B (en) 2016-04-26 2018-07-31 邓雪松 Modularization water storage, water delivery and water-saving irrig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9515A (en) * 1979-03-29 1980-10-07 Sugiaki Kusatake Activated waterway
JPS58160932U (en) * 1982-04-21 1983-10-26 協同組合皆栄コンクリ−ト Block for waterway retaining wall
JPS61180214U (en) * 1985-04-20 1986-11-10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9515A (en) * 1979-03-29 1980-10-07 Sugiaki Kusatake Activated waterway
JPS58160932U (en) * 1982-04-21 1983-10-26 協同組合皆栄コンクリ−ト Block for waterway retaining wall
JPS61180214U (en) * 1985-04-20 1986-11-1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008B1 (en) * 2012-07-03 2014-05-07 김광중 Concrete waterway with enhanced workability and watertight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810A (en)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96B1 (en) A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using cell frame-work and it&#39;s construction method
KR200399797Y1 (en) fabricate breast wall block for environment
KR100475748B1 (en) Sectional waterway pipe
KR100642017B1 (en) a water conduit for environment and it&#39;s manufacture device and it&#39;s manufacture method
KR200283240Y1 (en) Sectional waterway pipe
KR100475747B1 (en) Sectional waterway pipe
KR200283241Y1 (en) Sectional waterway pipe
KR20100086150A (en) A planter with pile joint
KR100943222B1 (en) Plant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rd there of
KR100448438B1 (en) Steel frame and Section steel used therein
KR200426017Y1 (en) A Drain and Irrigation Water Road Block of Ecosystem Protection
KR200394946Y1 (en) Retaining wall block of environment vegetation
KR200236021Y1 (en) Flume Duct Having Exit Channel for Wildlife
KR200421222Y1 (en) Waterway for irrigation water
KR200313315Y1 (en) Assembly type drainage canal
KR200172273Y1 (en) A fabricated underdrain
KR20100055778A (en) The water chan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H08239891A (en) Block for box culvert and box culvert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KR101058915B1 (en) Vegetation blocks
KR200226491Y1 (en) Construct for lining
KR200352883Y1 (en) Friendly enviromental veget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construction of using the same
KR200240308Y1 (en) A prefabricated manhole making by FRP
KR200401271Y1 (en) Concrete waterway attached artificial grass
KR100447354B1 (en) Manhole Formwork and His Products
KR200320631Y1 (en) Water pipe for irrigation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