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684B1 - Assemble typ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ssemble typ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3684B1 KR100793684B1 KR1020050032405A KR20050032405A KR100793684B1 KR 100793684 B1 KR100793684 B1 KR 100793684B1 KR 1020050032405 A KR1020050032405 A KR 1020050032405A KR 20050032405 A KR20050032405 A KR 20050032405A KR 100793684 B1 KR100793684 B1 KR 1007936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block
- concrete
- vertical wall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이나 배수로의 측벽 등을 이루는 수직벽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공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외부 양측에 패널 삽입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블록과, 상기 블록의 패널 삽입홈에 끼워지는 삽입돌기가 양측 단부에 형성된 패널을 이용하여 수직벽을 구성하고 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vertical wall constituting a retaining wall or a side wall of a drainage channe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mprising: a block in which concrete placing holes for placing concrete are formed by penetrating up and down, and panel insertion grooves are extended up and down on both sides thereof; The insertion protrusions fitted into the panel insertion grooves of the block are constructed and constructed using vertical panels formed at both ends.
조립, 옹벽, 배수로, 콘크리트, 블록, 패널 Assembly, retaining wall, drainage, concrete, block, panel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벽의 제1 실시예에 사용되는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vertical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벽의 제1 실시예에 사용되는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nel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vertical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시공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wall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3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FIG. 3;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시공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away state of vertical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벽의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vertical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벽의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nel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vertical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시공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wall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도8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FIG. 8;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시공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10 is a front view showing a vertical wall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구조를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a vertical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도11의 옹벽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12 is a front view of the retaining wall of FIG. 11;
도13은 도11의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10A : 블록 10', 10A' : 바닥 블록10, 10A:
12, 12A : 콘크리트 타설공 14, 14A, 14A' : 패널 삽입홈12, 12A:
20, 20A : 패널 22 : 삽입돌기20, 20A: Panel 22: Insertion protrusion
30, 30A, 30B : 철근 40, 40A : 망상 보강재30, 30A, 30B: Rebar 40, 40A: Reticulated reinforcement
50 : 지반 60, 70 : 콘크리트50:
본 발명은 조립식 수직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vertical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옹벽이나 배수로의 측벽 등을 이루는 수직벽은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In general, the vertical wall forming the retaining wall, the side wall of the drainage channel, or the like has various structures.
옹벽은 지표기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벽체 구조물을 말하며, 이러한 옹벽은 흙을 쌓아 올릴 때나 산을 깍아 내릴 때 혹은 해안을 메울 때 필요한 것으로, 특히 최근에는 아파트의 단지 조성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Retaining wall refers to a wall structure that prevents soil from collapsing when earth-based stable slope is steeper than that. This retaining wall is necessary when building soil, cutting down mountains, or filling the coast.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t is widely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e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옹벽은, 일반 콘트리트 몰탈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거나, 혹은 돌을 쌓아 옹벽을 축조함으로서, 그 축조작업에 따른 시공상의 복잡성 때문에 공기의 지연은 물론 시공비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축조된 옹벽의 안전성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y using the general concrete mortar to build the retaining wall, or to build a retaining wall by stacking stones, not only results in the delay of the air, but also increase the construction cost due to the construction complexity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work, There were many problems with the safety of the built retaining wall.
배수로는 도로의 양측이나 아파트 또는 건물 등의 지하 주차장, 공장 등에 시공되어 빗물 등을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구조물을 말하며, 대개 바닥과 그 바닥의 양측에 수직하게 세워진 측벽을 포함한다.Drainage refers to a structure for smoothly discharging rainwater by being installed in underground parking lots, factories, etc. on both sides of a road, an apartment, or a building, and generally includes a floor and sidewalls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floor.
종래의 배수로는 주요한 구성요소들을 현장에서 직접 시공하는 현장타설 구조, 주요한 구성요소들을 미리 제작한 후 이들 구성요소들을 현장에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구조 및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단위 부품들을 이용하는 PE 구조가 널리 이용된다.Conventional gutters are widely used in the field casting structure for constructing major components directly on site, precast structure for pre-fabricating the main components and then constructing these components in the field, and PE structure using unit parts formed of plastic material. do.
배수로를 현장타설로 시공하는 구조의 경우, 현장에서 철근을 조립하고 거푸집을 설치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을 거치는 것으로 그 시공이 번거롭고 또한 공사비가 높으며 하자 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drainage path by site casting, reinforcing steel bars, installing formwork, placing concrete, and curing are difficult to construct, high construction cost, and difficult to repair.
그리고, 배수로를 프리캐스트로 시공하는 구조의 경우,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단위 구조물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중장비를 이용하여 배수로를 시공하여야 하며, 이는 현장타설 구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시공이 번거롭고 또한 공사비가 높은 단점을 갖는다. 게다가, 단위 구조물의 연결부위, 특히 곡선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단위 구조물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한 단점을 갖는다.And,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drainage channel by precast, since the weight of the unit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precast is heavy, the drainage route should be constructed using heavy equipment, which is cumbersome and costly as in the case of the site casting structure. Has a high disadvantage. In addition, leakage occurs at connection portions of the unit structure, particularly curved portions, and thus requires a separate structure for connection of the unit structure.
또한, 배수로를 PE로 시공하는 구조의 경우, 가볍고 설치가 간편하다는 장점 이 있는 반면, 온도 변화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염려가 매우 크며, 특히 강우시 주변의 토압 등에 의해 구조물이 손상되거나 들뜨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지만 여전히 측면의 보강이 어려워 내구성의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drainage pipe with PE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 and easy to install, whil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easily deformed or damaged by temperature change, and particularly, the structure is damaged or lifted due to the earth pressure around the rainfall. Is generat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method of pouring the floor concrete is adopted, but it is still difficult to reinforce the side has a very disadvantageous problem in terms of durability.
최근에는 배수로를 시공하는데 있어 H빔에 의한 철재 연결구조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실용신안등록공개번호 제2000-7246호에 제시된 것처럼, 지면에 고정되는 바탕부와, 상기 바탕부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며 정면 및 배면의 각 길이방향 중앙에 홈이 길게 형성된 측면부로 구성된 H빔과, 상기 H빔의 바탕부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바탕부에 연결되는 밑판과, 장방형으로서 그 양측면이 각각 H빔의 측면부 홈에 삽입되는 측판으로 구성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H빔과 밑판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후, 측판을 H빔 사이로 삽입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공장에서 부품별로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어 운반이 편리하고 조립 작업이 단순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시공 후 H빔이 토압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과, 철재로 형성되는 H빔의 녹 발생 및 뒤틀림 변형에 의해 콘크리트로 제작된 밑판 또는 측판의 조립이 곤란한 문제점 등을 갖는 것이었다.Recently, a steel connection structure by H beams has been used in constructing drainage channels, which are fixed to the ground and are inclined at both ends of the ground as shown i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0-7246. And an H beam including a side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in each of the longitudinal centers of the rear surface, a base plate form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base portion of the H beam and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d both sides thereof as a rectangle in the side grooves of the H beam,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side plate insert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H-beam and the bottom plate are continuously installed, the side plate is simply inserted between the H-beams, so that the parts can be produced at the factory and assembled in the field, so that the transportation is convenient and the assembly work is simplified. . However, after the construction, the H-beams are damaged by earth pressure, and the rust generation and twisting deformation of the H-beams formed of steel make it difficult to assemble the base plate or side plate made of concret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구성부품을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므로 운반이 편리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또한 토압 등의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조립식 수직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since the main components are manufactured in advance and assembled in the field, they are easy to carry, easy to install, and have sufficient rigidity so as not to be easily deformed by external force such as earth pressu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vertical wall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옹벽이나 배수로의 측벽 등을 이루는 수직벽의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공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외부 양측에 패널 삽입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블록과, 상기 블록의 패널 삽입홈에 끼워지는 삽입돌기가 양측 단부에 형성된 패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벽 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A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tical wall forming a retaining wall or a side wall of the drainage channel, the concrete pouring hole for pouring concrete is formed by penetrating up and down and the panel insertion groove on both outer sides The vertically and vertically formed block and the insertion protrusions fitted into the panel insertion grooves of the block are provided by the prefabricated vertical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nel formed at both ends.
또한, 본 발명은 옹벽이나 배수로의 측벽 등을 이루는 수직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공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외부 양측에 패널 삽입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블록을 적층하여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블록의 패널 삽입홈을 통해 패널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돌기를 끼워 넣어 블록의 사이에 패널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된 블록의 콘크리트 타설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벽 시공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vertical wall forming the retaining wall, the side wall of the drainage channel, etc., in which a concrete placing hole for placing concrete is formed through the up and down and laminated blocks formed with the panel insertion grooves up and down long on both sides And placing the panels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serting the insertion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nel through the panel insertion grooves of the block to install the panels between the blocks, and the concrete in the concrete placing hole of the laminated block. By providing a prefabricated vertical wall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pouring and curing.
또한, 본 발명은 옹벽이나 배수로의 측벽 등을 이루는 수직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공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외부 양측에 각각 나란한 복수열의 패널 삽입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블록을 적층하여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블록의 패널 삽입홈을 통해 패널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돌기를 끼워 넣어 블록의 사이에 패널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된 블록의 콘크리트 타설공과 상기 패널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벽 시공 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vertical wall forming the retaining wall, the side wall of the drainage channel, etc., wherein the concrete placing hole for placing concrete is formed through the vertically and the plurality of panel insertion grooves of the row of paralle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is extended vertically Stacking the formed block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erting the projec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nel through the panel insertion grooves of the blocks, and installing the panels between the blocks; and the concrete of the stacked blocks By providing a prefabricated vertical wall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curing by pouring concrete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our hole and the panel.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벽의 제1 실시예에 사용되는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vertical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10)은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되며 대략의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다.The
상기 블록(10)은 상하로 여러 개가 적층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이 평활한 평면을 이루거나, 또는 상부에 위치된 것과 하부에 위치된 것이 서로 맞물려 적층될 수 있도록 홈과 돌기를 갖는 것도 좋다.The
그리고, 상기 블록(10)은 내부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공(12)을 가지며, 이 콘크리트 타설공(12)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결정된다. 즉, 여러 개의 블록(10)이 적층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공(12)을 통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했을 때 하부에 위치된 블록까지 콘크리트가 충분히 타설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콘크리트 타설공(12)의 크기가 설정되어야 하며 또한 그 콘크리트 타설공(12)은 원형 기타 다각형 등 그 형상이 비교적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콘크리트의 타설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블록(10)은 외부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패널 삽입홈(14)을 가지며, 이 패널 삽입홈(14)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 모양을 갖도록 배치되어 후술하는 패널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게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필요에 따라, 가장 하부에 위치된 바닥 블록(10')은 도1의 (b)에 도시된 것 처럼 철근을 설치하기 위한 철근 장착홈(13)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 철근 장착홈(13)은 철근의 일측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If necessary, the bottom block 10 'located at the bottom is formed to have a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바닥 블록(10')의 철근 장착홈(13)은 블록을 이루는 가장자리의 상부에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철근의 일측 단부가 얹혀질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벽의 제1 실시예에 사용되는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nel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vertical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패널(20)은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판재 모양의 구조물로서 내부에는 철근 또는 철망 등의 보강부재(24)가 설치되어 강도를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24)는 패널(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중앙 부위에만 설치되거나, 패널(20)의 길이방향에 걸쳐 전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패널(20)은 양측 단부가 상기 블록(10)의 패널 삽입홈(14)에 끼워지는 삽입돌기(22)를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20)의 삽입돌기(22)가 블록(10)의 패널 삽입홈(14)에 삽입되었을 때 패널(20)의 일측 면과 블록(10)의 일측 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패널(20)에 형성된 삽입돌기(22)의 위치를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시공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의 평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시공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wall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partial cut in the vertical wall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view shown.
배수로를 시공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고 보조기층, 모래 등을 깔아 수평을 맞추며, 그 터파기된 부위의 양측 벽 부위에 바닥 블록(10')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In order to construct the drainage, the trench is dug and the base layer, sand, etc. are horizontally laid, and the bottom blocks 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wall portions of the trench.
그리고, 상기 바닥 블록(10')의 철근 장착홈(13)에 철근(30)을 설치하며, 상기 철근(30)에는 양측 단부에 보강철근(32)이 서로 평행하게 쌍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철근(30)이 철근 장착홈(1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철근이 배수로의 폭 방향으로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철근을 배수로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상기 철근(30)이 설치된 부위에는 콘크리트(60)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배수로의 바닥이 시공된다.The bottom of the drainage is constructed by pouring
또한, 상기 바닥 블록(10')의 상부에는 블록(10)이 적층되며, 적층된 블로(10)(10')의 사이에 패널(20)을 끼워 넣는다.In addition, blocks 10 are stacked on the bottom block 10 ', and the
이때, 패널(20)은 높이가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적층된 블록(10)의 경계선과 적층된 패널(20)의 경계선이 일치하지 않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At this time, the
이렇게 설치된 바닥 블록(10')과 블록(10)의 콘크리트 타설공(12)에 콘크리트(70)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The concrete 70 is poured into the bottom block 10 'and the
바람직하게는, 적층된 블록(10)의 사이에 망상 보강재(40)의 일측을 끼워 넣고 이 망상 보강재(40)는 지반(50)에 매립되어 정착시킨다. 이때, 상기 망상 보강재(40)는 블록(10)의 콘크리트 타설공(12)까지 삽입되어 그 콘크리트 타설공(12)에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와 일체화시키는 것이 좋다.Preferably, one side of the
물론, 배수로 시공의 경우, 바닥의 상면이 평활하고 매끄럽게 형성되어 물의 이동에 방해를 주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Of course, in the case of drainage construction, it is good to prevent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is formed smooth and smooth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water.
또한, 필요에 따라 블록(10)(10')의 콘크리트 타설공(12)에 철근을 수직하게 설치하여도 좋으며, 이때 철근이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망치 등을 이용하여 철근을 두드려 바닥에 침투시킬 수 있으며, 철근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reinforcing bars may b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그리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주변에 흙을 채워 정리하고 식생블록을 설치하거나 잔디 등을 심어 침하 또는 흙의 쓸려나감을 방지한다.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the surroundings are filled with soil, and the vegetation blocks are installed or grass is planted to prevent settlement or sweeping of the soil.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벽의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의 도면에서 나타낸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부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vertical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ite is omitt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10A)은 복수개의 패널이 소정 간격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나란하게 2개 이상의 복수열로 형성된 패널 삽입홈(14A)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 삽입홈(14A)이 2개의 열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The
도6의 (b)에 도시된 바닥 블록(10A')은 그 블록(10A')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패널 삽입홈(14A)과, 중앙 부위에 턱(16)이 형성되어 그에 끼워지는 패널이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떨어져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는 패널 삽입홈(14A')을 가지며, 이러한 패널 삽입홈(14A')은 패널의 하단과 바닥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타설된 콘크리트 가 그 공간을 통해 새어나갈 수 있게 한다.The
물론, 본 실시예의 바닥 블록(10A')에도 제1 실시예의 바닥 블록(10A)처럼 철근을 설치하기 위한 철근 장착홈(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철근 장착홈(18)이 형성된 바닥 블록은 배수로를 시공할 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철근 장착홈(18)이 형성되지 않은 바닥 블록은 옹벽 시공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Of course, the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벽의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nel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vertical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패널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패널(20) 만을 사용하거나,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별도의 패널(20A)을 함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형상을 갖는 패널을 사용하여도 좋다.The panel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use only the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시공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9는 도8의 평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시공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wall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lan view of Figure 8, 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vertical wall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배수로를 시공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고 보조기층, 모래 등을 깔아 수평을 맞추며, 그 터파기된 부위의 양측 벽 부위에 바닥 블록(10A')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In order to construct a drainage channel, a trench is dug and an auxiliary base layer, sand, etc. are leveled, and
그리고, 상기 바닥 블록(10A')의 상부에는 블록(10A)이 적층되며, 적층된 블록(10A)(10A')의 사이에 패널(20)(20A)을 끼워 넣는다.A
이렇게 적층된 블록(10A)(10A')의 콘크리트 타설공(12A)과, 상기 패널(20)(20A)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이때, 패널(20)(20A)의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바닥 블록(10A')의 패널 삽입홈(14A')에 끼워져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 상승하여 위치되는 패널(20)의 하부를 통해 배수로의 내측으로 새어나가며, 이렇게 새어나간 콘크리트(70)와 배수로의 바닥에 철근(30A)을 매개로 타설되는 콘크리트(60)가 일체로 양생된다.At this time, the concrete poured between the
물론, 상기 블록(10A)(10A')의 콘크리트 타설공(12A)과 이 블록(10A)(10A')에 끼워진 패널(20)(20A)의 사이에 철근(30B)을 설치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좋다.Of course, reinforcing
또한, 적층된 블록(10)의 사이 및/또는 적층된 패널(20A)의 사이에 망상 보강재(40)(40A)의 일측을 끼워 넣고 이 망상 보강재(40)(40A)는 지반(50)에 매립되어 정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또한, 본 실시예의 구조를 이용하여 배수로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로 제조된 상부콘크리트판(미도시됨)을 이용하여 배수로의 상부를 차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적층된 패널(20) 중 가장 상부에 위치된 패널(20)의 상단 높이가 적층된 블록(10A) 중 가장 상부에 위치된 블록(10A)의 상단 높이보다 조금 더 낮게 형성하고 그 부위에 상부콘크리트판을 설치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the drainage us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form of blocking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age using an upper concrete plate (not shown) made of concrete, in this case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철근(30A)이 배수로의 폭 방향으로만 설치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철근을 배수로의 폭 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reinforcing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구조를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12는 도11의 옹벽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13은 도11의 단면도로서, 지반(50)의 일측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구조에 의해 옹벽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a vertical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retaining wall of FIG. 11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As a cross-sectional view, it can be seen that one side of the
이러한 옹벽 시공 구조에서는 바닥 블록(10A')을 사용하지 않아도 좋으며, 필요한 경우 바닥 블록(10A')을 사용하여 그 바닥 블록(10A')의 하단을 통해 새어나오는 콘크리트로 바닥을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tructure,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직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주요 구성부품인 블록과 패널을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므로 운반이 편리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또한 토압 등의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vertical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and the panel,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are prepared in advance and assembled in the field, so that the transportation is convenient, the construction is easy, and the external force such as earth pressure is easily used.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not deforming.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2405A KR100793684B1 (en) | 2005-04-19 | 2005-04-19 | Assemble typ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2405A KR100793684B1 (en) | 2005-04-19 | 2005-04-19 | Assemble typ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0162A KR20060110162A (en) | 2006-10-24 |
KR100793684B1 true KR100793684B1 (en) | 2008-01-10 |
Family
ID=3761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2405A KR100793684B1 (en) | 2005-04-19 | 2005-04-19 | Assemble typ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368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421485B (en) * | 2015-10-30 | 2017-05-10 | 杭州市交通规划设计研究院 | Construction method of high-fill prefabricated cast-in-situ combined pile slab wall protection structur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10040U (en) | 1973-05-24 | 1975-02-01 | ||
US4263765A (en) | 1978-09-13 | 1981-04-28 | One Design Inc. | High mass wall module for environmentally driv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
KR200211578Y1 (en) | 1998-11-13 | 2001-02-01 | 송덕근 | Prefabricated drain hol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concrete |
KR200261318Y1 (en) | 2001-04-11 | 2002-01-24 | 윤여원 | Rapid Construction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sing H Piles |
KR100398961B1 (en) | 2000-11-24 | 2003-09-26 | (주)지원 | A Concrete Watershoot with and Method of a Drainageway Thereby |
-
2005
- 2005-04-19 KR KR1020050032405A patent/KR10079368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10040U (en) | 1973-05-24 | 1975-02-01 | ||
US4263765A (en) | 1978-09-13 | 1981-04-28 | One Design Inc. | High mass wall module for environmentally driv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
KR200211578Y1 (en) | 1998-11-13 | 2001-02-01 | 송덕근 | Prefabricated drain hol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concrete |
KR100398961B1 (en) | 2000-11-24 | 2003-09-26 | (주)지원 | A Concrete Watershoot with and Method of a Drainageway Thereby |
KR200261318Y1 (en) | 2001-04-11 | 2002-01-24 | 윤여원 | Rapid Construction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sing H Pi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0162A (en) | 2006-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1097B1 (en) | Slab and subgrade external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subgrade external wall, bracket | |
KR102208793B1 (en) | Under ground structure using column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31261B1 (en) | Underground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rainwater recycling facility using precast concrete continuous wall in strut structure or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615614B1 (en) | A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 with modular retaining wall and double wall | |
MXPA03001816A (en) | Integrated footings. | |
KR20180014793A (en) | Double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nnection steel beam and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102095581B1 (en) | Rainwater storage block, rainwater storage structure using th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70032826A (en) | Precast concrete dual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824713B1 (en) | Ledge type revetment using a pc wal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487814B1 (en) | A slim type cross two-way reinforced concrete floor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1495997B1 (en) |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 |
CN107288153B (en) | Prefabricated gravity type barricade | |
JP4083334B2 (en) | Underground structure having arch roof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KR20110027199A (en) | Lathe type breast wall structure for using pc wal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793684B1 (en) | Assemble typ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448438B1 (en) | Steel frame and Section steel used therein | |
KR101929459B1 (en) | precast construction having double side pannel structure | |
JP4227356B2 (en) | Long block for construction | |
KR100779608B1 (en) |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 |
JP4092284B2 (en) | Rainwater underground seepa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4834649B2 (en) | Construction structure of embankment structure, retaining wall block for construction of embank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embankment structure | |
KR101960500B1 (en) | A assembly type eco pillar debris barr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4147090B2 (en) | Underground water tank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601126B1 (en) | Anchoring structure of afforestation Retaining-Wall | |
US20060239782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haping concrete slab-on-ground founda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10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