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166B1 - Lamp - Google Patents

L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166B1
KR100475166B1 KR10-2002-0029260A KR20020029260A KR100475166B1 KR 100475166 B1 KR100475166 B1 KR 100475166B1 KR 20020029260 A KR20020029260 A KR 20020029260A KR 100475166 B1 KR100475166 B1 KR 100475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mp
electrodes
surface area
lamp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91331A (en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166B1/en
Publication of KR2003009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3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1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아울러 발광효율을 높이도록 한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that extends the life of the lamp and increases the luminous efficiency.

본 발명은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과, 상기 램프관의 양 단부 각각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내부에 접촉되게 제2전극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p tube into which a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a first electrode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positioned at each end of the lamp tube, and a second electrode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electrod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아울러 램프의 유효발광장을 길게 할 수 있고, 램프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며, 액정 패널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life of the lamp, lengthen the effective light emission length of the lamp,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amp, and make the luminan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uniform.

Description

램프{LAMP} Lamp {LAMP}

본 발명은 광원으로서 사용되는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아울러 발광효율을 높이도록 한 램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used as a light sour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which extends the life of the lamp and increases luminous efficiency.

통상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에는 액정패널의 배면으로부터 균일한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용 광원으로서 램프가 사용된다.BACKGROUND ART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s usually used f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uses a lamp as a light source for a backlight for irradiating uniform light from the rear surface of a liquid crystal panel.

이러한 램프는 실린더 형태의 램프관을 구비하며, 램프관 내벽면에 형광체가 도포된다. 그리고, 램프관 내부 방전공간에 방전매체가 주입되며, 램프관의 양단부 각각에 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전극으로서는 형상이 컵형인 전극(이하 "컵형 전극"이라 함)과, 형상이 컵형과 유사하나 컵의 밑면이 컵의 입구와 같이 오픈된 원통형상인 전극(이하 "원통형 전극"이라 함)이 사용된다. Such a lamp has a cylindrical lamp tube, and phosphors are co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lamp tube. In addition, a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inside the lamp tube, and electrodes are general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amp tube. As the electrode, a cup-shaped electr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up-shaped electrode") and a cylindrical electrode whose shape is similar to the cup-type but whose bottom is open like the entrance of the cup (hereinafter referred to as "cylindrical electrode") are used. do.

이러한 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관(11)을 구비한다. 램프관(11)의 내벽면에는 형광체(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되며, 내부 공간에는 수은,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혼합가스가 주입된다. 램프관(11)의 양단에는 음극과 양극으로 구별되는 전극(12, 13)들이 각각 위치한다. 전원(18)으로부터 소정의 구동전원(예를 들어 200V)이 양 전극(12, 13)들에 인가된다. 이를 위해 램프의 양 전극(12, 13)들과 전원(18) 사이에는 도선(15)이 접속되고 이 도선(15)과 양 전극(12, 13)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14)들이 접속된다. 이때, 단자(14)는 램프관(11)의 양끝단을 봉입하는 캡(19)을 관통하게 된다. This lamp has a lamp tube 11 as shown in FIG. Phosphors (not shown) are appli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amp tube 11, and an inert mixed gas such as mercury and argon is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On both ends of the lamp tube 11, electrodes 12 and 13,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a cathode and an anode, are positioned. From the power source 18, a predetermined driving power source (for example 200V) is applied to both electrodes 12 and 13. To this end, a conductive line 15 is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s 12 and 13 of the lamp and the power supply 18, and terminals 14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line 15 and the positive electrodes 12 and 13 are provided. Connected. At this time, the terminal 14 passes through the cap 19 that seals both ends of the lamp tube 11.

이와 같은 램프는 도선(15)과 단자(14)들을 통해 양 전극(12, 13)에 전원(18)으로부터의 소정의 구동전원(예를 들어 200V)이 인가되어 방전을 일으킨다. 이러한 방전으로 인해 전극(12, 13)들에서 방출된 전자는 램프관 내 방전공간에서 불활성 가스와 충돌하여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Such a lamp generates a discharge by applying a predetermined driving power source (for example, 200V) from the power source 18 to both electrodes 12 and 13 through the conductive line 15 and the terminals 14. The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des 12 and 13 due to this discharge collide with the inert gas in the discharge space in the lamp tube to generate ultraviolet rays.

다시 말하여, 불활성 가스 속에서 방전이 발생해 불활성 가스의 전자가 처음의 상태인 기저상태(Ground State)에서 여기상태(Excited State)로 전이된다. 여기상태가 된 전자는 다시 기저상태로 천이되는 데, 이 단계에서 불활성 가스는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이 자외선은 램프관 내벽면에 도포되어 있는 형광체를 발광시켜 가시광선을 만들어낸다. In other words, a discharge occurs in the inert gas so that the electrons of the inert gas transition from the first state (Ground State) to the excited state. The excited electrons are transferred back to the ground state. In this step, the inert gas generates ultraviolet rays. This ultraviolet light emits phosphors co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lamp tube to produce visible ligh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컵형 전극(12)의 표면적은 전극의 바깥면(25)과 안쪽면(23)의 합이 되고, 원통형 전극(32)의 표면적은 전극의 바깥면(35)과 안쪽면(33)의 합이 된다. 이는 원통형 전극과 컵형 전극이 유사한 표면적을 갖는 구조임을 나타낸다. 2 and 3, the surface area of the conventional cup-shaped electrode 12 is the sum of the outer surface 25 and the inner surface 23 of the electrode, and the surface area of the cylindrical electrode 32 is the outer surface 35 of the electrode. ) And the inner surface 33. This indicates that the cylindrical electrode and the cup electrode have a structure having a similar surface area.

이때, 전극(12)의 표면적은 램프의 소비전력, 수명과 같은 램프특성과 상관관계를 갖는다. 또한 전극의 길이는 램프의 유효발광장, 액정패널의 휘도 균일도, 램프엣지(Edge)의 어두움과 상관관계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12 has a correlation with lamp characteristics such as power consumption and lifetime of the lamp.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electrode has a correlation with the effective light emission field of the lamp, the luminance uniform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darkness of the lamp edge.

램프의 소비전력에 있어서, 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가 감소하면 소비전력도 감소한다. 이때, 램프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수는 전압과 전극의 표면적의 크기와 비례관계를 갖는 데, 전극의 표면적이 배로 증가하면 전압이 반으로 감소하여도 동일한 수의 전자가 방출된다. 따라서, 램프 전극의 표면적이 증가하면 소비전력은 감소하게 된다. I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amp, the power consumption decreases as the intensity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lamp decreases. At this time, the number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lamp electrode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size of the voltage and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When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doubles, the same number of electrons are emitted even if the voltage decreases in half. Therefore, power consumption decreases as the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increases.

램프의 수명에 있어서, 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이 감소하면 램프의 수명도 증가한다. 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이 감소하면, 램프관의 인가전류의 세기도 감소한다. 이에 의해, 전자들의 충돌이 감소하고 전자와 형광체의 반응속도도 감속된다. 따라서 형광체의 수명이 증가한다. 그리고, 전극 표면적이 증가하면 단위 면적당 전류 밀도가 감소한다. 그 결과, 전자 스퍼터링(Sputtering)의 발생이 감소하여 램프 전극의 마모정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램프의 단위길이당 표면적이 증가하면 램프의 수명은 증가한다.In the life of a lamp, as the voltage applied to the lamp decreases, the life of the lamp also increases.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lamp decreases,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current of the lamp tube also decreases. Thereby, collision of electrons is reduced and reaction speed of an electron and a phosphor is also reduced. Therefore, the lifetime of the phosphor is increased. As the electrode surface area increases, the current density per unit area decreases.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electron sputtering is reduced and the degree of wear of the lamp electrode is reduced. Therefore, as the surface area per unit length of the lamp increases, the life of the lamp increases.

또한 전극의 길이가 짧아지면 방전공간이 넓어져서 유효발광장이 길어진다. 그 결과, 램프엣지의 어두움이 감소되며, 액정패널의 휘도가 균일해진다. In addition, the shorter the electrode, the wider the discharge space, the longer the effective light emission field. As a result, the darkness of the lamp edge is reduced, and the luminan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becomes uniform.

이러한 특성으로 램프의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극의 표면적에 비례하는 전극의 길이를 늘리게 된다. 그러나 전극의 길이를 늘리게 되면, 램프의 유효발광장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램프엣지의 어두움 증가, 액정패널의 휘도 균일도 감소 등의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This characteristic increases the length of the electrode in proportion to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in order to increase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amp. However, when the length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ive light emission length of the lamp is shortened. As a result, problems such as increased darkness of the lamp edge and reduced luminance uniform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re caused.

종래의 램프 전극들(12, 13, 32)은 구조적으로 볼 때, 전극의 표면적이 증가하려면 전극의 길이가 길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컵형 전극과 원통형 전극은 전극의 길이를 짧게 유지하면서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없는 구조이다. 그 결과, 종래 램프는 소비전력을 감소시켜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아울러 유효발광장을 길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lamp electrodes 12, 13, and 32 structurally, the length of the electrode will have to be long for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to increase. Therefore, the conventional cup-shaped electrode and the cylindrical electrode have a structure that cannot increase the surface area while keep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short.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lamp has a problem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to extend the life of the lamp and to lengthen the effective light emission fiel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아울러 발광효율을 높이도록 한 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mp that extends the life of the lamp and increases the luminous effici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램프는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과, 상기 램프관의 양 단부 각각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각각의 내부에 접촉되는 원통형의 제2전극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램프는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과, 상기 램프관의 양 단부 각각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각각의 내부에 접촉되는 제2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2전극이 다발로 무리를 이루는 적어도 둘 이상의 봉형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램프는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과, 상기 램프관의 양 단부 각각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각각의 내부에 접촉되는 제2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2전극 각각이 상기 제1전극 각각의 내부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하는 칸막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램프는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과, 상기 램프관의 양 단부 각각에 위치하고 각각 다발형태로 조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들을 구비한다.상기 램프 각각은 전원과, 상기 전극들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상기 전극들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전극들을 지지하기 위한 단자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램프는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과, 상기 램프관의 양 단부 각각에 위치하고 각각 사방향 이상의 방사형 단면을 갖도록 굴곡진 전극을 구비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p tube in which the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the first electrode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located at each end of the lamp tube, and each of the first electrode It has a cylindrical second electrode in contact wi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mp includes a lamp tube into which a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a first electrode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positioned at each end of the lamp tube, and a second electrode contacting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It includes,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rod-shaped electrode grouped in a bun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mp includes a lamp tube into which a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a first electrode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positioned at each end of the lamp tube, and a second contacting inside of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An electrode is provided, and each of the second electrodes includes a partition for dividing an internal space of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into at least two or m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mp includes a lamp tube into which a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and at least two electrode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lamp tube and combined in a bundle form, respectively. And a terminal for supporting the electrodes while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electrode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ectrodes and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The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p tube into which the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and curved electrode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lamp tube and each having a radial cross section of four directions or mo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램프는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41)과, 램프관(41)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1전극(50)과 제1전극(50)에 삽입되는 제2전극(56)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lamp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p tube 41 into which a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and a first electrode 50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respectively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lamp tube 41. And a second electrode 56 inserted into the first electrode 50.

램프관(41)의 내벽면에는 형광체(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되며, 내부 공간에는 불활성혼합가스가 주입된다. 램프관의 양단에는 음극과 양극으로 구별되는 전극(42, 43)들이 각각 위치한다. 양 전극(42, 43)들에는 전원(48)으로부터 소정의 구동전원(예를 들어 200V)이 인가된다. 이를 위해 램프의 전극(42, 43)과 전원(48)사이에는 도선(45)이 접속되고 이 도선(45)과 양 전극(42, 43) 각각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44)들이 접속된다. 이때, 단자(44)는 램프관(41)의 양끝단을 봉입하는 캡(49)을 관통하게 된다. Phosphors (not shown) are appli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amp tube 41, and an inert mixed gas is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At both ends of the lamp tube, electrodes 42 and 43 which are divided into a cathode and an anode are positioned. A predetermined driving power source (for example, 200V) is applied to both electrodes 42 and 43 from the power source 48. To this end, a conductive wire 45 is connected between the electrodes 42 and 43 of the lamp and the power supply 48, and terminals 44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wire 45 and the two electrodes 42 and 43 are connected. do. At this time, the terminal 44 passes through the cap 49 that seals both ends of the lamp tube 41.

이와같은 램프는 도선(45)과 단자(44)들을 통해 전원(48)에서 소정의 구동전원(예를 들어 200V)이 전극(42, 43)들에 인가되어 방전을 일으킨다. 이러한 방전으로 인해 전극(42, 43)들에서 방출된 전자는 램프관 내 방전공간에서 불활성 가스와 충돌하여 자외선이 발생시킨다. Such a lamp generates a discharge by applying a predetermined driving power (for example, 200V) to the electrodes 42 and 43 from the power supply 48 through the conductive wire 45 and the terminals 44. The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des 42 and 43 due to such a discharge collide with the inert gas in the discharge space in the lamp tube to generate ultraviolet rays.

다시 말하여, 불활성 가스 속에서 방전이 발생해 불활성 가스의 전자가 처음의 상태인 기저상태(Ground State)에서 여기상태(Excited State)로 전이된다. 여기상태가 된 전자는 다시 기저상태로 천이되는 데, 이 단계에서 불활성 가스는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이 자외선은 램프관 내벽면에 도포되어 있는 형광체를 발광시켜 가시광선을 만들어낸다. In other words, a discharge occurs in the inert gas so that the electrons of the inert gas transition from the first state (Ground State) to the excited state. The excited electrons are transferred back to the ground state. In this step, the inert gas generates ultraviolet rays. This ultraviolet light emits phosphors co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lamp tube to produce visible light.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전극(42)은 제1전극(50)과, 제1전극(50) 내에 삽입되는 제2전극(56)과, 제1전극(50)과 제2전극(5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전극(50) 내에서 제2전극(56)을 지지하며 단자(44)가 부착되는 보조단자(54)을 구비한다. 제1전극(50)은 원통형 구조인 원통형 전극이고, 제2전극(56)은 제1전극(50)보다 직경이 작은 내부가 꽉찬 원통형 구조(이하 "봉형 구조"라 함)인 내부가 꽉찬 원통형 전극(이하 "봉형 전극"이라 함)이다. 다시 말하여, 제 2 전극(56)은 직경이 제 1 전극(50)보다 작은 봉형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전극을 복층증면된 전극군을 가진 전극이라 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lamp electrode 4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50, a second electrode 56 inserted into the first electrode 50, and a first electrode ( 50 and an auxiliary terminal 54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de 56 and supporting the second electrode 56 in the first electrode 50 and to which the terminal 44 is attached. The first electrode 50 is a cylindrical electrode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and the second electrode 56 is a cylindrical cylinder having an inner cylindrical sha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od structur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electrode 50. Electr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d electrode"). In other words, the second electrode 56 has a rod-like structure whose diamet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electrode 50. An electrode having such a structure is called an electrode having a multilayered electrode group.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전극(42)의 전체 표면적은 제1전극(50)의 바깥면(55), 안쪽면(53) 및 제2전극(56)의 표면적의 합이 된다. 이 램프 전극(42)은 종래 램프 전극에 비해 제2전극(56)의 표면적만큼 표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4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um of the surface areas of the outer surface 55, the inner surface 53, and the second electrode 56 of the first electrode 50. The lamp electrode 42 has an increased surface area by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56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amp electrode.

본 발명은 제1전극(50) 내부에 제2전극(56)을 삽입함으로써, 램프 전극의 길이를 짧게 유지하면서도 램프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켰다. 그 결과, 램프 전극의 표면적의 증가로 전극의 저항이 감소하며,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양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램프에 인가되는 인가전류의 세기가 낮아져도 램프의 발광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램프의 소비전력은 감소되며 수명은 연장된다. 또한, 전극의 길이대비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극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효과를 낸다. 표면적 대비 램프 전극의 상대적 길이가 감소함으로 인해 램프의 유효발광장이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램프엣지의 어두움이 감소되며, 액정패널의 휘도균일도가 높아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while keeping the length of the lamp electrode short by inserting the second electrode 56 inside the first electrode 50. As a result,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and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de increases. As a result,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amp may be increased even if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current applied to the lamp is low. Thu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amp is reduced and the life is extended.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to the length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to produce an effect of relativel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As the relative length of the lamp electrode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area, the effective light emission length of the lamp becomes long. Then, the darkness of the lamp edge is reduced, and the luminance uniform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ncreas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전극(62)은 제1전극(60)과, 제1전극(60) 내부에 접촉되는 제2전극군(66)과, 제1전극(60)과 제2전극군(6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전극(60) 내에서 제2전극군(66)을 지지하며 단자(44)가 부착되는 보조단자(64)를 구비한다. 제1전극(60)은 원통형 구조이고, 제2전극군(66)은 제2전극 각각이 봉형구조를 갖는 봉형 전극 다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전극을 복층증면된 전극군을 가진 전극이라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lamp electrode 6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60, a second electrode group 66 contacting inside the first electrode 60, and a first electrode 60. And an auxiliary terminal 64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60 and the second electrode group 66 to support the second electrode group 66 in the first electrode 60 and to which the terminal 44 is attached. . The first electrode 6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and the second electrode group 66 has a rod-shaped electrode bundle structure in which each of the second electrodes has a rod-shaped structure. An electrode having such a structure is called an electrode having a multilayered electrode group.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전극(62)의 표면적은 제1전극(60)의 바깥면(65), 안쪽면(63) 및 제2전극군(66)의 표면적의 합이 된다. 제2전극군(66)에 있어서, 봉형 구조는 다른 봉과 접하는 부위가 접면이 아닌 접선이다. 따라서, 각각의 전극의 표면적을 합한 것이 제2전극군(66)의 전체 표면적이 된다. 결국, 이 램프 전극(62)은 종래 전극의 표면적에 비해 제2전극군(66)의 표면적만큼 증가한 구조를 갖는다. The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6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um of the surface areas of the outer surface 65, the inner surface 63, and the second electrode group 66 of the first electrode 60.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66, the rod-shaped structure is a tangent line rather than a tangen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ther rods. Therefore, the sum of the surface areas of the respective electrodes becomes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group 66. As a result, the lamp electrode 62 has a structure increased by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group 66 compared to the surface area of the conventional electrode.

상기 구조는 종래 전극 내부의 빈 공간을 활용하므로 전극의 길이를 짧게 유 지하면서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램프 전극의 표면적의 증가로 전극의 저항이 감소하며,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양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램프에 인가되는 인가전류의 세기가 낮아져도 램프의 발광효율은 높아진다. 따라서, 램프의 소비전력은 감소되며 수명은 연장된다. 또한, 전극의 길이대비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극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효과를 낸다. 표면적 대비 전극의 상대적 길이가 감소함으로 인해 램프의 유효발광장이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램프엣지의 어두움이 감소되며, 액정패널의 휘도균일도가 높아진다.Since the structure utilizes an empty space inside the conventional electrode,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while keep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short. As a result,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and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de increases. As a result,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amp is increased even if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current applied to the lamp is low. Thu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amp is reduced and the life is extended.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to the length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to produce an effect of relativel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As the relative length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area, the effective emission field of the lamp becomes longer. Then, the darkness of the lamp edge is reduced, and the luminance uniform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ncreas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극(72)은 제1전극(70)과, 제1전극(70) 내부에 접촉되는 제2전극(76)과, 제1전극(70)과 제 2전극(7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전극(70) 내에서 제2전극(76)을 지지하며 단자(44)가 부착되는 보조단자(54)를 구비한다. 제1전극(70)은 원통형 구조이고, 제2전극(76)은 제1전극보다 직경이 작고 속이 빈 원통형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전극을 복층증면된 전극군을 가진 전극이라 한다.Referring to FIG. 7, the electrode 7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70, a second electrode 76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70, and a first electrode ( 70 and an auxiliary terminal 54 which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electrode 76 and supports the second electrode 76 in the first electrode 70 and to which the terminal 44 is attached. The first electrode 7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and the second electrode 76 has a smaller diameter and hollower cylindrical structure than the first electrode. An electrode having such a structure is called an electrode having a multilayered electrode group.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극(72)의 표면적은 제1전극(70)의 바깥면(75), 안쪽면(73) 및 제2전극(76)의 바깥면(77), 안쪽면(78)의 합이 된다. 이는 상기 전극(72)이 종래 전극의 표면적에 비해 제2전극(76)의 표면적만큼 증가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7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er surface 75, an inner surface 73, and an outer surface 77,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76 of the first electrode 70. It is the sum of (78).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de 72 has a structure increased by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76 compared to the surface area of the conventional electrode.

상기 구조는 종래 전극 내부의 빈 공간을 활용하므로 전극의 길이를 짧게 유 지하면서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램프 전극의 표면적의 증가로 전극의 저항이 감소하며,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양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램프에 인가되는 인가전류의 세기가 낮아져도 램프의 발광효율은 높아진다. 따라서, 램프의 소비전력은 감소되며 수명은 연장된다. 또한, 전극의 길이대비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극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효과를 낸다. 표면적 대비 전극의 상대적 길이가 감소함으로 인해 램프의 유효발광장이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램프엣지의 어두움이 감소되며, 액정패널의 휘도균일도가 높아진다.Since the structure utilizes an empty space inside the conventional electrode,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while keep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short. As a result,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and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de increases. As a result,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amp is increased even if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current applied to the lamp is low. Thu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amp is reduced and the life is extended.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to the length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to produce an effect of relativel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As the relative length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area, the effective emission field of the lamp becomes longer. Then, the darkness of the lamp edge is reduced, and the luminance uniform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ncreased.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극(82)은 다발 구조로 조합된 봉형 전극(86)들과, 봉형 전극(86)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봉형전극들을 램프관내에서 지지하는 단자(44)가 부착되는 보조단자(84)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전극을 복층증면된 전극군을 가진 전극이라 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electrode 8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ly connects the rod-shaped electrodes 86 combined with the bundle structure, the rod-shaped electrodes 86, and supports the rod-shaped electrodes in the lamp tube. Auxiliary terminal 84 to which the terminal 44 is attached is provided. An electrode having such a structure is called an electrode having a multilayered electrode group.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전극(82)의 표면적은 봉형 전극(86)의 각각의 표면적의 합이다. 봉형 전극 다발은 접하는 부위가 접면이 아닌 접선이다. 따라서 각각의 전극 표면적의 합이 다발 전체의 표면적이 된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전극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이다. 결국, 상기 전극(82)은 종래 전극의 표면적에 비해 표면적이 증가한 구조를 갖는다.The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8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um of the respective surface areas of the rod-shaped electrode 86. The rod-shaped electrode bundles are tangent rather than tangent. The sum of the surface areas of each electrode thus becomes the surface area of the entire bundle. This i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electrode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electrode 8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area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surface area of the conventional electrode.

상기 구조는 종래 전극 내부의 빈 공간을 활용하므로 길이를 짧게 유지하면서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램프 전극의 표면적의 증가로 전극의 저항이 감소하며,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양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램프에 인가되는 인가전류의 세기가 낮아져도 램프의 발광효율은 높아진다. 따라서 램프의 소비전력은 감소되며 수명은 연장된다. 또한, 전극의 길이대비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극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효과를 낸다. 표면적 대비 전극의 상대적 길이가 감소함으로 인해 램프의 유효발광장이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램프엣지의 어두움이 감소되며, 액정패널의 휘도균일도가 높아진다.The structure utilizes the empty space inside the conventional electrode, there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while keeping the length short. As a result,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and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de increases. As a result,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amp is increased even if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current applied to the lamp is low. Therefo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amp is reduced and the life is extended.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to the length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to produce an effect of relativel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As the relative length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area, the effective emission field of the lamp becomes longer. Then, the darkness of the lamp edge is reduced, and the luminance uniform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ncreas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전극(92)은 제1전극(90)과, 제1전극에 삽입되는 제2전극(96)과, 제1전극(90)과 제2전극(9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전극(90) 내에서 제2전극(96)을 지지하며 단자(44)가 부착되는 보조단자(94)를 구비한다. 이 때, 제2전극(96)은 제1전극(90)의 내부 공간을 둘 이상으로 분할하는 칸막이 형태이다. 이러한 제2전극의 단면형상은 분할하는 공간의 수에 따라 틀려질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전극을 단면형상변경된 전극이라 한다. 이 전극(92)은 도 3의 원통형 전극(32)과 마찬가지로 보조단자(94) 없이 단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할 것이다.9, the lamp electrode 92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90, a second electrode 96 inserted into the first electrode, a first electrode 90, The auxiliary electrode 9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96 to support the second electrode 96 in the first electrode 90 and to which the terminal 44 is attached. In this case, the second electrode 96 has a partition shape for divid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electrode 90 into two or mo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is second electrode will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spaces to divide. An electrode having such a structure is called an electrode whose cross-sectional shape is changed. The electrode 9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without the auxiliary terminal 94 like the cylindrical electrode 32 of FIG. 3.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전극(92)의 표면적은 제1전극(90)의 바깥면(95), 안쪽면(93) 및 제2전극과 제1전극 사이에 접하는 면을 제외한 제2전극(96)의 표면적의 합이 된다. 이는 상기 전극(92)이 종래 전극의 표면적에 비해 제1전극의 내부 공간에 노출된 제2전극의 표면적만큼 증가한 구조임을 나타낸다.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92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surface except for an outer surface 95, an inner surface 93, and a surfac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90 of the first electrode 90. It is the sum of the surface areas of the electrodes 96. This indicates that the electrode 92 has a structure increased by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expos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electrode compared to the surface area of the conventional electrode.

상기 구조는 종래 전극 내부의 빈 공간을 활용하므로 전극의 길이를 짧게 유 지하면서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램프 전극의 표면적의 증가로 전극의 저항이 감소하며,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양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램프에 인가되는 인가전류의 세기가 낮아져도 램프의 발광효율은 높아진다. 따라서, 램프의 소비전력은 감소되며 수명은 연장된다. 또한, 전극의 길이대비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극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효과를 낸다. 표면적 대비 전극의 상대적 길이가 감소함으로 인해 램프의 유효발광장이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램프엣지의 어두움이 감소되며, 액정패널의 휘도균일도가 높아진다.Since the structure utilizes an empty space inside the conventional electrode,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while keep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short. As a result,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and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de increases. As a result,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amp is increased even if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current applied to the lamp is low. Thu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amp is reduced and the life is extended.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to the length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to produce an effect of relativel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As the relative length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area, the effective emission field of the lamp becomes longer. Then, the darkness of the lamp edge is reduced, and the luminance uniform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ncreased.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전극(102)은 제1전극(100)과, 제1전극(100)에 삽입되는 제2전극(106)과, 제1전극(100)과 제2전극(10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전극(100) 내에서 제2전극을 지지하며 단자(44)가 부착되는 보조단자(104)를 구비한다. 이 때, 제2전극(106)은 제1전극(102)의 내부 공간을 둘이상으로 분할하는 칸막이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전극을 단면형상변경된 전극이라 한다. 이 전극(102)은 도 3의 원통형 전극(32)과 마찬가지로 보조단자(104) 없이 단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10, the electrode 10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100, a second electrode 106 inserted into the first electrode 100, and a first electrode 100. ) And an auxiliary terminal 104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de 106 and supporting the second electrode in the first electrode 100 and to which the terminal 44 is attached. In this case, the second electrode 106 has a partition shape for divid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electrode 102 into two or more. An electrode having such a structure is called an electrode whose cross-sectional shape is changed. The electrode 10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without the auxiliary terminal 104 like the cylindrical electrode 32 of FIG. 3.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전극(102)의 표면적은 제1전극(100)의 바깥면(105), 안쪽면(103) 및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접하는 면을 제외한 제2전극(106)의 표면적의 합이 된다. 이는 상기 전극(102)이 종래 전극의 표면적에 비해 제1전극의 내부공간에 노출된 제2전극(106)의 표면적 만큼 증가한 구조를 갖음을 나타낸다.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10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cond surface except for the outer surface 105, the inner surface 103 of the first electrode 100 and the surface in contac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t is the sum of the surface areas of the electrodes 106. This indicates that the electrode 102 has a structure increased by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106 expos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electrode compared to the surface area of the conventional electrode.

상기 구조는 종래 전극 내부의 빈 공간을 활용하므로 전극의 길이를 짧게 유 지하면서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램프 전극의 표면적의 증가로 전극의 저항이 감소하며,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양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램프에 인가되는 인가전류의 세기가 낮아져도 램프의 발광효율은 높아진다. 따라서 램프의 소비전력은 감소되며 수명은 연장된다. 또한, 전극의 길이대비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극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효과를 낸다. 표면적 대비 전극의 상대적 길이가 감소함으로 인해 램프의 유효발광장이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램프엣지의 어두움이 감소되며, 액정패널의 휘도균일도가 높아진다.Since the structure utilizes an empty space inside the conventional electrode,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while keep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short. As a result,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and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de increases. As a result,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amp is increased even if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current applied to the lamp is low. Therefo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amp is reduced and the life is extended.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to the length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to produce an effect of relativel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As the relative length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area, the effective emission field of the lamp becomes longer. Then, the darkness of the lamp edge is reduced, and the luminance uniform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ncreased.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전극(112)은 사방 방사형 단면을 가진 굴곡이 지어진 형태의 전극(110)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전극을 단면형상변경된 전극이라 한다. 이 전극(112)은 도 3의 원통형 전극(32)과 마찬가지로 보조단자(114) 없이 단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11, the electrode 112 according to the seven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110 having a curved shape having a four-sided radial cross section. An electrode having such a structure is called an electrode whose cross-sectional shape is changed. The electrode 11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without the auxiliary terminal 114 as in the cylindrical electrode 32 of FIG. 3.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전극(112)의 표면적은 바깥면(115), 안쪽면(113)의 합이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전극의 표면을 굴곡지게 함으로써 램프 전극 단면의 둘레길이는 종래 전극에 비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112)은 종래 전극의 표면적에 비해 표면적이 증가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112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um of the outer surface 115 and the inner surface 113. By bending the surface of the lamp electrode as shown in Figure 11,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lamp electrod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lectrode.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de 11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area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surface area of the conventional electrode.

상기 구조는 종래 전극의 단면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전극의 길이는 짧게 유지하면서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램프 전극의 표면적의 증가로 전극의 저항이 감소하며,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양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램프에 인가되는 인가전류의 세기가 낮아져도 램프의 발광효율은 높아진다. 따라서, 램프의 소비전력은 감소되며 수명은 연장된다. 또한, 전극의 길이대비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극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효과를 낸다. 표면적 대비 전극의 상대적 길이가 감소함으로 인해 램프의 유효발광장이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램프엣지의 어두움이 감소되며, 액정패널의 휘도균일도가 높아진다.This structure change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ntional electrode, there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while keep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short. As a result,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surface area of the lamp electrode, and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de increases. As a result,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amp is increased even if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current applied to the lamp is low. Thu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amp is reduced and the life is extended.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to the length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to produce an effect of relativel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As the relative length of the electrode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area, the effective emission field of the lamp becomes longer. Then, the darkness of the lamp edge is reduced, and the luminance uniform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ncreased.

이상 설명한 예에서는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킨 것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원 발명에 따른 효과를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형상의 것이 면 충분히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In the example described above,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shape can predict 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원통형의 제1전극과 제1전극보다 직경이 작은 봉형의 제2전극을 구비하거나, 원통형의 제1전극과 제1전극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제2전극을 구비하거나, 원통형의 제1전극과 단면형상이 변경된 제2전극을 구비하거나, 전극의 표면이 굴곡진 형태이거나, 봉형 전극 다발로 이루어진 램프 전극을 구비한다. 이는 종래의 램프 전극보다 전극의 단위길이당 표면적이 증가된 구조를 갖는다. 그 결과,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양이 증가하고 전극의 저항이 감소하여, 램프에 인가되는 인가전류의 세기가 낮아져도 램프의 발광효율은 높아진다. 따라서 램프의 소비전력이 감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first electrode and a rod-shaped second electrod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electrode, or a cylindrical second electrode and a cylindrical seco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electrode. An electrode is provided, or a first electrod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second electrode having a changed cross-sectional shape, a curved surface of the electrode, or a lamp electrode made of a rod-shaped electrode bundle. Thi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area per unit length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amp electrode. As a result,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de increases and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decreases, so that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amp increases even if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current applied to the lamp decreases. Therefo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amp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에 흐르는 인가전류가 낮아져 램프의 수명이 연장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극의 길이대비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극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효과를 낸다. 전극의 길이가 짧아지면 램프의 유효발광장이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램프엣지의 어두움이 감소되며, 액정패널의 휘도균일도가 높아지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e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amp is lowered to extend the life of the lamp.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to the length of the electrode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electrode. As the length of the electrode becomes shorter, the effective light emission length of the lamp becomes longer. Then, the darkness of the lamp edge is reduced, and the luminance uniform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ncreas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은 종래 램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lamp.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램프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lamp shown in FIG. 1 partially cut away.

도 3은 다른 형태의 전극을 가지는 종래 램프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lamp having another type of electrode partially cut away.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전극을 가지는 램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lamp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전극을 가지는 램프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lamp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전극을 가지는 램프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lamp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전극을 가지는 램프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lamp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전극을 가지는 램프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lamp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전극을 가지는 램프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lamp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전극을 가지는 램프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lamp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전극을 가지는 램프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lamp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 41 : 램프관 14, 44 : 단자11, 41: Lamp tube 14, 44: Terminal

19, 49 : 캡 18, 48 : 전원19, 49: Cap 18, 48: Power

54, 64, 74, 84, 94, 104, 114 : 보조단자54, 64, 74, 84, 94, 104, 114: auxiliary terminal

12, 13, 32, 42, 43, 62, 72, 82, 92, 102, 112 : 램프 전극12, 13, 32, 42, 43, 62, 72, 82, 92, 102, 112: lamp electrode

50, 60, 70, 90, 100, 110 : 제1전극50, 60, 70, 90, 100, 110: first electrode

56, 66, 76, 86, 96, 106 : 제2전극56, 66, 76, 86, 96, 106: second electrode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과, A lamp tube into which a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상기 램프관의 양 단부 각각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1전극과,First electrodes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lamp tube; 상기 제1전극 각각의 내부에 접촉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제2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And a hollow cylindrical second electrod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과, A lamp tube into which a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상기 램프관의 양 단부 각각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1전극과,First electrodes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lamp tube; 상기 제1전극 각각의 내부에 접촉되는 제2전극을 구비하며, A second electrod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상기 제2전극은 다발로 무리를 이루는 적어도 둘 이상의 봉형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The second electrode is a lam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two or more rod-shaped electrodes in a group.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과, A lamp tube into which a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상기 램프관의 양 단부 각각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1전극과,First electrodes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lamp tube; 상기 제1전극 각각의 내부에 접촉되는 제2전극을 구비하며, A second electrod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상기 제2전극 각각은 상기 제1전극 각각의 내부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하는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Each of the second electrodes includes a partition for dividing the internal space of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into at least two or more.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과, A lamp tube into which a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상기 램프관의 양 단부 각각에 위치하고 각각 다발형태로 무리를 이루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And at least two or more electrodes position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lamp tube and grouped in a bundl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전원과,Power supply, 상기 전극들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상기 전극들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전극들을 지지하기 위한 단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And a terminal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electrode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ectrodes and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for supporting the electrodes. 방전매체가 주입되는 램프관과, A lamp tube into which a discharge medium is injected, 상기 램프관의 양 단부 각각에 위치하고 각각 사방향 이상의 방사형 단면을 갖도록 굴곡진 단면의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And an electrode having a curved cross section locat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lamp tube and having a radial cross section of at least four directions.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전원과,Power supply, 상기 전극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상기 전극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전극을 지지하기 위한 단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And a terminal for supplying driving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de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ectrode to the electrode and for supporting the electrode.
KR10-2002-0029260A 2002-05-27 2002-05-27 Lamp KR1004751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260A KR100475166B1 (en) 2002-05-27 2002-05-27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260A KR100475166B1 (en) 2002-05-27 2002-05-27 La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331A KR20030091331A (en) 2003-12-03
KR100475166B1 true KR100475166B1 (en) 2005-03-08

Family

ID=3238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260A KR100475166B1 (en) 2002-05-27 2002-05-27 La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16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1548A (en) * 1989-10-27 1991-06-17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JPH06111763A (en) * 1992-09-30 1994-04-22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Low pressure discharge lamp
JPH09204899A (en) * 1996-01-25 1997-08-05 Harison Electric Co Ltd Cold cathode discharge lamp and lighting system
JPH1116535A (en) * 1997-06-25 1999-01-22 West Electric Co Ltd Cold cathode discharge tube
KR19990038856U (en) * 1998-12-07 1999-11-05 장금식 Cold cathode discharge tub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1548A (en) * 1989-10-27 1991-06-17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JPH06111763A (en) * 1992-09-30 1994-04-22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Low pressure discharge lamp
JPH09204899A (en) * 1996-01-25 1997-08-05 Harison Electric Co Ltd Cold cathode discharge lamp and lighting system
JPH1116535A (en) * 1997-06-25 1999-01-22 West Electric Co Ltd Cold cathode discharge tube
KR19990038856U (en) * 1998-12-07 1999-11-05 장금식 Cold cathode discharge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331A (en)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3966A (en) Discharge lamp with external electrodes
US6727649B1 (en) Fluorescent lamp, discharge lamp and liquid crystal backlight device incorporating this
US20070228913A1 (en) Discharge Lamp, Discharge-lamp Electrod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scharge-Lamp Electrode, and Lighting System
JP4544204B2 (en) External electrode type discharge lamp and its lamp device
KR20060103120A (en) Discharge lamp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20080203912A1 (en) Mercury-Free Lamp and Lamp Apparatus
US4962334A (en) Glow discharge lamp having wire anode
JP2001143662A (en) Fluorescent lamp
KR100475166B1 (en) Lamp
KR100705631B1 (e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JP4199022B2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KR100433193B1 (en) Double-tubes fluorescent lamp
EP0378338A2 (en) Discharge tube
US6118217A (en) Additional electrode for three-level output and improved starting of compact fluorescent lamp systems
KR100577302B1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KR200296091Y1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JP2002025499A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KR20050000951A (en) Multi-tube electrode fluorescent lamp
EP0577275A1 (en) Fluorescent lamp
JPH05190150A (en) Electric discharge lamp
JPH11354078A (en) Discharge lamp
JP2004127538A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JPH06314561A (en) Electric discharge lamp
KR200422765Y1 (en) Cold cathode type fluorescent lamp
US20100207507A1 (en) Electrode assembly for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