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954B1 - Drum-type washer - Google Patents

Drum-type 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954B1
KR100474954B1 KR10-2002-0058598A KR20020058598A KR100474954B1 KR 100474954 B1 KR100474954 B1 KR 100474954B1 KR 20020058598 A KR20020058598 A KR 20020058598A KR 100474954 B1 KR100474954 B1 KR 10047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ter
outer tank
washing machine
outer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27766A (en
Inventor
나까가와겐지
가와무라다모쯔
나까무라사또시
후꾸이다까시
후나다요리히사
다께우찌하루미
에이후꾸유우지
야마오까나오또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7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954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3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lectrochemic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세정력이 향상된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cleaning power.

외조(2)의 주위면벽(21)에, 외조(2) 내에 저장된 물을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해 장치(60)를 외측으로부터 부착한다. 외조(2) 내의 물은 입구관(64A) 및 접속관(63A)을 거쳐서 전해조(62)로 유입하고, 복수의 전극판(61)에 의해 전기 분해된 후, 접속관(63B) 및 출구관(64B)을 거쳐서 외조(2) 내로 복귀된다.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for electrolyzing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2 is attached to the peripheral surface wall 21 of the outer tub 2 from the outside. Water in the outer tub 2 flows into the electrolytic cell 62 via the inlet pipe 64A and the connecting pipe 63A, and is electrolyzed by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61, and then the connecting pipe 63B and the outlet pipe. It returns to the outer tub 2 via 64B.

살균 효과를 갖는 활성 산소(O2 -)나 차아염소산(HClO) 등이 생성된다.Active oxygen (O 2 ), hypochlorous acid (HClO), or the like having a bactericidal effect is produced.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 {DRUM-TYPE WASHER}Drum Washing Machine {DRUM-TYPE WASHER}

본 발명은 드럼 내에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m type washing machine for storing laundry in a drum.

종래부터, 예를 들어 원통형 드럼 내에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드럼식 세탁기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세탁기는, 예를 들어 드럼의 외측을 둘러싸는 외조를 갖고 있고, 이 외조 내에 소정량의 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 내의 세탁물을 드럼 내면으로 돌출 설치된 배플에 의해 들어 올려, 어느 정도의 높이로부터 수면을 향해 자연 낙하시키는 등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세탁을 행한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for example, there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laundry is stored in a cylindrical drum for washing. A washing machine of this kind has, for example, an outer tub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drum, and by rotating the drum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outer tub, the laundry in the drum is lifted by a baffle that protrudes into the drum inner surface. The washing is carried out by repeating the operation such as lifting up naturally from a certain height toward the surface of the water.

종래부터 보다 세정력이 높은 드럼식 세탁기가 요구되고 있었다. Conventionally,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higher cleaning power was calculated | required.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기초로 이루어진 것으로, 세정력이 향상된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on the basis of this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cleaning pow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시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조(2)와, 상기 외조 내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로서의 드럼(4)이며, 대략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51L, 51R)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드럼을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며, 상기 외조에 물이 저장되었을 때에 상기 외조에 저장된 물을 전기 분해할 수 있도록, 저장된 물에 잠기는 위치에 설치된 전극판(61, 161)을 갖는 전해 장치(60, 1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outer tub 2 capable of storing water at the time of washing, and a drum 4 as an inner tub installed in the outer tub for accommodating laundry, and is approximately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cluding a drum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51L, 51R) se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storage tank,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ank can be electrolyzed when the water is stored in the outer tank. An electrolytic device (60, 160) having electrode plates (61, 161) provided at a position immersed in water is provided with a drum type washing machine.

또한, 괄호 내의 영문과 숫자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응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낸다. 이하, 이 항에 있어서 동일하다.In addition, the alphabet and the number in parentheses represent corresponding components, etc. in embodiment mentioned later. Hereinafter, the same in this section.

이 구성에 따르면, 외조에 저장된 물(수돗물)에 전극판이 잠기는 위치에 전해 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돗물의 성분인 물과 염소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활성 산소(O2 -)나 차아염소산(HClO) 등이 생성된다. 이들 생성물의 작용에 의해 세탁시에는 세탁물로부터 나온 오염이 다시 세탁물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헹굼시에는 살균 효과에 의해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electrolytic apparatus is arranged at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plate is immersed in the water (tap water) stored in the outer tank, water and chlorine, which are components of the tap water, react chemically to activate oxygen (O 2 ) or hypochlorous acid (HClO). Etc. are generated. By the action of these products, contamination from laundry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laundry again during washing, and the laundry can be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effect during rinsing. Therefore,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주위면벽(42)을 갖고, 상기 전해 장치(60)는 상기 전극판(61)과 그를 수용하는 전해조(62)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조는 상기 드럼의 주위면벽에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rum has a peripheral wall (42) capable of rotating about the rotating shaft, and the electrolytic device (60) includes the electrode plate (61) and an electrolytic cell (62) for receiving it. The electrolytic cell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ich is attach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eripheral wall of the drum.

이 구성에 따르면, 전해조가 드럼의 주위면벽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유동하는 외조 내의 물이 원활하게 전해조 내로 들어간다. 따라서, 전기 분해가 촉진되므로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electrolytic cell is provided opposite the peripheral wall of the drum, water in the outer tank flowi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smoothly enters the electrolytic cell. Therefore, since electrolysis is promoted,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전해 장치(60)와, 상기 전해조와 외조를 연통하여 외조에 저장된 물이 전해조로 침입할 수 있는 입구(63A)와, 상기 전해조와 외조를 연통하여 전해조의 물이 외조로 복귀시키기 위한 출구(63B)를 갖고, 상기 입구와 출구는 고저차를 갖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이다.Invention of Claim 3 communicates with the said electrolytic apparatus 60, the inlet 63A which the electrolytic cell communicates with an outer tank, and the water stored in an outer tank can invade into an electrolytic cell, and the electrolytic cell communicates with an outer tank,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of Claim 2 is provided with the exit 63B for returning to the said furnace, The said inlet and an exit are provided in the state which has a height difference.

이 구성에 따르면,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유동하는 외조 내의 물의 흐름이 입구 근방과 출구 근방에서 달라지므로, 전해 장치 내 물의 흐름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분해가 촉진되어 세정력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flow of water in the outer tub that flows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is different in the vicinity of the inlet and the outle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low of the water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Therefore, electrolysis is promoted and the cleaning power is improved.

또한, 배수시에는 높이가 높은 출구측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입구측으로 전해 장치 내의 물이 흐르기 때문에, 전해 장치 내에 물이 저장된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flows from the high outlet side to the low inlet side during drain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being stored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Therefore, corrosion of an electrode plate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입구(63A)는 상기 외조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보다도 낮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출구(63B)는 상기 외조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As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the inlet 63A is arranged to be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outer tub, and the outlet 63B is arranged to b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outer tub. You may be.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입구(63A) 및 출구(63B)는 각각 상기 외조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보다도 낮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전해 장치 내를 보다 원활하게 물이 흐르기 때문에, 보다 전기 분해가 촉진되어 세정력이 향상된다.In addition, as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the inlet 63A and the outlet 63B are arranged so as to be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outer tank, respectively, so that water flows more smoothly through the electrolytic apparatus. Electrolysis is accelerated and cleaning power is improved.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입구(63A)는 상기 드럼의 주위면벽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is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inlet 63A faces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drum.

이 구성에 따르면, 입구가 주위면벽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유동하는 외조 내의 물이 입구로 들어가기 쉽다. 따라서, 보다 원활하게 전해 장치 내로 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전기 분해를 촉진할 수 있어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inlet faces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eripheral wall, water in the outer tub flowi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is likely to enter the inlet. Therefore, since water enters into an electrolysis device more smoothly, electrolysis can be accelerated | stimulated and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드럼은 탈수시에 상기 출구(63B)측으로부터 입구(63A)측을 향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is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um is rotated from the outlet 63B side toward the inlet 63A side when dewatering.

이 구성에 따르면, 탈수시에는 세탁물로부터 나오는 수분이 입구로 들어가기 어려운 방향으로 드럼이 회전하므로, 전해 장치 내의 물을 적절하게 배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rum rotates in a direction where moisture from the laundry is difficult to enter the inlet during dehydration, so that the water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can be drained properly.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드럼은 세탁 및 헹굼시에 상기 출구(63B)측으로부터 입구(63A)측을 향하는 방향과, 이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서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전해 장치(60)는 드럼이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외조에 저장된 물을 전기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이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the drum is rotated with each other in a direction from the outlet (63B) side toward the inlet (63A) side and a direction opposite to this direction during washing and rinsing. )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6 or 7,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is electrolyzed only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 구성에 따르면, 세탁 및 헹굼시에는 입구에 외조 내의 물이 들어가기 쉬운 방향(상기 반대 방향)으로 드럼이 회전하고 있을 때만 전해 장치에 의해 물이 전기 분해되므로, 효율적으로 전기 분해할 수 있는 동시에 전해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is electrolyzed by the electrolytic apparatus only when the drum is rotat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in the outer tank easily enters the inlet (the opposite direction) during washing and rinsing. It can extend the life of the device.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횡방향으로 배치된 원통형으로, 세탁시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외조(2)와, 상기 외조 내에 대략 동축으로 수용되어 세탁물을 넣어 대략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51L, 51R)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4)을 갖는 드럼식 세탁기이며, 상기 외조의 원통형부에 원통의 하단부로부터 횡방향을 향하는 입구(64A)와, 상기 외조의 원통형부에 상기 입구보다 소정 치수 상방의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개방한 출구(64B)와, 상기 입구 및 출구에 접속되어 상기 외조 표면에 따르도록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입구를 거쳐서 유입한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외조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해 장치(16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9 has a cylindrical shap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ncludes an outer tub 2 for storing water at the time of washing, and a laundry angle accommodated in the outer tub so as to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um (4) rotating about a rotation shaft (51L, 51R) set within a range, the inlet (64A) facing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to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outer tub, and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outer tub An outlet 64B which is laterally open from a position above a predetermined dimension than the inlet, and is inclined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and the outlet so as to conform to the outer tank surface, and electrolytically decomposes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n electrolytic device 160 for returning from the outlet to the outer tub.

이 구성에 따르면, 외조의 원통형부 하부 측방의 코너부에 전해 장치가 외조 표면에 따르도록 경사지게 부착함으로써, 좁은 부착 공간에서 전해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an electrolytic apparatus can be arrange | positioned in a narrow attachment space by attaching it inclined so that an electrolytic apparatus may adhere to the outer tank surface at the corner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cylindrical part of an outer tub.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전해 장치(60, 160)는 상기 외조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0 is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9, wherein the electrolytic devices 60 and 160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tank.

이 구성에 따르면, 전해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해 장치를 제거하여 보수를 행할 수 있으므로, 전해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electrolytic device can be detachably attached and the electrolytic device can be removed and repaired, the life of the electrolytic device can be extended.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시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조(2)와, 상기 외조 내에 설치되어 대략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51L, 51R)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드럼(4)을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며,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 단부면측(41R)과 대향하는 외조의 단부면에 상기 외조 내에 저장된 물을 유입시키고, 그 물을 전기 분해하여 외조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해 장치(1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다.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tub (2) capable of storing water at the time of washing and rotating around the rotation shafts (51L, 51R) provided in the outer tub and se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cluding a drum (4) for accommodating laundry, wherein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is introduced into an end surface of the outer tub facing the end surface side 41R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of the drum, and the water is electrolyzed by It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lytic device 160 for returning to the outer tank.

이 구성에 따르면, 전해조가 드럼의 단부면측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유동하는 외조 내의 물이 전해조 내로 들어가기 어렵다. 따라서, 외조 내의 물에 포함되는 실 부스러기 등이 전해 장치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해 장치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electrolytic cell is provided opposite to the end face side of the drum, water in the outer tank flowi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is less likely to enter the electrolytic cel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read debri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water in the outer tank from entering the electrolytic apparatus,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lytic apparatus from failing.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시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조(2)와, 상기 외조 내에 설치되어 대략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51L, 51R)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드럼(4)을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며, 상기 외조에 저장된 물을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해 장치(60, 160)와, 탈수 종료 후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외조 내에 온풍을 송풍하는 건조 장치(U)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다.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2 further comprises an outer tub 2 capable of storing water during washing and rotating shafts 51L and 51R installed in the outer tub and se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cluding a drum (4) for accommodating laundry, which is configured to blow warm air into the tub to dry the laundry after the completion of dehydration, and electrolytic devices (60, 160) for electrolyzing the water stored in the tub. It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which has a drying apparatus (U).

이 구성에 따르면, 건조 장치의 동작에 의해 드럼 내의 세탁물뿐만 아니라 전해 장치 내부에 포함되는 전극판도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not only the laundry in the drum but also the electrode plate included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can be dried by the operation of the drying apparatus, so that corrosion of the electrode plate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드럼(4)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위면벽(42)을 갖고, 상기 전해 장치(60)는 상기 드럼의 주위면벽에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drum 4 has a peripheral wall 42 that rotates about the rotating shaft, and the electrolytic device 60 is attach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eripheral wall of the drum. It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of Claim 12.

이 구성에 따르면, 전해 장치가 드럼의 주위면벽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건조시,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전해 장치 내로 원활하게 바람이 들어간다. 따라서, 전극을 보다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극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electrolytic apparatus is provided to face the peripheral wall of the drum, air flows smoothly into the electrolytic apparatus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during drying. Therefore, since the electrode can be dried more effectively, corrosion of the electrode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드럼은 세탁물의 세탁이 종료된 후, 헹굼이 개시될 때까지 소정 시간만큼 정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전해 장치(60, 160)는 상기 소정 기간 중, 외조에 저장된 물을 전기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drum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rinsing starts after the washing of the laundry is finished, the electrolytic device (60, 160) is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ank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characterized by electrolysis.

이 구성에 따르면, 소정 시간(예를 들어, 약 5분간)만큼 드럼의 회전을 멈추고,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기 분해에 의해 생기는 활성 산소나 차아염소산의 전해 장치 근방에 있어서의 농도를 높게 한 후, 헹굼을 행함으로써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um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bout 5 minutes) and electrolyzing the water, the concentration of active oxygen or hypochlorous acid generated by electrolysis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olytic apparatus is increased. Afterwards, the sterilization effect can be improved by rinsing.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시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조(2)와, 상기 외조 내에 설치되어 대략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51L, 51R)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드럼(4)을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며, 상기 외조에 저장된 물을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극판(61, 161)을 갖고, 탈수 전 또는 탈수 중에 상기 전극판에 전류를 흘려 그 전기 저항을 검지함으로써, 상기 외조 내에 거품이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는 전해 장치(60, 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5 rotates about an outer tub (2) capable of storing water during washing and rotating shafts (51L, 51R) installed in the outer tub and se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cluding a drum (4) for accommodating laundry, and has electrode plates (61, 161) for electrolyzing water stored in the outer tank, the current being su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before or during dehydration. It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electrolytic apparatus (60, 160)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bubbles remain in the outer tank by detecting resistance.

이 구성에 따르면, 탈수 전 또는 탈수 중에 전해조 내에 거품이 남아 있으면, 전해 장치 내의 전극판 사이에 거품을 거쳐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이 전류의 전기 저항을 검지함으로써 외조 내에 거품이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조 내에 남아 있는 거품이 많은 경우는 저항치가 낮고, 남아 있는 거품이 적은 경우는 저항치가 높다. 외조 내에 거품이 남아 있다고 검지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외조 내에 소정량의 물을 방수하는 등하여 거품을 제거하면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f bubbles remain in the electrolytic cell before or during dehydration, electric current flows through the bubbles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Thus, by detect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is current,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bubbles remain in the outer tub. Specifically, the resistance value is low when there are many bubbles remaining in the outer tub, and high when there are few bubbles remaining. When it is detected that bubbles remain in the outer tub, for example, the foam may be removed by waterproof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 the outer tub.

외조 내에 남은 거품을 제거함으로써, 탈수시에 거품이 저항이 되어 드럼의 회전수가 상승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탈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removing the bubbles remaining in the outer tan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bbles from becoming resistant during dehydration and not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thereby improving the dewatering performa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를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에 있어서, 좌측 가까운 측을 전방, 우측 안 쪽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n inclined upper side. In Fig. 1, the left near side will be described as the front and the right inner side as the rear.

이 드럼식 세탁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은, 예를 들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 내에 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펄세이터를 구비한 소용돌이식의 종형 세탁기용 세탁기 팬에 설치 가능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 상에 설치되었을 때의 높이[바닥면으로부터 하우징(1) 상면(1A)까지의 높이]가 사용자의 허리 높이 정도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The housing 1 constituting the drum washing machine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can be installed in a spiral type washing machine fan having a pulsator for generating water flow in a washing tank for storing laundry, for example. Moreover, it is designed so that the height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1A of the housing 1) when installed on the floor may be about the waist height of a user.

하우징(1) 상면(1A)의 전방측에는 전방측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1B)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 상면(1A)으로부터 경사면(1B)에 걸쳐서 개폐 덮개(14)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덮개(14)는 개구(15) 중 하우징(1) 상면(1A)에 형성된 부분을 덮는 후방 덮개(14A)와, 경사면(1B)에 형성된 부분을 덮는 전방 덮개(14B)를 포함한다. 후방 덮개(14A)는 그 후방 모서리가 하우징(1) 상면(1A)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전방 덮개(14B)는 그 후방 모서리가 후방 덮개(14A)의 전방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전방 덮개(14B)의 전방 모서리의 좌우 양측은 개구(15) 좌우의 내주 모서리에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An inclined surface 1B inclined to lower toward the front sid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1A of the housing 1, and is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14 from the upper surface 1A of the housing 1 to the inclined surface 1B. The opening 15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s formed.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14 includes a rear cover 14A covering a portion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A of the housing 1 of the opening 15, and a front cover 14B covering a portion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1B. The rear cover 14A has a rear edge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1A of the housing 1, and the front cover 14B has a rear edge rotatably attached to the front edge of the rear cover 14A. have.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edge of the front lid 14B are slidably attach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15.

사용자는 전방 덮개(14B)에 형성된 손잡이부(16)를 잡아 전방 덮개(14B)의 후방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전방 덮개(14B)와 후방 덮개(14A)가 상면(1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절첩된 상태에서 개구(15)를 개방할 수 있다. The user grasps the handle portion 16 formed on the front cover 14B and slides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cover 14B upward while sliding the rear cover, so that the front cover 14B and the rear cover 14A are removed from the upper surface 1A. The opening 15 can be opened in the folded state so as to protrude upward.

경사면(1B)에 있어서의 개구(15)의 우측에는 이 드럼식 세탁기의 운전에 관한 각종 설정 및 운전 상황 등의 각종 표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 표시 패널(17)이 배치되어 있다. On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15 in the inclined surface 1B, an operation display panel 17 for performing various displays such as various setting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the operation status is arranged.

또한, 하우징(1)의 좌우 양측면의 대략 중앙에는 대략 원형의 개구(18)가 형성되어 있고, 각 개구(18)에는 덮개(19)가 끼워 넣어져 있다(도1에서는 우측면만이 보이고 있음). 개구(18)는 소위 서비스 해치이며, 덮개(19)를 제거하여 하우징(1) 내부에 손을 넣음으로써 기기 내의 보수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an approximately circular opening 18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 and a lid 19 is fitted in each opening 18 (only the right side is shown in FIG. 1). . The opening 18 is a so-called service hatch, and the maintenance in the apparatus can be performed by removing the cover 19 and inserting a hand into the housing 1.

도2는 드럼식 세탁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좌우 방향에 따른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3 및 도4는 드럼식 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전후 방향에 따른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is a view of the cross section taken when cut in the vertical plan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een from the front side. 3 and 4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which are cross-sectional views when cut into a vertical pla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left or the right, respectively.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하우징(1) 내부에는 대략 원통형의 외조(2)가 단부면을 좌우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외조(2)의 양 단부면은 단부면벽(21L, 21R)으로 폐쇄되어 있다. 2 to 4,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uter tub 2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 with the end face left and right. Both end faces of the outer tub 2 are closed by end face walls 21L and 21R.

외조(2)는 한 쌍의 댐퍼(3F, 3B) 및 한 쌍의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댐퍼(3F, 3B)는 하우징(1)의 내부 바닥면과 외조(2) 사이를 연결하고 있고, 각각 외조(2)의 하방 전방측의 위치 및 하방 후방측의 위치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코일 스프링은 각각 하우징(1)의 좌우 측면과 외조(2)를 연결하고 있고, 외조(2) 단부면벽(21L, 21R)의 상단부 후방측의 위치를 지지하고 있다. The outer tub 2 is supported by a pair of dampers 3F and 3B and a pair of coil springs (not shown). Specifically, the pair of dampers 3F and 3B connect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 and the outer tub 2, respectively, the position of the lower front side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rear side of the outer tub 2, respectively. I support it. Moreover, the pair of coil springs connect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 and the outer tub 2, respectively, and support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part rear side of the outer tub 2 end surface walls 21L and 21R.

외조(2)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대략 원통형의 드럼(4)이 단부면을 좌우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드럼(4)은 그 축선이 외조(2)의 축선에 대해 대략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드럼(4)의 양 단부면은 단부면벽(41L, 41R)으로 폐쇄되어 있고, 이들 단부면벽(41L, 41R)의 중심에는 각각 회전축(51L, 51R)이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51L, 51R)은 각각 하우징(1)의 좌우 측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동일한 회전축선에 따라서 단부면벽(41L, 41R)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되고, 외조(2)에 부착된 베어링(52L, 52R)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Inside the outer tub 2, a substantially cylindrical drum 4 for accommodating laundry therein is provided with the end face left and right. The drum 4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axis line may become substantially coaxial with respect to the axis line of the outer tub 2. As shown in FIG. Both end faces of the drum 4 are closed by end face walls 41L and 41R, and rotating shafts 51L and 51R are connected to the centers of these end face walls 41L and 41R, respectively. The rotary shafts 51L and 51R extend left and right from the end face walls 41L and 41R along the same rotational axis set in the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 respectively, and the bearing 52L attached to the outer tub 2. , 52R is rotatably held.

외조(2)의 좌측에는 드럼(4)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6)가 고정자(6A)를 거쳐서 외조(2)의 좌측 단부면(21L)에 부착되어 있다. 모터(6)는 회전축(51L)의 좌단부에 대해 DD(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모터(6)의 외부 회전자(6B)가 회전됨으로써, 회전축(51L)이 회전되어 드럼(4)이 외조(2) 내에서 축선 주위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On the left side of the outer tub 2, a motor 6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drum 4 is attached to the left end surface 21L of the outer tub 2 via the stator 6A. The motor 6 is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rotary shaft 51L in a DD (direct drive) manner, and by rotating the external rotor 6B of the motor 6, the rotary shaft 51L is rotated so that the drum 4 Is rotated around the axis in the outer tub (2).

드럼(4)의 주위면벽(4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조(2)의 주위면벽(21)에는 그 하우징(1)의 개구(15)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외조(2)의 개구(22) 및 드럼(4)의 개구(43)에는 각각에 슬라이드식 개폐 덮개(22A, 43A)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개폐 덮개(22A, 43A)를 개방한 상태에서 세탁물의 출입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드럼(4) 개구(43)의 개폐 덮개(43A)는 외조(2) 개구(22)의 개폐 덮개(22A)를 개폐시켰을 때에 이와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The peripheral surface wall 42 of the drum 4 is formed with an opening 43 for entering and leaving the laundry. And the opening 22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all 21 of the outer tub 2 in the position which opposes the opening 15 of the housing 1. In the opening 22 of the outer tub 2 and the opening 43 of the drum 4, slide opening / closing covers 22A and 43A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in the state where these opening and closing covers 22A and 43A are opened. The laundry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The opening and closing lid 43A of the drum 4 opening 43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in conjunction with this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lid 22A of the outer tub 2 opening 22 is opened and closed.

외조(2)의 좌단부면벽(21L)의 하부에는 드럼(2)의 회전을 소정의 타이밍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로크 기구(10)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로크 기구(10)의 동작에 의해, 드럼(4)은 개구(43)가 외조(2) 개구(22)와 포개지도록 정지 위치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드럼(4)의 회전이 정지한 상태에서 개폐 덮개(14)를 개방함으로써, 드럼(4)에 대해 경사 상방으로부터 개구(15, 22, 43)를 거쳐서 세탁물의 출입을 행할 수 있다. A locking mechanism 10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left end surface wall 21L of the outer tub 2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um 2 at a predetermined timing. By the operation of the lock mechanism 10, the stop position of the drum 4 is controlled such that the opening 43 overlaps the opening 22 of the outer tub 2. Thereby, by opening and closing the lid 14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of the drum 4 is stopped, the laundry can be pushed in and out of the drum 4 from the inclined upper side through the openings 15, 22, 43.

하우징(1) 상면(1A)의 후방부 좌측에는 외부의 수도 설비 등에 이르는 급수 호스를 접속하기 위한 호스 접속구(71)가 설치되어 있고(도3 참조), 이 호스 접속구(71)로부터 하우징(1) 내부를 향해 급수관(72)이 연장되어 있다. 급수 호스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수돗물(이하, 간략하게「물」이라 함)은 급수관(72)을 통해 외조(2) 내에 공급된다.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A of the housing 1, a hose connection port 71 for connecting a water supply hose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ystem or the like is provided (see Fig. 3), and from the hose connection port 71, the housing 1 The water supply pipe 72 extends toward the inside. Tap wate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is supplied into the outer tub 2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72.

또한, 외조(2)의 주위면벽(21)의 하단부 우측에는 배수구(7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구(76)에는 배수관(75)이 접속되어 있다. 배수관(75)의 도중에는 배수 밸브(77)가 개재 장착되어 있고, 이 배수 밸브(77)를 폐쇄한 상태에서 급수를 행함으로써, 호스 접속구(71)를 거쳐서 공급되는 물을 외조(2)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외조(2) 내에 저장된 물은 배수 밸브(77)를 개방함으로써 배수구(76) 및 배수관(75)을 통해 세탁기 밖으로 배수할 수 있다. Moreover, the drain port 76 is formed in the lower end part right side of the peripheral surface wall 21 of the outer tub 2, and the drain pipe 76 is connected to this drain port 76. As shown in FIG. A drain valve 77 is interposed in the middle of the drain pipe 75 and water is suppli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drain valve 77 to stor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se connection 71 in the outer tank 2. Can be. In addition,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2 can be drained out of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drain hole 76 and the drain pipe 75 by opening the drain valve 77.

드럼(4)의 주위면벽(42)에는 다수의 통수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뚫려 있고, 외조(2) 내에 공급된 물은 이들 통수 구멍을 통해 드럼(4) 내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드럼(4)의 주위면벽(42)의 내면에는 세탁물을 들어 올리기 위한 배플(도시하지 않음)이 원주 방향의 소정 등각도마다(예를 들어, 120°마다)에 1개씩(총 3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A plurality of water passages (not shown) are drilled through the peripheral wall 42 of the drum 4, and water supplied into the outer tub 2 is introduced into the drum 4 through these water passages. In add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42 of the drum 4, one baffle (not shown) for lifting the laundry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sometric angle (for example, every 120 °)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ree in total). ) It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세탁 및 헹굼시에는 외조(2) 내에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드럼(4)이 회전됨으로써 드럼(4) 내의 세탁물이 배플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어느 정도의 높이로부터 수면을 향해 자연 낙하하는 등의 동작이 반복된다. 또한, 탈수시에는 드럼(4)이 고속 회전되어 드럼(4) 내의 세탁물에 포함되는 물이 원심력에 의해 짜내게 되고, 이 세탁물로부터 나온 수분이 통수 구멍을 통해 외조(2)측으로 비산한다. During washing and rinsing, the drum 4 is rotated while the water is stored in the outer tub 2 so that the laundry in the drum 4 is lifted up by the baffle and naturally falls from the height to the water surface. This is repeated. At the time of dehydration, the drum 4 is rotated at high speed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laundry in the drum 4 is squeezed out by centrifugal force, and water from the laundry is scattered to the outer tank 2 through the water passage.

배수관(75)은 그 도중에서 우측을 향해 분기하고 있다. 외조(2)의 우단부면벽(21R)의 하단부에는 공기 트랩(11)이 외측으로부터 부착되어 분기한 배수관(75)에 접속되어 있다. 공기 트랩(11)에는 수위 검지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고, 이 수위 검지 센서가 공기 트랩(11) 내의 공기의 압력을 검지함으로써 외조(2) 내의 수위를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drain pipe 75 diverges toward the right in the middle. An air trap 11 is attached to the drain pipe 75 branched from the outside and branched to the lower end of the right end face wall 21R of the outer tub 2.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air trap 11, and the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can detect the water level in the outer tank 2 by detecting the pressure of air in the air trap 11.

외조(2) 내의 최하부에는 온수 히터(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온수 히터(12)를 이용하여 외조(2) 내에 저장된 물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적당한 수온으로 세탁 및 헹굼을 행할 수 있다. The hot water heater 12 is provided in the lowest part in the outer tank 2. As shown in FIG. By using this hot water heater 12 to warm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2, washing and rinsing can be performed at an appropriate water temperature.

탈수시의 드럼(4)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드럼(4)의 우단부면벽(41R)의 주연부에는 외측 면에 복수개(예를 들어, 8개)의 저수 상자(8)가 외측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다. 저수 상자(8)는 일면에 개구(81)를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81)를 회전 중심[회전축(51R)]을 향한 상태에서는 대략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급수관(72)으로부터 외조(2) 내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는 드럼(4)의 회전에 수반하여 각 저수조(8)의 개구(81)가 그리는 궤도 상을 향해 방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드럼(4)을 소정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방수를 행함으로써 각 저수 상자(8)에 원심력에 의해 물을 저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order to reduce vibration of the drum 4 at the time of dehydration, a plurality of (eg, eight) reservoir boxes 8 are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drum 41 at the outer end of the right end face wall 41R. have. The storage box 8 is formed in the rectangular shape which has the opening 81 in one surface, and is arrange | positioned at substantially equiangular intervals in the state which the opening 81 turned toward the rotation center (rotation shaft 51R). A part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72 into the outer tank 2 can be waterproofed toward the track | orbit which the opening 81 of each reservoir 8 draws with rotation of the drum 4, and the drum 4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boxes 8 by centrifugal force by rotating water at a predetermined speed.

세탁물의 편재에 의해 드럼(4)에 편심 하중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각 저수 상자(8)에 대략 가득 채운 물을 저류시키고, 그 상태로부터 편심 하중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저수 상자(8)로부터 물을 흘리도록 드럼(4)의 회전 속도를 순간적으로 떨어뜨리는 제어를 한다. 저수 상자(8)로부터 물이 흐름에 다른 중량의 감소분이 편심 하중에 걸맞는 정도이면, 양자가 서로 상쇄하여 드럼(4)에 생기고 있는 편심 하중이 작아지기 때문에, 편심 하중(세탁물의 편재)에 기인하는 진동을 작게 할 수 있다. When the eccentric load is generated in the drum 4 by the ubiquity of the laundry, water which is filled up approximately in each storage box 8 is stored, and from that state from the storage box 8 which is closest to the eccentric load from the state. Control to drop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4 momentarily so that water flows is performed. If the decrease in the weight of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box 8 corresponds to the eccentric load, both of them cancel each other and the eccentric load generated on the drum 4 becomes small. The vibration caused can be made small.

탈수시 드럼(4)의 진동을 더 억제하기 위해, 드럼(4)의 좌단부면벽(41L)의 주연부에는 원환 형상의 유체 밸런서(9)가 부착되어 있다. 유체 밸런서(9) 내부에는 원주 방향에 따른 4개의 유로(91)가 형성되어 있고, 각 유로(91)에는 각각 소정량의 액체가 밀봉되어 있다. 또한, 각 유로(91) 내에는 원주 방향의 소정 각도마다(예를 들어, 약 60°마다) 구획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고, 각 유로(91) 내의 액체는 구획판과 유체 밸런서(9) 내면 사이의 간극을 거쳐서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체 밸런서(9) 내의 액체는 드럼(4)이 저속(약 100 rpm)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세탁물의 편재에 기인하는 진동과 대략 동위상의 진동이 생기도록 편재하고, 드럼(4)의 회전 속도가 일정 속도(약 300 rpm)를 초과하면, 세탁물의 편재에 기인하는 진동과는 대략 역위상의 진동이 생기도록 편재한다. 따라서, 드럼(4)의 고속 회전시에는 세탁물의 편재에 기인하는 진동을 유체 밸런서(9) 내의 액체 편재에 의한 진동에 의해 없앨 수 있어 드럼(4)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In order to further suppress the vibration of the drum 4 during dehydration, an annular fluid balancer 9 is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left end surface wall 41L of the drum 4. Four flow paths 9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formed inside the fluid balancer 9,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liquid is sealed in each flow path 91, respectively. In addition, a partition plate (not shown) is provided in each flow path 91 at predetermined angles (for example, about every 6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iquid in each flow path 91 is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plate and the fluid balancer. (9) It is freely circulat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s. As a result, the liquid in the fluid balancer 9 is ubiquitous so that the vibration caused by the ubiquity of the laundry is approximately in phase with the drum 4 while the drum 4 is rotating at a low speed (about 100 rpm).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agnetizer exceeds a certain speed (about 300 rpm), it is ubiquitous so that vibrations which are substantially out of phase with vibrations caused by the ubiquitous distribution of the laundry occur. Therefore, in the high speed rotation of the drum 4, the vibration resulting from the ubiquity of the laundry can be eliminated by the vibration due to the ubiquitous liquid in the fluid balancer 9, and the vibration of the drum 4 can be suppressed.

이 드럼식 세탁기는 탈수 후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고, 외조(2)의 우단부면벽(21R)에는 건조 기능을 위한 건조 유닛(U)이 외측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유닛(U)은 하우징(1) 내외를 연통하는 흡입구(30)로부터 흡입된 하우징(1) 외부의 공기를 상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풍로를 구성하는 풍로 부재(31)와, 이 풍로 부재(31)의 종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의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외조(2) 내로 송풍하기 위한 팬(32)과, 팬(32)으로부터의 공기를 외조(2) 내로 유도하기 위한 건조용 후드(33)와, 건조용 후드(33) 내에 배치되어 외조(2) 내로 송풍하는 공기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온풍 히터(34)를 포함한다. 건조시에는 건조 유닛(U)으로부터 외조(2) 내로 온풍을 취입하면서 드럼(4)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4) 내의 세탁물을 배플에 의해 들어 올리고, 어느 정도의 높이로부터 자연 낙하시키는 등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세탁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This drum type washing machine also has a function of drying the laundry after dehydration, and a drying unit U for a drying function is attached to the right end surface wall 21R of the outer tub 2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 4, the drying unit U comprises a air passage member 31 constituting an air passage for guiding the air outside the housing 1 upwardly from the suction port 30 communicating with the housing 1 and the outside upward. ), A fan 32 for blow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 into the outer tub 2, and an air from the fan 32,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air passage member 31. A drying hood 33 for guiding the inside) and a warm air heater 34 disposed in the drying hood 33 to warm the air blown into the outer tub 2. At the time of drying, the drum 4 is rotated while blowing warm air from the drying unit U into the outer tub 2, thereby lifting the laundry in the drum 4 by the baffle and naturally dropping it from a certain height. Repeat. Thereby, laundry can be dried satisfactorily.

도5 및 도6은 각각 외조(2)를 취출해 본 우측면도 및 정면도이며, 드럼(4)은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외조(2)의 주위면벽(21)에는 그 하단부의 전방측 좌단부에 외조(2) 내에 저장된 물을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해 장치(60)가 외측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다. 5 and 6 are right side and front views of the outer tub 2, respectively, and the drum 4 is omitted. 5 and 6, an electrolytic device 60 for electrolyzing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2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wall 21 of the outer tub 2 from the outside at the front left end of the lower end thereof. .

전해 장치(60)는 내부에 복수매의 전극판(61)을 구비한 중공형의 전해조(62)와, 전해조(62)를 외조(2)에 접속하여 외조(2) 내의 물을 전해조(62) 내에 유통시키기 위한 2개의 접속관(63A, 63B)을 갖는다. 특히, 접속관(64A)은 외조(2)의 최하단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electrolytic device 60 connects the electrolytic cell 62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61 therein with the electrolytic cell 62 and the electrolytic cell 62 to the outer tank 2 to supply water in the outer tank 2 to the electrolytic cell 62. ) Has two connection tubes 63A and 63B for circulation. In particular, the connecting pipe 64A extends horizontally in the tangential direction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outer tub 2.

외조(2)의 주위면벽(21)에는 전해 장치(60)의 부착 위치에 각 접속관(63A, 63B)에 대응하여 입구관(64A) 및 출구관(64B)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입구관(64A) 및 출구관(64B)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각각 수평 방향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해 장치(60)는 그 각 접속관(63A, 63B)이 대응하는 입구관(64A) 및 출구관(64B)에 패킹(65)을 거쳐서 접속되는 동시에, 전해조(62)에 설치된 복수(예를 들어, 4개)의 나사 구멍(66)을 통해 외조(2)의 주위면벽(21)에 나사가 나사 삽입됨으로써 외조(2)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전해조(62)가 드럼(4)의 주위면벽(42)에 대향한 상태에서, 외조(2)의 주위면벽(21)에 따르도록 경사지게 부착되어 외조(2) 내의 물을 전해조(62) 내로 취입 가능해진다. The inlet pipe 64A and the outlet pipe 64B protrude outward from the peripheral surface wall 21 of the outer tub 2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on pipe 63A, 63B at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FIG. . The inlet pipe 64A and the outlet pipe 64B are arranged in the up-down direction, and protru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nt side, respectively. The connecting device 63A, 63B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inlet pipe 64A and the outlet pipe 64B via the packing 65 at the same time,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63A and 63B are provided in the electrolytic cell 62 (for example, For example, a screw is screwed into the circumferential wall 21 of the outer tub 2 through the four screw holes 66 and is attached to the outer tub 2. Thereby, in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olytic cell 62 oppose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all 42 of the drum 4, it attaches inclined so that it may follow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all 21 of the outer tank 2, and the water in the outer tank 2 may be electrolyzed. ) Can be blown into.

전해조(62)가 드럼(4)의 주위면벽(42)에 대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드럼(4)의 회전에 수반하여 유동하는 외조(2) 내의 물이 원활하게 전해조(62) 내로 들어간다. 따라서, 전기 분해가 촉진되기 때문에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electrolytic cell 62 is provided in the state facing the peripheral wall 42 of the drum 4, the water in the outer tank 2 flowi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4 smoothly enters the electrolytic cell 62. . Therefore, since the electrolysis is promoted, the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또한, 전해조(62)가 외조(2)의 주위면벽(21)에 따르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조(2)의 하부 전방의 코너부에 좁은 부착 공간에서 전해 장치(60)를 배치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electrolytic cell 62 is inclined so that the circumferential wall 21 of the outer tank 2 may be inclined,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can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narrow attachment space of the lower front part of the outer tank 2. .

입구관(64A) 및 출구관(64B)은 고저차를 갖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유동하는 외조(2) 내의 물의 흐름이 입구관(64A) 근방과 출구관(64B) 근방에서 다르다. 따라서, 전해 장치(60) 내의 물의 흐름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전기 분해가 촉진되어 세정력이 향상된다. Since the inlet pipe 64A and the outlet pipe 64B are provided with the height difference, the flow of water in the outer tank 2 flowi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is near the inlet pipe 64A and the outlet pipe 64B. Is different from. Therefore, since the flow of water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can be made favorable, electrolysis is accelerated | stimulated and cleaning power improves.

또한, 배수시에는 높이가 높은 출구관(64B)측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입구관(64A)측으로 전해 장치(60) 내의 물이 흐르기 때문에, 전해 장치(60) 내에 물이 저장된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판(61)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water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flows from the high outlet tube 64B side to the low inlet tube 64A side at the time of drain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being stored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Can be. Therefore, corrosion of the electrode plate 61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전해 장치(60)는 4개의 나사를 느슨하게 하여 2개의 접속관(63A, 63B)과 각각에 대응하는 입구관(64A) 및 출구관(64B)의 접속을 제거함으로써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전해 장치(60)를 제거하여 보수를 행할 수 있으므로, 전해 장치(6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loosening four screws and remov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nnection pipes 63A and 63B and the corresponding inlet pipe 64A and the outlet pipe 64B, respectively. Therefore, since the electrolytic device 60 can be removed and repaired, the life of the electrolytic device 60 can be extended.

전해조(62)에는, 예를 들어 그 좌측면으로부터 좌측으로, 한 쌍의 접속 단자(67)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접속 단자(67)는 전해조(62) 내의 복수매의 전극판(61)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드럼 세탁기 내부에 설치된 전원부의 +극 및 -극에 접속된 2개의 리드선을 각각 방수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상기 한 쌍의 접속 단자(67)에 접속함으로써, 복수매의 전극판(61)을 통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극판(61)을 통전함으로써, 외조(2)로부터 전해 장치(60)의 전해조(62)에 취입된 물을 전해 처리할 수 있다. In the electrolytic cell 62,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 67 protrudes, for example from the left side to the left side. These connecting terminals 67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61 in the electrolytic cell 62, and two lead wires connected to the + and − poles of the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side the drum washing machine are respectively waterproof connectors (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61 can be energized by being connected to the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67 via a diagram (not shown). By energizing the electrode plate 61, the water blown into the electrolytic cell 62 of the electrolytic device 60 from the outer tank 2 can be electrolytically treated.

복수매의 전극판(61)은 외조(2)에 저장된 물(수돗물)에 잠기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돗물의 성분인 물과 염소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활성 산소(O2 )나 차아염소산(HClO) 등이 생성된다. 이들 생성물의 작용에 의해, 세탁시에는 세탁물로부터 나온 오염이 다시 세탁물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헹굼시에는 살균 효과에 의해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61 are disposed at positions immersed in water (tap water) stored in the outer tank 2. As a result, water and chlorine, which are components of tap water, react chemically to generate active oxygen (O 2 ), hypochlorous acid (HClO), and the like. By the action of these products, contamination from laundry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laundry again at the time of washing, and the laundry can be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effect at the time of rinsing. Therefore,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입구관(64A) 및 출구관(64B)은 모두 외조(2)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보다도 낮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해 장치(60) 내를 보다 원활하게 물이 흐르기 때문에, 보다 전기 분해가 촉진되어 세정력이 향상된다. 출구관(64B)은 외조(2)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 구성이라도 좋다. Both the inlet pipe 64A and the outlet pipe 64B are disposed so as to be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outer tank 2. As a result, water flows more smoothly through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so that electrolysis is promoted more and the cleaning power is improved. The outlet pipe 64B may be arranged so as to b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2.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탁 및 헹굼시에는 모터(6)의 구동을 소정 시간마다 정전/반전시킴으로써, 드럼(4)은 그 축선을 중심으로 도5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교대로 회전된다. 한편, 탈수시에는, 드럼(4)은 그 축선을 중심으로 도4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고속 회전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during washing and rinsing, the driving of the motor 6 is stopped / reversed every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drum 4 is rotated alternately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in FIG. 5 about its axis. .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dehydration, the drum 4 is rotated at high speed counterclockwise in FIG. 4 about its axis.

입구관(64A)은 외조(2)의 주위면벽(21)의 최하단부로부터 접선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도5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드럼(4)이 회전했을 때, 드럼(4)의 회전에 수반하여 시계 방향으로 유동하는 외조(2) 내의 물이 이 입구관(64A)을 통해 전해 장치(60)로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 및 헹굼시에는 드럼(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 원활하게 전해 장치(60) 내로 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전기 분해를 촉진할 수 있어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탈수시에는 세탁물로부터 나오는 수분이 입구관(64A)으로 들어가기 어려운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드럼(4)이 회전하기 때문에, 전해 장치(60) 내의 물을 적절하게 배수할 수 있다. Since the inlet pipe 64A protrudes tangentially forward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peripheral wall 21 of the outer tub 2, the drum 4 rotates when the drum 4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The water in the outer tank 2 which flows clockwise with this easily enters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through this inlet pipe 64A. Therefore, during washing and rinsing, since water smoothly enters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when the drum 4 rotates clockwise, electrolysis can be promoted and the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dehydration, since the drum 4 rotates in the direction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which moisture from laundry is hard to enter the inlet pipe 64A, the water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can be drained appropriately.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드럼(4)은 세탁물의 세탁이 종료된 후, 헹굼이 개시되기까지 소정 시간(예를 들어, 약 5분간)만큼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소정 시간 중, 전해 장치(60)에 의해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기 분해에 의해 생기는 활성 산소나 차아염소산의 전해 장치(60) 근방에 있어서의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 후, 헹굼을 행함으로써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um 4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bout 5 minutes) until the rinsing starts after the washing of the laundry is finished. Therefore, during this predetermined time, the concentration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olytic device 60 of active oxygen and hypochlorous acid generated by electrolysis can be increased by electrolyzing water by the electrolytic device 60. Thereafter, the sterilization effect can be improved by rinsing.

전해 장치(60)는, 세탁 및 헹굼시에는 드럼(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만 물을 전기 분해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해조(60) 내에 물이 들어가기 쉬울 때만 전기 분해를 행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전기 분해할 수 있는 동시에 전해 장치(6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may electrolyze water only when the drum 4 is rotating clockwise during washing and rinsing. In this case, electrolysis is performed only when water easily enters the electrolytic cell 60, so that the electrolysis can be efficiently conducted and the life of the electrolytic device 60 can be extend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건조 유닛(U)의 작용에 의해, 드럼(4) 내의 세탁물뿐만 아니라, 전해 장치(60) 내부에 포함되는 전극판(61)도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극판(61)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laundry in the drum 4 but also the electrode plate 61 contained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can be dried by the action of the drying unit U. FIG. Therefore, corrosion of the electrode plate 61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전해 장치(60)는 세탁시 및 헹굼시에 물을 전기 분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 전 또는 탈수 중에는 외조(2) 내에 거품이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역할을 한다. 헹굼 종료 후, 전해조(60) 내에 거품이 남아 있으면, 전해 장치(60) 내의 전극판(61) 사이에 거품을 거쳐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이 전류의 전기 저항을 검지함으로써 외조(2) 내에 거품이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조(2) 내에 거품이 남아 있는 경우는 저항치가 낮고, 거품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는 저항치가 높다. 외조(2) 내에 거품이 남아 있다고 검지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외조(2) 내에 소정량의 물을 방수하는 등하여 거품을 제거하면 된다.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can not only electrolyze water during washing and rinsing, but also detects whether bubbles remain in the outer tub 2 before or during dehydration. After completion of the rinsing, if bubbles remain in the electrolytic cell 60, current flows through the bubbles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61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6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bubbles remain in the outer tub 2 by detect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is current. Specifically, when bubbles remain in the outer tub 2, the resistance value is low, and when bubbles do not remain, the resistance value is high. When it is detected that foam remains in the outer tub 2, the foam may be removed by, for example, waterproof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 the outer tub 2.

외조(2) 내에 남은 거품을 제거함으로써, 탈수시에 거품이 저항이 되어 드럼(4)의 회전수가 상승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탈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removing the bubbles remaining in the outer tub 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bbles from becoming resistant during dehydra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4 not to rise, thereby improving the dewatering performance.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좌우 방향에 따른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와 전해 장치(160)의 부착 상태가 다르다. 전해 장치(160)의 부착 부분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of a cross section taken from the front side when cut into a vertical plan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ttachment state between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the electrolytic apparatus 160 of the first embodiment is different. Since it is the structure similar to 1st Embodiment except the attachment part of the electrolytic apparatus 160,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drawing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전해 장치(160)는 외조(2)의 우단부면벽(21R)의 하단부에 외측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다. 전해 장치(160)는 내부에 복수매의 전극판(161)을 구비한 중공형의 전해조(162)와, 전해조(162)를 외조(2)에 접속하여 외조(2) 내의 물을 전해조(162) 내에 유통시키기 위한 2개의 접속관(163A, 163B)을 갖는다. The electrolytic device 160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right end surface wall 21R of the outer tub 2 from the outside. The electrolytic device 160 connects the electrolytic cell 162 of the hollow electrolytic cell 162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161 therein, and the electrolytic cell 162 to the outer tank 2 to supply water in the outer tank 2 to the electrolytic cell 162. ) Has two connection tubes 163A and 163B for circulation.

외조(2)의 우단부면벽(21R)에는 전해 장치(160)의 부착 위치에 각 접속관(163A, 163B)에 대응하여 2개의 돌출관(164A, 164B)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돌출관(164A, 164B)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각각 수평 방향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해 장치(160)는 전해조(162)가 드럼(4)의 우단부면벽(41R)에 대향한 상태로 부착되고, 외조(2) 내의 물을 전해조(162) 내에 취입 가능해진다. On the right end surface wall 21R of the outer tub 2, two protruding pipes 164A and 164B protrude outwardly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pipes 163A and 163B at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electrolytic apparatus 160. FIG. The two protruding pipes 164A and 164B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otru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ight, respectively. The electrolytic device 160 is attached with the electrolytic cell 162 facing the right end surface wall 41R of the drum 4, and the water in the outer tank 2 can be blown into the electrolytic cell 162.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드럼(4)의 주위면벽(42)이 아닌, 단부면벽(41R)에 대향하여 전해 장치(1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드럼(4)의 회전에 수반하여 유동하는 외조(2) 내의 물이 2개의 돌출관(164A, 164B) 중 어느 쪽으로도 들어가기 어렵다. 따라서, 외조(2) 내의 물에 포함되는 실 부스러기 등이 전해 장치(160)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해 장치(160)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lectrolytic device 160 is provided to face the end face wall 41R instead of the peripheral face wall 42 of the drum 4, the outer tub 2 flowing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4 is provided. It is difficult for the water inside to enter either of the two protruding tubes 164A and 164B. Therefore, the thread debris etc. which are contained in the water in the outer tank 2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into the electrolytic apparatus 160, and it can prevent that the electrolytic apparatus 160 breaks down.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드럼(4)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The drum 4 is not limited to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se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하우징(1)의 상면(1A)에 세탁물을 취출하기 위한 개구(15)가 형성된, 소위 톱 로딩식의 드럼식 세탁기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하우징 전방면에 세탁물을 취출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 드럼식 세탁기일지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Although a description has been given using a so-called top-loading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an opening 15 for taking out laundr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A of the housing 1, for example, an opening for taking out laundry is formed in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1. Even if it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this invention can be applied.

전해 장치는 상기 2개의 실시 형태의 부착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외조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전해 장치를 부착하는 위치의 외조 주위면벽을 외방으로 돌출하여 형성하고, 그 주위면벽의 돌출된 부분 내측에 전해 장치를 부착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The electrolytic apparatus is not limited to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two embodiments, but may be disposed, for example, in an outer tank. For example, the structure which protrudes the outer shell circumferential surface wall of the position to which an electrolytic device is attached outward, and attaches an electrolytic device inside the protruded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may be sufficient.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력이 향상된 드럼식 세탁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cleaning power is provided.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를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inclination upper direction.

도2는 드럼식 세탁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좌우 방향에 따른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a cross section when cut in a vertical plan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een from the front side;

도3은 드럼식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며, 전후 방향에 따른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a cross section view of the drum washing machine in a vertical pla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een from the left side.

도4는 드럼식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며, 전후 방향에 따른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우측으로부터 본 도면.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a cross section view taken from the right side when cut into a vertical plan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도5는 외조를 취출하여 본 우측면도. 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outer tank taken out;

도6은 외조를 취출하여 본 정면도.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outer tank taken out.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좌우 방향에 따른 수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ross section when cut in the vertical plan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외조 2: the outer bird

4 : 드럼 4: drum

41R : 단부면벽41R: End face wall

42 : 주위면벽 42: peripheral wall

51L, 51R : 회전축 51L, 51R: rotating shaft

60, 160 : 전해 장치 60, 160 electrolytic apparatus

61, 161 : 전극판 61, 161: electrode plate

62 : 전해조 62: electrolytic cell

63A, 63B : 접속관 63A, 63B: Connection pipe

64A : 입구관 64A: inlet pipe

64B : 출구관 64B: outlet pipe

U : 건조 유닛U: Drying Unit

Claims (15)

세탁시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조와,The outer tank which can store water at the time of washing, 상기 외조 내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로서의 드럼이며, 대략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드럼을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며,A drum type washing machine is provided in the outer tank and accommodates laundry. 상기 외조에 물이 저장되었을 때에, 상기 외조에 저장된 물을 전기 분해할 수 있도록 저장된 물에 잠기는 위치에 설치된 전극판을 갖는 전해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When water is stored in the outer tank, there is provided an electrolytic device having an electrode plate provided in a position to be submerged in the stored water so as to electrolyze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ank,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주위면벽을 갖고,The drum has a peripheral wall that can rotate about the axis of rotation, 상기 전해 장치는 상기 전극판과 그를 수용하는 전해조를 포함하고,The electrolytic device includes the electrode plate and an electrolytic cell containing the same, 상기 전해조는 상기 드럼의 주위면벽에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고,The electrolyzer is attached at a position opposite the peripheral wall of the drum, 또한, 상기 전해 장치는 상기 전해조와 외조를 연통하여 외조에 저장된 물이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유동하여 전해조로 침입할 수 있는 입구와, 상기 전해조와 외조를 연통하여 입구로부터 침입한 전해조의 물이 외조로 복귀하기 위한 출구를 갖고, 상기 입구와 출구는 고저차를 갖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In addition, the electrolytic devic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outer tank, the inlet through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ank flows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to enter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water of the electrolytic cell infiltrated from the inlet by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outer tank A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n outlet for returning to an outer tank, wherein said inlet and outlet are provided with a height differe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외조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보다도 낮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The said inle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a position low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aid tank, 상기 출구는 상기 외조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And the outlet is arranged to b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outer tu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및 출구는 각각 상기 외조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보다도 낮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respectively arranged so as to be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드럼의 주위면벽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faces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dru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탈수시에 상기 출구측으로부터 입구측을 향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um is configured to rotate from the outlet side toward the inlet side during dewater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세탁 및 헹굼시에 상기 출구측으로부터 입구측을 향하는 방향과, 이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7. The dru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um is alternately rotated in a direction from the outlet side toward the inlet side during washing and rinsing, a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is direction, 상기 전해 장치는 드럼이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외조에 저장된 물을 전기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And the electrolytic device electrolyzes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ank only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횡방향에 배치된 원통형으로, 세탁시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외조와,Cylindrical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outer tank for storing water at the time of washing, 상기 외조 내에 대략 동축에 수용되어 세탁물을 넣어 대략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설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을 갖는 드럼식 세탁기이며,It i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um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tub approximately coaxially and rotates about a rotating shaft se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드럼의 주위면벽에 대향하는 상기 외조의 원통형부에 설치되고, 원통의 하단부로부터 횡방향을 향하는 입구와,An inlet provided in a cylindrical portion of the outer tub facing the peripheral wall of the drum, and facing in a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상기 드럼의 주위면벽에 대향하는 상기 외조의 원통형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보다 소정 치수 상방의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개방한 출구와,An outlet provided in a cylindrical portion of the outer tub facing the peripheral surface wall of the drum, the outlet opening laterally from a position above a predetermined dimension than the inlet; 상기 입구 및 출구에 접속되어 상기 외조의 표면에 따르도록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입구를 거쳐서 유입된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외조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And an electrolytic device connected to the inlet and the outlet so as to be inclined along the surface of the outer tub, and having an electrolysis device for electrolyz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return from the outlet to the outer tub.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장치는 상기 외조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electrolytic devic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tan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탈수 종료 후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외조 내에 온풍을 송풍하는 건조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ying device for blowing warm air into the outer tank to dry the laundry after the completion of dehydration. 삭제delete 제1항, 제4항 내지 제10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세탁물의 세탁이 종료된 후, 헹굼이 개시될 때까지 소정 시간만큼 정지되도록 되어 있고,13. The dru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to 10 or 12, wherein after the washing of the laundry is finished, the drum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rinsing starts, 상기 전해 장치는 상기 소정 기간 중, 외조에 저장된 물을 전기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And said electrolytic device electrolyzes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tank during said predetermined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장치는 탈수 전 또는 탈수 중에 상기 전극판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전기 저항을 검지함으로써, 상기 외조 내에 거품이 남아 있는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detects whether or not bubbles remain in the outer tank by allowing an electric current to flow through the electrode plate before or during dehydration to detect the electrical resistance.
KR10-2002-0058598A 2001-09-28 2002-09-27 Drum-type washer KR1004749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2392A JP3806630B2 (en) 2001-09-28 2001-09-28 Drum washing machine
JPJP-P-2001-00302392 2001-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766A KR20030027766A (en) 2003-04-07
KR100474954B1 true KR100474954B1 (en) 2005-03-10

Family

ID=1912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598A KR100474954B1 (en) 2001-09-28 2002-09-27 Drum-type wash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06630B2 (en)
KR (1) KR100474954B1 (en)
CN (1) CN1188562C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07B1 (en) * 2011-12-26 2013-10-10 이영훈 Disinfection washing machine using oh-radic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7685A (en) * 2003-07-07 2005-02-03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JP4278491B2 (en) * 2003-11-11 2009-06-17 三洋電機株式会社 Washing machine
CN1811045B (en) * 2005-01-25 2010-05-12 海尔集团公司 Outer tub of washing machine
JP4561592B2 (en) * 2005-10-25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rum washing machine
CN107354663A (en) * 2017-08-14 2017-11-1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Roller washing machine
CN107488969B (en) * 2017-08-14 2020-08-1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Pulsator washing machine
KR20210128613A (en) 2020-04-17 2021-10-27 강희준 A flexible pipe
KR20220168682A (en) 2021-06-17 2022-12-26 강희준 Flexible pi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488A (en) * 1991-11-05 1993-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washing machine
KR960005155U (en) * 1994-07-29 1996-02-16 Washing machine using electrolysis device
KR20000045168A (en)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Electrical washing machine using an electrolysis device and a neutralization device
KR20000045171A (en)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Method for washing articles using alkali electrolysis wa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488A (en) * 1991-11-05 1993-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washing machine
KR960005155U (en) * 1994-07-29 1996-02-16 Washing machine using electrolysis device
KR20000045168A (en)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Electrical washing machine using an electrolysis device and a neutralization device
KR20000045171A (en)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Method for washing articles using alkali electrolysis w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07B1 (en) * 2011-12-26 2013-10-10 이영훈 Disinfection washing machine using oh-radic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0618A (en) 2003-04-16
JP2003103090A (en) 2003-04-08
KR20030027766A (en) 2003-04-07
CN1188562C (en) 2005-02-09
JP3806630B2 (en)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523B1 (en) Washing machine
JP3986470B2 (en) Drum washing machine
KR100474954B1 (en) Drum-type washer
KR20130062182A (en) Washing machine
JP3609796B2 (en) Drum washing machine
US20040148970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3806662B2 (en) Drum washing machine
JP2003290591A5 (en)
JP2015043866A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130106506A (en) Washing machine
JP3806659B2 (en) Drum washing machine
JP4278491B2 (en) Washing machine
JP2003311072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4358274A (en) Washing machine and cleaning machine
JP2004097836A (en) Washing machine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BR102014025594A2 (en) washing machine appliance
CN114901891B (en) washing machine
JP2005143822A (en) Washing machine
JP7390650B2 (en) washing machine
JP2019130197A (en) Washing machine
JP7048932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2017189480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4073247A (en) Washing machine
JP2004167108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TWI544122B (en) Drum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