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880B1 - 고체형이온센서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체형이온센서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880B1
KR100474880B1 KR1019970002060A KR19970002060A KR100474880B1 KR 100474880 B1 KR100474880 B1 KR 100474880B1 KR 1019970002060 A KR1019970002060 A KR 1019970002060A KR 19970002060 A KR19970002060 A KR 19970002060A KR 100474880 B1 KR100474880 B1 KR 100474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sensor
adhesive
solid
sensor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482A (ko
Inventor
이강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0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880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33Ion-selective electrodes or membranes
    • G01N27/3335Ion-selective electrodes or membranes the membrane containing at least one organic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센서의 수명(life time)을 향상시키는 고체형 이온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지체 용도의 접착제를 유기용매로 녹이고, 접착제에 이오노포아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감지막 용액을 제조한 후, 금속부 중 비드(bead) 형상을 갖는 영역에 감지막 용액을 입힘으로써, 금속부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이온센서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체형 이온센서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체형 이온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의 수명(life time)을 향상시키는 고체형 이온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이온센서는 기준 전극과 작동 전극(sensing par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두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시료중에 들어 있는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이온의 정성 및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전위차법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이온센서의 기본적인 구성은 먼저, 특정이온에 대하여 선택성을 부여하는 물질인 이오노포아(ionophore)와 이오노포아가 이온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막자체의 연동성(flexibility)을 갖도록 해주는 가소제(plasticizer), 그리고 이러한 물질들을 지지해주는 지지체(matrix)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이온센서는 이러한 구성성분을 일정량씩 유기용제에 녹인 후 일정한 크기의 유리관에 부어 성형시키고 용제의 증발을 완료하면 유동성의 고분자막이 형성되고 이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기준용액이 채워져있는 작동전극에 장착하여 기준 전극과 함께 시료에 담가 두 전극 사이의 전위차로써 시료중에 들어 있는 특정한 이온의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내부기준용액이 채워져 있는 작동전극을 통상 재래식(conventional) 전극이라 부르는데, 이러한 형태의 전극의 경우에는 반드시 내부에 일정량의 수용액을 채울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전극, 즉 센서자체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내부기준용액이 필요하지 않은 형태의 전극인 고체형 센서(solid state sensor)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제품화되어 나와 있는 많은 종류의 임상분석기(clinical analyzer) 또는 환경분석에 사용되는 장비의 내부에 위치한 센서들이 고체형 센서로 바뀌어가고 있다.
도 2a는 코팅된 와이어 형태의 고체형 이온센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평면 형태의 고체형 이온센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형 이온센서는 특정이온에 대한 선택성을 부여하는 이온선택성 감지막(1)과, 감지막(1)과 접촉되는 금속부(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체형 센서의 경우에는 센서 자체의 극소형화가 가능하며 스크린 인쇄 기법이나 디스펜싱 기법을 사용할 경우 대량생산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폴리염화비닐을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이온선택성 막의 지지체인 고분자 물질의 물리적인 특성(금속부와의 접착성이 약하다) 때문에 상당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혈액분석에 사용되고 있는 임상분석기의 경우, 이러한 고체형 이온센서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이온센서를 약 1 주일 정도 밖에 사용을 못하고 일정수의 시료를 분석한 후에는 이온센서가 들어있는 카트리지부를 교환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의 고분자 지지체를 합성하거나 대체하려는 노력들이 많이 수행되고 있으며, 그중의 하나로 실리콘 고무를 지지체로 사용한 경우등도 보고 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고체형 이온센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금속부와 감지막이 직접 접촉되어 있어야 하므로, 이 두 부분이 접촉하고 있는 계면이 불안정하다.
둘째, 액상의 시료를 분석할 경우, 감지막이 금속부와의 약한 접찹력으로 인해 쉽게 금속부에서 유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접착제를 지지체로 하는 감지막을 사용하여 감지부와 금속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센서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체형 이온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이온센서 제조방법은 지지체 용도의 접착제를 유기용매로 녹이고, 접착제에 이오노포아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감지막 용액을 제조한 후, 금속부중 비드(bead) 형상을 갖는 영역에 감지막 용액을 입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이온센서를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실시예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는 고체형 암모늄이온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공정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감지막의 지지체로 사용할 목적의 접착제 66mg을 시험관에 넣고 THF(tetrahydrofurane) 등과 같은 유기용매로 접착제를 완전히 녹인다.
이때, 접착제는 이미 시중에 나와 있는 3M 스코취(scotch) 접착제(cat. No.600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 각종 이온센서에 사용되는 이오노포아(ionophore)로서, 암모늄이온에 선택적인 노낙틴(nonactin) 2mg과 가소제로 사용되는 DOA(dioctyl adipate) 0.143mL을 지지체 용액에 첨가하여 암모늄 이온센서 감지막 용액의 제조를 완료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CWE(coated wire type electrode)인 경우에는 와이어의 비드(bead)부분을 제조된 암모늄 이온센서 감지막 용액에 2-3회 담가서 비드부분에 감지막 용액을 입힌 후, 상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하면 고체형 암모늄 이온센서가 완성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고체형 칼륨이온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공정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감지막의 지지체로 사용할 목적의 접착제 66mg을 시험관에 넣고 THF(tetrahydrofurane) 등과 같은 유기용매로 접착제를 완전히 녹인다.
이때, 접착제는 이미 시중에 나와 있는 3M 스코취(scotch) 접착제(cat. No.600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 각종 이온센서에 사용되는 이오노포아(ionophore)로서, 칼륨이온에 선택적인 발리노마이신(valinomysin) 2mg과 가소제로 사용되는 DOA(dioctyl adipate) 0.143mL을 지지체 용액에 첨가하여 칼륨 이온센서 감지막 용액의 제조를 완료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CWE(coated wire type electrode)인 경우에는 와이어의 비드(bead)부분을 제조된 암모늄 이온센서 감지막 용액에 2-3회 담가서 비드부분에 감지막 용액을 입힌 후, 상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하면 고체형 칼륨 이온센서가 완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이온센서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고분자를 지지체로 하여 감지막을 제조함으로써 금속부와의 접착력이 문제가 되었지만, 본 발명은 접착제를 지지체로 직접 사용함으로써, 금속부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이온센서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재래식 전극을 이용한 칼륨이온감지 개념도
도 2a는 코팅된 와이어 형태의 고체형 이온센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b는 평면 형태의 고체형 이온센서를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4)

  1. 감지막과 금속부를 갖는 고체형 이온센서에서,
    지지체 용도의 접착제를 유기용매로 녹이는 스텝;
    상기 접착제에 이오노포아(ionophore)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감지막 용액을 제조하는 스텝; 그리고
    상기 금속부 중 비드(bead) 형상을 갖는 영역에 상기 감지막 용액을 입히는 스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형 이온센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THF(tetrahydrofurane)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형 이온센서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DOA(dioctyl adipate)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형 이온센서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노포아는 노낙틴(nonactin) 또는 발리노마이신(valinomysin) 중 어느 하나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형 이온센서 제조방법.
KR1019970002060A 1997-01-24 1997-01-24 고체형이온센서제조방법 KR100474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060A KR100474880B1 (ko) 1997-01-24 1997-01-24 고체형이온센서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060A KR100474880B1 (ko) 1997-01-24 1997-01-24 고체형이온센서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482A KR19980066482A (ko) 1998-10-15
KR100474880B1 true KR100474880B1 (ko) 2005-08-10

Family

ID=3730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060A KR100474880B1 (ko) 1997-01-24 1997-01-24 고체형이온센서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095A1 (ja) * 2020-07-16 2022-01-2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 イオン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イオンセンサ用電極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2377A (en) * 1987-05-22 1988-09-20 Abbott Laboratories Membrane anchor for ion-selective electrodes
US4814060A (en) * 1988-04-18 1989-03-21 Nalco Chemical Company Ion selective electrodes and method of making such electrodes
US4889612A (en) * 1987-05-22 1989-12-26 Abbott Laboratories Ion-selective electrode having a non-metal sensing element
JPH06289005A (ja) * 1993-03-31 1994-10-18 Tokuyama Soda Co Ltd イオン測定具
US5401377A (en) * 1993-08-06 1995-03-28 Biomedix, Inc. Ion-selective sensor with polymeric membrane having phospholipid dispersed therei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2377A (en) * 1987-05-22 1988-09-20 Abbott Laboratories Membrane anchor for ion-selective electrodes
US4889612A (en) * 1987-05-22 1989-12-26 Abbott Laboratories Ion-selective electrode having a non-metal sensing element
US4814060A (en) * 1988-04-18 1989-03-21 Nalco Chemical Company Ion selective electrodes and method of making such electrodes
JPH06289005A (ja) * 1993-03-31 1994-10-18 Tokuyama Soda Co Ltd イオン測定具
US5401377A (en) * 1993-08-06 1995-03-28 Biomedix, Inc. Ion-selective sensor with polymeric membrane having phospholipid dispersed there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095A1 (ja) * 2020-07-16 2022-01-2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 イオン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イオンセンサ用電極体
JP7408810B2 (ja) 2020-07-16 2024-01-05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 イオンセンサ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482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165B1 (ko) 자기 진단기능을 갖는 소형 고체상 기준전극
US6793789B2 (en) Reference electrode with a polymeric reference electrode membrane
EP0608872A1 (en) Current-detecting type dryoperative ion-selective electrode
JPH0711505B2 (ja) 電気化学分析の方法及び装置
Frag et al.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of screen printed and carbon paste ion selective electrodes for potentiometric determination of naphazoline hydrochloride i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US4409088A (en) Regeneration method of ion-selective electrode, and ion-selective electrode and ion-concentration analyzer containing means adapted to practice said method
CN114058677A (zh) 用于改进血液中的尿素检测的混合离子载体离子选择性电极
EP0772041B1 (en) Reference electrode assembly
US5312537A (en) Electrochemical cell, reference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method
US5011588A (en) Ion selective dip electrode assembly
US4814060A (en) Ion selective electrodes and method of making such electrodes
US46197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halogen ion concentration
KR100474880B1 (ko) 고체형이온센서제조방법
US5958201A (en) Sodium ion-selective-electrode membrane having extended uselife
CA2466994C (en) Potentiometric, ion-selective electrode
CN114019005B (zh) 一种基于离子迁移放大效应的聚合物敏感膜的高精度电化学检测方法
US6110338A (en) Ion selective electrode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ion selective electrode apparatus
Saleh et al. Novel Potentiometric Sensor for the Selective Determination of Cefotaxime Sodium and Its Application to Pharmaceutical Analysis
KR100483628B1 (ko) 다공성 고분자 기준전극막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준전극
JPH0128903B2 (ko)
KR0185780B1 (ko) 칼슘이온 센서의 전극에 구비되는 이온 선택성 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하여 이온 선택성 막을 형성하는 방법
KR100385168B1 (ko) 염분 센서 및 염분 센서 장착 기구
US5013421A (en) Ion-selective electrodes
Metelka et al. Carbon paste electrode containing dispersed bismuth powder for pH measurements
SU966579A1 (ru) Состав мембраны ионоселективного электрода дл определени активности ионов серебра в цианидных раствор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