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676B1 - 유성 기어 - Google Patents

유성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676B1
KR100474676B1 KR10-2002-0050853A KR20020050853A KR100474676B1 KR 100474676 B1 KR100474676 B1 KR 100474676B1 KR 20020050853 A KR20020050853 A KR 20020050853A KR 100474676 B1 KR100474676 B1 KR 100474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ear
halves
gear
planetar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834A (ko
Inventor
보도 퓨터레르
Original Assignee
맥슨 모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슨 모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맥슨 모터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02-005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6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8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863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유성 캐리어(planet carrier))와, 그 유성 캐리어 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유성 휠(planet wheel)과, 태양 휠(sun wheel)과, 링 기어(ring gear)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 휠이 상기 유성 캐리어의 회전축에 대해 적어도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구성되는 유성 기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유성 기어에서의 백래쉬(backlash)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링 기어는 유성 캐리어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상에서 두 부분으로 형성되고, 그 링 기어의 두 반부는 상대 회전가능하고, 이에 따라 백래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태양 휠(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유성 휠(3)을 반경 방향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유성 기어{Planet gear}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유성 캐리어(planet carrier)와, 그 유성 캐리어 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유성 휠(planet wheel)과, 태양 휠(sun wheel)과, 링 기어(ring gear)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 휠이 상기 유성 캐리어의 회전축에 대해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구성되는 유성 기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유성 기어는 DE 195 46 586 및 EP 0 779 449에서 공지되어 있다. 유성 캐리어에 대한 유성 휠의 반경방향 이동성에 따라 상기 공지된 유성 기어의 수명이 상당히 증가되는데, 그 이유는 정적 오버데피니션(overdefinition)이 방지되는 결과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유성 기어에 대한 요구사항은 수명 연장의 요구뿐만 아니라, 특히 소정의 적용분야에서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백래쉬(backlash)의 배제도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래쉬(backlash)를 가능한 한 줄일 수 있는 상기한 형식의 유성 기어(planet gear)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유성 캐리어(planet carrier)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상에 두개의 부재로 링 기어(ring gear)를 형성하고, 그 링 기어의 두 반부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여 백래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태양 휠(sun wheel)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유성 휠(planet wheel)의 반경방향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분할형 링 기어들을 구비하는 유성 기어들 자체도 공지되어 있다. 이에 관련한 참고문헌으로는 일례로 DE 37 38 607 A1을 들 수 있다. 분할형 유성 휠과 분할형 링 기어를 갖는 다단형 유성 기어 또한 공지되어 있다. 링 기어의 반부들을 조정나사(adjusting screw)를 이용하여 상대 회전시키면, 두 유성 휠들은 링 기어와의 사이에서 백래쉬가 발생하지 않게 하도록 서로에 대해 가압되게 위치되고, 이에 따라 링 기어와 유성 휠들 사이에 백래쉬가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 태양 휠의 이뿌리면들(tooth flanks)의 단지 1/2부분만이 이송동작을 행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유성 기어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과 동일한 동력을 상기 기어에 의해 전달코자 하면, 기어의 축방향 총길이가 무리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어에 있어서는 링 기어만이 분할되고, 유성 휠들은 분할되지 않게 되어 있다. 대신에, 유성 휠들은 링 기어 반부들을 회전시킬 시 유성 휠과 링 휠간의 백래쉬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태양 휠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반경방향 이동에 의해 태양 휠과 유성 휠들간의 백래쉬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태양 휠의 이뿌리면들이 태양 휠의 축방향길이 전체에 걸쳐 지지되면 백래쉬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유성 기어의 전체 치수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개의 링 기어 반부들이 상대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일례로 링 기어의 일측 반부는 하우징에 고정하고, 링 기어의 타측반부는 요구되는 백래쉬의 제거가 이루어질 때까지 조정나사에 의해 링 기어의 고정반부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링 기어 반부들은 접선방향으로 스프링 탄성적으로(spring-elastically) 서로 가압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링 기어의 일측 반부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링 기어의 타측반부는 링 기어의 상기 고정반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링 기어의 상기 타측반부는 하우징에 지지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의 강도는 기어의 치수들과 전달할 토오크(torque)에 따라 선택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 기어들의 두 반부들의 스프링 탄성적인 예비 상대 가압 및 그들의 후속적인 상대 고정의 조합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링 기어의 두 반부들을 서로에 대해 가압하는 스프링들은 단지 일례로 무부하 구동 중 또는 매우 작은 부하의 경우 발생되는 백래쉬의 배제를 위해서만 필요하다. 이 후, 링 기어의 두 반부들은 일례로 나사에 의해 서로에 대해 위치 고정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들은 토오크를 전달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 기어의 두 반부는 기어들의 열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기어열의 일 요소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테이퍼(taper)진 기어일 수 있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어 열은 백래쉬의 제거를 기어의 전면에서 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특히 기어가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 백래쉬를 재조정해야 하고 기어의 반경방향 접근 가능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 이점이 있다.
링 기어의 두 반부 중 적어도 일측 반부가 그 링 기어의 타측 반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특히 단순한 기어 열이 구현 가능하다. 이 경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링 기어 반부는 테이퍼진 기어를 통해 축방향 및 접선방향으로 고정된 링 기어 반부와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링 기어의 가동반부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링 기어의 두 반부의 상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어 열을 통한 링 기어의 두 반부들간의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은 특히 여러 기어단을 갖는 링 기어의 반부들의 기어 열들을 서로 연결한 경우 유리하다. 이 경우, 유성 기어의 모든 기어단들은 기어 열들의 단일 동작에 의해 백래쉬로부터 해방될 수 있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 기어들의 두 반부들은 축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링 기어의 두 반부는 스프링을 통해 접선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링 기어의 두 반부가 축방향으로 위치되지 않으면 상기 링 기어의 두 반부들을 상호 회전시키도록 작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들의 강도는 조임 나사들을 풀은 후 백래쉬의 보상이 얻어질 때까지 유성 휠들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링 기어들의 두 반부들을 상대 회전시킨다. 이러한 백래쉬 보상이 이루어진 후, 링 기어의 두 반부들을 상대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축방향 조임 나사들을 조인다. 백래쉬가 없는 이러한 상태에서, 스프링들은 부하를 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프링들의 강도는 기어에 의해 전달될 토오크를 고려하여 조정할 필요가 없다.
특히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해결책에 따르면, 링 기어의 반부들은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 기어의 반부들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조임 나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링 기어의 반부들 중 적어도 일측 반부에서 상기 나사용의 보어가 상기 링 기어의 반부들을 조임 나사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게끔 링 기어의 접선방향으로 백래쉬를 갖게 되어 있다. 이는 나사가 링 기어의 일측 반부에서 접선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고, 링 기어의 타측 반부는 접선 백래쉬를 갖는 보어를 구비하여, 링 기어의 두 반부들이 약간 상대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어에서 제거되어야 할 백래쉬는 항상 매우 크지는 않기 때문에 보어와 조임 나사의 외경간의 치수 차가 비교적 작더라도 충분하다.
링 기어의 두 반부들간의 상대 회전을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은 구조적으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압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해 보어(bore) 내로 개구되는 요부(recess)를 링 기어의 가동반부에 제공하고, 상기 가압 스프링을 상기 나사에 반경방향으로 지지시킨다.
다단 유성 기어의 경우에는 고정 나사(fastening screw)를 링 기어의 모든 반부들을 통해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어에 의해 보다 높은 토오크를 전달해야 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두개의 조정나사들을 직경방향으로 반대측에 배치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링 기어의 각 반부에 중앙 요부를 형성하고, 그 요부 내에서 링 기어의 인접 반부들을 중앙 칼라(collar)와 결합시키면 설치 및 제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각 단의 각 링 기어 반부를 탑형으로 적층 배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유지되는 자유도는 단지 접선방향으로의 기어단들의 회전, 즉, 기어의 자유도를 조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유도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기어축(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유성 캐리어(2)와, 유성 휠(3)들과, 태양 휠(4)을 가지고 있는 유성 기어가 도시되어 있다. 유성 캐리어(2)는 유성 휠(3)들의 톱니와 결합되는 톱니를 가지고 있는 링 기어(5)로 둘러싸여 있다. 링 기어(5)는 두개의 반부(5'),(5")로 분할되어 있다. 일측 반부(5')는 하우징(6)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 반부(5")는 상기 일측 반부(5')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회전성은 조정나사(7)에 의해 가능한데, 조정나사(7)의 나사부는 일측에서는 링 기어의 가동반부(5")의 받침부(8)와 결합되고, 타단에서는 링 기어의 고정반부(5')에 연결된 지지블록(9)에 지지되어 있다.
유성 휠(3)들은 태양 휠(4)과 링 기어(5)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반경방향 백래쉬를 가지고 유성 캐리어(2)의 각 축 저널(10)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성은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잘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을 얻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저널(10)들은 바람직하게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유성 휠들이 원주방향이 아닌 반경방향의 백래쉬를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한다.
조정나사(7)를 회전시키면 링 기어의 두 반부(5'),(5")들은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성 휠들과 결합된 링 기어의 이뿌리면들의 거리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거리감소에 따라 한편에서는 유성 휠들의 톱니들과 링 기어(5)의 톱니들 사이에서의 백래쉬가 감소하게 된다. 이뿌리면들이 양측에서 서로 접촉함에 따라 백래쉬가 0으로 된 상태에서 링 기어의 반부(5'),(5")가 계속 회전하게 되면 유성 휠(3)들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태양 휠(4)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반경방향이동에 따라, 유성 휠(3)과 태양 휠(4)간의 백래쉬가 최소화될 때까지 상기 유성 휠(3)과 태양 휠(4)간의 톱니결합이 강화된다. 이러한 상태에 도달하면, 조정나사(7)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되게 되는데, 이는 일례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카운터 너트(counter nut)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백래쉬가 없게 조정된 유성 기어는 비록 유성 휠들이 이뿌리면들의 축방향 길이의 1/2의 길이에 걸쳐 링 기어와 톱니결합을 하고 있으나, 가장 높은 부하가 발생하는 태양 휠(4)에 대해서는 축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결합이 이루어지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형식의 백래쉬 감소에 따라 구조의 크기를 가능한 한 작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어의 다른 실시예로서 다단 유성 기어의 일례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상기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
도 3에 따른 유성 기어의 다단 설계는 태양 휠(11)을 유성 캐리어와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유성 캐리어의 배면에 태양 휠(11)을 지지시켜 이루게 하고 있다. 제 2 단도 유성 캐리어(12)를 포함하는데, 이 유성 캐리어(12)의 축 저널(13)상에는 유성 휠(14)들이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유성 휠(14)들은 링 기어(15)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링 기어(15)는 두 반부(15'),(15")로 분할되어 있다.
반부(5'),(15')들은 일례로 가압 시트(seat) 또는 단단한 끼워맞춤(positive fit)을 보장하는 다른 수단에 의해 하우징(6)에 고정 연결된다. 가동 반부(5"),(15")들은 화살표로 각기 표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다. 링 기어들의 반부(5')(그리고 15'),(5")(그리고 15")들의 서로 대면하는 전면들 상에는 반경방향 톱니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경방향 톱니부(16)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반부(5"),(15")들이 링 기어의 고정반부(5'),(15')쪽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각 반부(5'),(5"),(15'),(15")들이 상대 회전하게 해준다. 도3의 실시예의 경우 링 기어의 변위 가능한 반부의 이러한 축방향 이동은 하우징(6)에 형성된 나사부와 결합되는 조정나사(7)에 의해 이루어진다. 조정나사의 머리부로부터 멀리 대면하고 있는 조정나사의 단부는 링 기어(15")의 전면부에 지지되어 있다.
보다 균일한 동력의 분배를 위해 상기한 구성의 조정나사(7)들을 다수개 유성 기어 하우징의 원주 상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 좋다. 도해의 간명함을 위해 이러한 조정나사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링 기어(15")의 외면에는 요부(17)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요부에는 커플링(coupling)부재(18)가 결합된다. 커플링부재(18)의 타단은 링 기어의 반부(5")에 형성된 요부(19)와 결합된다. 커플링부재(18)는 대체로 강성이지만, 소정량의 백래쉬의 보상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어의 마찰식 연결은 공지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은 입력 샤프트(input shaft)에 의해 태양 휠(4)이 구동된다. 이 태양 휠(4)의 구동에 따라 유성 캐리어(3)들이 구동되고, 이 유성 캐리어(3)들이 링 기어(5)상에서 구름이동함에 따라 유성 캐리어(2)가 회전하게 되며, 이 때 제 2 단에서는 태양 휠(11), 유성 캐리어(14),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출력 샤프트(output shaft)에 연결된 유성 캐리어(12)가 구동한다. 요소들, 즉 링 기어, 유성 휠들, 그리고 태양 휠간의 백래쉬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링 기어반부(5'),(5") 그리고 (15'),(15")들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은 조정나사(7)를 하우징 내로 나사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링 기어(15)의 전면부상에 조정나사(7)가 지지됨에 따라 링 기어의 반부(15")는 좌측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각 링 기어의 반부(5'),(5") 그리고 (15'),(15")의 반경방향 톱니부(16)의 이뿌리면들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링 기어 반부(15")의 이러한 축방향 이동에 따라 그 링 기어 반부(15")는 축방향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링 기어 반부(15')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링 기어 반부(15")의 축방향 이동은 커플링부재(18)를 통해 링 기어 반부(5")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링 기어 반부(5")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반경방향 톱니부(16)에 의해 링 기어 반부(5')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단 유성 기어의 각 단에서의 백래쉬를 일 동작에 의해 최소화시킬 수 있다. 각 단에서의 백래쉬가 동일하다고 전제할 수 없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부하를 보상하는 스프링(20)을 커플링(18)에 제공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스프링은 또한 이뿌리면의 소정의 마모를 고려하여 조정 나사(7)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단 기어는 또한 서로 유사한 방식으로 결합되는 추가의 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가능하면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상술한 실시예와의 기본적인 차이점은 링 기어 반부(5'),(5")들이 스프링(20)에 의해 상대 회전하나, 이 후 조임 나사(fastening screw)(21)에 의해 서로 축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의 구조는 도 5에 특히 잘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링 기어(5),(15)들이 제공되고, 각 링 기어(5),(15)는 링 기어반부(5'),(5") 그리고 (15'),(15")를 가지고 있다.
두 링 기어(5),(15)는 전면이 뚜껑(lid)(22),(23)으로 덮여 있다. 링 기어(5),(15)와 마찬가지로 뚜껑들은 축방향 보어가 형성되어 있다. 링 기어의 반부(5'),(15')와 뚜껑(22),(23)에 형성된 보어(24)들은 기본적으로 조임 나사(21)의 직경과 거의 정밀하게 일치하고, 이에 있어서 뚜껑(23)에는 나사부가 제공된다. 링 기어의 반부(5"),(15")에 형성된 보어(25)들은 조임 나사를 조일 시 링 기어의 두 반부(5"),(15")들이 링 기어의 타측반부(5'),(15')들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하도록 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종종, 나사는 조여지지 않는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링 기어의 반부(5') 내지 (15")는 물론이고 뚜껑(22),(23)의 각각이 중앙요부(26)와 중앙 칼라(collar)를 가지고 있고, 링 기어의 일측 반부의 중앙 칼라가 링 기어의 타측 반부의 중앙 요부에 끼어져 있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어(25)내로 반경방향으로 개구되는 요부(28)가 링 기어의 반부(5")와 접선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28)내에는 본 실시예의 경우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스프링(20)이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0)은 요부(28)의 바닥에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조임 나사(21)에 지지되어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적으로, 유성 기어의 링 기어 전체를 조립하여 각 링 기어 반부들의 모든 톱니들이 일렬로 정렬되게 한다. 개개의 유성 캐리어들과 유성 휠들을 조립한 후, 즉 유성 기어를 완전히 조립한 후, 조임 나사(21)를 풀어 스프링(20)들에 의해 링 기어의 각 반부(5"),(15")들을 링 기어들의 고정 반부(5'),(15')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회전에 따라,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성 휠들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일측에서의 유성 휠들과 태양 휠간의 백래쉬 및 타측에서의 링 기어와 유성 휠들간의 백래쉬가 최소화되게 된다. 이러한 백래쉬 보상은 조임 나사가 풀려질 시 기어 샤프트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유지된다. 백래쉬의 최소화 후, 가압 스프링(20)의 기능에 따라 조임 나사(21)들이 다시 조여지고, 이에 따라 링 기어 반부(5'),(5"), 그리고 (15'),(15")들이 서로 상대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기어는 백래쉬가 없는 상태로 조정이 되고, 이 후 사용 중에 기어의 마모로 인해 백래쉬가 다시 발생하면 조임 나사가 일시적으로 풀린 후 다시 조여지게 된다는 점에서 마모에 의한 이러한 백래쉬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래쉬를 가능한 한 줄일 수 있는 유성 기어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성 기어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성 기어의 개략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성 기어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성 기어의 개략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 기어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선 VI - VI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기어축 2: 유성 캐리어
3: 유성 휠 4: 태양 휠
5: 링 기어 5', 5": 링 기어 반부
6: 하우징 7: 조정 나사
8: 받침부 9: 지지블록
10: 축 저널 11: 태양 휠
12: 유성 캐리어 13: 축저널
14: 유성 휠 15: 링 기어
15', 15": 링 기어 반부 16: 톱니부

Claims (12)

  1. 회전축(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유성 캐리어(2)와, 그 유성 캐리어(2)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유성 휠(3)과, 태양 휠(4)과, 링 기어(5)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 휠(3)이 상기 유성 캐리어(2)의 회전축(1)에 대해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구성되는 유성 기어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5)는 유성 캐리어(2)의 회전축(1)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에서 두 부분으로 분할되고, 그 링 기어(5)의 두 반부(5',5")는 상대 회전가능하고, 이에 의해 백래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태양 휠(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유성 휠(3)을 반경방향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의 두 반부(5', 5")는 상대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의 두 반부(5, 5")는 스프링 탄성 방식으로 접선방향으로 서로 가압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의 두 반부(5, 5")는 기어(5', 16, 5")들의 열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기어열의 일 요소(5")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의 두 반부(5, 5") 중 적어도 일측 반부(5")는 타측 반부(5')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기어는 다단으로 형성되고, 다단의 링 기어들의 반부(5', 5", 15', 15")들의 기어 열들이 서로 연결(커플링부재(18))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들의 상기 두 반부(5', 5", 15', 15")들은 축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링 기어의 두 반부는 스프링(20)을 통해 접선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20)은 상기 링 기어의 두 반부(5', 5", 15', 15")가 축방향으로 위치되지 않으면 상기 링 기어의 두 반부(5', 5", 15', 15")들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의 반부(5', 5", 15', 15")들은 회전축(1)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 기어의 반부(5', 5", 15', 15")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조임 나사(21)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링 기어의 반부(5', 5", 15', 15")들 중 적어도 일측 반부(5", 15")에서 상기 나사(21)용의 보어(25)가 상기 링 기어의 반부(5', 5", 15', 15")들을 조임 나사(21)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게끔 링 기어(5, 15)의 접선방향으로 백래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압 스프링(20)을 수용하기 위해 보어(25)로 개구된 요부(19)가 상기 링 기어의 가동 반부(5", 15")에 제공되고, 상기 가압 스프링이 상기 나사(21)에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기어는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임 나사(21)는 상기 링 기어의 모든 반부(5', 5", 15', 15")들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개의 조임 나사(21)들이 직경방향으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의 두 반부(5', 5", 15', 15")의 각각은 중앙 칼라(27)를 갖는 상기 링 기어의 인접 반부(5', 5", 15', 15")들이 결합되는 중앙 요부(2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KR10-2002-0050853A 2002-08-27 2002-08-27 유성 기어 KR100474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853A KR100474676B1 (ko) 2002-08-27 2002-08-27 유성 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853A KR100474676B1 (ko) 2002-08-27 2002-08-27 유성 기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834A KR20040018834A (ko) 2004-03-04
KR100474676B1 true KR100474676B1 (ko) 2005-03-08

Family

ID=3732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853A KR100474676B1 (ko) 2002-08-27 2002-08-27 유성 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6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834A (ko)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6558B2 (en) Planet gear
TWI767927B (zh) 自行車後鏈輪組成
US8403789B2 (en) Transmission
EP3118099B1 (en) Bicycle multi-gear cassette
US4576503A (en) Torque transmission assembly
US20040023750A1 (en) Planetary gear
US4856377A (en) Planetary gear system for a gas turbine engine
CN101334058B (zh) 锁紧螺栓与拼合轮毂附接组件
RU2529255C2 (ru) Планетарная передача с защитой от проворота
CN1934375A (zh) 用于无间隙正齿轮组的齿轮
EP1262683A2 (en) Train housing for pseudo-planetary kinematic transmission
CN102022155A (zh) 用于改变凸轮轴相对于内燃机曲轴的相对角位置的装置
JP7442968B2 (ja) 遊星変速機
EP4027030B1 (en) Coupling structure and modularized coaxial gear train reduction mechanism using same
CN201129441Y (zh) 一种汽车主减速器总成的调整机构
US11365786B2 (en) Transmission
KR100474676B1 (ko) 유성 기어
ITMI950243A1 (it) Differenziale in particolare per veicoli
US8479695B2 (en) Device for varying the angular position of a camshaft with respect to a crankshaf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341240A (ja) 遊星歯車減速機
US20130239724A1 (en) Gear mechanism having helical toothing
CN112555357A (zh) 一种k-h-v型可调隙少齿差精密传动装置
US6581496B2 (en) Small size transmission
CN111164335A (zh) 具有减速器组件的回转驱动器
US6045478A (en) Modular transmiss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