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212B1 -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212B1
KR100474212B1 KR10-2002-0043484A KR20020043484A KR100474212B1 KR 100474212 B1 KR100474212 B1 KR 100474212B1 KR 20020043484 A KR20020043484 A KR 20020043484A KR 100474212 B1 KR100474212 B1 KR 10047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charging device
table hold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11619A (en
Inventor
요다마사하루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2951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9098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02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89482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023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62295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02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89483A/en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1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6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21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Abstract

무선전화기 등의 휴대단말(1)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부로서의 스트랩 설치부(108)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109)를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110)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109) 내에 상기 스트랩 설치부(108)의 삽입시에 금전용 접지편(2)으로의 통전을 ON으로 하고 또한 상기 스트랩 설치부(108)의 비삽입시에 급전용 접지편(2)으로의 통전을 OFF로 하는 스위치(111)를 설치한다.A concave portion 109 into which the strap mounting portion 108 as a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such as a cordless telephone, is fitted is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110 of the table holder 3. When the strap mounting portion 108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09, the energization to the grounding piece 2 for money is turned ON, and the grounding piece for power feeding is not inserted when the strap mounting portion 108 is not inserted. The switch 111 which turns off the electricity supply to (2) is provided.

Description

휴대단말용 충전장치 및 휴대단말{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용 충전장치 및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나 PHS 등의 이동체 통신단말, 유선방식의 전화기에 부속되는 코드리스(cordless) 송수화기,혹은 PDA 등의 휴대단말은, 필요한 전력을 얻기 위한 전지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장치에 의해 정기적으로 충전을 행할 필요가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HS, a cordless handset attached to a wired telephone, or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DA has a built-in battery for obtaining necessary power, and is periodically charged by a charging device. It is necessary to charge.

이러한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로서는, 종래,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2001-57741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이 존재하고, 이것은, 도 46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1)의 충전단자(도시 생략)가 접촉하는 급전용 접지편(2)을 갖고 또한 휴대단말(1)을 장착할 수 있는 탁상홀더(3)와, 급전용 콘센트에 접속되는 AC어댑터(5)와, 상기 AC어댑터(5)에 대하여 어댑터 코드(6)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또한 탁상홀더(3)의 충전단자에 접속가능한 접속플러그(7)를 구비하고 있고, 휴대단말(1)의 충전을 행하는 때에는, 어댑터 코드(6)의 접속플러그(7)를 탁상홀더(3)에 접속하고 또한 AC어댑터(5)의 AC금속단자(4)를 급전용 콘센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하게 되어 있다.As such a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here is conventionally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57741, which is, as shown in Fig. 46,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 (not shown). Tabletop holder (3) having a grounding piece (2) for power supply contacting and having a portable terminal (1), an AC adapter (5) connected to an outlet for power supply, and the AC adapter (5) On the other hand,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ug 7 connected via an adapter cord 6 and connectable to a charging terminal of the table holder 3, and when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1, the adapter cord 6 Connection plug 7 of the AC adapter 5 to the outlet for power supply, and the portable terminal 1 connected to the table holder 3 while the connection plug 7 of the AC adapter 5 is connected to the power outlet. It is supposed to be attached.

그리고, 휴대단말(1)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에는, 하측 위치결정부(24)에 의해 휴대단말(1)의 하부측을 위치결정하는 동시에 상측 위치결정부(23)에 의해 휴대단말(1)의 상부측을 위치결정하여, 탁상홀더(3)에서의 휴대단말(1)의 장착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 is positioned by the lower positioning unit 24 and the mobile terminal 1 is mounted by the upper positioning unit 23. ),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in the table holder 3 is regulat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서는, 어댑터 코드(6)의 접속플러그(7)가 탁상홀더(3)에 접속되고 또한 AC어댑터(5)의 AC금속단자(4)가 급전용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라도, 탁상홀더(3)의 급전용 접지편(2)에는 통전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노출된 급전용 접지편(2)에 잘못해서 금속편이나 인체의 피부 등이 접촉되면, 단락(short)이 발생하거나 화상을 입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the connection plug 7 of the adapter cord 6 is connected to the table holder 3 and the AC metal terminal 4 of the AC adapter 5 is suddenly supplied. When it is connected to the exclusive outlet, even if the portable terminal 1 is not attached to the table holder 3, since the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grounding piece 2 for feeding the table holder 3, the exposed If a metal piece, human skin, or the lik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xclusive ground piece 2 by mistake, a short circuit may occur or burns may occur.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서는, 탁상홀더(3)의 상면측에 휴대단말(1)의 외형 이상의 크기의 위치결정부를 돌출해서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어, 충전장치인 탁상홀더(3)의 외형 치수의 소형화를 저지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harg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a positioning portion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external shape of the mobile terminal 1 must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desk holder 3 to form a tabletop holder which is a charging device ( There was a problem of preventing the miniaturization of the external dimensions of 3).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서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놓을 때, 탁상홀더(3)의 상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위치결정부에 정밀하게 위치결정해서 휴대단말을 놓을 필요가 있어, 놓을 때에 사용자에 대하여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harging device, when the user places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portable terminal charging device, the user can precisely position and carry the positioning unit protru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able holder 3.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terminal needs to be placed and requires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user when laying.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에 비추어 보고, 탁상홀더에 휴대단말을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급전용 접지편에의 통전을 차단 할 수 있어, 상기 급전용 접지편에 대한 금속편이나 인체의 피부 등의 접촉에 의한 단락이나 화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grounding piece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attached to the table holder, and the metal piece or the human body's skin, etc. contact the power supply grounding pie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which can prevent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or an image.

또,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외형 이상의 크기의 위치결정부를 돌출해서 형성하지 않고, 정밀하게 위치결정하여 휴대단말을 놓을 수 있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which can accurately position and place a mobile terminal without protruding a positioning portion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은, 휴대단말의 충전용 단자가 접촉하는 급전용 접지편을 갖고 또한 휴대단말을 장착가능한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부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탁상홀더의 휴대단말 장착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볼록형상부를 끼워넣을 때에 급전용 접지편으로의 통전을 ON으로 하고 또한 상기 볼록형상부의 비삽입시에 급전용 접지편으로의 통전을 OFF로 하는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top holder having a power supply grounding piece to which a charging terminal of a mobile terminal contacts and which can be mounted thereon. The concave portion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 is fitted is formed o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table holder, and when the convex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the energization to the grounding portion for feeding is turned ON and the ratio of the convex portion is turned off. It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switch for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grounding piece for power supply when inserted is provided.

상기 수단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means,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quired.

탁상홀더에 휴대단말을 장착하면, 휴대단말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부가 탁상홀더의 휴대단말 장착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스위치가 ON이 되어서 급전용 접지편으로의 통전이 행하여져 휴대단말에의 충전이 가능해 지는 한편, 탁상홀더에 휴대단말을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위치가 OFF가 되어서 급전용 접지편으로의 통전이 행하여지지 않게 되고, 게다가 스위치는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있어, 탁상홀더에 휴대단말을 장착하지 않는 한은 스위치가 ON으로 될 일은 없기 때문에, 노출된 급전용 접지편에 잘못해서 금속편이나 인체의 피부 등이 접촉되었다고 하여도, 단락이 발생하거나 화상을 입거나 하는 걱정은 없어진다. 또한, 스위치는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탁상홀더의 휴대단말 장착면에 융기부는 없고, 위화감이 없는 디자인으로 되면,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또, 스위치는 볼록형상부로 눌려져서 ON, 개방되어서 OFF로 되는 단순한 것으로 완료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도 저렴하며, 또한 신뢰성도 높은 것으로 된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the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recess formed o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table hold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grounding piece for the power supply. While charging is possible,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attached to the tabletop holder, the switch is turned off so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grounding piece for power supply is not conducted. Furthermore, the switch is provided in the recess, Since the switch does not turn ON unless the portable terminal is attached to the holder, there is no worry that a short circuit or burns may occur, even if the exposed grounding piece is accidentally touched with a metal piece or human skin. Disappear. In addition, since the switch is provided in the concave portion, there is no ridge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table holder, and the size can be reduced if the design has no discomfort. In addition, the switch is pressed into the convex portion, and is completed by a simple thing which is turned on and opened and turned off,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low cost, and high reliability.

상기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는, 볼록형상부를 휴대단말의 탁상장착시에 안정적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그 배면에 형성된 것으로 겸용할 수 있고, 이렇게 하면, 휴대단말의 배면에 충전전용의 볼록형상부를 특별히 설치하지 않고 완료된다.In the above-described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the convex portion can be used as the on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In this case, the convex portion for charging is speci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Complete without installing.

상기 볼록형상부는, 예를 들면 스트랩 설치부로 구성할 수 있다.The said convex part can be comprised by a strap installation part, for example.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측면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휴대단말을 장착가능한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탁상홀더의 휴대단말 장착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휴대단말을 상기 휴대단말 장착면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형성된 대략 볼록형상의 스트랩 설치부, 안테나 설치부, 잭 설치부 혹은 카메라 설치부를 상기 오목부에 의해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Further,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 holder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can be mounted, wherein a recess is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table holde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positioning of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by guiding the substantially convex strap mounting portion, antenna mounting portion, jack mounting portion or camera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mobile terminal by the concav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여기에서, 안테나 설치부란 휴대단말의 배면이나 측면에 돌출해서 형성된 것이며, 신축되는 안테나를 수납하거나 유지하는 것 외에, 안테나 근방에 있어서 돌출해서 형성된 휴대단말의 외형부분도 포함하는 취지의 것이고, 또한, 안테나를 내부에 수납한 부재나, 안테나 자체도 포함하는 취지이다.Here,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back or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intended to include the out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otruding in the vicinity of the antenna, in addition to storing or retaining the stretched antenna. This is also intended to include a member containing the antenna therein and the antenna itself.

또한, 잭 설치부란 휴대단말의 배면이나 측면에 돌출해서 형성된 것이며, 스피커, 마이크, 그 밖에 접속하기 위해서 휴대단말에 구비된 커넥터나 잭을 수납하거나 유지하지는 것 외에, 이들 커넥터나 잭 근방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휴대단말의 외형부분도 포함하는 취지인 것이다.In addition, the jack mounting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back or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o storing or retaining a connector, a jack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connection to a speaker, a microphone, and the like, the jack is protruded from the vicinity of the connector or jack. It is intended to include the outer portion of the formed mobile terminal.

또한, 카메라 설치부란 휴대단말의 배면이나 측면에 돌출해서 형성된 것이며, 카메라나 카메라 렌즈를 수납하거나 유지하는 것 외에, 이들 카메라나 카메라 렌즈 근방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휴대단말의 외형부분도 포함하는 취지의 것이다. 또한, 카메라란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외에, 동화상 등을 촬영하는 촬상소자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The camera mounting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back or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ncludes not only storing or holding a camera or a camera lens but also including an external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camera or camera lens. . In addition, the camera includes not only a still image but also an image pickup device for shooting a moving image.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충전장치의 상면측에 휴대단말의 외형 이상의 크기의 위치결정부를 돌출해서 복수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충전장치의 외형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trude a plurality of positioning portions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outline of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harging device,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appearance of the charging device.

여기에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를 일체 구비하지 않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의 위치결정부재를 생략한 것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결정기능에 의해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느슨하게 하는 등에 의해, 그 돌출된 위치결정부의 돌출높이나 크기 등을 작게 한 것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Here,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not having a positioning portion which is formed to protrude, and includes a portion of which the positioning member is omitted. In addition,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protruding positioning portion is reduced by loosening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positioning portion protruding by the position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종래 휴대단말에 필수적인 구성으로서 갖추어져 있는 스트랩 설치부, 안테나 설치부, 잭 설치부 혹은 카메라 설치부를 충전장치로의 장착시의 위치결정에 사용하기 때문에, 특별한 위치결정부재를 휴대단말의 배면에 새롭게 마련할 필요가 없어, 휴대단말 자체의 디자인에도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ap mounting portion, antenna mounting portion, jack mounting portion, or camera mount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as an essential configuration for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used for positioning at the time of mounting to the charging device, a special positioning member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new one, and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itself does not cause discomfort.

더욱이, 최근 휴대단말의 디자인의 빈번한 변경이 행해지고 있지만, 디자인 변경에 의해 외형이 다른 휴대단말이라도, 스트랩 설치부, 안테나 설치부, 잭 설치부 혹은 카메라 설치부의 형상만 동일하게 설계해 두면, 동일한 충전장치를 겸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Moreover, although the design of mobile terminals has been frequently changed in recent years, even if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fferent appearance is designed by the design change, the same charge can be provided if only the shape of the strap mounting portion, antenna mounting portion, jack mounting portion or camera mounting portion is designed in the same way.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mpatible with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측면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휴대단말을 장착가능한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탁상홀더의 일단에 설치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에 설치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설치된 안테나 설치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 holder on which a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comprising: a stand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table holder and the standing portion. And a guide portion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erformed by guiding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guide portion.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놓을 때, 안테나 설치부가 기립부에 설치된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탁상홀더 위에 대충 놓는 것 만으로 휴대단말은 정밀도 좋게 탁상홀더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With this arrangemen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on the table holder,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is guided by the guide portion provided in the standing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position the mobile terminal on the table holder with high precision by simply placing the mobile terminal on the table holder. Can be.

또, 충전장치에 휴대단말의 외형 이상의 크기의 상측 위치결정부 또는 하측 위치결정부를 돌출해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충전장치의 외형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trude the upper positioning portion or the lower positioning portion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ppearance of the charging apparatus.

또,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상측 위치결정부 및/또는 하측 위치결정부를 생략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위치결정기구에 의해 돌출해서 형성된 상측 위치결정부 또는 하측 위치결정부의 돌출높이나 크기를 작게 한 것 등도 포함된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mitting the upper positioning portion and / or the lower positioning portion, and the upper positioning portion or the lower positioning portion protruding by the position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cludes protrusion heights and smaller sizes.

또, 종래 휴대단말에 갖추어져 있는 안테나 설치부를 충전장치에 놓을 때의 위치결정에 이용하기 때문에, 특별한 위치결정부재를 휴대단말에 새롭게 마련할 필요가 없고, 휴대단말 자체의 디자인에도 위화감을 줄 일이 없다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used for positioning when placing the charging device, there is no need to newly install a special positioning member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scomfort in the desig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There is no advantage.

그리고, 최근 휴대단말의 디자인의 빈번한 변경이 행해지고 있지만, 디자인 변경에 의해 외형이 다른 휴대단말이라도 안테나 설치부의 형상만 동일하게 설계해 두면, 동일한 충전장치를 겸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recent years, however, the design of portable terminals has been frequently changed. However, if the design of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is the same even for portable terminals having different appearances, the same charging device can be used.

또한, 후술하지만 기립부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Moreover, although mentioned later, miniaturization of a standing part can also be aimed at.

또,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탁상홀더의 휴대단말 장착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설치된 안테나 설치부를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오목부에 의해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ss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desk holder,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the desk holder,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the guide portion and the recess. The positioning of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by guiding the guide.

이 구성에 의해, 후술하지만 기립부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By this structure, although it mentions later, miniaturization of a standing part can be aimed at further.

또,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또한 탁상홀더의 상기 일단에 상기 오목부를 끼워서 상기 기립부와 병설해서 설치한 기립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설치된 안테나 설치부를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기립 가이드부로 가이드 한 후에 상기 오목부에 의해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anding guide portion provided by inserting the concave portion in the one end of the table holder in parallel with the standing portion, and mount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table holder. The portable terminal is guided by the guide portion or the standing guide portion and guided by the concave portion, thereby positioning the mobile terminal.

이 구성에 의해,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놓을 때, 안테나 설치부가 기립부에 설치된 가이드부와 기립 가이드부에 의해 최초 가이드되고, 그 후, 오목부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탁상홀더 위에 보다 대충 놓는 것만으로 휴대단말은 정밀도 좋게 탁상홀더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the table holder,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is initially guided by the guide portion and the standing guide portion provided in the standing portion, and then guided by the recess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table holder. Just by placing it roughly above, the mobile terminal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table holder.

더욱,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또한 상기 기립부에 휴대단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Further,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in the standing portion.

이 구성에 의해, 휴대단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배치하는 구조물을 기립부에서 공용화할 수 있어, 보다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By this structure,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s the fixing means which fixes a mobile terminal can be shared by a standing part, and it can further miniaturize the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의 제4의 측면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휴대단말을 장착가능한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탁상홀더의 일단에서 편이시켜 설치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 근방에 설치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을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 하는 것에 의해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 holder to which a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comprising: a standing portion provided by shifting from one end of the table holder and the standing por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in the vicinity,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the portable terminal is guided by guiding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guide unit.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상기 기립부에 휴대단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is further provided in the standing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휴대단말을 장착가능한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로서, 탁상홀더의 일단에서 편이시켜 설치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 근방에 설치한 가이드부와, 상기 기립부에 설치된 휴대단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을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 하는 것에 의해 휴대단말의 위치결정과 함께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휴대단말의 고정을 행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로 채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이며, 상기 고정수단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편이시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 holder on which a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including a standing portion provided by shifting from one end of the table holder, and a guide portion provided near the standing portion;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installed in the standing portion,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the mobile terminal is guided by the guide unit to guide the mobile terminal to the fixing means together with the positioning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employed as a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for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fixing means is provided by shifting.

여기에서, 기립부 근방에 설치한 가이드부라는 것은, 기립부에 직접 설치한 것이어도 좋고, 또한, 기립부와는 따로 탁상홀더에 독립으로 설치한 것이여도 좋다.Here, the guide part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standing part may be provided directly in the standing part, or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standing part in the table holder.

또 이 가이드부는, 편이시켜 설치한 기립부의 근방에 설치한 것이지만, 이 가이드부를 기립부에 대하여 동일한 편이 방향으로 편이시켜 설치하여도 좋다.Moreover, although this guide part wa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tanding part which shifted and installed, you may install this guide part by shifting in the same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standing part.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충전장치에 휴대단말의 외형 이상의 크기의 상측 위치결정부를 돌출해서 형성할 필요가 없고, 또한, 기립부의 폭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장치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trude and form an upper positioning portion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harging device, and the width of the standing portion can also be made small,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charging device can be made small.

또, 휴대단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배치하는 구조물을 기립부에서 공용화할 수 있어, 보다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means which fixes a mobile terminal is arrange | positioned can be shared by a standing part, and it can further miniaturize the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예와 함께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an illustration example.

[실시형태1]Embodiment 1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일례이며, 도면 중, 도 46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의미하고 있고, 기본적인 구성은 도 46에 나타내는 종래의 것과 같지만, 본 도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점은, 도 1∼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무선전화기 등의 휴대단말(1)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부로서의 스트랩 설치부(108)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109)를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110)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109) 내에 상기 스트랩 설치부(108)의 삽입시에 급전용 접지편(2)으로의 통전을 ON으로 하고 또한 상기 스트랩 설치부(108)의 비삽입시에 급전용 접지편(2)으로의 통전을 OFF로 하는 스위치(111)를 설치한 점에 있다.1-4 is an example of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part with the same code | symbol as FIG. 46 in the figure means the same thing, The basic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thing shown in FIG. 1 to 4, the concave portion 109 into which the strap mounting portion 108 as the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such as a radiotelephone, is placed on the table. It is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110 of the holder 3 and at the same time, the energization to the grounding piece 2 for power supply is turned ON when the strap mounting portion 108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09. Moreover, it exists in the point which provided the switch 111 which turns OFF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grounding piece 2 for electric power supply at the time of non-insertion of the said strap installation part 108.

본 도시예의 경우, 상기 탁상홀더(3)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이, 하측 케이스(112)와 상측 케이스(113)를 일체로 조립하여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휴대단말(1)의 충전용 단자(114)가 접촉되는 급전용 접지편(2)이 일체화된 기판(115)이 설치되고, 상기 기판(115) 위에 상기 스위치(111)를 설치하고 있다.In the present example, the table holder 3 is form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lower case 112 and the upper case 113,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rein, the mobile terminal 1 The board 115 in which the power supply ground piece 2 to which the charging terminal 114 is contacted is integrated is provided, and the switch 111 is provided on the board 115.

상기 스위치(111)는, 상기 기판(115) 위에 부착된 스위치 본체(11la)와, 상기 스위치 본체(11la)로부터 소정량만큼 돌출되는 스위치 두부(111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위치 두부(111b)는 상기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110)에 형성된 오목부(109) 내에 수용되어, 상기 오목부(109)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The switch 111 includes a switch main body 11la attached to the substrate 115 and a switch head 111b protruding from the switch main body 11la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switch head 111b is provided.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109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110 of the table holder 3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recess 109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탁상홀더(3) 내에는, 스프링(116)의 가압력에 의해 상측 케이스(113)의 소구멍(117)으로부터 선단부가 소정량만큼 돌출되도록 핀(118)을 중심으로 피벗지지된 결합고리(119)를 설치하고 있고, 휴대단말(1)의 충전시에는,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이, 결합고리(119)를 휴대단말(1)의 결합홈(123)에 결합시켜, 탁상홀더(3)에 대하여 휴대단말(1)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able holder (3),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116, the engaging ring pivotally pivoted about the pin 118 so that the tip portion protrudes from the small hole 117 of the upper case 113 by a predetermined amount ( 119 is provided,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charged, the coupling ring 119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23 of the portable terminal 1, as shown in FIG. The portable terminal 1 is fixed to the.

한편, 상기 스트랩 설치부(108)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1)의 배면에 있어서의 폭방향 일단측으로 돌출형성된 안테나(120)의 수납부(121)에 대응시켜서, 휴대단말(1)을 탁상장착시에 안정적 자세를 유지하도록, 휴대단말(1)의 배면에 있어서의 폭방향 타단측으로 돌출형성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trap mounting portion 108 corresponds to the housing portion 121 of the antenna 120 protruding toward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The portable terminal 1 is protruded to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so as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at the time of desk mounting.

다음에, 상기 도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illustrated example will be described.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하면, 휴대단말(1)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부로서의 스트랩 설치부(108)가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110)에 형성된 오목부(109)에 끼워넣어지고, 스위치(111)가 ON으로 되어 급전용 접지편(2)으로의 통전이 행하여져 휴대단말(1)에의 충전이 가능해 지는 한편,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위치(111)가 OFF로 되어서 급전용 접지편(2)에의 통전이 행하여지지 않게 되고, 게다가, 스위치(111)는 오목부(109)내에 설치되어 있어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하지 않는 한은 스위치(111)가 ON으로 될 일은 없기 때문에, 노출된 급전용 접지편(2)에 잘못해서 금속편이나 인체의 피부 등이 접촉되었다고 해도, 단락이 발생하거나 화상을 입거나 하는 걱정은 없어진다. 또한, 스위치(111)는 오목부(109)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110)에 융기부는 없고, 위화감이 없는 디자인이 되며,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또, 스위치(111)는 볼록형상부로서의 스트랩 설치부(108)로 눌려서 ON, 개방되어서 OFF로 되는 단순한 것으로 완료되므로 구조가 간단해서 가격도 저렴하고, 또한 신뢰성도 높은 것으로 된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3, the strap mounting portion 108 as a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is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110 of the table holder 3. It is inserted into the unit 109, the switch 111 is turned ON, and the electric current is supplied to the grounding piece 2 for power supply,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charged, while the portable terminal (3) is placed in the table holder 3. In the state where 1) is not attached, the switch 111 is turned OFF so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grounding piece 2 for power supply is not performed. Furthermore, the switch 111 is provided in the recess 109, and the tabletop Since the switch 111 does not turn ON unless the portable terminal 1 is attached to the holder 3, even if an exposed metal piece or skin of a human body or the like is inadverten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xposed grounding piece 2, There is no worry about a short circuit or burns. Moreover, since the switch 111 is provided in the recessed part 109, it does not have a ridge i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110 of the table holder 3, and it becomes a design without a sense of incongruity, and can also be miniaturized. In addition, since the switch 111 is pressed into the strap mounting portion 108 as a convex portion and is simply turned ON and opened and turned OFF, the switch 111 is simple in structure, low in cost, and high in reliability.

또한, 본 도시예의 경우, 볼록형상부를 휴대단말(1)의 탁상장착시에 안정적 자세를 유지하도록 그 배면에 형성된 스트랩 설치부(108)에서 겸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1)의 배면에 충전전용의 볼록형상부를 특별히 형성하지 않고 완료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is example, since the convex-shaped part is used by the strap installation part 108 formed in the back surface so that it may maintain a stable posture at the table mount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 it is provided i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is is completed without forming a convex portion dedicated for charging.

이렇게 해서,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급전용 접지편(2)으로의 통전을 차단 할 수 있어, 상기 급전용 접지편(2)에 대한 금속편이나 인체의 피부 등의 접촉에 의한 단락이나 화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탁상홀더(3)의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고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고, 더욱이, 구조의 복잡화를 피해서 비용도 저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도 높일 수 있으며, 또 휴대단말(1)의 배면에 충전전용의 볼록형상부를 특별히 형성할 필요도 없다.In this way, in the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 is not attached to the table holder 3, the energization to the grounding piece 2 for power supply can be interrupted | blocked, and the metal piece or human body with respect to the said grounding piece 2 for power supply is provided. The occurrence of short circuits or burns due to contact with skin, etc. can be prevented, and the size can be reduced without hindering the design of the tabletop holder 3, and furthermore, the structure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reli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re is no need to specifically form a convex portion dedicated to charging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다른 예이며, 도면 중, 도 1∼도 4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표시하고 있고, 휴대단말(1)의 배면에 있어서의 폭방향 거의 중앙부에, 탁상장착시에 안정적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볼록형상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볼록형상부(122)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109)를,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110)이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109) 내에 상기 볼록형상부(122)의 삽입시에 급전용 접지편(2)으로의 통전을 ON으로 하고 또한 상기 볼록형상부(122)의 비삽입시에 급전용 접지편(2)에의 통전을 OFF로 하는 스위치(111)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5 and 6 show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portion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s. 1 to 4 denote the same elements, and the rea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 When the convex part 122 for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at the time of table mounting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the recessed part 109 into which the said convex part 122 is inserted is set to the table holder 3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110 of the cell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 energization of the ground piece 2 for power supply is turned ON when the convex portion 122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09. The switch 111 which turns off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grounding piece 2 for electric power supply at the time of non-insertion of the said convex part 122 is provided.

한편, 이 예에 있어서의 스트랩 설치부(108')는 단순한 구멍으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rap mounting portion 108 'in this example is a simple hole.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하면, 휴대단말(1)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부(122)가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110)에 형성된 오목부(109)에 끼워넣어지고, 스위치(111)가 ON으로 되어서 급전용 접지편(2)으로의 통전이 행하여져서 휴대단말(1)로의 충전이 가능해지는 한편,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위치(111)가 OFF로 되어서 급전용 접지편(2)에의 통전이 행하여지지 않게 되고, 게다가, 스위치(111)는 오목부(109) 내에 설치되어 있어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하지 않는 한은 스위치(111)가 ON으로 될 일은 없기 때문에, 노출된 급전용 접지편(2)에 잘못해서 금속편이나 인체의 피부 등이 접촉되었다고 해도 단락이 발생하거나 화상을 입거나 하는 걱정은 없어지고, 또한, 스위치(111)는 오목부(109)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110)에 융기부가 없어, 위화감이 없는 디자인으로 되며,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고, 더욱이 또, 스위치(111)는 볼록형상부(122)로 눌려져서 ON, 개방되어서 OFF로 되는 단순한 것으로 완료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도 저렴하며, 또한 신뢰성도 높은 것으로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and FIG. 6,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attached to the table holder 3, the convex part 122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mounts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table holder 3. As shown in FIG. It fits in the recessed part 109 formed in the surface 110, the switch 111 turns ON,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grounding piece 2 for electric power supply is performed, and charging to the portable terminal 1 is possible, In the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 is not attached to the holder 3, the switch 111 is turned off so that power supply to the grounding piece 2 for electric power supply is not performed. In addition, the switch 111 is recessed. Since the switch 111 is not turned ON unless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in the tabletop holder 3, the metal piece or the human body is accidentally placed on the exposed grounding piece 2 for power supply. Even if your skin, etc. touched, you do not have to worry about short circuits or burns. Since the teeth 111 are provided in the recesses 109, there are no ridges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110 of the table holder 3, resulting in a design without discomfort, and further miniaturization can be achieved. The switch 111 is pressed into the convex portion 122, and is completed by a simple thing that is turned ON and turned OFF. The switch 111 is simple in structure, low in cost, and high in reliability.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볼록형상부(122)를, 휴대단말의 탁상장착시에 안정적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그 배면에 형성된 것으로 겸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1)의 배면에 충전전용의 볼록형상부(122)를 특별히 형성하지 않고 완료된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and FIG. 6, since the convex-shaped part 122 is used as what was formed in the back surface in order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at the time of tabletop mounting of a portable terminal, This is completed without forming a convex portion 122 for charge only on the back surface.

이렇게 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도, 도 1∼도 4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와 같이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급전용 접지편(2)에의 통전을 차단 할 수 있고, 상기 급전용 접지편(2)에 대한 금속편이나 인체의 피부 등의 접촉에 의한 단락이나 화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탁상홀더(3)의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고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고, 더욱이 구조의 복잡화를 피해서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신뢰성도 높일 수 있고, 또, 휴대단말(1)의 배면에 충전전용의 볼록형상부(122)를 특별히 형성할 필요도 없다.Thus, in the case of the example shown in FIG. 5 and FIG. 6, also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not attached to the tabletop holder 3 like the example shown in FIGS. Current can be interrupted, and short circuits or burns caused by contact of the metal piece or the human skin with the grounding piece 2 for power supply can be prevented, and the design of the table holder 3 is inhibited. In addition, miniaturization can be achieved, and further, the cost can be reduced, the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convex portion 122 for charging only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1 in particular. No need to do it.

[실시형태2]Embodiment 2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도 7∼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면 중, 도 46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표시하고 있다.7-10 is a figure which shows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Comprising: The code | symbol same as that of FIG. 46 in the figure has shown the same thing.

도 7에 있어서, 1은 휴대단말, 220은 휴대단말(1)의 안테나, 221은 안테나(220)를 휴대단말(1)에 부착하고 있는 안테나 설치부이다.In Fig. 7, 1 denotes a portable terminal, 220 denotes an antenna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221 denotes an antenna mounting unit which attaches the antenna 220 to the portable terminal 1.

3은 충전장치인 탁상홀더, 212는 탁상홀더(3) 하측 케이스, 213은 탁상홀더(3) 상측 케이스, 210은 탁상홀더(3)의 상면에 설치된 휴대단말(1)의 휴대단말 장착면, 2는 탁상홀더(3)에 설치된 충전단자, 217은 탁상홀더(3)에 설치된 소구멍, 219는 탁상홀더(3)에 형성된 소구멍(217)으로부터 돌출해서 도 10에서 나타내는 휴대단말(1)의 결합홈(225)에 결합하여 휴대단말을 유지하는 결합고리, 그리고, 209는 도 8, 9에서 나타내는 휴대단말(1)의 스트랩 설치부(208)를 가이드 해서 위치결정하는 오목부이다.3 is a table holder which is a charging device, 212 is a lower case of the table holder (3), 213 is an upper case of the table holder (3), 210 is a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holder (3), 2 is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the table holder 3, 217 is a small hole provided in the table holder 3, 219 is a projection of the small hole 217 formed in the table holder 3 is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1 shown in FIG. A coupling ring for holding the mobile terminal by engaging the groove 225, and 209 is a recess for guiding and positioning the strap mounting portion 208 of the mobile terminal 1 shown in Figs.

또한, 5는 AC어댑터이고, 4는 AC어댑터(5)에 설치된 AC금속단자, 7은 충전장치인 탁상홀더(3)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플러그, 6은 AC어댑터(5)와 접속 플러그(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어댑터 코드이다.In addition, 5 is an AC adapter, 4 is an AC metal terminal installed in the AC adapter 5, 7 is a connection plug connected to the connector which is not shown in the table holder 3 which is a charging device, 6 is an AC adapter 5 And an adapter cor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plug 7 with each other.

여기에서, 도 7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래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설치되어 있던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23, 24)(도 46을 참조) 중, 하측 위치결정부(24)는 그대로, 상측 위치결정부(23)의 돌출높이를 낮게 한 것이다. 또한, 특히 도시는 하지 않고 있지만, 상측 위치결정부(23)의 휴대단말 장착면(210)로부터의 돌출높이는, 오목부(209)의 깊이보다도 작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할 때에, 우선 오목부(209)에서 휴대단말을 위치결정하도록 작용하므로, 상측 위치결정부(23)를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Here, in 2nd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lower positioning part among the protruding positioning parts 23 and 24 (refer FIG. 46)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Reference numeral 24 denotes that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upper positioning portion 23 is kept low.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particular, the height of protrus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210 of the upper positioning part 23 is designed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recessed part 209. Therefore, when mounting, the recess 209 first acts to position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upper positioning portion 23 can be made lower in height than the conventional one.

또, 여기에서 도 7에 나타낸 것은, 상측 위치결정부와 하측 위치결정부를 함께 구비한 구성이지만, 한쪽의 위치결정부(23 또는 24)를 생략해도 좋고, 또한 양쪽의 위치결정부(23 및 24)를 생략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오목부(209)에서 휴대단말(1)의 위치결정이 행하여진다.In addition, although shown in FIG. 7 i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upper positioning part and the lower positioning part together, one positioning part 23 or 24 may be abbreviate | omitted, and both positioning parts 23 and 24 may be omitted. ) May be omitted. In this case, positioning of the mobile terminal 1 is performed in the recess 209.

도 8은, 휴대단말(1)에 설치된 스트랩 설치부(208)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 스트랩 설치부(208)는 휴대단말(1)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이 스트랩 설치부(208)는 휴대단말(1)의 배면에 설치하는 외에, 측면에 설치해도 관계없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strap mounting portion 208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 which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is strap attachment part 208 may b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may be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도 9는, 스트랩 설치부(208)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며, 스트랩 설치부(208)는 휴대단말(1)을 책상 위 등에 놓았을 때에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휴대단말(1)의 배면에 있어서 돌출형성된 안테나(220)의 수납부(221)의 돌출량과 거의 같을 정도로 돌출시켜서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9 is another view showing the strap mounting portion 208. The strap mounting portion 208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so as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when the mobile terminal 1 is placed on a desk or the like. The protrusion 220 is formed by protruding to approximately the same amount as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accommodating part 221 of the antenna 220.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측면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탁상홀더(3)는 하측 케이스(212)와 상측 케이스(213)를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내부에는 휴대단말(1)의 충전용 단자(214)가 접촉하는 급전용 접지편(2)이 배치된 기판(215)과, 스프링(216)의 가압력에 의해 상측 케이스(213)의 소구멍(217)으로부터 선단부가 소정량만큼 돌출하도록 핀(218)을 중심으로 피벗지지된 결합고리(219)를 설치하고 있다.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table holder 3 is form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lower case 212 and the upper case 213, and the charging terminal 214 of the mobile terminal 1 is in contact therewith. The pin 218 so as to protrude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small hole 217 of the upper case 213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216 and the substrate 215 on which the grounding piece 2 for power supply is arranged Pivoting support ring 219 is installed.

휴대단말(1)의 충전시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고리(219)를 휴대단말(1)의 결합홈(225)에 결합시켜, 탁상홀더(3)에 대하여 휴대단말(1)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At the time of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1, as shown in FIG. 10, the coupling ring 219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25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portable terminal 1 is connected to the table holder 3. As shown in FIG. To be fixed.

여기에서,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할 때, 휴대단말(1)의 배면에 형성된 대략 볼록형상의 스트랩 설치부(208)가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210)에 형성된 오목부(209)에 가이드되어,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210)상의 위치결정작용을 한다. 그리고, 휴대단말(1)의 위치결정이 바르게 행하여지면 휴대단말(1)의 결합홈(225)에 탁상홀더(3)의 결합고리가 결합해 휴대단말(1)이 고정되게 된다.He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3, the substantially convex strap mounting portion 208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has a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210 of the table holder 3. Is guided by the recessed portion 209 formed on the top surface, and performs positioning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210 of the desk holder 3. When the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 is performed correctly, the coupling ring of the table holder 3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25 of the portable terminal 1 to fix the portable terminal 1.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위치결정부를 일체 구비하지 않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의 위치결정부재를 생략한 것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결정기능에 의해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느슨하게 하는 등에 의해, 그 돌출한 위치결정부의 돌출높이나 크기 등을 작게 한 것 등도 포함된다.Here, 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not including any positioning portion protrudingly provided, and includes a portion of the positioning member omitted. In addition,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protruding positioning portion is reduced, for example, by loosening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positioning portion protruding by the position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형태3] Embodiment 3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1에서 도 15로 설명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to FIG. 15.

동 도면중, 도 46 및 도 7에서 도 10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표시하고 있다.In the same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code | symbol as FIG. 10 in FIG. 46 and FIG.

도 11에 있어서, 209는 도 12, 13에서 나타내는 휴대단말(1)의 잭 설치부(211)을 가이드해서 위치결정하는 오목부이다.In FIG. 11, 209 is a recessed part which guides and positions the jack mounting part 211 of the portable terminal 1 shown in FIGS.

여기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래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설치되어 있던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23, 24)(도 46을 참조) 중, 하측 위치결정부(24)은 그대로, 상측 위치결정부(23)만 생략한 것이다. 따라서, 장착할 때에 우선 오목부(209)에서 휴대단말을 위치결정하도록 작용하고 있고, 상측 위치결정부(23)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되는 것이다.Here, i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lower positioning part among the protruding positioning parts 23 and 24 (refer to Fig. 46)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24, only the upper positioning portion 23 is omitted. Therefore, when mounting, first, the recess 209 acts to position the mobile terminal, and since the upper positioning portion 23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the device can be miniaturized.

또한, 여기에서, 도 11에 나타낸 것은, 상측 위치결정부를 생략한 구성이지만 양쪽의 위치결정부(23 및 24)를 생략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structure shown in FIG. 11 has abbreviate | omitted the upper positioning part, both positioning parts 23 and 24 may be abbreviate | omitted.

도 12는, 휴대단말(1)에 설치된 잭 설치부(211)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 잭 설치부(211)는 휴대단말(1)의 배면으로부터 측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 이 잭 설치부(211)는 휴대단말(1)의 배면에만 설치하는 외에, 측면에만 설치하여도 관계없는 것이다.FIG. 12 is a view showing the jack mounting portion 211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 and the jack mounting portion 211 is provided over the side surfa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In addition, this jack mounting part 211 may be provided only i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may be provided only in the side surface.

도 13은, 잭 설치부(211)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며, 이 잭 설치부(211)는 휴대단말(1)을 책상 위 등에 놓았을 때에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휴대단말(1)의 배면에 있어서 돌출형성된 안테나(220) 수납부(221)의 돌출량과 거의 같을 정도로 돌출시켜서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FIG. 13 is another view showing the jack mounting portion 211. The jack mounting portion 211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so as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placed on a desk or the like. The protrusion 220 is formed to protrude to approximately the same amount as that of the protruding antenna 220 accommodating portion 221.

또한, 이 잭 설치부(211)에서 휴대단말(1)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도록,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잭 설치부(211)는 거의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잭 설치부(211)의 도 15에 있어서의 안쪽에 둥글게 형성된 부분에 의해서 휴대단말(1)의 세로방향의 가이드 및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도 15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측에 둥글게 형성된 부분에 의해 휴대단말(1)의 가로방향의 가이드 및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jack mounting part 211 is formed in substantially convex shape so th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 may be performed by this jack mounting part 211. FIG. 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guide and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 are made by the part formed roundly in FIG. 15 of the jack mounting part 211, and the part formed round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As a result, the horizontal guide and positioning of the mobile terminal 1 are performed.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측면단면도이다. 한편, 기본적인 구성은 도 10에 나타낸 제2실시형태의 것과 같다.1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basic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2nd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할 때, 휴대단말(1)의 배면에 형성된 대략 볼록형상의 잭 설치부(211)가,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210)에 형성된 오목부(209)에 가이드되어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210) 상의 위치결정작용을 한다. 그리고, 휴대단말(1)의 위치결정이 바르게 행하여지면 휴대단말(1)의 결합홈(225)에 탁상홀더(3)의 결합고리가 결합해 휴대단말(1)이 고정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4,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3, the substantially convex jack attaching portion 21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carries the table holder 3 in a portable manner. Guided by a recess 209 formed in the terminal mounting surface 210 to perform a positioning action on the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210 of the table holder (3). When the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 is performed correctly, the coupling ring of the table holder 3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25 of the portable terminal 1 to fix the portable terminal 1.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도 46의 23, 24)를 일체 구비하지 않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의 위치결정부재를 생략한 것도 포함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위치결정 기능에 의해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느슨하게 하는 등에 의해, 그 돌출된 위치결정부의 돌출높이나 크기 등을 작게 한 것 등도 포함된다.Here,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not being provided with the positioning portions (23, 24 of Fig. 46) which are formed to protrude, and a part of the positioning member Omitted to include. Further,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protruding positioning portion is reduced by loosening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positioning portion protruding by the position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잭 설치부는, 휴대단말의 배면이나 측면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것이며, 스피커, 마이크, 그 밖에 접속하기 위해서 휴대단말에 구비된 커넥터나 잭을 수납하거나 유지하는 것 외에, 이들 커넥터나 잭 근방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휴대단말의 외형부분도 포함하는 취지의 것이다.Here, the jack attachment part shown in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protrudes in the back or side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accommodates or hold | maintains the connector and jack with which a portable terminal was equipped in order to connect a speaker, a microphone, and others.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outer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connector and the jack is also included.

[실시형태4]Embodiment 4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6에서 도 18로 설명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8.

동 도면중, 도 46, 그리고 도 7 내지 도 15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의미하고 있다.46, and the same code | symbol as FIG.7 and FIG.15 means the same thing.

도 16에 있어서, 209는 도 l7, 18에서 나타내는 휴대단말(1)의 카메라 설치부(222)을 가이드해서 위치결정하는 오목부이다.In FIG. 16, 209 is a recessed part which guides and positions the camera installation part 222 of the portable terminal 1 shown to FIGS.

여기서, 도 16에 나타내는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래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설치되어 있던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23, 24)(도 46을 참조) 중, 하측 위치결정부(24)은 그대로, 상측 위치결정부(23)만 돌출량을 적게 형성한 것이다.Here, in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16, the lower positioning portion (of the positioning portions 23, 24 (see FIG. 46) which is formed by protrudingly formed in the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24, as it is, only the upper positioning portion 23 is formed with a small amount of protrusion.

또, 전술의 설명과 같이 양쪽의 위치결정부(23 및 24)를 생략해도 좋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oth positioning portions 23 and 24 may be omitted.

도 17은, 휴대단말(1)에 설치된 카메라 설치부(222)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 카메라 설치부(222)는 휴대단말(1)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 이 카메라 설치부(222)는 휴대단말(1)의 배면에만 설치하는 외에, 측면만, 또는 배면으로부터 측면에 걸쳐서 설치한 것이어도 관계 없다.FIG. 17 is a view showing a camera mounting unit 222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 which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In addition, this camera attachment part 222 may be provided only i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may be provided only in the side surface or over the side surface from the back surface.

도 18은, 카메라 설치부(222)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며, 이 카메라 설치부(222)는 휴대단말(1)을 책상 위 등에 놓았을 때에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휴대단말(1)의 배면에 있어서 돌출형성된 안테나(220) 수납부(221)의 돌출량과 거의 같을 정도로 돌출시켜서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18 is another view showing the camera mounting unit 222, which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1 so as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when the mobile terminal 1 is placed on a desk or the like. The protrusion 220 is formed to protrude to approximately the same amount as that of the protruding antenna 220 accommodating portion 221.

한편, 제4실시형태에 대해서는, 특히, 도 10이나 도 14와 같이 측면단면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같은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addition, about 4th Embodiment, although illustration of a side sectional drawing is abbreviate | omitted like FIG. 10 or FIG. 14,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comprised by the same mechanism.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도 46의 23, 24)를 일체 구비하지 않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의 위치결정부재를 생략한 것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결정기능에 의해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느슨하게 하는 등에 의해, 그 돌출된 위치결정부의 돌출높이나 크기 등을 작게 한 것 등도 포함된다.Here,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not having integrally provided positioning portions (23, 24 of Fig. 46) which protrude and are formed as part of the positioning member. Omitted to include. Further,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protruding positioning portion is reduced by loosening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positioning portion protruding by the position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카메라 설치부는, 휴대단말의 배면이나 측면에 돌출해서 형성된 것이며, 카메라나 카메라 렌즈를 수납하거나 유지하는 외에, 이들 카메라나 카메라 렌즈 근방에 있어서 돌출해서 형성된 휴대단말의 외형부분도 포함하는 취지인 것이다. 또, 카메라란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외에, 동화상 등을 촬영하는 촬상소자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Here, the camera mounting por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back o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formed by protruding in the vicinity of the camera or the camera lens, in addition to storing or retaining the camera or the camera lens. The intention is to include the external parts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photographing of still images, the camera also includes an imaging device for capturing moving images and the like.

[실시형태 5]Embodiment 5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9 및 도 20으로 설명한다.Next,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and 20.

동 도면중, 도 46, 및 도 7 내지 도 18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의미하고 있다.46, and the same code | symbol as FIG. 7 thru | or FIG. 18 mean the same thing.

도 19에 있어서, 209는, 도 20에서 나타내는 휴대단말(1)의 안테나 설치부(221)를 가이드해서 위치결정하는 오목부이다.In FIG. 19, 209 is a recessed part which guides and positions the antenna mounting part 221 of the portable terminal 1 shown in FIG.

여기에서, 도 19에 나타내는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래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설치되어 있던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23, 24)(도 46을 참조)를 모두 생략한 것이다.Here, in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19, all of the protruding positioning portions 23, 24 (see Fig. 46)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harging device are omitted.

또, 도 19에 표시되는 226은, 휴대단말(1)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용 접지편을 유지하는 급전용 접지편 유지부이며, 휴대단말(1)의 장착시에 현격한 가이드작용 등은 하지 않는 것이다.In addition, 226 shown in FIG. 19 is a grounding piece holding part for holding a feeding grounding piece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 and has a noticeable guide action or the lik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Will not.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측면단면도이다. 또한, 기본적인 구성은 도 10에 나타낸 제2실시형태 등과 같다.20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할 때, 휴대단말(1)의 배면에 형성된 대략 볼록형상의 안테나 설치부(221)가,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210)에 형성된 오목부(209)에 가이드되어,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210)상의 위치결정작용을 한다. 그리고, 휴대단말(1)의 위치결정이 바르게 행하여지면 휴대단말(1)의 결합홈(225)에 탁상홀더(3)의 결합고리가 결합해 휴대단말(1)이 고정되게 된다.As shown in FIG. 20, when attaching the portable terminal 1 to the table holder 3, the substantially convex-shaped antenna installation part 221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carries out the portable of the table holder 3. As shown in FIG. Guided by the concave portion 209 formed in the terminal mounting surface 210, the positioning func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210 of the table holder (3). When the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 is performed correctly, the coupling ring of the table holder 3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25 of the portable terminal 1 to fix the portable terminal 1.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안테나 설치부는, 휴대단말의 배면이나 측면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것이며, 신축하는 안테나를 수납하거나 유지하는 외에, 안테나 근방에 있어서 돌출해서 형성된 휴대단말의 외형부분도 포함하는 취지의 것이고, 그리고 안테나를 내부에 수납한 부재나, 안테나 자체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따라서, 안테나 자체를 오목부에서 가이드하여 위치결정하는 것과 같은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Here,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rotruding to the rear or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o accommodating or retaining the telescopic antenna, the external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otruding in the vicinity of the antenna is also provided. It is for the purpose of including, and the meaning which includes the member which accommodated the antenna inside, and the antenna itself. Therefore, the same as guiding and positioning the antenna itself in the recess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본 발명의 제2부터 제5실시형태의 것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를 복수 구비하는 등의 필요가 없어, 장치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는 것 외에, 종래 휴대단말에 필수적인 구성으로서 갖추어져 있는 스트랩 설치부, 잭 설치부, 카메라 설치부, 혹은 안테나 설치부를 충전장치로의 장착시의 위치결정에 이용하기 때문에, 특별한 위치결정부재를 휴대단말의 배면에 새롭게 마련할 필요가 없고, 휴대단말 자체의 디자인에도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ne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ositioning portions that protrude and are formed, and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Since the attached strap mounting portion, jack mounting portion, camera mounting portion, or antenna mounting portion is used for positioning at the time of mounting to the charging device, there is no need to newly install a special positioning member on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sign of the terminal itself does not give discomfort.

또한, 최근 휴대단말의 디자인의 빈번한 변경이 행해지고 있지만, 디자인 변경에 의해 외형이 다른 휴대단말이라도, 스트랩 설치부, 잭 설치부, 카메라 설치부, 혹은 안테나 설치부의 형상만 동일하게 설계해 두면, 동일한 충전장치를 겸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has been frequently changed, but even if the mobile terminal has a different appearance due to the design change, the same design can be achieved by designing only the strap mounting portion, the jack mounting portion, the camera mounting portion, or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a charging device.

즉, 이들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의 소형화 뿐만 아니라, 다른 외형형상을 갖는 휴대단말이라도 휴대단말에 필수적인 일부분의 구성만 외형을 공통화 함으로써 공용화 할 수 있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se embodiment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shared by not only miniaturizing the device but also having a common configuration only for a part of the configuration essential for the mobile terminal, even if the mobile terminal has another external shape.

또, 이들 실시형태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스트랩 설치부, 잭 설치부, 카메라 설치부, 안테나 설치부 등을 사용하여 휴대단말의 탁상홀더에의 장착시에 가이드 및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이지만, 이들 복수의 설치부를 동시에 사용하여 가이드 및 위치결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of these embodiments guides and positions when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to a tabletop holder using a strap installation part, a jack installation part, a camera installation part, an antenna installation part, etc., You may make it perform guide and positioning using these some installation part simultaneously.

예를 들면, 휴대단말 장착면에 잭 설치부를 가이드하는 제1의 오목부와, 카메라 설치부를 가이드하는 제2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 같은 구성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휴대단말을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급전단자(2)에 대하여 정밀하게 위치결정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급전단자(2)로부터 보다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 예를 들면 잭 설치부에 대응한 제1의 오목부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높여 두고, 나머지의 오목부, 예를 들면 카메라 설치부에 대응한 제2의 오목부의 위치결정 정밀도는 느슨하게 하여 둔다.For example, it is the structure like forming the 1st recessed part which guides a jack mounting part, and the 2nd recessed part which guides a camera mounting part in a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mobile terminal needs to be precise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2 of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 recess, for example, a jack, formed at a position farther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2.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first recess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is increased, and the positioning precision of the second recess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recess, for example, the camera mounting portion, is loosened.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잭 설치부와 카메라 설치부의 치수정밀도가 조금 벗어나 있어도, 보다 정밀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는 잭 설치부 쪽을 메인으로 위치결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카메라 설치부에 대응한 오목부의 정밀도는 느슨하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에 있어서의 카메라 설치부의 설치위치에 조금의 차이가 있어도, 조금도 문제 없이 탁상홀더 위에 휴대단말을 세트할 수 있다.With this arrangement, even if the dimensional accuracy of the jack mounting portion and the camera mounting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slightly out of position, positioning is performed mainly at the jack mounting portion that can be positioned more precisely, and the concave corresponding to the camera mounting portion is achieved. Since the negative precision is loosely designed, even if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mera mounting por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t on the table holder without any problem.

[실시형태 6]Embodiment 6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6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도 21∼도 22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면 중, 도 46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의미하고 있다.21-22 is a figure showing 6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the code | symbol same as FIG. 46 in the figure has shown the same thing.

도 21, 22에 있어서, 3은 충전장치인 탁상홀더, 312은 탁상홀더(3) 하측 케이스, 313은 탁상홀더(3) 상측 케이스, 310은 탁상홀더(3)의 상면에 설치된 휴대단말(1)의 휴대단말 장착면, 2는 탁상홀더(3)에 설치된 급전용 접지편, 317은 탁상홀더(3)에 설치된 소구멍, 319는 탁상홀더(3)에 설치되어 소구멍(317)으로부터 돌출해서 후술하는 도 31에 표시되는 휴대단말(1)의 결합홈(325)에 결합하여 휴대단말(1)을 유지하는 결합고리, 그리고, 309는 후술하는 도 29, 30에 나타내는 휴대단말(1)의 안테나 설치부(321)를 가이드하여 위치결정하는 오목부이다.21 and 22, 3 is a table holder which is a charging device, 312 is a lower case of the table holder 3, 313 is an upper case of the table holder 3, and 310 is a mobile terminal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holder 3. 2 is a grounding plate for power supply provided in the tabletop holder 3, 317 is a small hole provided in the tabletop holder 3, 319 is provided in the tabletop holder 3, and protrudes from the small hole 3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coupling ring for holding the mobile terminal 1 by coupling to the coupling groove 325 of the mobile terminal 1 shown in FIG. 31, and 309 is an antenna of the mobile terminal 1 shown in FIGS. It is a recessed part which guides and positions the installation part 321.

또, 24는 탁상홀더의 아래쪽에 설치된 하측 위치결정부, 308은 탁상홀더의 위쪽에 설치된 기립부, 311은 기립부(308)에 설치된 가이드부이며, 탁상홀더의 일단에 기립부(308)가 배치되고, 타단에 하측 위치결정부(24)가 배치되어 있다.24 is a lower positioning part provided below the table holder, 308 is a standing part provided above the table holder, 311 is a guide part provided at the standing part 308, and a standing part 308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table holder. It is arrange | positioned, and the lower positioning part 24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ther end.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기능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서, 가이드부(311) 및 오목부(309)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를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다. 또, 도면 중, 도 21, 22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의미하고 있다.Here, in order to explain the functional action of 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ithout the guide portion 311 and the concave portion 309 is shown in Figs. It is shown in FIG.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21 and 22 mean the same.

이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가이드부(311) 및 오목부(309)를 구비하지 않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휴대단말(1)을 놓을 때의 모습을 도 25에 나타낸다.FIG. 25 shows a stat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placed in 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guide portion 311 and the concave portion 309 shown in FIGS. 23 and 24.

도 25에 있어서, (a)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단말(1)을 가장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놓여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단말(1)을 가장 왼쪽으로 기울어져 놓여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n FIG. 25, part (a)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 is inclined to the rightmost position by the user, and part (b) is inclined to the leftmost by the user.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ase of laying.

(a)(b) 모두, 하측 위치결정부(24)의 치수(L)를 길게 함으로써, 휴대단말(1)을 놓을 때의 경사상태를 제한할 수는 있지만, 이 치수(L)는 충전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짧게 할 요청이 있기 때문에, 이 치수(L)를 짧게 한다고 하는 요청을 충족하고자 하면 실질적으로 경사상태를 정밀하게 제한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In both (a) and (b), by increasing the dimension L of the lower positioning portion 24, it is possible to limit the inclination stat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placed. Since there is a request to shorten for miniaturization,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limit the inclined state substantially in order to satisfy the request to shorten this dimension (L).

또, 마찬가지로 기립부(308)의 치수(M)를 길게 함으로써, 휴대단말(1)을 놓을 때의 경사상태를 제한할 수는 있지만, 이 치수(M)는 충전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짧게 할 요청이 있기 때문에, 이 요청을 충족시킨다고 하면 실질적으로 경사상태를 정밀하게 제한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Similarly, by increasing the dimension M of the standing portion 308, it is possible to limit the inclination stat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placed, but this dimension M is required to be shortened for miniaturization of the charging device. For this reason, if this request is satisfied, it becomes difficult to substantially limit the inclined state accurately.

따라서, 도 2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 L 및 치수 M의 길이를 짧게 한다고 하는 요청를 충족시킨 것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휴대단말(1)을 탁상홀더(3)에 놓을 때에는, 상당한 좌우로의 경사가 발생하게 되어, 휴대단말(1)을 탁상홀더(3) 위에 위치결정하는 것은 곤란해져 버린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5 (a) (b), in satisfying the request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dimension L and the dimension M, when the user places the mobile terminal 1 on the table holder 3, Substantial inclination to the left and right occurs, and positioning of the mobile terminal 1 on the desk holder 3 becomes difficult.

한편, 본 실시형태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경우는, 도 26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1)을 도 25의 것보다도 상당히 기울어져 놓은 경우에 있어서도, 기립부(308)에 설치한 가이드부(311)나 오목부(309)의 구성에 의해 바른 장착위치로 자연히 인도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is embodiment, even when the user inclines the portable terminal 1 considerably more than that of FIG. 25, as shown to (a) (b) of FIG. Since the guide portion 311 and the concave portion 309 provided in the standing portion 308 naturally lead to the correct mounting position, positioning is easily performed.

도 26의 (a)부분의 경우에 있어서는, 휴대단말(1)을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두었을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기립부(308)의 좌측 모서리부에 설치된 가이드부(311)에 의해, 안테나 설치부(321) 또는 안테나(320)가 가이드되어, 바른 위치로 왼쪽으로 회전하면서 위치결정이 되어, 최종적으로는 거의 경사가 없는 상태로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이 모습을 도 27의 (a)부분에도 나타낸다.In the case of part (a) of FIG. 26, the portable terminal 1 is tilted to the right to show a case where the user puts it. However, by the guide part 311 provided at the left edge of the standing portion 308, The antenna installation unit 321 or the antenna 320 is guided, and the positioning is performed while rotating to the left to the right position, and the positioning is finally made in a state where there is almost no inclination. This state is also shown in part (a) of FIG. 27.

또한, 도 26의 (b)부분의 경우에 있어서는, 휴대단말(1)을 왼쪽으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두었을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오목부(309)에 의해 안테나 설치부(321) 또는 안테나(320)가 가이드되어, 바른 위치로 오른쪽으로 회전하면서 위치결정이 되어, 최종적으로는 거의 경사가 없는 상태로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또, 이 모습을 도 27의 (b)부분에도 나타낸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art (b) of FIG. 26, the cas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inclined to the left and placed by the user is shown. However, the recess 309 allows the antenna mounting unit 321 or the antenna 320. ) Is guided and rotated to the right to the right position, positioning is performed, and positioning is finally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re is almost no inclination. [0054] This state is also shown in part (b) of FIG.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것은, 기립부(308)에 설치한 가이드부(311) 및/또는 오목부(309)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하측 위치결정부의 형상을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측 위치결정부를 생략할 뿐만 아니라, 기립부(308)의 형상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thing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structure of the guide part 311 and / or the recessed part 309 which were provided in the standing part 308, and the shape of the lower positioning part can be made small, and the upper position Not only the crystal part is omitted, but the shape of the standing part 308 can be made smaller.

여기에서, 도 28 내지 도 32을 이용하여, 이 제6실시형태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세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 with reference to FIGS. 28-32, the detail of the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of this 6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more concretely.

도 28은,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보다 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면 중, 도 21 내지 도 27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의미하고 있다.FIG.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ore details in a sixth embodiment, wherein portions design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21 to 27 in the drawings mean the same thing.

도 28에 있어서, 5는 AC어댑터이며, 4는 AC어댑터(5)에 설치된 AC금속단자, 7은 충전장치인 탁상홀더(3)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플러그, 6은 AC어댑터(5)와 접속플러그(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어댑터 코드이다.In Fig. 28, 5 is an AC adapter, 4 is an AC metal terminal provided in the AC adapter 5, 7 is a connection plug connected to a connec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tabletop holder 3 which is a charging device, and 6 is an AC adapter. It is an adapter cord which electrically connects (5) and the connection plug 7.

또, 도 29는 휴대단말(1)에 설치된 안테나(320) 및 이 안테나(320)를 부착하는 안테나 설치부(321)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 안테나 설치부(321)는 휴대단말(1)의 배면, 측면, 또는 측면에서 배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도 30은, 안테나(320) 및 안테나 설치부(321)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29 is a diagram showing an antenna 320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 and an antenna mounting unit 321 to which the antenna 320 is attached. The antenna mounting unit 321 shows the portable terminal 1. It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r side surface. 30 is another figure which shows the antenna 320 and the antenna mounting part 321. As shown in FIG.

도 31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측면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탁상홀더(3)는 하측 케이스(312)와 상측 케이스(313)를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내부에는 휴대단말(1)의 충전용 단자(314)가 접촉하는 급전용 접지편(2)이 배치된 기판(315)과, 스프링(316)의 가압력에 의해 상측 케이스(313)의 소구멍(317)으로부터 선단부가 소정량만큼 돌출하도록 핀(318)을 중심으로 피벗지지된 결합고리(319)를 설치하고 있다.Fig. 3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able holder 3 is form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lower case 312 and the upper case 313, and the charging terminal 314 of the mobile terminal 1 is in contact therewith. The pin 318 so that the tip portion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small hole 317 of the upper case 313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316 and the substrate 315 on which the feeder grounding piece 2 is disposed. Pivoting support ring 319 is installed.

휴대단말(1)의 충전시에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고리(319)를 휴대단말(1)의 결합홈(325)에 결합시켜, 탁상홀더(3)에 대하여 휴대단말(1)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At the time of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1, as shown in FIG. 31, the coupling ring 319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25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portable terminal 1 is connected to the table holder 3. As shown in FIG. To be fixed.

여기에서,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할 때, 휴대단말(1)에 형성된 대략 볼록형상의 안테나 설치부(321)나 안테나(320)가,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310)에 형성된 기립부(308)의 가이드부(311)나 오목부(309)로 가이드되어,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310)상의 위치결정작용을 한다. 그리고, 휴대단말(1)의 위치결정이 바르게 행하여지면 휴대단말(1)의 결합홈(325)에 탁상홀더(3)의 결합고리가 결합해 휴대단말(1)이 고정되게 된다.He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3, the substantially convex antenna mounting unit 321 or the antenna 320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1 is a portable terminal of the table holder 3. Guided by the guide portion 311 or the concave portion 309 of the standing portion 308 formed on the mounting surface 310, the positioning function on the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310 of the table holder (3). When the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 is performed correctly, the coupling ring of the table holder 3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25 of the portable terminal 1 to fix the portable terminal 1.

이와 같이 바르게 위치결정된 상태를 도 32에 나타낸다. 도 32에 있어서, 휴대단말(1)을 동 도면 좌측에 치우쳐 놓았다고 하면, 가이드부(311)의 경사면을 안테나(320), 안테나 설치부(321)가 미끄러 떨어지도록 가이드되어 정규 위치에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The state correctly positioned in this way is shown in FIG. In FIG. 32, if the mobile terminal 1 is biased to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part 311 is guided so that the antenna 320 and the antenna mounting part 321 slip off, and positioning is performed at a normal position. Is done.

또 한편, 도 32에 있어서, 휴대단말(1)을 동 도면 우측에 치우쳐 놓았다고 하면, 오목부(309)의 동 도면 우측 곡면을 안테나(320), 안테나 설치부(321)가 미끄러 떨어지도록 가이드되어 정규 위치에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FIG. 32, if the mobile terminal 1 is biased to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the antenna 320 and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321 are guided so that the curved surface of the right side of the concave portion 309 slides. Positioning is done at regular positions.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관한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하측 위치결정부만을 갖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 위치결정부를 구비한 것이어도 관계없다. 그러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더 한층의 소형화를 꾀하기 위해서는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having only the lower positioning portion that protrudes and may be provided with the upper positioning portion. However, in order to further downsize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omit it.

또한,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목부(309)를 구비한 구성이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오목부(309)를 생략하고, 기립부(308)에 설치한 가이드부(311)만에 의해 가이드되는 구성의 것도 포함된다.In addition, in 6th Embodiment, although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recessed part 309 is provid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guide provided in the standing part 308 omitting the recessed part 309 is omitted. The thing of the structure guided by only the part 311 is also included.

따라서,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것은,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탁상홀더 위에 보다 대충 놓는 것 만으로 휴대단말은 정밀하게 탁상홀더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e user can position the mobile terminal precisely in the table holder only by placing the mobile terminal more roughly on the table holder.

또, 탁상홀더에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상측(하측) 위치결정부를 생략할 수 있거나, 하측(상측) 위치결정부를 작게 할 수 있거나, 또는 기립부의 폭도 작게 할 수 있는 등, 충전장치의 외형을 현저하게 작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outer shape of the charging device is remarkable, such that the upper (lower) position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able holder can be omitted, the lower (upper) positioning portion can be made small, or the width of the standing portion can be made small.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made small.

또, 종래 휴대단말에 필수적인 구성으로서 갖추어져 있는 안테나나 안테나 설치부를 충전장치로의 장착시의 위치결정에 이용하기 때문에, 특별한 위치결정부재를 휴대단말의 배면에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고, 휴대단말 자체의 디자인에도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ntenna or antenna mount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as an essential configuration for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used for positioning at the time of mounting to the charging device, there is no need to newly install a special positioning member on the rea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t has the advantage of not discomforting the design.

더욱이, 최근 휴대단말의 디자인의 빈번한 변경이 행해지고 있지만, 디자인 변경에 의해 외형이 다른 휴대단말이라도 안테나 및/또는 안테나 설치부의 형상만 동일에 설계해 두면 동일한 충전장치를 겸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Moreover, although the design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frequently changed in recent years, even if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fferent appearance is designed by the design change, only the shape of the antenna and / or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is designed in the same way, the same charging device can be used.

[실시형태 7]Embodiment 7

다음에,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33 및 도 34을 이용해서 설명한다.Next,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3 and 34.

동 도면중, 도 46, 및 도 21 내지 도 32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의미하고 있다.In the same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as FIG. 46 and FIGS. 21-32 means the same thing.

도 33에 있어서, 326은 급전용 접지편 유지부이며, 휴대단말(1)의 충전용 단자(314)가 접촉하는 급전용 접지편(2)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7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측 위치결정부를 생략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제6실시형태보다도 더욱 소형화가 도모되어 있다.In FIG. 33, 326 is a grounding piece holding | maintenance part for power supply, and the grounding piece 2 for power supply which the charging terminal 314 of the portable terminal 1 contacts is arrange | positioned. In this seventh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positioning portion is omitted is shown, and further miniaturization is achieved than in the sixth embodiment.

또한, 도 33에 있어서, 322는 탁상홀더의 상기 일단에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립부와 병설해서 설치한 기립 가이드부이며,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설치된 안테나 설치부를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기립 가이드부에서 가이드한 후에 상기 오목부에 의해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Fig. 33, reference numeral 322 denotes an upright guide portion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upright portion with the concave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one end of the tabletop holder, and an antenna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top holder.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guided by the guide portion or the standing guide portion and guided by the concave portion to position the mobile terminal.

이 위치결정의 모습을 도 34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휴대단말(1)을 동 도면 좌측으로 치우쳐 놓았다고 하면, 가이드부(311)의 경사면을 안테나(320), 안테나 설치부(321)가 미끄러 떨어지도록 가이드된 후, 오목부(309)의 좌측 곡면에서 가이드 되어서 정규 위치에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34 shows the state of this positioning. In the figure, if the portable terminal 1 is biased to the left side of the figure, the inclined portion 309 is guide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311 slips off the antenna 320 and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321. Positioning is performed at the normal position by guiding from the left curved surface of the

또 한편, 도 34에 있어서, 휴대단말(1)을 동 도면 우측으로 치우쳐 놓았다고 하면, 기립 가이드부(322)의 동 도면 우측 경사면을 안테나(320), 안테나 설치부(321)가 미끄러 떨어지도록 가이드 된 후, 오목부(309)의 우측 곡면에서 가이드되어서 정규 위치에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Fig. 34, if the mobile terminal 1 is biased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the guide 320 is guided so that the antenna 320 and the antenna mounting part 321 slide off the inclined surface on the right side of the standing guide section 322. After that, positioning is performed at the normal position by being guided at the right curved surface of the recess 309.

이 구성에 의해,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안테나 설치부가 기립부에 설치된 가이드부와 기립 가이드부에 의해 최초 가이드되고, 그 후, 오목부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탁상홀더 위에 보다 대충 놓는 것 만으로 휴대단말은 정밀하게 탁상홀더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is initially guided by the guide portion and the standing guide portion provided in the standing portion, and then guided by the recessed portion, so that the user places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tabletop. By more roughly placing on the holder, the mobile terminal can be precisely positioned in the table holder.

또, 제6실시형태 및 제7실시형태는 모두, 기립부에 휴대단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인 결합고리(319)를 배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위치에 결합고리(319)를 구비하여도 좋다.In the sixth and seventh embodiments, the engaging ring 319, which i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is arranged in the standing por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the engaging ring is located at another position. 319 may be provided.

여기에서, 결합고리(319) 등의 고정수단을 배치하는 구조물을 기립부(308)에서 공용화 하면, 보다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Here, when the structure for arranging the fixing means such as the coupling ring 319 is shared by the standing portion 308, it is possible to further downsize the charging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실시형태 8]Embodiment 8

이하,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8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도 35∼도 36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면 중, 도 46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의미하고 있다.35-36 is a figure which shows 8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the part which has attached | subjected the same code | symbol as FIG. 46 in the figure means the same thing.

도 35, 36에 있어서, 3은 충전장치인 탁상홀더, 412은 탁상홀더(3) 하측 케이스, 413은 탁상홀더(3) 상측 케이스, 410은 탁상홀더(3)의 상면에 설치된 휴대단말(1)의 휴대단말 장착면, 2는 탁상홀더(3)에 설치된 급전용 접지편, 417은 탁상홀더(3)에 형성된 소구멍, 419는 탁상홀더(3)에 설치된 하측 위치결정부(24)에 형성된 소구멍(417)으로부터 돌출하여 후술하는 도 43, 도 44에 표시되는 휴대단말(1)의 측면으로 편이시켜 형성된 결합홈(425)에 결합해서 휴대단말(1)을 유지하는 결합고리, 그리고, 408은 탁상홀더(3)의 일단인 위쪽으로 편이시켜 설치된 기립부, 409는 기립부(408)의 측면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휴대단말(1)의 상측면(422)과 접촉하는 기립부 측면, 426은 기립부(408)에 설치된 기립부측 휴대단말 장착면, 411은 기립부(408)의 기립부측 휴대단말 장착면에 설치된 가이드부이다.35 and 36, 3 is a table holder which is a charging device, 412 is a lower case of the table holder 3, 413 is an upper case of the table holder 3, and 410 is a mobile terminal (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holder (3). (2) is a power supply grounding piece installed in the table holder (3), 417 is a small hole formed in the table holder (3), 419 is formed in the lower positioning section (24) provided in the table holder (3) A coupling ring for holding the mobile terminal 1 by engaging with a coupling groove 425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small hole 417 and shift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shown in FIGS. 43 and 44 described later. Is a standing part provided by shifting upward of one end of the table holder 3, 409 is a standing part side surface which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tanding part 408 a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422 of the mobile terminal 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426 Is a standing part side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provided on the standing part 408, and 411 is a guy installed on the standing part side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408. Debu is.

여기에서, 가이드부(411)는 기립부(408)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가이드부(411)는 기립부(408)의 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기립부(408)에 대하여 편이시켜 배치되어 있다.Here, the guide part 411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tanding part 408, and this guide part 411 is shifted with respect to the standing part 408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hifting direction of the standing part 408. It is arranged.

또, 탁상홀더의 일단에 기립부(408)가 배치되고, 타단에 하측 위치결정부(24)가 배치되어 있다.Further, a standing portion 408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table holder, and a lower positioning portion 24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기능작용을 설명하기 위해서, 가이드부(411)를 생략함과 동시에 기립부(408)를 편이시키지 않고 거의 중앙에 설치한 구성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를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낸다. 또, 도면 중, 도 35, 36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의미하고 있다.Here, in order to explain the functional action of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411 is omitted, and the configuration is provided almost at the center without shifting the standing portion 408. 37 and 38 show charging devices for portable terminals. In addition, in the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FIG. 35, 36 which means the same thing.

이들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낸 가이드부(411)를 생략함과 동시에 기립부(408)를 편이시키지 않고 거의 중앙에 설치한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휴대단말(1)을 놓을 때의 모양을 도 39에 나타낸다.37 and 38, the guide part 411 is omitted, and the shape of the mobile terminal 1 is placed in the charging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almost centered without shifting the standing portion 408. FIG. 39 is shown.

도 39에 있어서, (a)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단말(1)을 가장 오른쪽으로 기울려 놓여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단말(1)을 가장 왼쪽으로 기울려 놓여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n FIG. 39, part (a) shows a cas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inclined to the rightmost side by the user, and part (b) shows a cas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inclined to the leftmost by the user. It is a figure which shows.

(a)(b) 모두, 하측 위치결정부(24)의 치수 L을 길게 함으로써 휴대단말(1)을 놓을 때의 경사상태를 제한할 수는 있지만, 이 치수 L은 충전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짧게 할 요청이 있기 때문에, 이 치수 L을 짧게 한다고 하는 요청을 충족시킨다고 하면 실질적으로 경사상태를 정밀하게 제한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In both (a) and (b), the dimension L of the lower positioning portion 24 can be limited to limit the inclination stat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placed. However, this dimension L is short for miniaturization of the charging device. Since there is a request to be mad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limit the inclined state substantially if the request to shorten this dimension L is satisfied.

또 마찬가지로, 기립부(408)의 치수 M을 길게 함으로써 기립부(408)의 기립부 측면(409)이 휴대단말(1)의 휴대단말 상부측면에 접촉함으로써, 휴대단말(1)을 놓을 때의 경사상태를 제한할 수는 있지만, 이 치수 M은 충전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짧게 할 요청이 있기 때문에, 이 요청을 충족시킨다고 하면 실질적으로 경사상태를 정밀하게 제한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Similarly, when the dimension M of the standing portion 408 is lengthened, the standing portion side surface 409 of the standing portion 408 contacts the upp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 whereby the portable terminal 1 is placed. Although it is possible to limit the inclined state, this dimension M has a request to be shortened for the miniaturization of the charging apparatus, so that satisfying this request makes it difficult to substantially limit the inclined state precisely.

따라서, 도 39의 (a)(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 L 및 치수 M의 길이를 짧게 한다고 하는 요청을 충족시킨 것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휴대단말(1)을 탁상홀더(3)에 놓을 때에는, 상당한 좌우로의 경사가 발생하게 되어, 휴대단말(1)을 탁상홀더(3)상에 위치결정하는 것은 곤란해져 버린다.Therefore, as shown in part (a) and (b) of FIG. 39, when the request for shortening the lengths of the dimensions L and M is satisfied, the user can place the mobile terminal 1 on the table holder 3. At this time, there is considerable inclination to the left and right, and positioning of the mobile terminal 1 on the table holder 3 becomes difficult.

따라서, 정밀하게 탁상홀더 위에 휴대단말을 놓기 위해서는, 하측 위치결정부(24)의 치수 L을 길게 하거나, 기립부(408)의 폭치수 M을 길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Therefore, in order to accurately place the mobile terminal on the table holder, the dimension L of the lower positioning portion 24 must be increased or the width dimension M of the standing portion 408 must be increased.

한편,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경우는, 도 40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1)을 도 39의 것보다도 상당히 기울어져 놓은 경우에 있어서도, 기립부(408) 근방에 설치한 가이드부(411)나 기립부(408)를 편이시켜 배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올바른 장착위치로 자연히 인도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0 (a) (b), even when the user inclines the portable terminal 1 considerably more than that shown in Fig. Since the guide part 411 and the standing part 408 which we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part 408 are shifted and arrange | positioned, it is guided naturally to a correct mounting position, and positioning is performed easily.

즉, 도 40의 (a)부분의 경우에 있어서는, 휴대단말(1)을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두었을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기립부(408)가 오른쪽으로 편이시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39의 (a)부분의 구성과 비교하여 휴대단말(1)은 보다 경사지게 놓여지는 경우가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part (a) of FIG. 40, the mobile terminal 1 is tilted to the right to show a case where the user puts it. However, since the standing portion 408 is shifted to the right, FIG. 39.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of part (a) of FIG. 1, the mobile terminal 1 may be placed more inclined.

그러나, 이 경우에는 기립부(408)의 근방이고, 또한, 기립부(408)의 편이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편이시켜 설치된 가이드부(411)가 휴대단말(1)의 배면에 접촉하게 된다.In this case, however, the guide portion 411 provided near the standing portion 408 and shif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hifting direction of the standing portion 40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

이 때, 가이드부(411)는 휴대단말(1)이 놓이는 탁상홀더의 면보다도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1)은 후술하는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411)와 접촉하고 있는 측이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휴대단말(1)의 자체무게 또는 사용자가 휴대단말(1)을 탁상홀더에 꽉 누르는 동작 등에 의해, 가이드부(411)를 미끄러 떨어뜨려 최종적으로는 거의 경사가 없는 위치까지(후술하는 도 44을 참조) 저절로 위치결정된다.At this time, since the guide portion 411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table holder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placed, the portable terminal 1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411 as shown in FIG. Since the side is lifted up, the guide portion 411 is slid down by the weight of the portable terminal 1 or the user presses the portable terminal 1 against the table holder and finally has almost no inclination. Positioning is by itself (see FIG. 44 to be described later).

또, 도 40의 (b)부분의 경우에 있어서는, 휴대단말(1)을 왼쪽으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두었을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기립부(408)가 오른쪽으로 크게 편이시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립부(408)의 기립부 측면(409)이 휴대단말(1)의 휴대단말 상부측면(422)에 접촉해서 경사량을 규제하게 되고, 도 39의 (b)부분과 비교해 휴대단말(1)은 거의 위치결정 위치에 가까운 상태로 밖에 둘 수 없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art (b) of FIG. 40, the cas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inclined to the left and placed by the user is shown. However, since the standing part 408 is provided with a large shift to the right, A standing portion side surface 409 of the portion 408 contacts the upper side surface 422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1 to regulate the amount of inclin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1 is compared with the portion (b) of FIG. It can only be left near the positioning position.

따라서, 이 장착상태로부터, 휴대단말(1)의 자체무게, 사용자가 휴대단말(1)을 탁상홀더에 꽉 누르는 동작, 또는 후술하는 고정수단에 의한 고정동작 등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거의 경사가 없는 위치까지 저절로 위치결정된다.Accordingly, from this mounting state,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itself is almost inclined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mobile terminal 1 against the table holder or the fixing operation by the fixing means described later. Positioned by itself.

따라서, 본 발명의 것은 상기의 작용 때문에, 특히 탁상홀더(3)의 오른쪽에 가이드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기립부(408)에 관해서도 탁상홀더의 폭에 가까운 정도의 크기의 것을 설치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Therefore, the 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provide a guide part on the right side of the table holder 3, and in particular,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ize close to the width of the table holder with respect to the standing part 408. It can be miniaturized.

또한, 하측 위치결정부의 형상을 작게 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shape of the lower positioning portion.

여기에서, 도 41 내지 도 44를 이용하여, 실시형태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세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 with reference to FIGS. 41-44, the detail of the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of embodiment is demonstrated more concretely.

도 4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보다 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면 중, 도 35 내지 40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의미하고 있다.FIG. 41: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more detail in embodiment, and the part with the same code | symbol as FIG. 35-40 in the figure means the same thing.

도 41에 있어서, 5는 AC어댑터이며, 4는 AC어댑터(5)에 설치된 AC금속단자, 7은 충전장치인 탁상홀더(3)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플러그, 6은 AC어댑터(5)와 접속플러그(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어댑터 코드이다. In Fig. 41, 5 is an AC adapter, 4 is an AC metal terminal provided in the AC adapter 5, 7 is a connection plug connected to a connec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tabletop holder 3 which is a charging device, and 6 is an AC adapter. It is an adapter cord which electrically connects (5) and the connection plug 7.

또,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측면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탁상홀더(3)는 하측 케이스(412)와 상측 케이스(413)를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내부에는, 휴대단말(1)의 충전용 단자(414)가 접촉하는 급전용 접지편(2)이 배치된 기판(415)과, 스프링(416)의 가압력에 의해 상측 케이스(413)의 소구멍(417)으로부터 선단부가 소정량만큼 돌출하도록 핀(418)을 중심으로 피벗지지된 결합고리(419)를 설치하고 있다.4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able holder 3 is form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lower case 412 and the upper case 413, and inside the terminal 414 for charging of the mobile terminal 1 is provided. The pin 418 is centered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small hole 417 of the upper case 413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416 and the substrate 415 on which the feeding grounding piece 2 is placed. The coupling ring 419 pivotally supported is installed.

휴대단말(1)의 충전시에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고리(419)를 휴대단말(1)의 결합홈(425)에 결합시켜, 탁상홀더(3)에 대하여 휴대단말(1)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At the time of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1, as shown in FIG. 42, the coupling ring 419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groove 425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portable terminal 1 with respect to the table holder 3 is used. To be fixed.

여기에서, 탁상홀더(3)에 휴대단말(1)을 장착할 때, 휴대단말(1)의 하측 및/또는 측면측의 틀체가 가이드부(411)나 기립부(408)의 기립부 측면(409)에 의해 가이드되어, 탁상홀더(3)의 휴대단말 장착면(410)위의 위치결정 작용을 한다. 그리고, 휴대단말(1)의 위치결정이 바르게 행하여지면 휴대단말(1)의 결합홈(425)에 탁상홀더(3)의 결합고리가 결합해 휴대단말(1)이 고정되게 된다.He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3, the frame of the lower side and / or th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 is the standing portion side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411 or the standing portion 408. Guided by 409, the positioning function on the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410 of the table holder (3). When the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 is performed correctly, the coupling ring of the table holder 3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425 of the portable terminal 1 to fix the portable terminal 1.

이와 같이 바르게 위치결정된 상태를 도 44에 나타낸다. 도 40의 (a)부분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휴대단말(1)을 두었을 경우의 상태를 도 43에 나타낸다.Thus, the correctly positioned state is shown in FIG. Fig. 43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of part (a) of Fig. 40.

도 43에 있어서, 휴대단말(1)은 그 하측 틀체가 가이드부(411)에 접촉하고, 도 43의 오른쪽에 있어서는 하측 틀체를 휴대단말 장착면(410)에 접촉하게 된다.In FIG. 43, the lower frame of the portable terminal 1 contacts the guide portion 411, and the lower frame of the portable terminal 1 contacts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410 on the right side of FIG. 43.

여기에서, 가이드부(411)는, 휴대단말 장착면(410)보다도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1)은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 휴대단말의 자체무게나 도 43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의 사용자에 의한 압압동작에 의해, 가이드(411)의 대략 경사면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도 44에 나타내는 바른 위치로 자연히 인도되게 된다. 그리고, 도 44의 위치에까지 인도된 휴대단말(1)은, 그 결합홈(425)에 결합고리(419)가 결합해서 고정되게 된다.Here, since the guide part 411 protrudes more tha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410, as shown in FIG. 43, since the portable terminal 1 is inclined state, the weight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or the figure of FIG. By the pressing operation by the user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43, the roughly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411 is slid off and guided naturally to the correct position shown in FIG. Then, the mobile terminal 1 guided to the position of FIG. 44 has a coupling ring 419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425 to be fixed.

[실시형태 9]Embodiment 9

다음에,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45을 이용해서 설명한다.Next,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동 도면중, 도 46, 및 도 35 내지 도 44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의미하고 있다.46, and the same code | symbol as FIG. 35-44 means the same thing.

도 45에 있어서, 휴대단말(1)은, 대략 평면인 휴대단말 장착면(410)에 놓여지는 것으로서, 가이드부(411)는 전술의 실시형태와 달리 기립부(408)의 기립부측 휴대단말 장착면(426)에 설치하지 않고, 직접 휴대단말 장착면(410)에 설치하고 있다.In Fig. 45, the portable terminal 1 is placed on a substantially flat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410, and the guide portion 411 is mounted on the standing portion side of the standing portion 408,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not provided in the surface 426, but is directly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410.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술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이루는 동시에, 보다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achieved, and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an be further miniaturized.

여기에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측 위치결정부(23)을 구비한 것이어도 관계 없지만,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더 한층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이 상측 위치결정부를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lthough 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the upper positioning part 23 as shown in FIG. 46, in order to further downsize 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it is this upper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omit the determination par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것은,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탁상홀더 위에 보다 대충 놓는 것만으로, 휴대단말은 정밀하게 탁상홀더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e user can place the portable terminal more roughly on the table holder,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table holder.

또, 탁상홀더에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상측 위치결정부를 생략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기립부의 폭도 작게 할 수 있는 등, 충전장치의 외형을 현저하게 작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이룬다.Moreover, the upper positioning part which protrudes in the table holder can be abbreviate | omitted, Furthermore, the width | variety of a standing part can also be made small, and the effect of remarkably reducing the external shape of a charging apparatus is achieved.

또한, 휴대단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배치하는 구조물을 기립부에서 공용화할 수 있어, 보다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is arranged can be shared by the standing portion, so that the charging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can be further miniaturized.

또, 휴대단말측에서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장착할 때에 고정수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을 편이시켜 설치하였으므로,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를 소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fixing means is coupled is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side when it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charging device, the charging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ade small.

이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9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는, 상술의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갖가지 변경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1st-9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re made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Of course you can ad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따르면, 탁상홀더에 휴대단말을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급전용 접지편에의 통전을 차단 할 수 있어, 상기 급전용 접지편에 대한 금속편이나 인체의 피부 등의 접촉에 의한 단락이나 화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탁상홀더의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고 소형화도 꾀할 수 있고, 또한 구조의 복잡화를 피해서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가지며, 또한, 상기 효과에 더해 또한, 휴대전화의 배면에 충전전용의 볼록형상부를 특별히 마련할 필요도 없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이룰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attached to the table holder, the energization of the grounding member for power supply can be cut off, and the The occurrence of short circuits or burns due to contact with human skin can be prevented, while miniaturization can be achieved without hindering the design of the table holder, an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reliability can be avoided, thereby avoiding the complicated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xcellent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x shape for charge only on the back of the mobile telephone.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놓을 때에, 안테나 및/또는 안테나 설치부가 기립부에 설치된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탁상홀더 위에 대충 놓는 것만으로, 휴대단말은 정밀하게 탁상홀더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laces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harging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is guided by the guide portion provided in the standing portion, so that the user is guided by the guide portion provided in the standing portion. Just by roughly placing on the table holder, the mobile terminal can be precisely positioned on the table hold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일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일례의 측단면도,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일례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부(스트랩 설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x portion (strap attaching port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in on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일례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을 볼록형상부(스트랩 설치부)를 이용하여 안정적 자세를 유지하면서 탁상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n on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table while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using a convex portion (strap mounting por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다른 예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in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로 채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의 스트랩 설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x strap attaching portion formed on the back side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employ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로 채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을 스트랩 설치부에 의해 안정적 자세로 유지하여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obile terminal adoptable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ld in a stable posture by a strap mounting por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측면단면도,10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로 채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의 잭 설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x jack attaching port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employ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로 채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을 잭 설치부에 의해 안정적 자세로 유지하여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adoptabl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ld in a stable posture by the jack mounting por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측면단면도,1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단면도,15 is a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로 채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의 카메라 설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x camera attachment port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employe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로 채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을 카메라 설치부에 의해 안정적 자세로 유지하여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a portable terminal adoptable in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ld in a stable posture by a camera mounting por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측면단면도,20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상면도,22 is a top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대상인 충전장치의 사시도,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device as a comparison object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대상인 충전장치의 상면도,24 is a top view of a charging device as a comparison object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대상인 충전장치의 가이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25 is a diagram showing a guide state of a charging device as a comparison object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충전장치의 가이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26 is a diagram showing a guide state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충전장치의 가이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27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the guide state of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details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는, 본 발명의 제6 및 제7실시형태의 충전장치로 채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을 나타내는 사시도,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employed in the charging apparatus of the sixth and sev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본 발명의 제6 및 제7실시형태의 충전장치로 채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을 나타내는 측면도,30 is a sid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employed in the charging apparatus of the sixth and sev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측면단면도,3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충전장치의 가이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32 is a diagram showing a guide state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의 사시도,3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의 충전장치의 가이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34 is a diagram showing a guide state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5는,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사시도,3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상면도,36 is a top view of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대상인 충전장치의 사시도,3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device as a comparison object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대상인 충전장치의 상면도,38 is a top view of a charging device as a comparison object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9는,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대상인 충전장치의 가이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39 is a diagram showing a guide state of a charging device as a comparison object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0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충전장치의 가이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40 is a diagram showing a guide state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1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4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details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2는,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4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3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가이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43 is a view showing the guide state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4는,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가이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44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the guide state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는,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45 is a perspective view of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6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exampl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 : 휴대단말 2 : 급전용 접지편1: Mobile terminal 2: Grounding piece for power supply

3 : 탁상홀더 4 : AC금속단자3: table holder 4: AC metal terminal

5 : AC어댑터 6 : 어댑터 코드5: AC adapter 6: adapter cord

7 : 접속플러그 23 : 상측 위치결정부7: connection plug 23: upper positioning part

24 : 하측 위치결정부 108 : 스트랩 설치부(볼록형상부)24: lower positioning portion 108: strap mounting portion (convex shape)

109 : 오목부 110 : 휴대단말 장착면109: recess 110: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111 : 스위치 114 : 충전용 단자111 switch 114 charging terminal

122 : 볼록형상부 208 : 스트랩 설치부122: convex portion 208: strap mounting portion

209 : 오목부 210 : 휴대단말 장착면209: recess 210: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211 : 잭 설치부 212 : 하측 케이스211: jack mounting portion 212: lower case

213 : 상측 케이스 214 : 충전용 단자213: upper case 214: charging terminal

215 : 기판 216 : 스프링215: substrate 216: spring

217 : 소구멍 218 : 핀217: small hole 218: pin

219 : 결합고리 220 : 안테나219: coupling ring 220: antenna

221 : 안테나 설치부 222 : 카메라 설치부221: antenna mounting portion 222: camera mounting portion

225 : 결합홈 226 : 급전용 접지편 유지부225: coupling groove 226: grounding piece holding unit for power supply

308 : 기립부 309 : 오목부308: standing portion 309: recessed portion

310 : 휴대단말 장착면 311 : 가이드부310: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311: guide part

312 : 하측 케이스 313 : 상측 케이스312 lower case 313 upper case

314 : 충전용 단자 315 : 기판314: charging terminal 315: substrate

316 : 스프링 317 : 소구멍316: spring 317: small hole

318 : 핀 319 : 결합고리318: pin 319: coupling ring

320 : 안테나 321 : 안테나 설치부320: antenna 321: antenna mounting portion

322 : 기립 가이드부 325 : 결합홈322: standing guide portion 325: coupling groove

326 : 급전용 접지편 유지부 408 : 기립부326: grounding piece holding unit for power supply 408: standing part

409 : 기립부 측면 410 : 휴대단말 장착면409: standing side 410: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411 : 가이드부 412 : 하측 케이스411: guide portion 412: lower case

413 : 상측 케이스 414 : 충전용 단자413: upper case 414: charging terminal

415 : 기판 416 : 스프링415: substrate 416: spring

417 : 소구멍 418 : 핀417: small hole 418: pin

419 : 결합고리 420 : 안테나419: binding ring 420: antenna

421 : 안테나 설치부 422 : 휴대단말 상부측면421: antenna installation unit 422: upp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425 : 결합홈 426 : 기립부측 휴대단말 장착면425: coupling groove 426: mounting surface side mobile terminal mounting surface

Claims (13)

휴대단말의 충전용 단자가 접촉되는 급전용 접지편을 갖고 또한 휴대단말을 장착할 수 있는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A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grounding holder for attaching a portable terminal to a power supply grounding piece to whic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acts, 휴대단말의 배면에 형성된 볼록형상부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탁상홀더의 휴대단말 장착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볼록형상부의 삽입시에 급전용 접지편으로의 통전을 ON으로 하고 또한 상기 볼록형상부의 비삽입시에 급전용 접지편으로의 통전을 OFF로 하는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The concave portion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table holder, and the energization of the power supply grounding piece is turned ON when the convex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A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switch for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grounding portion for power supply is provided when the convex portion is not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탁상장착시에 안정적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볼록형상부를 그 배면에 형성된 것으로 겸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x portion for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is also used as the rea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볼록형상부가 스트랩 설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vex portion is a strap installation portion. 휴대단말을 장착할 수 있는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In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 holder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탁상홀더의 휴대단말 장착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휴대단말을 상기 휴대단말 장착면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형성된 대략 볼록형상의 스트랩 설치부를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A recess is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table holder,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positioning of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by guiding the substantially convex strap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recess.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휴대단말을 장착할 수 있는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In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 holder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탁상홀더의 휴대단말 장착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휴대단말을 상기 휴대단말 장착면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형성된 대략 볼록형상의 안테나 설치부를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A recess is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table holder,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erformed by guiding the substantially convex antenna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recess.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휴대단말을 장착할 수 있는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In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 holder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탁상홀더의 휴대단말 장착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휴대단말을 상기 휴대단말 장착면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형성된 대략 볼록형상의 잭 설치부를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A recess is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table holder,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positioning of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by guiding the substantially convex jack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recess.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휴대단말을 장착할 수 있는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In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 holder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탁상홀더의 휴대단말 장착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휴대단말을 상기 휴대단말 장착면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형성된 대략 볼록형상의 카메라 설치부를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A recess is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table holder,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positioning of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by guiding the substantially convex camera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recess.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휴대단말을 장착할 수 있는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In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 holder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탁상홀더의 일단에 설치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에 설치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A stand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table holder and a guide portion provided at the standing portion,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설치된 안테나 설치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A portable terminal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erformed by guiding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guide sec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제8항에 있어서, 탁상홀더의 휴대단말 장착면에 형성한 오목부를 구비하고,The recess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recess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surface of the table holder.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설치된 안테나 설치부를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A portable terminal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erformed by guiding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guide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제9항에 있어서, 탁상홀더의 상기 일단에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립부와 병설하여 설치한 기립 가이드부를 구비하고,The stand-up guide portion according to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standing guide portion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standing portion with the concav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t one end of the table holder.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에 설치된 안테나 설치부를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기립 가이드부로 가이드한 후에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the portable terminal is positioned by guiding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guide portion or the standing guide portion and guided by the concave portion. Device. 휴대단말을 장착할 수 있는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있어서,In th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 holder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탁상홀더의 일단에서 편이시켜 설치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 근방에 설치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It is provided with the standing part which shifted from one end of the table holder, and the guide part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said standing part,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을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A portable terminal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ositioning a portable terminal by guiding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guide uni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a table holder.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에 휴대단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The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wherein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in the standing portion. 휴대단말을 장착할 수 있는 탁상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로서, 탁상홀더의 일단에서 편이시켜 설치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 근방에 설치한 가이드부와, 상기 기립부에 설치된 휴대단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휴대단말을 탁상홀더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을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가이드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결정과 함께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휴대단말의 고정을 행하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에 사용되는 휴대단말로서,A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table holder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tanding portion provided by shifting from one end of the table holder, a guide portion installed near the standing portion, and a portable device installed in the standing portion.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erminal,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holder, the mobile terminal is guided by the guide unit to fix the mobile terminal by positioning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positioning means. As a mobile terminal used in the charging device for 상기 고정수단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편이시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by shifting the engaging portion for coupling the fixing means.
KR10-2002-0043484A 2001-07-30 2002-07-24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KR1004742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29516A JP3790987B2 (en) 2001-07-30 2001-07-30 Wireless phone charger
JPJP-P-2001-00229516 2001-07-30
JPJP-P-2001-00390236 2001-12-21
JP2001390234A JP2003189482A (en) 2001-12-21 2001-12-21 Portable terminal charger
JPJP-P-2001-00390234 2001-12-21
JP2001390237A JP3762295B2 (en) 2001-12-21 2001-12-21 Charger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JP2001390236A JP2003189483A (en) 2001-12-21 2001-12-21 Portable terminal charger
JPJP-P-2001-00390237 2001-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619A KR20030011619A (en) 2003-02-11
KR100474212B1 true KR100474212B1 (en) 2005-03-10

Family

ID=2748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484A KR100474212B1 (en) 2001-07-30 2002-07-24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74212B1 (en)
CN (1) CN1210856C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535B1 (en) 2008-01-23 2010-07-08 크레신 주식회사 Charg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871894U (en) * 2013-10-12 2014-10-08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Charger and charging system
CN109560580A (en) * 2017-09-27 2019-04-02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A kind of charging pile and control flow charging assembly of control flow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208U (en)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Fixing device of mobile phone char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208U (en)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Fixing device of mobile phone char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535B1 (en) 2008-01-23 2010-07-08 크레신 주식회사 Charg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0717A (en) 2003-03-05
CN1210856C (en) 2005-07-13
KR20030011619A (en)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30182B2 (en) Battery-charging base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US20190326767A1 (en)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US7713075B2 (en) Protrudable connector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US8282054B2 (en)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089178A1 (en) Cordless telephone set
KR100474212B1 (en)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US7747009B2 (en) Retaining device for mobile user devices
KR100735247B1 (en) Self-cradl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40113853A (en) Terminal case
GB2377825A (en) Device with expansion adaprot slotted into battery
JP3762295B2 (en) Charger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KR100502789B1 (en) Charging apparatus for radio telephone
JP3009875B1 (en) Charger for wireless telephone
JP2000092171A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EP2278669A2 (en) Power supply adapter
JP3762126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7068315A (en) Charging crad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1076510B1 (en) Mobile terminal
JP4457053B2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can be installed with SIM
JP2003189483A (en) Portable terminal charger
KR100640494B1 (en) Single step-type key, step-type key assembly and radiotelephone with the step-type key assembly
JP2003047164A (en) Battery charger for wireless telephone set
KR20030037429A (en) Interface connector unit for mobile phone
JP2003189482A (en) Portable terminal charger
KR100617738B1 (en) Cordless terminal device having a charger for se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