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787B1 - sliding type deck apparatus for constructer of vertical tunnel - Google Patents

sliding type deck apparatus for constructer of vertical tu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787B1
KR100473787B1 KR10-2004-0000405A KR20040000405A KR100473787B1 KR 100473787 B1 KR100473787 B1 KR 100473787B1 KR 20040000405 A KR20040000405 A KR 20040000405A KR 100473787 B1 KR100473787 B1 KR 100473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tunnel
pair
vertical
deck
horizontal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4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52518A (en
Inventor
김옥겸
Original Assignee
우원개발 주식회사
김옥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원개발 주식회사, 김옥겸 filed Critical 우원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787B1/en
Publication of KR2004005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78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구 가장자리를 사각으로 테두리하는 네 개의 가로빔(202)을 포함하는 철골구조체(150)가 지상으로 축조되고 상기 철골구조체(150)에 설치된 윈치로부터 인출된 복수개의 주행와이어(132)에 의해 상기 입구로부터 지중으로 인양되는 작업대(140)를 통해서 각종 필요물품이 반입/반출되는 수직터널(T) 시공의 전(全) 과정에 있어 상기 수직터널(T) 입구로 설치되는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200)로서, 상기 작업대(140)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정의하며 상기 네 개의 가로빔(202) 중 서로 대면하는 두 개의 가로빔(202)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평행한 작업로(210)와; 상기 한 쌍의 작업로(210) 각각의 마주보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한 쌍의 평행한 가이드레일(240)과; 상기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네 개 이상이 롤러(232)를 각각 구비하여 서로 대면하는 일 가장자리가 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수직터널(T) 입구를 여닫는 한 쌍의 갑판(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frame structure 150 including four horizontal beams 202 bordering the edge of the inlet is constructed on the ground, and the plurality of traveling wires 132 drawn from the winch installed in the steel frame structure 150.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in the entire process of the vertical tunnel (T) construction that the various necessary goods are brought in / out through the work platform 140 is lifted from the inlet to the ground by A movable deck device 200 for defining a pair of openings through which the work bench 140 can pass and installed along a inner edge of two horizontal beams 202 facing each other among the four horizontal beams 202. Parallel working furnace 210; A pair of parallel guide rails 240 extending along opposite inner edges of each of the pair of working furnaces 210; At least four or more sliding along the guide rail 240 is provided with a roller 232, each of the pair of deck 230 to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vertical tunnel (T) as one edge facing each other closer or closer It provides a mobile deck device for the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comprising a.

Description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sliding type deck apparatus for constructer of vertical tunnel} Sliding type deck apparatus for constructer of vertical tunnel}

본 발명은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수직터널의 입구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동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터널의 굴착에서부터 시공완료에 이르기까지 인력 및 장비를 비롯한 각종 필요물품과 토사 등의 폐자재를 윈치시스템으로 승하역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직터널 시공용 이동식 갑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ck device for the construction of a vertical tunnel, in more detail is installed to be movable to open and close at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various necessary articles including manpower and equipment from the excavation of the vertical tunnel to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ck device for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which enables to load and unload waste materials such as soil and soil to the winch system.

일반적으로 지하도수로나 지하갱도와 같은 수평터널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작업구 또는 환기시설 등을 위한 수직터널을 굴착하며, 이러한 수직터널의 굴착에서부터 시공완료에 이르는 전(全) 기간동안 지상으로는 수직터널의 입구를 두르는 입방체의 철골구조체가 세워진다. 그리고 이 철골구조체에는 윈치(winch)가 구비되어 수직터널의 시공을 위한 인력과 장비를 포함하는 모든 필요물품과 토사 등의 폐자재를 반입/반출한다.In general, in order to construct horizontal tunnels such as underground waterways or underground tunnels, excavate vertical tunnels for work areas or ventilation facilities, and vertical tunnels to the ground for the entire period from the excavation of such vertical tunnels to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A steel structure is built around the entrance of the cube. And the steel structure is equipped with a winch (winch) to import / export all the necessary goods including the manpower and equipmen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tunnel and the earth and sand.

한편, 지중(地中)에 굴착된 수직터널의 원지반을 보호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통상 수직터널 내면에는 소정두께의 콘크리트 복공벽을 타설하는데, 기존에는 수직터널 일부분에 거푸집을 조립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하고, 거푸집을 해체하여 다음 작업위치로 재조립한 후 또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시공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tect and stabilize the original ground of vertical tunnels excavated in the ground, concrete hollow walls are laid on the inner surface of vertical tunnels.In the past, concrete is installed after assembling formwork on part of vertical tunnels. It was then hardened, and the formwork was dismantled and reassembled to the next working position. Then, the work of pouring and curing concrete was repeated.

그러나 수직터널 내부로 거푸집의 존치 및 이의 조립과 분해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한 관계로 작업이 매우 까다로운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굴착된 수직터널 내에서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추락하여 재해를 입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났고 따라서 현재에는 수직터널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상승 이동하면서 복공벽을 연속 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슬립폼(slip form)이 이용되고 있다.However,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space for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formwork inside the vertical tunnel, the work is very inconvenient. Especially, the worker who performs the aerial work in the excavated vertical tunnel falls down and In many cases, slip forms have been used, which allow continuous construction of the perforated wall while sequentially moving up and down the vertical tunnel.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수직터널(T) 그리고 이의 내면으로 복공벽(2)을 시공하기 위한 슬립폼(10)과, 상기 슬립폼(10)의 설치 및 해체와 승강을 비롯하여 수직터널(T) 시공의 전 작업과정에서 인력 및 장비를 포함하는 각종 필요물품과 토사 등의 폐자재를 반입/반출하는 윈치시스템(30) 일부를 나타낸 개략 구조도이다.Attached Figure 1 is a general vertical tunnel (T) and the slip foam 10 for constructing the perforated wall (2) to its inner surface, and the vertical tunnel (T), including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and lifting of the slip foam (10) It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which shows a part of the winch system 30 which imports / exports the various necessary goods including a manpower and equipment, and waste materials, etc. in the whole work of construction.

먼저 수직터널(T) 내의 슬립폼(10)은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고 있어 내부로 사람 및 장비를 동원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하단부 외측둘레를 따라서 수직터널(T) 내면과의 사이 간격으로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정의하는 성형틀(18)이 구비되어 있다. First, the slip foam 10 in the vertical tunnel T has an open shap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provide a working space where the work can be performed by mobilizing people and equipment inside, and the vertical tunnel T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part. ) Is provided with a mold 18 defining a concrete pouring space at an interval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또한 슬립폼(10)의 개방된 상면으로는 콘크리트 투입호퍼(20)가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연장된 콘크리트 이송관(22)이 측면을 관통하여 성형틀(18)과 수직터널(T) 내면 사이로 말단을 노출시키고 있는 바, 후술하는 윈치시스템(30)에 의해 투입호퍼(20)로 공급된 콘크리트가 이송관(22)을 통해서 성형틀(18)과 수직터널(T) 내면 사이로 토출 및 타설되어 순차적으로 복공벽(2)을 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crete input hopper 20 is exposed to the open top surface of the slip foam 10, and the concrete transfer pipe 22 extending therefrom passes through the side and is formed between the forming mold 1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unnel T. Exposed to the end, the concrete supplied to the input hopper 20 by the winch system 3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charged and poured through the transfer pipe 22 between the forming mold 1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unnel (T). In order to construct the perforated wall (2) sequentially.

그리고 수직터널(T)의 가장자리로는 슬립폼(10)과의 사이공간을 따라 다수의 잭로드(4)가 직립 설치되며, 슬립폼(10)의 외측으로는 상기 잭로드(4)와 각각 협동하는 다수의 요오크장치(16)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잭로드(4)는 필요에 따라 연장 결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jack rods 4 are installed upright along the space between the slip foams 10 at the edge of the vertical tunnel T, and the jack rods 4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lip foams 10. A plurality of cooperative yoke devices 16 are provided. At this time, each jack rod (4) can be extended coupling as necessary.

한편, 통상의 수직터널(T)에는 상기한 슬립폼(10)의 설치 및 해체와 승강을 비롯한 장비와 인력을 포함하는 각종 필요물품 그리고 토사 등의 폐자재를 반입/반출시킬 수 있도록 윈치시스템(30)이 구비되는데, 이는 수직터널(T) 입구 가장자리를 두르는 입방체의 철골구조체에 고정되는 윈치(미도시)와, 이로부터 늘어뜨려진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주행와이어(32)에 매달린 상태로 수직터널(T) 내부로 승강되는 작업대(4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normal vertical tunnel (T), the winch system for carrying in / out of the necessary materials including equipment and manpower, including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and lifting of the slip foam 10, and waste materials such as earth and sand ( 30), which is a winch (not shown) fixed to the steel structure of the cube surrounding the inlet edge of the vertical tunnel (T), and the vertical tunnel in the state suspended from at least three running wires 32 hanging therefrom (T) includes a work platform 40 to be elevated inside.

이때 작업대(40)는 상층의 주작업대(42)와 필요시에 이의 하단으로 평행하게 결합되는 하층의 보조작업대(44)를 포함하며, 이의 하단으로는 콘크리트를 배출하는 콘크리트 토출호퍼(46)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ork bench 40 includes a main work table 42 of the upper floor and an auxiliary work bench 44 of the lower floor which is coupled in parallel to the lower end thereof if necessary, and a concrete discharge hopper 46 for discharging concret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reof. It may be provided.

이에 수직터널(T) 상부의 지상에서 작업대(40)로 인력과 장비를 포함하는 각종 필요물품을 실은 후 주행와이어(32)를 하향 연장함으로서 수직터널(T) 내로 반입하고, 이와 반대로 수직터널(T) 내의 폐자재 등을 실어 수직터널(T)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콘크리트는 작업대(40)의 토출호퍼(46)로부터 슬립폼(10)의 투입호퍼(2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after loading various necessary items including manpower and equipment from the ground above the vertical tunnel (T) to the work bench 40, the traveling wire 32 is extended downward and brought into the vertical tunnel T, and on the contrary, the vertical tunnel ( Waste materials in T) can be loaded and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tunnel T. In this case, the concrete may be directly transferred from the discharge hopper 46 of the work table 40 to the input hopper 20 of the slip foam 10.

한편, 상기한 일반적인 윈치시스템(30)을 이용한 수직터널(T)의 시공에 있어서 작업대(40)를 이용하여 반입/반출 전달되는 모든 필요물품은 수직터널(T) 입구 근처로 임시 승하역된 후 작업대(40)로 적재되거나 외부로 운반되는데, 지상의 수직터널(T) 입구 가장자리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윈치를 포함하는 철골구조체가 둘러 축조되므로 승하역을 위한 장소적 제약이 크고, 특히 이들 필요물품을 작업대(40)로 싣거나 부리는 과정에서 주행와이어(32)에 매달려 지지됨에 따라 충분히 고정되지 못한 작업대(40)가 흔들리는 등 작업여건이 불안정한 단점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tunnel (T) using the general winch system 30 described above, all the necessary goods to be carried in and out using the work table 40 is temporarily loaded and unloaded near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Loaded to the workbench 40 or transported to the outside, the above-mentioned vertical tunnel (T) entrance edge of the ground is constructed around the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winch as mentioned earlier, so the place restriction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 large, especially those required The work conditions are unstable, such as the work table 40 that is not sufficiently fixed as the article is suspended and supported by the running wire 32 in the process of loading or carrying the work on the work table 40.

이에 통상 수직터널(T) 입구를 막는 임시갑판장치를 설치하여 작업대(40)로 각종 필요자재를 부리고 싣는 승하역 작업에 편의를 꾀하는데, 기존의 임시갑판장치는 수직터널(T) 입구로 다수의 빔을 가로 세로로 얼기설기 교차시켜 구성하여 왔다.The temporary deck device to block the entrance to the vertical tunnel (T) is usually installed to facilitate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of loading and loading various necessary materials to the work table 40. The existing temporary deck device is a number of vertical tunnel (T) entrance. Has been constructed by intersecting the beam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따라서 윈치가 주행와이어(32)를 최대로 단축하여 수직터널(T) 입구 상방으로 작업대(40)를 끌어올린 후 그 하단의 수직터널(T) 입구에 다수의 빔을 교차시켜 임시갑판장치를 설치하고, 이어서 주행와이어(32)를 내려 임시갑판장치 상에 작업대(40)를 안착시킨 후 각종 필요물품을 임시갑판장치로부터 작업대(40)로 옮긴다. 다음으로 다시 주행와이어(32)를 끌어당긴 후 임시갑판장치를 철거함으로서 수직터널(T) 입구를 개방하고, 이어서 주행와이어(32)를 내려 수직터널 내부로 반입시킨다. Therefore, the winch shortens the traveling wire 32 to the maximum, pulls up the work bench 40 above the vertical tunnel T entrance, and then installs a temporary deck device by crossing a plurality of beams at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at the bottom thereof. Subsequently, the traveling wire 32 is lowered and the work table 40 is seated on the temporary deck apparatus, and then various necessary items are transferred from the temporary deck apparatus to the work bench 40. Next, by pulling the running wire 32 again,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is removed by removing the temporary deck apparatus, and then the driving wire 32 is lowered and brought into the vertical tunnel.

그리고 수직터널(T) 내부의 폐자재 등은 이의 반대의 과정을 통해서 외부로 반출된다.And waste materials in the vertical tunnel (T), etc. are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verse process.

그러나 상술한 과정은 수직터널(T)의 굴착을 위한 사람 및 장비의 반입/반출은 물론 토사 등의 폐자재 배출과 더불어 슬립폼(10)의 설치 및 해제, 상기 슬립폼(10)을 이용한 복공벽(2)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반입시키는 등 수직터널(T)의 시공의 전 과정에서 수 차례 반복되는 바, 자재의 승하역을 위한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는 임시갑판장치를 매번 설치 및 철거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이에 따라 수율을 크게 저하시키며 작업공정을 복잡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carried out using the slip foam (10), installation and release of the slip foam (10), with the discharge of waste materials such as earth and sand, as well as the import / export of people and equipment for the excavation of the vertical tunnel (T).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temporary deck system, which is only a temporary means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material, is repeated several times throughout the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tunnel (T), such as bringing concrete for construction of the empty wall (2). This is very cumbersome, thus greatly reducing yields and complicating the work process.

더불어 임시갑판장치의 설치 및 분해 과정에서 작업자가 수직터널(T) 내부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는 물론 자재 및 공구 등이 떨어져 슬립폼(10)의 작업자를 해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나며, 특히 수직터널(T) 입구 부근으로 설치된 철골구조체에 의해 자재를 운반하는 차량이 직접 들어오기 힘들어 결국 철골구조물 외부에서부터 각종 자재를 임시갑판으로 직접 운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temporary deck apparatus,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down into the vertical tunnel (T), as well as materials and tools fall, often hurt the operator of the slip foam (10). The vehicle carrying material by the steel structure installed near the entrance of the tunnel (T) is difficult to enter directly,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various materials must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temporary deck from the outside of the steel structure.

이에 보다 효과적이고 편리한 수직터널(T) 시공을 위한 갑판장치가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deck device for more effective and convenient vertical tunnel (T) construction is urgently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윈치시스템의 작업대로 폐자재를 포함하는 각종 필요물품을 부리고 싣는 하역작업에 편의를 주는 수직터널 시공용 갑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deck device for convenience in loading and unloading the various necessary items including the waste material as a work of the winch system.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수직터널 시공용 갑판장치는 보다 안전한 하역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외부에서 차량등으로 운반되는 각종 필요자재를 보다 편리하게 수직터널 입구로 옮길 수 있고, 특히 한번 완성되면 수직터널의 시공완료에 이르기까지 별도의 조립 및 해체의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수직터널 시공용 갑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deck device for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afer unloading space, as well as to move various necessary materials carried to the vehicle from the outside to the vertical tunnel entrance more conveniently, especially once completed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tunne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deck device that can be used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separate assembly and disassembly until comple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구 가장자리를 사각으로 테두리하는 네 개의 가로빔을 포함하는 철골구조체가 지상으로 축조되고 상기 철골구조체에 설치된 윈치로부터 인출된 복수개의 주행와이어에 의해 상기 입구로부터 지중으로 인양되는 작업대를 통해서 각종 필요물품이 반입/반출되는 수직터널 시공의 전(全) 과정에 있어 상기 수직터널 입구로 설치되는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로서, 상기 작업대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정의하며 상기 네 개의 가로빔 중 서로 대면하는 두 개의 가로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평행한 작업로와; 상기 한 쌍의 작업로 각각의 마주보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한 쌍의 평행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네 개 이상이 롤러를 각각 구비하여 서로 대면하는 일 가장자리가 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수직터널 입구를 여닫는 한 쌍의 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frame structure including four horizontal beams bordering an entrance edge in a square, and is constructed from the ground by a plurality of running wires drawn from a winch installed in the steel frame structure. As a mobile decking device for the construction of a vertical tunnel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vertical tunnel in the whole process of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in which various necessary items are brought in and taken out through the platform lifted into the ground, the platform can pass. A pair of parallel work paths defining an opening and installed along two inner beam inner edges of the four beams facing each other; A pair of parallel guide rails extending along each opposing inner edge in said pair of operations; At least four or more sliding along the guide rail is provided with a roller for each vertical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deck opening and closing the vertical tunnel inlet as the edge facing each other closer or closer Provide a mobile decking device.

이때 상기 철골구조체는 상기 네 개의 가로빔으로부터 각각 상방 직립된 복수개의 세로빔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상기 작업로는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로빔 및 이로부터 상방 직립된 세로빔의 교차점에서부터 해당 가로빔에 수직하게 상기 수직터널 입구를 향해 측방 돌출된 다수의 고정철물과; 상기 고정철물 말단 및 이와 대응되는 해당 세로빔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철물과; 상기 두 개의 가로빔 각각의 고정철물 상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teel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 beams respectively upright from the four horizontal beams, in this case the two horizontal beams facing each other and the vertical beams vertically up therefrom A plurality of fixed hardware projecting laterally toward the vertical tunnel inlet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beam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beams; A plurality of reinforcing irons connecting the ends of the fixed iron and the corresponding vertical beams diagonal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bottom plate for connecting the top of the fixing hardware of each of the two horizontal beams.

또한 상기 각각의 갑판의 타 가장자리 및 이와 대면되는 한 쌍의 가로빔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갑판이 상기 수직터널 입구를 여닫을 경우에 주름을 형성하며 접히거나 펼쳐지는 두 조의 안전망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other edge of each deck and a pair of transverse beams facing each other, the pair of decks further includes a pair of safety nets that are folded or unfolded to form a corruga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vertical tunnel entrance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갑판의 최대 개폐상태를 제한하도록 상기 각각의 롤러 중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을 가로막는 돌출스토퍼가 더욱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pair of guide rails may further include protrusion stoppers for blocking at least two or more selected ones of the rollers so as to limit the maximum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pair of deck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터널(T)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200)가 구비된 수직터널(T)에 대한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슬립폼(110)과 윈치시스템(130) 및 수직터널(T) 입구의 지상으로 설치되는 철골구조체(150) 일부를 함께 도시하였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rtical tunnel (T) equipped with a movable deck device 200 for the vertical tunnel (T)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p foam 110 and the winch system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130) and a portion of the steel structure 150 is installed to the ground of the vertical tunnel (T) inlet together.

먼저 철골구조체(150)는 수직터널(T)의 굴착으로부터 시공완료에 이르는 전 과정 동안 수직터널(T) 입구를 테두리하도록 축조되는 것으로, 해당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수직터널(T) 입구를 사각으로 테두리하는 네 개의 가로빔을 포함한다.First, the steel structure 150 is constructed to rim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during the entire process from the excavation of the vertical tunnel (T) to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but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It contains four horizontal beams bordered by a square.

다음으로 수직터널(T) 내부로는 승강 가능한 슬립폼(110)이 구비되는 바, 이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고 있어 내부로 사람 및 장비가 투입되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수직터널(T) 내면과의 사이 간격으로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정의하도록 하단부 외측둘레를 따라 성형틀(118)이 둘러 설치되어 있다.Next, the vertical tunnel (T) is provided with a liftable slip foam 110, which has an open shape of the upper surface to provide a working space where people and equipment can be put into the work. In order to define a concrete pouring space at interval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unnel (T), a molding frame 118 is install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frame.

그리고 슬립폼(110)의 개방된 상면으로는 콘크리트 투입호퍼(120)가 노출되어 있고 이로부터 사선으로 하향 연장되어 말단이 슬립폼(110) 측면을 관통한 후 성형틀(118)과 수직터널(T) 내면 사이를 향하는 이송관(122)이 구비되어 있다. And the concrete input hopper 120 is expos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lip foam 110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diagonal line so that the end penetrates through the side of the slip foam 110, the forming mold 118 and the vertical tunnel ( T) The transfer pipe 122 which faces between inner surfaces is provided.

또한 슬립폼(110)과 수직터널(T) 내면 사이로는 다수의 잭로드(104)가 직립 설치되어 있고, 슬립폼(110)의 외면에는 이들 각각의 잭로드(104)와 협동하여 슬립폼(11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요오크장치(116)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jack rods 104 are installed upright between the slip foam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unnel (T), the outer surface of the slip foam 110 in cooperation with the respective jack rod 104, the slip foam ( A plurality of yoke devices 116 are provided to guide the lifting of the 110.

다음으로 수직터널(T)의 시공의 전 과정에서 인력과 장비를 포함하는 모든 필요물품을 반입/반출시키기 위한 윈치시스템(130)이 구비되는데, 구체적으로 수직터널(T)의 굴착을 위한 사람 및 장비와, 토사 등의 폐자재와, 슬립폼(110)의 설치 및 해제를 위한 자재와, 상기 슬립폼(100)을 이용한 복공벽(102) 시공에 필요한 콘크리트 등을 반입/반출시킬 수 있고, 더불어 슬립폼(110)의 승강에도 기여한다.Next, a winch system 130 is provided for carrying in / out of all necessary items including manpower and equipment in the whole process of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tunnel T. Specifically, a person for excavation of the vertical tunnel T and Equipment, waste materials such as earth and sand, materials for installing and releasing slip foam 110, and concrete required for construction of the perforated wall 102 using the slip foam 100 can be brought in and out, In addition, it contributes to the elevation of the slip foam (110).

이러한 윈치시스템(130)은 수직터널(T) 입구의 지상에 축조된 철골구조체(150)에 고정 설치된 윈치(미도시)와, 이로부터 늘어뜨려진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주행와이어(132)와, 이들 주행와이어(132)에 인양되어 수직터널(T) 내부에서 수평을 유지하며 승강되는 작업대(140)를 포함하는 바, 상기 작업대(140)는 상층의 주작업대(142) 그리고 하층의 보조작업대(144)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주작업대(142)로부터 보조작업대(144)를 관통하여 갈수록 직경이 가늘어지는 토출호퍼(146)가 구비될 수 있다.The winch system 130 is a winch (not shown) fixed to the steel structure structure 150 is built on the ground of the inlet of the vertical tunnel (T), at least three running wires 132 hanging therefrom, and these The worktable 140 is lifted by the traveling wire 132 to maintain a horizontal level in the vertical tunnel T, and includes a workbench 140. The workbench 140 includes an upper workbench 142 and a lower workbench 144. ) May be optionally included, and the discharge hopper 146 may be provided to have a diameter thinner from the main working table 142 to pass through the auxiliary working table 144.

이에 지상의 수직터널(T) 상부에서 윈치시스템(130)의 작업대(140)로 각종 필요물품을 실은 후 주행와이어(132)가 하향 연장되어 수직터널(T) 내로 반입시킬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수직터널 내의 폐자재 등을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는 특히 작업대(140)의 토출호퍼(146)로부터 슬립폼(110)의 투입호퍼(120)로 직접 전달될 수 있고, 이러한 콘크리트를 이송관(122) 말단으로 토출시켜 성형틀(118)과 수직터널(T) 내면 사이로 복공벽(102)을 순차적 타설 시공하게 된다.Accordingly, after loading various necessary items from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tunnel T to the work bench 140 of the winch system 130, the traveling wire 132 may extend downward and be carried into the vertical tunnel T, and vice versa. Waste materials and the like in the tunnel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concrete may be directly transferred from the discharge hopper 146 of the work bench 140 to the input hopper 120 of the slip foam 110, and the concrete is discharg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pipe 122 to form the mold 118. Between the vertical tunnel (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erforated wall 102 is sequentially placed.

한편, 이상의 설명은 일반적인 경우와 대략 동일 또는 유사하다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윈치시스템(130)을 이용하여 수직터널(T)로 반입/반출되는 모든 종류의 필요물품을 승하역시키기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에 대하서 상기한 도 2와 도 3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the above description may be about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vable deck for loading and unloading all kinds of necessary items to be carried in and out of the vertical tunnel T using the winch system 130. An apparatus is provide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o 4 above.

이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갑판장치(200)에 대한 정면사시도이며, 도 4는 저면사시도이다.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deck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터널(T) 시공을 위한 하역용 이동식 갑판장치(200)는 수직터널(T) 입구에 설치되는 철골구조체(150)의 일부를 이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철골구조체(150)는 통상 수직터널(T) 입구를 테두리하도록 지상으로부터 직립 설치됨은 앞서 언급한 바 있으며, 특히 수직터널(T) 입구를 사각으로 테두리하는 네 개의 가로빔(202)을 포함하고 있다. First, the unloading mobile deck apparatus 200 for the vertical tunnel (T)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part of the steel structure 15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tunnel (T) inlet, generally steel structure 150 In general, the upright is installed from the ground to border the vertical tunnel (T) inlet, as mentioned above, in particular, includes four horizontal beams (202) bordering the vertical tunnel (T) inlet in a square.

그리고 각각의 가로빔(202)에는 용접 또는 볼트와 너트로 결합된 다수의 세로빔(204)이 직립되어 있다.Each of the transverse beams 202 is erected with a plurality of longitudinal beams 204 which are welded or joined by bolts and nuts.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갑판장치(200)는 철골구조체(150) 중 수직터널(T) 입구를 사각으로 테두리하는 적어도 4 개의 가로빔(202)을 활용하며, 각 부분은 크게 한 쌍의 평행한 작업로(210)와, 이들 사이로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여닫히는 한 쌍의 갑판(230)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movable deck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t least four horizontal beams 202 bordering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of the steel structure 150 in a square, each portion is largely a pair of parallel It includes a work path 210 and a pair of decks 230 installed therebetween to open and close in a sliding manner.

이중 작업로(210)는 4 개의 가로빔(202)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로빔(202)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각각 소정 폭을 갖는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서로 마주보는 임의의 두 가로빔(202) 및 해당 가로빔(202)으로부터 직립된 세로빔(204)의 교차점에서 시작되어 말단부분이 수직터널(T) 입구 내측으로 수직하게 측방 연장된 고정철물(206)과, 이들 각 고정철물(206)의 말단과 대응되는 세로빔(204)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보강철물(208)을 포함한다.The dual working path 210 is provided in parallel pair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inner edges of the two horizontal beams 202 facing each other among the four horizontal beams 202. A fixed steel 206 starting at the intersection of the two horizontal beams 202 and the vertical beams 204 erected from the horizontal beams 202 and having their distal ends vertically extending laterally into the inlet of the vertical tunnel T; It includes a reinforcement 208 connecting diagonally the longitudinal beam 204 corresponding to the end of each fixed steel 206.

이들 고정철물과 보강철물은 각각 용접 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se fastenings and reinforcing steels can be joined using welding or bolts and nuts, respectively.

그리고 이들 다수의 고정철물(208) 각각을 가로지르도록 그 상부로 복수개의 바닥판(220)을 연속으로 깔아 각각의 작업로(210)를 완성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작업로(210)를 설치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하역 중 사람이 딛고 설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보다 편리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함이며, 이를 건실하게 지탱시키기 위해서 고정철물(206) 및 보강철물(208)로 이루어지는 뼈대를 구성하는 것이다. And it is possible to complete each of the work paths 210 by laying a plurality of bottom plate 220 in succession so as to traverse each of the plurality of fixed hardware 208, thus the work path 210 The reason for the installation is to secure a space where a person can stand on unloading to be described later to proceed with a more convenient operation, and to construct a skeleton consisting of a fixed hardware 206 and reinforcement 208 in order to support this soundly will be.

이를 통해서 사람이 올라서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로(210)를 완성한다.Through this, a person can climb and complete the work path 210.

따라서 수직터널(T)의 입구 부분에는 적어도 4개의 가로빔(202)에 의해 테두리된 상태로 이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로빔(202)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한 쌍의 평행한 작업로(210)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사이로 윈치시스템(130)의 작업대(140)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다.Accordingly, a pair of parallel working paths 210 are formed at the inlet portion of the vertical tunnel T along the inner edges of the two horizontal beams 202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bordered by at least four horizontal beams 202. It is formed,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work bench 140 of the winch system 130 can pass is formed.

그리고 이러한 한 쌍의 평행한 작업로(210)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직터널(T)의 입구를 여닫는 한 쌍의 이동식 갑판(230)이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한 쌍의 작업로(210)의 마주보는 가장자리 내측면을 따라 각각 가이드레일(240)을 설치한다. In addition, a pair of movable decks 230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in a sliding manner are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parallel working paths 210. For this purpose, the pair of working paths 210 face each other. The guide rails 240 are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beam.

또한 이들 한 쌍의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적어도 네 개 이상의 롤러(232)를 각각 구비한 한 쌍의 갑판(230)을 설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하는 일 가장자리가 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수직터널(T) 입구를 여닫도록 한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pair of decks 230 each having at least four or more rollers 232 so as to be slid along the pair of guide rails 240, one edge facing each other as shown is far or near.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the vertical tunnel (T).

좀더 자세히, 먼저 가이드레일(240)은 일례로 일반적인 지하철이나 기차 등에 이용되는 I자 형강이 이용될 수 있는 바, 한 쌍의 작업로(21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가장자리 부분의 고정철물(206) 말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용접시켜 시공할 수 있으며, 한 쌍의 갑판(230)은 각각 소정의 형강을 사각으로 연결한 프레임 (234)상에 철판(236) 등을 덮어 용접 고정시킴으로서 완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irst, the guide rail 240 may be used, for example, an I-shaped steel used in a general subway or a train bar, and the fixing hardware 206 of the inner edge portions of the pair of working paths 210 facing each other. The ends may be welded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air of decks 230 may be completed by welding and fixing the iron plate 236 on the frame 234 connecting the predetermined section steel in a square.

그리고 한 쌍의 갑판(230)을 구성하는 프레임(234)의 양 측방 저면으로 각각 롤러(232)를 부착시켜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롤러(232)는 일례로 일반적인 지하철 등과 마찬가지로 가이드레일(240)의 양 측면을 소정부분 덮은 상태에서 이의 상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는 것이 탈선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llers 232 may be attached to both side bottom surfaces of the frame 234 constituting the pair of decks 230 so as to slide along the guide rails 240. Like a general subway,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rotat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240 in a state covering both sides of the predetermined portion to prevent derailment.

이때 상술한 롤러(232) 및 가이드레일(240)의 구성은 반드시 앞서의 설명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형태 및 방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인 바, 이와 더불어 한 쌍의 갑판(230)의 프레임(234)을 가로 세로로 교차하여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프레임(238)이 설치되는 것이 콘크리트를 비롯한 각종 자재의 하중을 이기기에 유리하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roller 232 and the guide rail 240 described abov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various other forms and method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purpose,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advantageous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238 are installed to cross the frame 234 of the deck 230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win the load of various materials including concrete.

따라서 이들 한 쌍의 갑판(23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서로 밀착시켜 수직터널(T) 입구를 막음과 동시에 그 상부로 작업대(140)가 안착될 수 있는 이동식 갑판장치(200)를 완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작업대(140)를 들어올린 후 한 쌍의 갑판(230)이 서로 멀어지도록 하여 수직터널(T) 입구를 열어 작업대(140)가 손쉽게 드나들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by closing the pair of decks 230 to each other in a sliding manner to block the vertical tunnel (T) inlet and at the same time can complete the movable deck device 200 can be seated on the work table 140, After lifting the workbench 140 as needed, a pair of decks 2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open the vertical tunnel (T) inlet can easily enter the workbench 140.

그리고 이와 같이 한 쌍의 갑판(23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유압 또는 공압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사람의 힘으로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a separate hydraulic or pneumatic device may be used to slide the pair of decks 230 in this way, it may be possible by a human force.

이때 특히 한 쌍의 갑판(230) 각각의 후방, 즉 서로 멀거나 가까워지는 일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타 가장자리 및 이들 각각과 대면되는 가로빔(202)을 연결하도록 안전망(250)을 각각 설치하여 자재나 공구 또는 사람의 추락 등으로부터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데, 비록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전망(250)의 양 측면은 대응되는 가이드레일(240)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군데군데 결합시킴으로서 각각의 갑판(230)이 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주름형상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particular, the safety net 250 is installed to connect the other edges and the horizontal beams 202 facing each of the rear edges of each of the pair of decks 230, that is, one edge that is far or close to each other. Safety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of a tool or a pers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both sides of the safety net 25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be slid along the side of the corresponding guide rail 240. As the deck 230 is far or near, can be folded or folded in a pleated shape.

또한 각각의 가이드레일(240) 소정의 위치에는 각 갑판(230)이 더 이상 열려지지 않도록 해당 갑판(230)의 롤러(232)를 가로막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돌기(242)가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최대개폐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each guide rail 240, at least one stopper protrusion 242 may be provided to block the roller 232 of the deck 230 so that each deck 230 is no longer opened. The maximum opening and closing can be determined by

이하, 상기한 도면과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갑판의 작동상태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수직터널(T)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vertical tunnel 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5, which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movable de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해 최초 한 쌍의 갑판(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수직터널(T)의 입구를 개방하고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pair of decks 230 open the inlet of the vertical tunnel T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그리고 이 경우 윈치시스템(130)의 주행와이어(132)는 최대로 단축되어 작업대(140)를 갑판(230)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로서, 지상의 차량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비롯한 각종 필요자재를 한 쌍의 갑판(230)으로 각각 올려놓게 된다. In this case, the running wire 132 of the winch system 130 is shortened to the maximum and lifts the work bench 14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ck 230. The deck is put on the deck 230, respectively.

이때 한 쌍의 갑판(230)은 서로 멀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수직터널(T) 입구의 가장자리의 지상부분으로 치우쳐 있는 바, 수직터널(T) 입구 가장자리를 테두리하는 철골구조체(150)에도 불구하고 각종 필요자재는 손쉽게 각각의 갑판(230)으로 하역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pair of decks 2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y are biased toward the ground portion of the edge of the vertical tunnel (T) inlet, despite the steel structure 150 that borders the vertical tunnel (T) inlet edge. Material can be easily unloaded into each deck 230.

이에 각종 필요자재의 하역이 완료되면 각각의 갑판(230)이 서로 근접하도록 슬라이딩되어 도 3과 같이 수직터널(T) 입구를 막게 되고, 다음으로 주행와이어(132)가 늘어뜨려져 작업대(140)가 갑판(230) 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각각의 갑판(230)으로 하역된 콘크리트를 비롯한 각종 필요자재를 작업대(140)로 옮기며, 이어서 주행와이어(132)에 의해 작업대(140)가 지상으로부터 끌어올려 진다.Accordingly, when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various necessary materials is completed, the respective decks 230 slide to approach each other to block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as shown in FIG. 3, and then the traveling wire 132 is drooped to the work bench 140. Is seated on deck 230. Therefore, various necessary materials including concrete unloaded to each deck 230 is moved to the work bench 140, and then the work bench 140 is pulled up from the ground by the traveling wire 132.

다음으로 한 쌍의 갑판(230)이 각각의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시 벌어져 수직터널(T)의 입구를 개방하고, 작업대(140)는 그 사이를 통과하여 지중의 수직터널(T) 내부로 각종 필요자재를 전달할 수 있다.Next, a pair of decks 230 are opened again in a sliding manner along each guide rail 240 to open the inlet of the vertical tunnel T, and the work bench 140 passes through the vertical tunnels of the underground ( T) It can deliver various necessary materials inside.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각종 필요자재의 운반을 완료한 작업대(140)를 회수하거나 또는 수직터널(T) 내의 폐자재가 작업대(140)로 실리면 다시 주행와이어(132)가 끌어올려져 작업대(140)가 지상으로 나오게 되며, 이어서 한 쌍의 갑판(230)이 서로 근접하여 가까워짐으로서 수직터널(T)의 입구를 막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when the work bench 140 having completed the transport of various necessary materials is recovered or the waste material in the vertical tunnel T is loaded to the work bench 140, the running wire 132 is pulled up again to the work bench 140. Comes out to the ground, and then the pair of decks 230 are close to each other to close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그리고 슬립폼(110) 등을 이용하여 수직터널(T) 내의 해당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work in the vertical tunnel T may be performed using the slip foam 110 or the like.

이때 수직터널 내부의 해당작업 진행 중에 굳이 수직터널(T)의 입구를 막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자재나 공구 및 인력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입구를 막는 것이 안전하며, 이 경우에 수직터널(T)의 입구는 한 쌍의 갑판(230) 및 각각의 안전망(250)에 의해 막혀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not essential to block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during the corresponding work in the vertical tunnel, but to prevent the fall of materials, tools, and personnel, it is safe to block the entrance, and in this case, the vertical tunnel (T Inlet of the) is kept blocked by a pair of decks 230 and each safety net 250 is a safe operation.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갑판장치(200)의 동작은 각종 필요물품의 반입/반출은 물론 폐자재의 배출과 더불어 슬립폼(110)의 조립 및 해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바,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갑판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수직터널(T) 시공의 전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ck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slip foam 110, as well as the import / export of various necessary articles, as well as the discharge of waste materials, the end of the present The mobile deck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the entire process of vertical tunnel (T) construction as needed.

상기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를 이용할 경우, 다수의 빔을 이용하여 매 필요시마다 임시갑판을 설치 및 해제하는 종래의 경우와 달리 한번 완성되면 수직터널의 시공 완료에 이르기 까지 사용이 가능한 바, 작업수율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공사비의 절약 및 공기 단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a mobile deck device for the construction of a vertical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tunnel is completed once completed,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of installing and releasing the temporary deck every time using a plurality of beams It can be used to the bar, it can greatly reduce the work yield and thereby has the advantage of sav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shortening the air.

더 나아가 한 쌍의 갑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고 당기는 등의 간단한 동작으로 사용 가능하여 보다 편리한 잇점을 가지고 있다.Furthermore, it can be used by simple operation such as pushing and pulling a pair of decks by sliding method, which has a more convenient advantage.

또한 종래와 비교할 경우에 철골구조체 외측으로 부려지는 콘크리트 및 각종 필요자재를 수직터널 입구까지 원거리 이동할 필요가 없고, 수직터널 입구 외측 가장자리부분으로 치우쳐 위치되는 각 갑판에 필요자재를 싣고 이를 닫음으로서 간단하게 승하역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here is no need to move the concrete and various necessary materials to the vertical tunnel entrance far away from the steel structure structure, and simply by loading and closing the necessary materials on each deck positioned to be offset by the outer edge of the vertical tunnel entra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oved to the loading and unloading position.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갑판은 필요시에만 개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닫음으로서 안전망 등을 통해서 추락 및 자재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으며, 기존의 수직터널 입구에 설치되는 철골구조체를 이용하므로 간단하고 손쉽게 설치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And the pair of de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opened only when necessary and closed in other cases to reduce safety accidents caused by falling and falling of materials through safety nets, and steel fram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existing vertical tunnel Because of the structur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and easy to install.

이에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직터널 공사를 진행한 수 있다.Thus, the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도 1은 슬립폼과 윈치시스템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수직터널의 개략구조도.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general vertical tunnel including a slip foam and a winch system.

도 2는 슬립폼과 윈치시스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갑판장치가 구비된 수직터널의 개략구조도.Figure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vertical tunnel with a slip foam and winch system and a mobile de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갑판장치에 대한 정면사시도.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갑판장치에 대한 저면사시도.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갑판장치의 작동상태도.5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deck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2 : 복공벽 104 : 잭로드102: Perforated Wall 104: Jack Rod

110 : 슬립폼 116 : 요오크장치110: slip foam 116: yoke device

118 : 성형틀 120 : 투입호퍼118: forming mold 120: injection hopper

122 : 이송관 130 : 윈치시스템122: transfer pipe 130: winch system

132 : 주행와이어 140 : 작업대132: running wire 140: work table

142 : 주작업대 144 : 보조작업대142: main workbench 144: auxiliary workbench

146 : 토출호퍼 150 : 철골구조체146: discharge hopper 150: steel structure

200 : 이동식 갑판장치 202 : 가로빔200: mobile deck device 202: horizontal beam

204 : 세로빔 210 : 작업로204: vertical beam 210: working

206 : 고정철물 208 : 보강철물206: fixed hardware 208: reinforcement

220 : 바닥판 230 : 갑판220: bottom plate 230: deck

232 : 롤러 234 : 프레임232: roller 234: frame

236 : 철판 238 : 보강프레임236: iron plate 238: reinforcement frame

240 : 가이드레일 242 : 스토퍼돌기240: guide rail 242: stopper protrusion

250 : 안전망 T : 수직터널250: safety net T: vertical tunnel

Claims (5)

입구 가장자리를 사각으로 테두리하는 네 개의 가로빔(202)을 포함하는 철골구조체(150)가 지상으로 축조되고 상기 철골구조체(150)에 설치된 윈치로부터 인출된 복수개의 주행와이어(132)에 의해 상기 입구로부터 지중으로 인양되는 작업대(140)를 통해서 각종 필요물품이 반입/반출되는 수직터널(T) 시공의 전(全) 과정에 있어 상기 수직터널(T) 입구로 설치되는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로서,The steel frame structure 150 including four horizontal beams 202 bordering the edge of the entrance is constructed by the ground and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132 drawn from the winch installed in the steel frame structure 150. Mobile deck for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in the whole process of the vertical tunnel (T) construction that the various necessary items are brought in / out through the work platform 140 lifted from the ground As a device, 상기 작업대(140)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정의하며 상기 네 개의 가로빔(202) 중 서로 대면하는 두 개의 가로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평행한 작업로(210)와;A pair of parallel work paths 210 defining openings through which the work table 140 can pass and installed along inner edges of two horizontal beam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four horizontal beams 202; 상기 한 쌍의 작업로(210) 각각의 마주보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한 쌍의 평행한 가이드레일(240)과;A pair of parallel guide rails 240 extending along opposite inner edges of each of the pair of working furnaces 210; 상기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네 개 이상이 롤러(232)를 각각 구비하여 서로 대면하는 일 가장자리가 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수직터널 입구를 여닫는 한 쌍의 갑판(230)과;A pair of decks 230 opening and closing the vertical tunnel inlet as at least four or more sliding along the guide rails 240 are provided with rollers 232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상기 각각의 갑판(230) 타 가장자리 및 이와 대면되는 한 쌍의 가로빔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갑판(230)이 상기 수직터널(T) 입구를 여닫을 경우에 주름을 형성하며 접히거나 펼쳐지는 두 조의 안전망(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By connecting the other edge of the deck 230 and a pair of horizontal beams facing each other, when the pair of deck 230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tunnel (T) to form a fold or unfolded Mobile deck device for the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sets of safety net (25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철골구조체(150)는 상기 네 개의 가로빔(202)으로부터 각각 상방 직립된 복수개의 세로빔(204)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The steel frame structure 150 is a mobile deck device for the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 beams 204, respectively upright from the four horizontal beams (202).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작업로(210)는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로빔(202) 및 이로부터 상방 직립된 세로빔(204)의 교차점에서부터 해당 가로빔에 수직하게 상기 수직터널 입구를 향해 측방 돌출된 다수의 고정철물(206)과;The work path 210 has a plurality of fixed sides projecting laterally toward the inlet of the vertical tunnel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beam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two horizontal beams 202 facing each other and the vertical beam 204 upright therefrom Iron 206; 상기 고정철물(206) 말단 및 이와 대응되는 해당 세로빔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철물(208)과;A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s 208 connecting the ends of the fixed hardware 206 and corresponding vertical beams diagonally; 상기 두 개의 가로빔 각각의 고정철물 상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판(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Mobile deck device for the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bottom plates 220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fixed hardware of each of the two horizontal beam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40)에는 각각 상기 갑판(230)의 최대 개폐상태를 제한하도록 상기 각각의 롤러(252) 중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을 가로막는 스토퍼돌기(242)가 더욱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터널 시공을 위한 이동식 갑판장치.Each of the pair of guide rails 240 further includes a stopper protrusion 242 which intercepts at least two or more selected ones of the rollers 252 so as to limit the maximum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deck 230. Mobile deck system for vertical tunnel construction.
KR10-2004-0000405A 2004-01-05 2004-01-05 sliding type deck apparatus for constructer of vertical tunnel KR100473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05A KR100473787B1 (en) 2004-01-05 2004-01-05 sliding type deck apparatus for constructer of vertical tu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05A KR100473787B1 (en) 2004-01-05 2004-01-05 sliding type deck apparatus for constructer of vertical tun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518A KR20040052518A (en) 2004-06-23
KR100473787B1 true KR100473787B1 (en) 2005-03-14

Family

ID=3734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405A KR100473787B1 (en) 2004-01-05 2004-01-05 sliding type deck apparatus for constructer of vertical tu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78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518A (en)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56167B (en) Deep foundation pit support dismantl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US5263835A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CN206477602U (en) Loading platform
US4444289A (en) Construction platform and method
US4974700A (en) Movable support mechanism for construction of elevator shafts and the like
CN114033398A (en) Construction method for returning of low gravity center dragging method shield back matching trolley tunnel
JP6262805B2 (en) Temporary roadway with movable lifting column in tunnel and roa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emporary roadway
US2966718A (en)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reinforced concrete floors in multistoried buildings
KR100473787B1 (en) sliding type deck apparatus for constructer of vertical tunnel
JP3356048B2 (en) Construction method of elevated structure using building girder
JP2000265777A (en) Transferable stage for repairing tunnel and tunnel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US2305906A (en) Building construction
JP2829363B2 (en) Formwork equipment for pillar construction
CN110042771A (en) A kind of moveable modularization box culvert rapid construction device
JPH11229751A (en) Widening device for existing tunnel
JPS5917998Y2 (en) Lifting movable tunnel formwork
CN211143759U (en) Wall-through-free heightening anchoring support pull folding type discharging platform
JP3378225B2 (en) High work method using high work unit
CN220451453U (en) Building construction track drawer type discharging platform
JP3543246B2 (en) Temporary living organism
KR102629570B1 (en) Elevator for vertical slip form construction and vertical construction device combined with the elevator
CN221002757U (en) Operation platform device for small-span tunnel construction
CN215107202U (en) A operation platform that rises that slides for elevartor shaft construction
AU651555B2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US259030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lding concrete floor slabs in sit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