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506B1 -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506B1
KR100473506B1 KR10-2001-0053802A KR20010053802A KR100473506B1 KR 100473506 B1 KR100473506 B1 KR 100473506B1 KR 20010053802 A KR20010053802 A KR 20010053802A KR 100473506 B1 KR100473506 B1 KR 10047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suction
scaffolding
centralized vacuum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126A (ko
Inventor
함용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텍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텍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텍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1-005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50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 현관에 설치되는 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중앙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관에 설치가능한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는, 중앙집진장치로부터 원하는 청소 구역 마다 흡입배관을 연결하고, 각 흡입배관 마다 흡입구를 형성하여, 이의 흡입구에 청소대의 청소호스를 꽂아 사용하도록 된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관 출입시 발생되는 신발의 흙먼지와 생활먼지 등을 흡입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밀폐형으로 이루어져서 일측방에 흡입배관에 연결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다수의 흡입구멍(14)이 형성된 발판 본체(10); 상면에 상기 흡입구멍(14)으로 통하는 다수의 통공(23)을 갖추고 상기 발판 본체(10)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힌지됨과 아울러 스프링(31)을 매개로 탄력지지되어 사람이 올라설 경우 하향 회동하여 상기 발판 본체(10)의 상면에 밀착되는 발판 덮개(20); 상기 발판 본체(10)의 일측에, 상기 발판 덮개(20)의 상향회동 또는 하향회동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배출구(11)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도록 설치되는 개폐도어(40); 및 상기 발판 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발판 덮개(20)의 상향회동 또는 하향회동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중앙집진장치(2)에 오프(OFF) 또는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수단(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의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에서 단위 청소구역으로 연결된 흡입배관을 현관측으로 분기시켜 본 발명에 따른 발판 본체의 배출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발판 덮개에 올라서면 발판 덮개가 하향 회동되면서 스위칭수단이 온(ON)작동되어 중앙 집진 장치가 구동되고, 동시에 개폐도어가 상향 회동하여 배출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중앙집진장치의 진공 흡입력이 발판 장치 내부에 작용하게 되므로 신발의 흙먼지를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Footstool Apparatus of the Entrance Hall for Centralized Vacuum Suction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출입 현관에 설치되는 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 현관에 콤팩트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기존의 중앙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관 출입시 신발의 흙먼지나 현관 생활 먼지를 흡입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은 청소쓰레기를 한 곳으로 집중하여 흡입할 수 있는 중앙집진장치를 일정한 한 곳에 설치하고, 그 집진장치로부터 원하는 청소 구역 마다 흡입배관을 연결하며, 각 청소 구역으로 배관된 흡입배관 마다 흡입구를 형성하여, 이의 흡입구에 청소대(Wand)의 청소호스를 꽂아 사용하도록 된 청소 시스템으로서, 각 청소 구역에 마련된 흡입구에 청소 호스를 꽂아 사용하면 해당 청소 공간의 쓰레기가 중앙집진장치로 흡입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에서는 출입 현관의 청소나 신발의 흙먼지 등을 청소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지 않아서 출입현관만은 재래의 빗자루 등 별도의 청소수단으로 청소하여야 하는 실정이었다.
한편, 앞서 살펴본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에 의하면, 출입현관으로도 흡입배관을 연결하고 이에 흡입구를 설치하면 기존의 청소호스를 그대로 꽂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도 할 수 있으나, 종래의 청소 시스템에 의한 청소대와 청소호스는 각 청소 구역중 가장 넓은 청소구역도 무난히 청소할 수 있을 정도의 큰 크기로 설계되어야만 하였기 때문에, 출입 현관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는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불편을 없애기 위해서는 크기가 보다 작은 청소대와 청소호스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폐단이 있게 된다. 더욱이 작은 크기의 청소대와 청소호스를 별도로 갖춘다고 하더라도 신발의 흙먼지 제거등 단순한 사용을 위하여서도 청소대를 가져오고 청소호스를 연결하는 등의 번거로움은 그대로 있게 되며, 청소대 입구를 신발 바닥등에 잘 맞추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전혀 제거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로써 종래의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현관 출입시 발생되는 신발의 흙먼지와 생활먼지 등을 흡입 처리함으로써 종래 빗자루등을 이용한 재래방식으로 현관의 흙먼지와 생활먼지를 청소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한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는, 중앙집진장치로부터 원하는 청소 구역 마다 흡입배관을 연결하고, 각 흡입배관 마다 흡입구를 형성하여, 이의 흡입구에 청소대의 청소호스를 꽂아 사용하도록 된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관 출입시 발생되는 신발의 흙먼지와 생활먼지 등을 흡입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밀폐형으로 이루어져서 일측방에 흡입배관에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다수의 흡입구멍이 형성된 발판 본체; 상면에 상기 흡입구멍으로 통하는 다수의 통공을 갖추고 상기 발판 본체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힌지됨과 아울러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지지되어 사람이 올라설 경우 하향 회동하여 상기 발판 본체의 상면에 밀착되는 발판 덮개; 상기 발판 본체의 일측에, 상기 발판 덮개의 상향회동 또는 하향회동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배출구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도록 설치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발판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발판 덮개의 상향회동 또는 하향회동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중앙집진장치에 오프(OFF) 또는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의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에서 단위 청소구역으로 연결된 흡입배관을 현관측으로 분기시켜 본 발명에 따른 발판 본체의 배출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발판 덮개에 올라서면 발판 덮개가 하향 회동되면서 스위칭수단이 온(ON)작동되어 중앙 집진 장치가 구동되고, 동시에 개폐도어가 상향 회동하여 배출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중앙집진장치의 진공 흡입력이 발판 장치 내부에 작용하게 되므로 신발의 흙먼지를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향에 따르면, 상기 발판 덮개의 통공 사이에 돌기가 형성되고, 이의 통공과 돌기가 신발 모양으로 밀집된 발디딤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발디딤부를 디디고 신발을 좌우로 약간씩 비틀면 다수의 돌기들에 의하여 신발 바닥의 흙먼지가 잘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향에 따르면, 상기 발판장치의 일측하단에 먼지투입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현관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먼지투입구멍으로 쓸어 넣음으로써 현관에 있는 생활먼지도 쉽게 집진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 발판 장치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바, 종래의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을 단위세대에 설치하고, 이의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장치(100)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에서는 먼지나 쓰레기를 한 곳으로 집중하여 흡입할 수 있는 중앙집진장치(2)를 일정한 한 곳에 설치되고, 중앙집진장치(2)로부터는 개별 청소 구역 마다 흡입배관(3)이 연결되고, 각 청소 구역으로 배관된 흡입배관(3) 마다 흡입구(4)가 형성된 구조를 갖추어서, 상기 흡입구(4)에 청소대(5)의 청소호스(6)를 꽂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집진장치(2)에 연결된 흡입배관(3)의 일측으로부터 현관까지 연장관(3')을 분기시키고, 이의 연장관(3')에 발판 장치(100)를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는 상기한 본 발명의 현관 발판 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현관 발판 장치(100)는 대분하여 발판 본체(10)와, 이 발판 본체(10)에 일측이 힌지되어 씌워지는 발판 덮개(20)와, 개폐도어(40) 및 스위칭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발판 본체(10)는 내부가 빈 밀폐형, 바람직하기로는 납작한 밀폐형 사각통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후측면에는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의 흡입배관, 보다 자세하게는 흡입배관(3)으로부터 분기된 연장관(3')의 단부에 연결되기 위한 배출구(11)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다수의 흡입구멍(14)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멍(14)으로부터 발판 본체(10) 내부로 흙이나 먼지 등이 흡입되며, 흡입된 흙이나 먼지 등은 상기 배출구(11)를 통하여 중앙집진장치(2)로 흡입되게 된다. 상기 배출구(11)는 상기 개폐도어(40)에 의하여 단속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폐도어(4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하여 발판 본체(10)에 개구부(12)를 형성하고, 이의 개구부(12)를 막음판(30)으로 덮고 있다.
상기 발판 덮개(20)는 상기 발판 본체(10)에 씌워지는 형태를 갖추어, 상면에는 상기 발판 본체(10)의 흡입구멍(14)으로 통하는 다수의 통공(23)이 형성되면서, 일측이 상기 발판 본체(10)에 힌지축(26)으로써 상,하 회동가능하게 힌지됨과 아울러, 상기 발판 본체(10) 상면에 스프링(31)에 의하여 탄력지지되고, 후면에는 상기 발판 본체(10)의 돌출된 배출구(11)에 대응하는 절취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판 덮개(20)는 출입하는 사람이 올라서게 되는바, 출입자가 발판 덮개(20)에 올라서면 출입자의 무게에 의하여 스프링(31)이 압축되면서 하향 회동하여 상기 발판 본체(10)의 상면에 밀착되게 되며, 이때 상기 통공(23)들이 발판 본체(10)의 흡입구멍(14)에 일치하게 됨으로써 흙이나 먼지등의 흡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개폐도어(40)는 상기 발판 덮개(20)의 상향회동 또는 하향회동 동작을 받아 상기 배출구(11)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도록 설치되는 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축(41)과, 이 힌지축(41)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11)를 개폐하는 개폐판(42)과, 상기 힌지축(41)의 또 다른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누름레버(43)로 이루어져서, 상기 발판 덮개(20)가 스프링(31)에 의하여 상향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때는 누름레버(43)가 상승해제됨으로써 개폐판(42)이 하향회동되어 배출구(11)를 막게하고, 발판 덮개(20)에 사람이 올라가서 하향회동된 때에는 누름레버(43)가 눌려짐으로써 개폐판(42)이 상승회동하여 배출구(11)를 개방시키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스위칭수단(50)은 상기 발판 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발판 덮개(20)의 상,하 회동동작을 받아 동작되어 상기 중앙집진장치(2)에 오프(OFF),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향에 따라서 상기한 스위칭수단(50)은 공지의 자기 복귀형 온/오프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누름레버(43)의 상향 또는 하향 회동 동작을 받는 레버(51)와, 이 레버(51)의 하향눌림 또는 상승해제에 의하여 온 또는 오프 작동되어 상기 중앙집진장치(2)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키게 되는 접점스위치(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향에 따라서, 상기 발판 덮개(20)의 다수의 통공(23)들 사이에는 신발의 흙먼지를 털수 있도록 하는 돌기(24)가 형성된다.
나아가서 이러한 다수의 통공(23)들과 돌기(24)들이 전체적으로 신발의 윤곽을 갖도록 양측으로 밀집되어 발디딤부(22)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출입자는 상기 신발모양의 발디딤부(22)를 확인하고 정확하게 올라갈 수 있으며, 통공(23)들을 신발형태의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그의 수와 크기를 줄여 진공 흡인력이 강력하게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발판 본체(10)의 다수의 흡입구멍(14)들도 상기 발판 덮개(20)의 발디딤부(22) 형태와 같이 양측으로 밀집되어 각각 신발모양의 윤곽을 갖는 흡입부(13)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한 발판 본체(10)의 흡입구멍(14) 사이에도 돌기(15)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판 본체(10)와 발판 덮개(20)의 일측하단에 서로 대응하는 먼지투입구멍(16)(25)을 추가적으로 형성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 바, 이의 먼지투입구멍(16)(25)으로 현관에 있는 쓰레기나 먼지를 쓸어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첨부도면 도 5는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현관 발판 장치(100)의 설치상태 및 비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기존에는 중앙 집진 장치(2)로부터 벽체(7) 내부를 통하여 각 청소구역의 흡입구(4)로 연결되는 흡입배관(3)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의 흡입배관(3)으로부터 현관측으로 연장관(3')을 분기 또는 연장시켜 시공한 다음, 상기 연장관(3')의 단부를 본 발명에 의한 발판 본체(10)의 배출구(11)에 접속시키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집진 장치(2)로부터 스위칭수단(50)까지 벽체(7) 내부를 통하여 전선(8)을 시공해 놓고, 이의 전선(8)을 스위칭수단(50)에 연결한다.
상기 도 5와 앞서 설명한 도 3 및 도 4를 병행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프링(31)의 탄력에 의하여 발판 덮개(2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써 개폐도어(40)의 개폐판(42)이 자중에 의하여 그의 힌지축(41)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어 발판 본체(10)의 배출구(11)를 막고 있다. 따라서 여타의 다른 단위 청소 구역에서 청소대(5)와 청소호스(6)를 접속하더라도 이의 발판 장치(100)에는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발판 장치(100)를 설치하더라도 통상의 집진능력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발판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도어(40)의 누름레버(43)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스위칭수단(50)의 레버(51)도 상승되어 접점스위치(52)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발판 장치(100)에 의하여서는 중앙집진장치(2)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첨부도면 도 6은 도 5에서의 현관 발판 장치(100)에 출입자가 올라서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구조를 병행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의 상태에서 출입자가 발판 덮개(20)에 형성된 발디딤부(22)에 올라서면 출입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스프링(31)이 압축되면서 발판 덮개(20)가 하향회동되어 발판 본체(10)에 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판 덮개(20)가 하향 회동하는 과정에서 발판 덮개(20)의 후방저면이 개폐도어(40)의 누름레버(43)를 누르게 되고, 누름레버(43)가 눌려짐에 따라 이에 일체화 되어 있는 힌지축(41)이 회전하면서 개폐판(42)을 상승시키고, 이에 개폐판(42)이 막고 있던 배출구(11)가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하향 회동하는 누름레버(43)는 스위칭수단(50)의 레버(51)를 누르게 되고, 레버(51)가 내려가면서 접점스위치(52)를 눌러 온접점시킴으로써 중앙 집진 장치(2)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중앙 집진 장치(2)가 구동되면 그의 진공 흡입력이 배출구(11)를 통하여 발판 본체(10) 내부에 미치게 되고, 발판 본체(10) 내부에 작용하는 진공 흡입력은 발판 본체(10)와 발판 덮개(20)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구멍(14)과 통공(23)을 통하여 신발(9)에 미치게 됨으로써, 신발(9)에 묻어 있는 흙이나 먼지를 쉽게 흡인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한 발판 덮개(20)의 통공(23) 사이에는 돌기(24)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발을 좌,우로 비비면 흙이나 먼지가 보다 잘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 본체(10)와 발판 덮개(20)에 먼지투입구멍(16)(2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의 먼지투입구멍(16)(25)측으로 현관의 먼지를 쓸어 넣음으로써 현관 바닥의 청소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만일 신발의 먼지는 제거하지 않고 현관만 청소하고자 한다면, 발판 덮개(20)에 스프링(31)의 힘을 이길만한 무게의 물건을 올려놓음으로써 발판 덮개(20)가 눌려지도록 하여 개폐도어(40)와 중앙집진장치(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급적 평평한 물건을 올려놓으면 이 물건이 발판 덮개(20)의 표면에 밀착하게 됨으로써 진공 흡입력이 발판덮개(20)의 통공(23)측으로 손실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먼지투입구멍(16)(25)으로의 진공 흡입력을 보다 크게 작용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출입 현관에 진공 흡입 가능한 발판 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출입자가 올라서거나 내려가는 동작에 의하여 집진장치의 구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편리하면서도 매우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발판장치의 설치와 사용이 간단하고 기존의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현관 출입시 발생하는 신발의 흙먼지 뿐만 아니라 현관 바닥의 생활먼지도 쉽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생활의 편리를 더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판 장치의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판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판 장치의 조립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발판 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판 장치의 조립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발판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판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발판 장치를 이용하여 신발의 먼지를 흡입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중앙집진장치 3 : 흡입배관
3' : 연장관 4 : 흡입구
5 : 청소대 6 : 청소호스
7 : 벽체 8 : 전선
10 : 발판 본체 11 : 배출구
12 : 개구부 13 : 흡입부
14 : 흡입구멍 15,24 : 돌기
16,25 : 먼지투입구멍 20 : 발판 덮개
21 : 절취홈 22 : 발디딤부
23 : 통공 26 : 힌지축
30 : 막음판 31 : 스프링
40 : 개폐도어 41 : 힌지축
42 : 개폐판 43 : 누름레버
50 : 스위칭 수단 51 : 레버
52 : 접점스위치 100 : 현관 발판 장치

Claims (10)

  1. 중앙집진장치로부터 원하는 청소 구역 마다 흡입배관을 연결하고, 각 흡입배관 마다 흡입구를 형성하여, 이의 흡입구에 청소대의 청소호스를 꽂아 사용하도록 된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관 출입시 발생되는 신발의 흙먼지와 생활먼지 등을 흡입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밀폐형으로 이루어져서 일측방에 흡입배관에 연결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다수의 흡입구멍(14)이 형성된 발판 본체(10);
    상면에 상기 흡입구멍(14)으로 통하는 다수의 통공(23)을 갖추고 상기 발판 본체(10)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힌지됨과 아울러 스프링(31)을 매개로 탄력지지되어 사람이 올라설 경우 하향 회동하여 상기 발판 본체(10)의 상면에 밀착되는 발판 덮개(20);
    상기 발판 본체(10)의 일측에, 상기 발판 덮개(20)의 상향회동 또는 하향회동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배출구(11)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도록 설치되는 개폐도어(40); 및
    상기 발판 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발판 덮개(20)의 상향회동 또는 하향회동에 의하여 동작되어 상기 중앙집진장치(2)에 오프(OFF) 또는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수단(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덮개(20)의 다수의 통공(23)들 사이에 신발의 흙먼지를 털수 있도록 하는 돌기(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덮개(20)의 다수의 통공(23)들 사이에 신발의 흙먼지를 털수 있도록 하는 돌기(24)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통공(23)들과 돌기(24)들이 양측으로 밀집되어 각각 신발모양의 윤곽을 갖는 발디딤부(2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본체(10)의 다수의 흡입구멍(14)들은 양측으로 밀집되어 각각 신발모양의 윤곽을 갖는 흡입부(1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흡입구멍(14)들 사이에 돌기(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50)은 상기 발판 덮개(20)에 의하여 눌려지는 레버(51)와, 이 레버(51)의 누름 또는 해제에 의하여 온 또는 오프 작동되는 접점스위치(52)를 포함하는 자기 복귀형 온/오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40)는 상기 발판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축(41)과, 이 힌지축(41)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11)를 개폐하는 개폐판(42)과, 상기 힌지축(41)의 또 다른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발판 덮개(20)의 하향회동시 눌려져서 상기 개폐판(42)을 개방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누름레버(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40)는 상기 발판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축(41)과, 이 힌지축(41)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11)를 개폐하는 개폐판(42)과, 상기 힌지축(41)의 또 다른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발판 덮개(20)의 하향회동시 눌려져서 상기 개폐판(42)을 개방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누름레버(43)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수단(50)은 상기 누름레버(43)에 의하여 눌려지는 레버(51)와, 이 레버(51)의 누름 또는 해제에 의하여 온 또는 오프 작동되는 접점스위치(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본체(10)와 발판 덮개(20)의 일측하단에 대응하는 먼지투입구멍(16)(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KR10-2001-0053802A 2001-09-03 2001-09-03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KR10047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02A KR100473506B1 (ko) 2001-09-03 2001-09-03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02A KR100473506B1 (ko) 2001-09-03 2001-09-03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825U Division KR200256100Y1 (ko) 2001-09-03 2001-09-03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126A KR20030020126A (ko) 2003-03-08
KR100473506B1 true KR100473506B1 (ko) 2005-03-07

Family

ID=2772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802A KR100473506B1 (ko) 2001-09-03 2001-09-03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142B1 (ko) * 2010-04-27 2012-11-12 신원철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KR101428802B1 (ko) * 2013-04-10 2014-08-13 강은규 진공 흡입식 발판
KR102432179B1 (ko) 2021-02-19 2022-08-12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스마트 관리형 신발매트 관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5555U (ko) * 1974-11-19 1976-05-24
JPS5168461U (ko) * 1974-11-26 1976-05-31
JPH0430648U (ko) * 1990-07-09 1992-03-12
JPH0662975U (ja) * 1993-02-15 1994-09-06 スター工業株式会社 吸塵マット
KR200229987Y1 (ko) * 2001-02-15 2001-07-03 소재형 신발 털이용 발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5555U (ko) * 1974-11-19 1976-05-24
JPS5168461U (ko) * 1974-11-26 1976-05-31
JPH0430648U (ko) * 1990-07-09 1992-03-12
JPH0662975U (ja) * 1993-02-15 1994-09-06 スター工業株式会社 吸塵マット
KR200229987Y1 (ko) * 2001-02-15 2001-07-03 소재형 신발 털이용 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126A (ko) 200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083B1 (ko) 다용도 진공청소기
US11008744B2 (en) Automatic floor cleaning machine and process
KR2005010334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CN108135413A (zh) 旋风灰尘收集器及具有其的真空吸尘器
KR100473506B1 (ko)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KR100496038B1 (ko) 진공 신발 털이기
KR100968335B1 (ko) 청소기
KR200256100Y1 (ko)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 청소 방식에 의한 현관 발판 장치
KR101093887B1 (ko) 진공청소기
KR100941426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319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273961Y1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KR200229987Y1 (ko) 신발 털이용 발판
KR101143783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JP3048602U (ja) 掃除器
KR10119966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9327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120032607A (ko) 신발 먼지 흡입장치
KR20050102256A (ko) 현관용 진공청소기
JPH09313414A (ja) ウエットバキュームクリーナー用のモップ絞り用アタッチメント
KR100548932B1 (ko)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KR100546589B1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결합구조
KR20050057908A (ko) 진공청소기
KR20060118046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