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749B1 - 다기능 휠체어 - Google Patents

다기능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749B1
KR100472749B1 KR10-2002-0057627A KR20020057627A KR100472749B1 KR 100472749 B1 KR100472749 B1 KR 100472749B1 KR 20020057627 A KR20020057627 A KR 20020057627A KR 100472749 B1 KR100472749 B1 KR 100472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k
wheelchair
inclination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6248A (ko
Inventor
신재화
Original Assignee
신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화 filed Critical 신재화
Priority to KR10-2002-005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7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operating means
    • A61G5/025Le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7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shock absorbers or other suspension arrangements between wheels and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86Anti-roll-back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4Tables, working plates or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장애자나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들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전후방향으로 주행레버를 반복적으로 작동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외부의 도움없이 자력으로 휠체어의 주행이 가능하고, 등받이 및 발판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주행중 보조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사용자에게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 다기능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휠체어의 양측에 역전방지 기능을 갖는 래칫기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주행레버를 엇갈리게 설치하여 주행레버를 당길 경우에만 회전력을 발생하며 이 회전력을 주축으로 전달하여 휠체어의 주행이 이루어게 하고,
등받이프레임 및 발판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경사도조절구의 잠금 및 해제 조작을 통해 등받이 및 발판을 고정상태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경사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보조바퀴의 상부에 쇽업쇼바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사용자에게 충격이 전달됨을 차단하는 한편, 사용자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등받이의 상측에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차양을 설치하고 좌석의 양측판에 독서대를 수납 설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독서대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휠체어{Multi skill a wheel chair}
본 발명은 신체장애자나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들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전후방향으로 주행레버를 반복적으로 작동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외부의 도움없이 자력으로 휠체어의 주행이 가능하고, 등받이 및 발판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주행중 보조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사용자에게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 다기능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하체가 부자연스러운 장애인 및 환자, 노약자들의 이동을 도와 주는 의료기구의 일종으로서,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휠체어는 좌석과 등받이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구름 동작하는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선단 양측에 설치된 보조바퀴로 구성되어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바퀴와 일체로 된 링 형태의 손잡이를 손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횔체어가 구동력을 얻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목적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휠 외측으로 돌출된 링 형태의 손잡이를 반복적으로 잡아 돌려서 구동력을 얻도록 하는 기존의 휠체어는 사용자가 휠 외측의 손잡이를 잡아 돌려야 하는데 따른 체력적인 문제와 함게 많은 불편이 수반되고, 또한 일정각도의 경사도를 갖는 오르막길 등을 사용자가 이동하는 도중에 링 형상의 손잡이에서 손이 이탈되거나 힘을 주지 않게 되면 경사면에 의해 휠체어가 후진되는 문제점이 있어 외부의 도움없이는 휠체어를 이용하여 자력으로 경사진 곳을 올라가기가 거의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있어 사용상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를 자체 구동되게 하는데 따른 여러가지 제반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들어 전동식 횔체어가 제시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전동식 휠체어는 그 사용상의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매우 고가여서 많은 휠체어 사용자들에게 폭넓게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휠체어는 사용자의 이동을 도와 주는 주행수단으로써의 근본적인 목적만을 수행할 뿐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등받이 및 발판의 경사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것이었고,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이나, 독서를 위한 독서대 등의 편의시설이 전무하여 사용자에게 특별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주행시 휠체어의 전방에 위치한 보조바퀴의 경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장애물 등에 충돌될 경우 그 충격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휠체어에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휠체어의 양측에 역전방지 기능을 갖는 래칫기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주행레버를 엇갈리게 설치하여 주행레버를 당길 경우에만 회전력을 발생하며 이 회전력을 주축으로 전달하여 휠체어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등받이프레임 및 발판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경사도조절구의 잠금 및 해제 조작을 통해 등받이 및 발판을 고정상태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경사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보조바퀴의 상부에 쇽업쇼바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사용자에게 충격이 전달됨을 차단하는 또 다른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등받이의 상측에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차양을 설치하는 한편, 좌석의 양측판에 독서대를 수납 설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독서대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강구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1)과 등받이(2)를 구성하는 프레임(3)과, 상기 프레임(3)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구름 동작하는 바퀴(4)와, 상기 프레임(3)의 선단 양측에 설치된 보조바퀴(5)로 구성되며, 상기 바퀴(4)와 일체로 형성된 링 형태의 손잡이를 손으로 회전시켜 구동력을 얻는 공지된 횔체어()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 양측에 설치된 한쌍의 주행레버(16)를 반복적으로 밀고 당기면서 휠체어(6)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주행수단(10)과, 클러치작동구(27)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바퀴(4)에 전달되는 종동축(17)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회전력단속수단(20)과, 등받이프레임(33)의 회전각을 제어하여 등받이(2)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경사조절수단(30)과, 발판프레임(44)의 회전각을 제어하여 발판(44a)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발판 경사조절수단(40)과, 상기 보조바퀴(5)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흡수수단(50)과, 상기 좌석(1) 양측 측판(61) 사이의 수납공간(62)에 수납되고 사용시 수평상태로 펼쳐지는 독서대(60)와, 상기 등받이프레임(33) 상측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70)과, 상기 바퀴(4)의 상측을 감싸게 설치되어 주행시 물튀김을 방지하는 물튀김 방지커버(80)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할 정도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주행수단(10)을 살펴보면 프레임(3)의 전방 양측에 내측으로 함몰되게 한쌍의 기어수납홈(11)이 형성된 기어수납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일측 기어수납홈(11)에는 역전방지 기능을 갖는 래칫기어(13)가 회전지지구(14)에 의해 회전 자유로운 상태로 설치되는 한편, 타측 기어수납홈(11)에는 상기 래칫기어(13)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주축(15) 양단에 설치된 주기어(15a)가 래칫기어(13)에 치합 설치된다.
여기에서 래칫기어(13)는 주행레버(16)의 밀고 당기는 반복조작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반복 회전하되 역전방지 기능을 구비하므로써 후방으로 회전할 경우에만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여 주기어(15a)를 회전시키는 반면 전방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공회전을 하여 주기어(15a)에 어떠한 회전력도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주축(15)은 주행레버(16)의 반복조작에 의해 일정한 회전력을 갖게 되고 이 회전력은 종동축(17)에 연결된 체인(18)을 통해 종동축(17)으로 전달되어 바퀴(4)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칫기어(13) 및 주기어(15a)의 외측에는 기어커버(19)가 부착되어 내부 기밀을 유지하게 되고 래칫기어(13)의 양단에는 기어커버(19)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게 주행레버(16)가 상호 엇갈리게 입설된다.
이러한 주행수단(10)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을 단속하여 선택적으로 양측의 바퀴(4)에 동시 전달하거나 혹은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회전력단속수단(20)은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프레임(3)의 후방 내측에 설치된 지지대(21)에 회전지지구(21a)에 의해 종동축(1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축(17)은 양단에 가이드홈(17a)이 형성된 채 제1 디스크(22)가 일체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디스크(22)를 관통하여 종동축(17)의 가이드홈(17a)에는 디스크고정판(23)의 일측 가이드봉(23a)이 끼워지고 타측의 육각돌기(23b)는 바퀴축(4a) 선단에 설치된 가이드홀더(24)의 육각홀(24a)에 끼워지며 디스크고정판(23)의 내면에는 제1,2 디스크(22)(26)를 보호하기 위한 디스크커버(25)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1 디스크(2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디스크(26)는 디스크고정판(23)에 일체로 고정된 것으로, 가이드봉(23a)의 외측에 끼워져 디스크고정판(23)이 이동할 경우 동시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제1 디스크(22)로부터 분리되어 종동축(17)의 회전력이 바퀴(4)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제1 디스크(22)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제1 디스크(22) 및 제2 디스크(26)는 상호 마주하는 면에 중심부를 정점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결합돌기(22a)(26a)가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시 강력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종동축(17)의 회전력을 바퀴(4)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대(21)의 일측에는 디스크고정판(23)을 외향으로 밀어주어 제1 디스크(22)로부터 제2 디스크(26)를 선택적으로 분리시켜 종동축(17)의 회전을 단속하는 클러치작동구(27)가 설치되고 클러치작동구(27)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는 디스크고정판(23)의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7a)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디스크고정판(23)의 육각돌기(23b) 외측에 설치된 스프링고정돌기(28a)와 가이드홀더(24) 사이에는 스프링(28)이 탄설되어 이동상태의 디스크고정판(23)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종동축(17)의 양측에 회전력단속수단(20)을 2개소 설치한 이유는 방향전환을 위한 것으로, 종동축(17)의 회전력이 동시에 바퀴(4)로 전달될 경우에는 원활하게 전방으로의 주행이 이루어지며, 어느 한쪽의 회전력이 차단될 경우에는 차단된 쪽은 정지상태인 반면 다른 한쪽의 바퀴(4)는 회전력이 지속되므로써 회전력이 차단된 쪽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 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주축(15) 및 종동축(17)은 단일품으로 구성되지 않고 조립작업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도 16과 같이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호 맞닿는 연결부위의 선단에는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사부(90)(9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90)(91)에는 한쌍의 체결너트(92)(93)가 나사결합되어 분리된 주축(15)과 종동축(17)을 일체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일측의 체결너트(92)는 주축(15) 및 종동축(17)의 회전시 회전방향과 나선방향이 동일하므로 자연적으로 도면상 상부로 자연 이송하면서 결과적으로 풀리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너트(92)는 세트스크류(94)에 의해 고정되어 풀림을 방지하게 되며, 타측의 체결너트(93)는 한쌍의 나사부(90)(91)에 동시에 걸쳐지게 결합되어 주축(15) 및 종동축(17)을 일체로 연결하게 되고 주축(15) 및 종동축(17)의 회전시 오히려 강력하게 조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축(15) 및 종동축(17)을 분리시킬 경우에는 도 15와 같이 한쌍의 나사부(90)(91)에 동시 결합된 체결너트(93)를 풀어주면 자연적인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등받이(2)의 경사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편의성을 제공하는 등받이 경사조절수단(30)은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좌석(1)의 양측면에 가이드튜브(31)가 설치된다. 가이드튜브(31)는 하단에 가이드튜브(31)에 내장되는 스프링(32)을 보수, 교체할 경우 개방이 가능하도록 튜브커버(31a)가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만곡진 활대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의 양측 후방에 회동축(33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프레임(33)의 일측에는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홀(34a)이 형성된 이송활대(34)의 일측이 고정되고, 이송활대(34)의 타측은 가이드튜브(31)에 끼워지므로써 선택적으로 이송활대(34)가 회동축(33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가이드튜브(31)로부터 출몰되어 경사도의 조절이 가능케 되며, 회동축(33a)의 후방에는 등받이프레임(33)이 과도하게 제껴져 이송활대(34)가 가이드튜브(31)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는 스토퍼(33b)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활대(34)의 잠금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는 경사도조절구(35)는 가이드튜브(31)의 상측 저면에 설치된 한쌍의 고정편(3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스프링(37)으로 탄지되며 타측의 잠금돌기(38)는 가이드튜브(31)의 통공(31b)을 관통하여 고정홀(34a)에 선택적으로 끼워진다. 따라서 스프링(37)이 탄설된 쪽의 경사도조절구(35)를 누르면 잠금돌기(38)가 도 7과 같이 고정홀(34a)을 이탈하여 이송활대(34)의 잠금상태를 일시 해제하게 되어 이송활대(34)를 회동시켜 등받이(2)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이송활대(34)와 튜브커버(31a) 사이에는 스프링(32)이 탄설되어 잠금상태의 해제 후 이송활대(34)가 자동으로 회동되므로써 후방으로의 경사도조절이 매우 수월하고, 원상태로 복원시 일정한 반발력을 유지하게 된다.
발판(44a)의 경사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편의성을 제공하는 발판 경사조절수단(40)은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회동축(4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고정홀(42)이 형성된 경사조절판(43)이 프레임(3)의 전방에 부착되고 상기 회동축(41)을 중심으로 선단에 발판(44a)이 형성된 발판프레임(44)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발판프레임(44)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편(46)에는 경사도조절구(4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경사도조절구(45)의 일측은 스프링(47)으로 탄지되며 타측의 잠금돌기(48)는 발판프레임(44)의 통공(44b)을 관통하여 고정홀(42)에 선택적으로 끼워진다. 따라서 스프링(47)이 탄설된 쪽의 경사도조절구(45)를 누르면 잠금돌기(48)가 도 9와 같이 고정홀(42)을 이탈하여 경사조절판(43)의 잠금상태를 일시 해제하게 되어 발판프레임(44)을 회동시켜 발판(44a)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조바퀴(5)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흡수수단(50)은 도 10과 같이 프레임(3)의 하부 양측에 실린더(51)가 고정 부착되고, 이 실린더(51)의 내부에는 상하부에 회전지지구(52a)가 내설된 쇽업쇼바(52)가 스프링(53)으로 탄지되게 끼워진다. 그리고 보조바퀴(5)의 회전축(5a)은 상기 회전지지구(52a)에 회전지지된 채 실린더(5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선단부에 회전축(5a)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너트(54)가 결합된다. 이때 회전지지구(52a)의 상하부에는 회전축(5a)에 설치된 이탈방지링(55)이 밀착되어 회전축(5a)이 쇽업쇼바(52)에 일체로 회전지지 되므로써 회전축(5a)이 상하부로 이송하게 되면 동시에 쇽업쇼바(52)가 상하부로 이송하게 되며, 상기 쇽업쇼바(52)의 상하부에도 이탈방지링(55)이 설치되고 이 이탈방지링(55)이 회전지지구(52a)의 상하부에 밀착되므로써 회전축(5a)과 쇽업쇼바(52)가 일체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행시 보조바퀴(5)가 장애물 등에 부딪혀 충격이 가해지면 회전축(5a)이 상부로 밀리면서 동시에 쇽업쇼바(52)가 상부로 이송하여 스프링(53)에 의해 충격이 완화된 후 충격이 다하면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쇽업쇼바(52) 및 보조바퀴(5)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휠체어(6)의 편의성 도모를 위해 설치되는 독서대(60)는 독서는 물론이거니와 간단한 식음료나 음식 등을 먹을 경우 식탁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좌석(1)의 양측 측판(61) 사이에 수납공간(6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62)에는 독서대(60)가 내장된다. 독서대(60)는 상단의 인출돌기(63)가 측판(61)의 상부에 형성된 인출홈(61a)을 통해 외부로 위치되고 하단에는 환요홈(64)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출돌기(63)를 잡아당기면 독서대(60)는 인출홈(61a)을 통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펼쳐지게 되고 하단의 환요홈(64)은 팔거치대(1a)의 하단에 돌설된 돌출환테(65)에 걸려 수평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독서대(60)는 전방 하측이 함몰되게 함몰부(66)가 형성되므로써 독서대(60)를 인출홈(61a)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독서대(60)가 좌석(1)에 착석한 사용자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측판(61)의 내면에는 잡지나, 티슈, 잡화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67)이 설치된다.
또한 편의성 도모를 위해 설치되는 또 다른 구성인 차양(70)은 등받이프레임(33)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접철상태에서 전방으로 펼쳐지면서 햇빛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됨을 방지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퍼(71)를 이용하여 콤팩트한 상태로 접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우천으로 인해 노면이 젖었을 때 휠체어(6)를 주행할 경우 바퀴(4)에 의해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튀김 방지커버(80)는 도 15와 같이 2단으로 설치되어 길이 가변되는 것으로, 바퀴(4)의 상측을 감싸게 고정식커버(81)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식커버(81)의 내측에 가변식커버(82)가 끼워지게 설치되며 각각의 고정식커버(81) 및 가변식커버(82)는 연결간(83)으로 바퀴(4)의 바퀴축(4a)에 연결되므로써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가변식커버(82)의 양단과 고정식커버(81)의 하단은 외향으로 절곡되게 절곡부(84)가 형성되어 가변식커버(82)의 길이가변이 발생되더라도 고정식커버(61)로부터 가변식커버(82)가 분리됨을 방지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7은 프레임(3)과 프레임(3) 사이에 연결되는 보강대이며, 부호 7a는 좌석(1)이 하부로 쳐짐을 방지하는 쳐짐방지프레임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주행방법은 양측에 엇갈리게 설치된 주행레버(16)를 반복적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면 래칫기어(13)가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게 되고 래칫기어(13)의 회전력은 주기어(15a)로 전달되어 주축(15)이 회전하게 된다. 주축(15)이 회전되면 체인(18)을 통해 종동축(17)으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종동축(17)의 회전력에 의해 바퀴(4)가 회전되어 주행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도면상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체인(18)은 다단으로 설치되어 체인기어의 변속을 통해 변속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주행 도중 방향전환이 필요할 경우 회전방향 측의 클러치작동구(27)를 잡아당기면 클러치작동구(27)가 디스크고정판(23)을 외향으로 밀어주어 제2 디스크(26)가 제1 디스크(22)로부터 분리되어 종동축(17)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바퀴(4)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등받이(2) 및 발판(44a)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경사도조절구(35)(45)의 일측을 눌러주면 잠금돌기(38)(48)가 고정홀(34a)(42)을 이탈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며, 이때 등받이(2)와 발판(44a)의 경사도를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본 발명은 휠체어의 양측에 설치된 주행레버를 반복적으로 밀고 당기는 간단한 조작으로 외부의 도움없이 자력으로 휠체어의 주행이 가능하고, 등받이 및 발판의 경사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게 되며, 주행시 보조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사용자에게 충격이 전달됨을 방지하는 한편,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 및 독서를 위한 독서대 등이 부설되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휠체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주행수단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동력 단속상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동력 단속상태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등받이 경사도조절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등받이 경사도조절구의 작동상태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발판 경사도조절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발판 경사도조절구의 작동상태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보조바퀴 충격흡수수단의 작동상태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독서대가 펼져지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독서대가 수납된 상태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차양이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차양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 물튀김 방지커버의 길이 가변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 주축 및 종동축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프레임 4: 바퀴 5: 보조바퀴
10: 주행수단 12: 기어수납판 13: 래칫기어
14,21a,52a: 회전지지구 15: 주축
15a: 주기어 16: 주행레버 17: 종동축
20: 회전력단속수단 22: 제1 디스크 23: 디스크고정판
24: 가이드홀더 26: 제2 디스크 27: 클러치작동구
28,32,37,47,53: 스프링 30: 등받이 각도조절수단
31: 가이드튜브 33: 등받이프레임 34: 이송활대
34a,42: 고정홀 35,45: 경사도조절구 38,48: 잠금돌기
40: 발판 각도조절수단 43: 경사조절판
50: 충격흡수수단 51: 실린더 52: 쇽업쇼바
60: 독서대 63: 인출돌기 64: 환요홈
65: 돌출환테 70: 차양 80: 물튀김 방지커버
94: 세트스크류

Claims (7)

  1. 좌석(1)과 등받이(2)를 구성하는 프레임(3)과, 상기 프레임(3)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구름 동작하는 바퀴(4)와, 상기 프레임(3)의 선단 양측에 설치된 보조바퀴(5)로 구성되며, 상기 바퀴(4)와 일체로 형성된 링 형태의 손잡이를 손으로 회전시켜 구동력을 얻는 횔체어(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 양측에 엇갈리게 설치된 한쌍의 주행레버(16)를 밀고 당기는 반복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여 휠체어(6)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주행수단(10)과,
    상기 바퀴(4) 사이에 연결된 종동축(17) 양측에 설치되고 동시 혹은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클러치작동구(27)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바퀴(4)에 전달되는 종동축(17)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회전력단속수단(20)과,
    상기 좌석(1)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프레임(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 프레임(3)의 회전각을 제어하여 등받이(2)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경사조절수단(30)과,
    상기 프레임(3) 전방에 부착된 경사조절판(4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발판프레임(44)의 회전각을 제어하여 발판(44a)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발판 경사조절수단(40)과,
    상기 보조바퀴(5) 상측에 설치되어 보조바퀴(5)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흡수수단(50)과,
    상기 좌석(1) 양측 측판(61) 사이의 수납공간(62)에 수납되고 상단의 인출돌기(63)를 잡아당기면 인출홈(61a)을 통해 수평상태로 펼쳐지며 하단의 환요홈(64)이 팔거치대(1a) 하단의 돌출환테(65)에 걸려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독서대(60)와,
    상기 등받이프레임(33) 상단에 설치되고 접철상태에서 전방으로 펼쳐지면서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70)과,
    상기 바퀴(4)의 상측을 감싸게 설치되고 주행시 물튀김을 방지하는 물튀김 방지커버(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휠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행수단(10)은 프레임(3) 전방 양측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함몰되게 기어수납홈(11)이 형성된 기어수납판(12)과,
    상기 일측 기어수납홈(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래칫기어(13)와,
    상기 래칫기어(13)와 치합되게 기어수납홈(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주기어(15a)와,
    상기 주기어(15a)가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바퀴(4) 사이에 연결된 종동축(17)에 체인(18)으로 연결되는 주축(15)과,
    상기 래칫기어(13) 및 주기어(15a) 외측에 부착되는 기어커버(19)와,
    상기 래칫기어(13) 양단에 기어커버(19)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게 입설되고 밀고 당김의 반복조작을 통해 래칫기어(13)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주행레버(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휠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력단속수단(20)은 프레임(3) 내측에 설치된 지지대(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단에 가이드홈(17a)이 형성된 종동축(17)과,
    상기 종동축(17) 양단에 일체로 부착되고 방사상으로 결합돌기(22a)가 형성된 제1 디스크(22)와,
    상기 제1 디스크(22)를 관통하여 가이드홈(17a)에 일측의 가이드봉(23a)이 끼워지고 타측의 육각돌기(23b)는 바퀴축(4a) 선단에 설치된 가이드홀더(24)의 육각홀(24a)에 끼워지는 디스크고정판(23)과,
    상기 디스크고정판(23) 내측에 부착되어 제1,2 디스크(22)(26)의 기밀을 유지하는 디스크커버(25)와,
    상기 가이드봉(23a) 외측에 끼워지고 디스크고정판(23)에 일체로 고정된 채 선택적으로 제1 디스크(22)와 결합되는 제2 디스크(26)와,
    상기 지지대(21)에 설치되고 디스크고정판(23)을 외향으로 밀어주어 제1 디스크(22)로부터 제2 디스크(26)를 선택적으로 분리시켜 종동축(17)의 회전을 단속하는 클러치작동구(27)와,
    상기 디스크고정판(23)과 가이드홀더(24) 사이에 탄설되어 디스크고정판(23)에 복원력 제공하는 스프링(2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휠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등받이 경사조절수단(30)은 좌석(1)의 양측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하단에 튜브커버(31a)가 결합된 활대형 가이드튜브(31)와,
    프레임(3) 양측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프레임(33)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3)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이드튜브(31)에 끼워지며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홀(34a)이 형성된 이송활대(34)와,
    상기 가이드튜브(31) 상측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스프링(37)으로 탄지되며 타측의 잠금돌기(38)는 가이드튜브(31)의 통공(31b)을 관통하여 고정홀(34)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이송활대(34)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경사도조절구(35)와,
    상기 이송활대(34)와 튜브커버(31a) 사이에 탄설되어 이송활대(34)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휠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발판 경사조절수단(40)은 프레임(3) 전방에 부착되고 회동축(4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고정홀(42)이 형성된 경사조절판(43)과,
    상기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발판(44a)이 형성된 발판프레임(44)과,
    상기 발판프레임(44)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스프링(47)으로 탄지되며 타측의 잠금돌기(48)는 발판프레임(44)의 통공(44b)를 관통하여 고정홀(42)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발판프레임(44)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경사도조절구(4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휠체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충격흡수수단(50)은 프레임(3) 하부 양측에 실린더(51)가 고정 부착되고, 상기 실린더(51) 내부에는 상하부에 회전지지구(52a)가 내설된 쇽업쇼바(52)가 스프링(53)으로 탄지되는 한편, 보조바퀴(5)의 회전축(5a)은 상기 회전지지구(52a) 상하부에 설치된 이탈방지링(55)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채 실린더(51)를 관통하여 상단에 이탈방지너트(5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휠체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축(15) 및 종동축(17)은 분리형으로 제작되고, 상호 맞닿는 연결부위 선단에는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사부(90)(9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나사부(90)(91)에는 한쌍의 체결너트(92)(93)가 나사결합되되 일측의 체결너트(92)는 주축(15) 및 종동축(17) 회전시 풀림을 방지하도록 세크스크류(94)로 고정되고 타측의 체결너트(93)는 한쌍의 나사부(90)(91)에 동시 결합되며 주축(15) 및 종동축(17) 회전시 더욱 강력하게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휠체어.
KR10-2002-0057627A 2002-09-23 2002-09-23 다기능 휠체어 KR100472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627A KR100472749B1 (ko) 2002-09-23 2002-09-23 다기능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627A KR100472749B1 (ko) 2002-09-23 2002-09-23 다기능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248A KR20040026248A (ko) 2004-03-31
KR100472749B1 true KR100472749B1 (ko) 2005-03-10

Family

ID=3732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627A KR100472749B1 (ko) 2002-09-23 2002-09-23 다기능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7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17Y1 (ko) * 2010-03-22 2013-03-07 (주)한영정공 레그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031B1 (ko) * 2012-05-21 2014-04-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인을 위한 자전거
CN107625589B (zh) * 2017-08-28 2023-10-27 天津大学 一种可折展的外骨骼轮椅一体化多功能移动辅助机器人
CN113397846B (zh) * 2021-07-19 2023-09-08 安徽金宝马家具集团有限公司 一种具备自动刹车功能的椅子
KR102389238B1 (ko) * 2021-11-26 2022-04-21 주식회사 씨더코퍼레이션 보행보조를 위한 실버카
CN114452132B (zh) * 2022-03-07 2023-07-25 郑州大学 一种肺癌患者术后胸腔闭式引流瓶盛放推车
KR200497852Y1 (ko) * 2022-06-17 2024-03-15 미키코리아(주) 휠체어용 사이드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049U (ko) * 1992-04-10 1993-11-25 황철 수동식 휠 체어 (wheel chair)
US5333887A (en) * 1993-11-16 1994-08-02 Joe Sharp Wheelchair/gurney
KR200243997Y1 (ko) * 2001-05-09 2001-10-15 김철호 휠체어의 수동 구동장치
KR200260714Y1 (ko) * 2001-08-08 2002-01-17 권효이 휠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049U (ko) * 1992-04-10 1993-11-25 황철 수동식 휠 체어 (wheel chair)
US5333887A (en) * 1993-11-16 1994-08-02 Joe Sharp Wheelchair/gurney
KR200243997Y1 (ko) * 2001-05-09 2001-10-15 김철호 휠체어의 수동 구동장치
KR200260714Y1 (ko) * 2001-08-08 2002-01-17 권효이 휠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17Y1 (ko) * 2010-03-22 2013-03-07 (주)한영정공 레그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248A (ko)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5708B1 (en) A reconfigurable wheeled personal mobility device
US11826290B2 (en) Folding human mobility device
US20210228433A1 (en) Rollator
US3869146A (en) Occupant actuated means for propelling, stopping, directing, and curb hopping a wheelchair
US20080246246A1 (en) Wheelchair propulsion and exercise attachment
US20040007401A1 (en) Detachable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wheel chair and driving device thereof
US20160221450A1 (en) Automatic folding electronic car
KR100472749B1 (ko) 다기능 휠체어
AU2005263901A1 (en) A drive system for a human powered vehicle
US11234874B2 (en) Electrical power assistance device for transport wheelchair
GB2061197A (en) Modular wheel chair
WO2024002122A1 (zh) 一种折叠座椅及折叠代步工具
EP1951180B1 (en) Wheelchair
JP2005502410A (ja) 迅速脱着可能な、手動車椅子のための2段速ホイール・アセンブリー
US11523953B2 (en) Wheelchair egress system
WO2018204926A1 (en) Tooth clutch transmission for wheelchairs
KR20120134256A (ko) 휠체어
KR100743461B1 (ko) 출력변환기능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WO2021208573A1 (zh) 可折叠轮椅
US6481796B1 (en) Chair having a reclining structure
TWI798223B (zh) 座椅旋轉操縱的電動椅
JP2006141646A (ja) 車椅子用電動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車椅子
CN110588858B (zh) 一种老人代步车
KR20210032870A (ko) 휠체어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JP2014014473A (ja) 電動アシスト駆動車椅子及びそのための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