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900B1 - Light signal column system - Google Patents

Light signal colum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900B1
KR100470900B1 KR10-2002-0069505A KR20020069505A KR100470900B1 KR 100470900 B1 KR100470900 B1 KR 100470900B1 KR 20020069505 A KR20020069505 A KR 20020069505A KR 100470900 B1 KR100470900 B1 KR 10047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unit
outpu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07269A (en
Inventor
이대진
Original Assignee
이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진 filed Critical 이대진
Priority to KR10-2002-006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900B1/en
Publication of KR20030007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2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9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of a ship.

이 같은 본 발명은, 운항중인 선박의 주요 장소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했을 때, 그 이상신호를 작업자나 거주자가 위치하는 알람장치로 전송하는데 있어, 기존 전기설계방식의 적용으로부터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여 통신기능 및 부가적인 기능을 내장함으로써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의 체제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그 체제 변경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normal signal occurs in the main place of the ship in operation, in transmitting the abnormal signal to the alarm device where the operator or occupant is located, to improve various problem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the existing electrical design method The built-in communication function and additional functions reduc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 of the system, and provide an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that can cope with the system change more effectively even if the system change of the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occurs.

Description

알람신호 처리시스템{Light signal column system}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Light signal column system}

본 발명은 선박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항중인 선박의 주요 장소(예; 엔진룸, 선실, 갑판, 연료공급룸 등)에서 이상신호(예; 엔진정지, 화재, 가스누출, 누수 등)가 발생할 때 그 이상신호를 작업자나 거주자가 위치하는 알람장치로 전송하는데 있어, 전기설계방식의 적용으로부터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of a ship, in particular an abnormal signal (e.g., engine stop, fire, gas leak, leakage) in the main place (e.g., engine room, cabin, deck, fuel supply room, etc.) of the ship in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that can improve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the application of an electrical design method in transmitting an abnormal signal to an alarm device in which a worker or a resident are located.

일반적으로,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Light Signal Column)은 선박의 운항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알람신호(EMERGENCY alarm, FIRE alarm, CO2 alarm, DEAD MAN alarm 등)를 종합적으로 모아 선박내의 작업자나 거주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으로, 이는 안전한 선박운행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In general, an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light signal column) collects various alarm signals (EMERGENCY alarm, FIRE alarm, CO2 alarm, DEAD MAN alarm, etc.)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hip to inform the workers or residents of the ship. With the system, this is essential for safe vessel operation.

이러한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 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선박의 주요 장소에 다수 설치되어 사고나 기타 기계고장이 발생할 때 그에 따른 이상신호(Abnormal Signal)를 출력하는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10)와,The general configuration of such an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as shown in Figure 1, is installed in a number of major places of the vessel sensing device of the external system for outputting an abnormal signal according to the accident or other mechanical failure occurs 10,

선박내의 특정장소(예; 조타실)에 설치하되, 상기 외부 시스템 감지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이상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도록 접점의 스위칭동작을 하는 메인(Main) 스위칭부(20)와,A main switching unit 20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eg, steering room) in the ship, the main switching unit 20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of a contact point to branch and output an abnormal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system sensing device 10;

선박내의 주요 장소에 각각 설치하되, 상기 메인 스위칭 부(20)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된 이상신호에 따라 연동의 접점 스위칭동작을 하는 서브(Sub) 스위칭 부(30)와,Sub-sub switching unit 3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main places in the ship, the sub-switch (30) for the interlocking contact switching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bnormal signal output branched from the main switching unit 20,

상기 서브 스위칭 부(30)의 표면 또는 외부에 설치하되, 상기 서브 스위칭 부(30)의 접점 스위칭동작에 따라 선박내의 사고여부를 작업자나 거주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장치(40)로 이루어져 있다.The alarm device 40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r the outside of the sub-switching unit 30, and generates an alarm signal so that an operator or a resident can recognize an accident in the ship according to the contact switching operation of the sub-switching unit 30. )

여기서, 종래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의 내부를 살펴보면, 메인 스위칭 부(20)는 도 2에서와 같이 릴레이 박스 형태로서 그 내부에는 마그네트 제어방식으로 외부 감지장치(10)에 의해 출력된 이상신호에 따라 입력 접점의 스위칭동작이 선택적으로 진행되는 다수의 입력 접점스위치(S1,S2,…,Sn)를 가지고 있으며, Here, looking at the inside of the conventional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the main switching unit 20 is a relay box, as shown in Figure 2 therein in accordance with the abnormal signal output by the external sensing device 10 in the magnet control method therein. It has a plurality of input contact switches (S1, S2, ..., Sn)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put contact is selectively performed,

상기 서브 스위칭 부(30)는 도 3에서와 같이 릴레이 박스 형태로서 그 내부에는 마그네트 제어방식으로 메인 스위칭 부(20)에 의해 이루어지는 입력 접점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출력 접점의 스위칭동작이 선택적으로 진행되는 다수의 출력 접점스위치(S1-1,S1-2,…,Sn-n)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ub-switching unit 30 has a relay box shape, in which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output contact is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put contact made by the main switching unit 20 in a magnet control manner. It has a plurality of output contact switches (S1-1, S1-2, ..., Sn-n).

상기 메인 스위칭 부(20)와 다수의 외부 시스템 감지장치(10)는 도 4에서와 같이 전선을 통해 각각 1:1의 접점스위칭 방식으로 배선되어 있고, 상기 메인 스위칭 부(20)와 다수의 서브 스위칭 부(30)도 각각 1:1의 접점스위칭 방식으로 배선된 전기적인 접속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main switching unit 20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system sensing devices 10 are wired in a 1: 1 contact switching manner through wires as shown in FIG. 4, and the main switching unit 20 and the plurality of subs are connected. The switching unit 30 also has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that is wired in a contact switching method of 1: 1.

즉, 상기 메인 스위칭 부(20)와 다수의 서브 스위칭 부(30)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입출력 접점스위치(S1,S2,…,Sn)(S1-1,S1-2,…,Sn-n)는 전선을 통해 각각 개별적인 연결상태를 이루도록 하였다.That is,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tact switches S1, S2, ..., Sn present in the main switching unit 20 and the plurality of sub-switching units 30 (S1-1, S1-2, ..., Sn-n) The individual connections were made through wires.

그리고, 상기 서브 스위칭 부(30)와 알람장치(40)는 또한 전선을 통해 각각 직렬로 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들 알람장치(40)는 서브 스위칭 표면에 바로 부착될 수도 있고 또한 외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The sub-switching unit 30 and the alarm device 40 are also connected in series via wires. These alarm devices 40 may be attached directly to the sub-switching surface or may be externally attached.

여기서, 상기 알람장치(40)는 선박내의 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 색상을 가지는 회전조명(rotating light)과 알람램프(alarm lamp) 등을 포함하는 시각장치( Visualable Device) 또는, 다양한 음색의 경고음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사이렌(siren) 및 에어 혼(air horn)과 전자 혼(electric horn) 등을 포함하는 청각장치(Audible Device)를 설치하도록 하였다.Here, the alarm device 40 is a visual device including a rotating light having various colors and an alarm lamp, or a warning sound output of various ton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the ship. In order to achieve this, an audible device including a siren, an air horn, an electric horn, and the like is installed.

그러나, 종래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은 메인 스위칭 부(20)와 서브 스위칭 부(30)내의 입출력 접점스위치(S1,S2,…,Sn)(S1-1,S1-2,…,Sn-n)가 마그네트 접점을 이용한 전기접속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는 바, 입력 접점스위치(S1,S2,- ,Sn)의 개수에 출력접점 스위치(S1-1,S1-2,- , Sn-n)를 1:1로 대응시켜서 접속하여야 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the input / output contact switches S1, S2, ..., Sn (S1-1, S1-2, ..., Sn-n) in the main switching unit 20 and the sub-switching unit 30 are It is designed as an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using magnet contacts, and the number of input contact switches (S1, S2,-, Sn) is 1: 1 and the output contact switches (S1-1, S1-2,-, Sn-n) It should be connected in correspondence with.

이로 인하여 입력 증가에 따른 전선(케이블)의 증설이 불가피하며, 이는 작업공수와 유지공수 및 전선(케이블)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This inevitably leads to an increase in wires (cables) due to an increase in input,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labor and maintenance labor and wire (cable) costs.

또한, 종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은 그 처리 시스템의 체제 변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has a disadvantage that does not effectively cope with the system change of the processing system.

즉, 입력의 접점스위치(S1,S2,…,Sn)에 대한 출력사양으로 알람신호의 발생패턴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의 접점스위치(S1-1,S1-2,…,Sn-n)에 대한 변경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전선의 접속을 다시 재결선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That is, when an alarm signal generation pattern is to be changed by the output specifications for the input contact switches S1, S2, ..., Sn, the output contact switches S1-1, S1-2, ..., Sn-n Changes must also be made, which is inconvenient to reconnect the wires again.

또한, 종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은 입력과 출력의 접점스위치(S1,S2,…,Sn)(S1-1,S1-2,…,Sn-n)를 절연하는 기능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바, 이로인하여 알람신호 처리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쇼크 데미지 등이 가해져 손상을 입었을 때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폐단이 따랐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has no function of isolating the contact switches (S1, S2, ..., Sn) (S1-1, S1-2, ..., Sn-n) of the input and output, As a result, when the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was overloaded or damaged due to shock damage, it was necessary to replace the entire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또한, 선박에는 작업자나 거주자의 안전유무를 주기적으로 알려 작업자나 거주자의 사고여부를 통보하는 기능(일명 DMA; Dead Man Alarm)이 있는데, 이러한 DMA 기능은 작업자나 거주자가 맞추어 놓은 시간(예; 30분마다)안에 디엠알 스위치(DMR; Dead Man Reset)를 조작함으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addition, ships have a function to periodically notify the safety of the worker or occupant (not known as DMA; Dead Man Alarm), which is the time set by the operator or occupant (e.g. 30). Every minute) by operating a DMR (Dead Man Reset).

그러나, 상기와 같은 DMA기능의 경우, 종래의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은 자체에 타임 처리 시스템을 갖추지 않음으로 해서, 선박 내에 별도의 타임 처리 시스템을 부착, 또한 그 시스템과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간의 결선이 필요하였다. 이는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림은 물론, 타임 처리 시스템이나 전선 (케이블)비용을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만들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DMA function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does not have a time processing system on its own, so a separate time processing system is attached to the ship,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 and the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is required. It was. This not only reduced the efficiency of the work, but also required additional time handling system and wire (cable) cos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 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항중인 선박의 주요 장소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할 때 그 이상신호를 통신방식을 통해 작업자나 거주자가 위치하는 알람장치로 전송함으로서, 기존 전기설계방식인 마그네트 접속에 의한 1:1의 접점스위칭 방식의 단점을 보완함은 물론 전기 시스템에 CPU 처리방식을 적용, 전기 설계방식의 유용성 결여를 해결하여, 본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비용 절감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생각한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normal signal occurs in the main place of the vessel in operation, the abnormal signal is located by the operator or occupant through the communication method By transmitting to the alarm device, it solves the shortcomings of the 1: 1 contact switching method by the magnet connection, which is the existing electric design method, and also applies the CPU processing method to the electric system, thereby solving the lack of usefulness of the electric design method.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with the user's convenience in mind while reducing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of the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입력과 출력의 접점스위치를 절연하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알람신호 처리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쇼크 데미지 등이 가해져 손상을 입었을 때 그 손상부위에 대한 변경만을 진행시키도록 하여 종래 에서와 같이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전체를 교체하는데 따른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function to insulate the contact switch of the input and output, when the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is overloaded or shock damage is applied to the damage only to change only the damage to the conventio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that can eliminate the discontinuity caused by replacing the entire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알람시스템 내에 타임 처리 시스템을 내장함으로써 DMA기능을 위한 별도의 타임 처리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그에 따른 전선(CABLE)의 연결도 필요하지 않다. 또한 내장된 타임 처리 시스템에 알람 시스템의 출력을 딜레이 시킬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 증진과 함께 시스템의 설치 및 공수비용을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install a separate time processing system for the DMA function by embedding the time processing system in the alarm system, and there is no need to connect the cable accordingly. In addition, by adding a function to delay the output of the alarm system to the built-in time processing system,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ease of use, and to reduce the cost of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system.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For reference, the drawings referred to below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알람 신호 처리시스템의 연결 상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CPU 처리방식을 적용한 메인 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CPU 처리방식을 적용한 서브 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 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n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ain control device using a CPU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ub-controller to which the CPU processing method is applied.

도 6 과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주요 장소에 다수 설치되어 사고나 기타 기계고장이 발생할 때 그에 따른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감지장치(10), 감지장치(10)로부터 출력된 이상신호에 따라 선박내의 사고여부를 작업자나 거주자가 인지하도록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장치(40)를 포함하는 통상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As shown in Figures 6 and 7, a plurality of installations in the main place of the ship outputs an abnormal signal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or other mechanical failure 10, the abnormal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device 10 In the conventional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n alarm device 40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so that the worker or occupant is aware of the accident in the ship,

선박내의 특정장소에 설치되면서 다수의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10)와 접속되어 이상신호를 수신한 후 이상신호에 대응하는 알람신호 발생용 통신 제어신호와 출력을 딜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장치(50)와,It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in the ship and is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10 of a plurality of external systems and receives an abnormal signal, and then outputs a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larm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ignal and a control signal for delaying the output. Controller 50,

선박내의 주요장소에 설치된 다수의 알람장치(40)와 개별적으로 접속하되, 상기 메인 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된 통신제어신호에 따라 알람장치(40)의 알람신호 발생을 제어하고 그 알람신호의 출력사양을 세팅 및 변경시키는 서브 제어장치(60) 및,Individu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larm devices 40 installed in major places in the vesse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50 controls the alarm signal generation of the alarm device 40 and the Sub-controller 60 for setting and changing the output specifications,

상기 메인 제어장치(50)와 서브 제어장치(60)의 입력 단에 설치되어 과부하나 쇼크 및 데미지 등으로 손상이 발생할 때 전원 분리를 통해 알람시스템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연장치(7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t is installed at the input terminal of the main control device 50 and the sub-control device 60 to configure the insulation device 70 to enable replacement of the alarm system by disconnecting the power when damage occurs due to overload, shock, damage, etc. It is characterized by.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장치(50)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ain controller 50,

출력 딜레이 시간과 DMA 기능의 시간을 세팅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키 입력 부(51),A first key input section 51 for outputting a key signal for setting an output delay time and a time of the DMA function,

상기 키 입력 부(51)를 통한 딜레이 타임과 DMA 기능의 타임 정보를 열람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부(52),A first display unit 52 for displaying the delay time through the key input unit 51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DMA function so as to be viewable;

선박내의 각종 사고에 따라 발생하는 이상신호와 딜레이 설정 시간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부(53),A first memory unit 53 fo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an abnormal signal and a delay setting time that occur according to various accidents in the ship,

감지장치(10)로부터 입력된 이상신호를 분석하여 메인 알람 제어 부(56)로 전해주는 이상신호 분석 부(54),The abnormal signal analysis unit 54 for analyzing the abnormal signal input from the sensing device 10 and passing it to the main alarm control unit 56,

설정된 딜레이 시간에 따라 출력을 지연, DMA 기능 등 시스템의 각종 시간관리를 하는 타이머 부(55), Timer unit 55 for delay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set delay time, various time management of the system, such as DMA function,

상기 이상신호 분석 부(54)로부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제 1 메모리 부(53)에 제 1 키 입력 부(51)로 저장된 딜레이 시간을 체크, 딜레이 시간이 경과하면 그 결과에 따른 통신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서브 제어장치(60)로 출력하는 메인 알람 제어 부(5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delay time stored as the first key input unit 51 in the first memory unit 53 is checked according to the result analyzed by the abnormal signal analyzing unit 54. When the delay time has elapsed, the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sult is determined. After generating the main alarm control unit 56 for outputting it to the sub-controller 60,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서브 제어장치(60)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sub-control device 60,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세팅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키 입력 부(61) Second key input unit 61 for outputting a key signal for setting the output specification for each alarm type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상기 제 2 키 입력 부(61)를 통한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을 열람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부(62),A second display unit 62 displaying the output specification for each alarm type through the second key input unit 61;

알람 유형별 세팅된 출력사양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부(63),A second memory unit 63 for storing output specification information set for each alarm type;

메인 제어장치(50)로부터 통신으로 제어신호가 출력될 때 그 출력되는 통신 제어신호가 어떤 종류의 알람 제어신호인지를 판독하는 신호판독 부(64),A signal reading unit 64 for reading what kind of alarm control signal the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outputted when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from the main controller 50 by communication,

상기 신호판독 부(64)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제 2 메모리 부(63)에 저장되어 있는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 정보에 따라 후술하는 신호 래치 부(66)에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보내주는 서브 알람 제어 부(65),The sub-alarm control unit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reading unit 64 and generating and sending an output signal to the signal latch unit 66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output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alarm type stored in the second memory unit 63. 65,

상기 서브 알람 제어 부(65)로부터 출력신호를 받아 래치하여 해당하는 알람장치(40)로 출력하는 신호 래치 부(6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signal latch unit 66 receives the output signal from the sub-alarm control unit 65 and latches the output signal to the corresponding alarm device 4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5 to 7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선박내의 특정장소에 설치된 메인 제어장치(50)를 통해 서브 제어 장치(60)로의 출력 딜레이 타임과 DMA 기능을 사용자 용도에 맞게 설정 및 변경하여 둔다. First, the output delay time and the DMA function to the sub-control device 60 through the main control device 50 installed at a specific place in the ship are set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즉, 상기 메인 제어 장치(50)에는 제 1 키 입력 부(51), 제 1 메모리 부(53), 타이머 부(55), 제 1 디스플레이 부(52)를 포함하고 있는 바,That is, the main control device 50 includes a first key input unit 51, a first memory unit 53, a timer unit 55, and a first display unit 52.

상기 제 1 키 입력 부(51)를 통해 선박내의 거주자나 작업자에게 통보되는 알람신호의 출력 딜레이 시간과 DMA기능을 설정 및 변경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The first key input unit 51 outputs a key signal for setting and changing the output delay time of the alarm signal notified to the occupants or workers in the ship and the DMA function.

그러면, 상기 메인 알람제어 부(56)는 입력되는 키 신호에 따라 타이머 부(55)에 의해 작업자나 거주자에게 통보되는 알람신호의 출력을 지연시킴은 물론, DMA 기능을 실행 할 것이다. Then, the main alarm control unit 56 will delay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notified to the operator or occupant by the timer unit 55 according to the input key signal, as well as execute the DMA function.

여기서, 상기 제 1 메모리 부(53)에는 출력 딜레이와 DMA 기능 설정 및 변경을 저장시키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부(52)에서는 이 설정 및 변경사양을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is case, the first memory unit 53 stores the output delay and the DMA function setting and change, and the first display unit 52 displays the setting and change specification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setting and change information. To make it possible.

다음은, 선박내 주요 장소에 각각 설치된 서브 제어 장치(60)를 통해 알람장치(40)로의 출력을 알람 유형별로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설정 및 변경하여 둔다.Next, the output to the alarm device 40 is set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for each alarm type through the sub-control device 60 installed at each main place in the ship.

즉, 상기 서브 제어 장치(60)에는 제 2 키 입력 부(61), 제 2 메모리 부(63),제 2 디스플레이 부(62)를 포함하고 있는 바,That is, the sub control device 60 includes a second key input unit 61, a second memory unit 63, and a second display unit 62.

상기 제 2 키 입력 부(61)를 통해 알람 유형별 출력 사양을 사용자가 용도에 맞게 설정 및 변경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The second key input unit 61 outputs a key signal for setting and changing an output specification for each alarm type according to a user's purpose.

그러면 상기 제 2 메모리 부(63)에서 설정 정보를 저장시킴으로써 서브 알람 제어 부(65)의 출력에 관여한다.Then, the second memory unit 63 stores the setting information to participate in the output of the sub-alarm control unit 65.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부(62)에서는 제 2 키 입력 부(61)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second display unit 62 displays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econd key input unit 61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setting and change information.

이상과 같이 메인 제어 장치와 서브 제어 장치의 세팅이 끝난 후, 선박의 주요 장소에 다수 설치된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10)로부터 사고나 기타 기계고장에 따른 이상신호가 감지될 때, 상기 감지신호는 선박내의 특정장소에 설치된 메인 제어 장치(50)로 출력된다.After the setting of the main control device and the sub-control devic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bnormal signal according to the accident or other mechanical failure is detected from the sensing device 10 of the external system installed in a number of major places of the ship, the detection signal is It is output to the main control apparatus 50 installed in the specific place in a ship.

그러면, 상기 메인 제어장치(50)내에 설치된 이상신호 분석 부(54)에서는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10)로부터 감지된 이상신호를 분석(어떤 감지 장치인가?)하여 메인 알람 제어 부(56)로 출력한다.Then, the abnormal signal analysis unit 54 installed in the main control device 50 analyzes the abnormal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device 10 of the external system (what kind of detection device?) To the main alarm control unit 56. Output

상기 메인 알람 제어 부(56)에서는 제 1 메모리 부(53)에 저장된 출력 딜레이 시간 및 DMA 기능을 검색하여 그 결과에 따른 딜레이 시간이나 DMA기능의 시간동안 타이머 부(55)를 통해서 지연시킨 후 통신 제어신호를 서브 제어 장치(60)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메인 제어 장치(50)와 서브 제어 장치(60)간의 통신제어 신호로써 출력하게 만듦으로서 통신기능이 가능하게 하였다. The main alarm control unit 56 retrieves the output delay time and the DMA function stored in the first memory unit 53, and delays the delay time through the timer unit 55 during the delay time or the DMA fun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sub-control device 60. In this way,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enabled by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between the main control device 50 and the sub control device 60.

그러면, 상기 서브 제어장치(60)내의 각 구성요소들은 서브 알람 제어 부(65)에 의해 제어되는 바,Then, each component in the sub-control device 60 is controlled by the sub-alarm control unit 65,

상기 서브 알람 제어 부(65)의 제어에 따라 신호 판독 부(64)는 입력되는 통신 제어신호가 어떤 종류의 알람 제어신호인지를 판독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sub-alarm control unit 65, the signal reading unit 64 reads what kind of alarm control signal the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inputted.

이때, 상기 서브 알람 제어 부(65)는 신호 판독 부(64)로부터 판독된 알람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메모리 부(63)에 저장된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 정보에 따라 신호 래치 부(66)로 보내준다. 상기 신호 래치 부(66)에서는 입력된 출력신호를 래치 시킨 후 이를 해당하는 알람장치(40)로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ub-alarm control unit 65 transmits the alarm control signal read from the signal reading unit 64 to the signal latch unit 66 according to the output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alarm type stored in the second memory unit 63. . The signal latch unit 66 latches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the same to the corresponding alarm device 40.

그러면, 상기 알람장치(40)는 입력되는 알람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10)로부터 출력된 이상신호의 세팅된 출력사양 즉, 선박내의 사고종류에 따라 설정된 알람신호를 발생하여 작업자나 거주자가 선박내의 사고종류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n, the alarm device 40 generates an alarm signal set according to the set output specification of the abnormal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device 10 of the external system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input alarm, that is, the type of accident in the ship. It allows the person or occupant to more easily recognize the type of accident in the ship.

다시 말해, 상기 알람장치(40)는 선박내의 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의 색상을 가지는 회전조명과 알람램프 등을 포함하는 시각장치 또는, 다양한 음색의 경고음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사이렌 및 에어 혼과 전자 혼 등을 포함하는 청각장치로 그 설치가 이루어져 있는 바,In other words, the alarm device 40 is a visual device including a rotating light having various colors and an alarm lamp, etc.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the ship, or a siren, an air horn, an electronic horn, etc. to generate a warning sound of various tones. The installation is made of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사용자는 그 알람장치의 출력사양을 서브 제어장치(60)를 통해 임의로 세팅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알람장치(40)는 선박 내에서 사고가 발생할 때 서브 제어장치(60)의 제어를 받아 세팅 및 변경된 사항에 해당하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By allowing the user to arbitrarily set or change the output specification of the alarm device through the sub control device 60, the alarm device 40 is set under the control of the sub control device 60 when an accident occurs in the ship. And to generate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matter.

한편, 상기 메인 제어장치(50)와 서브 제어장치(60)의 입력 단에는 절연장치(70)를 구성 하였는 바,Meanwhile, an insulation device 70 is formed at an input terminal of the main control device 50 and the sub control device 60.

상기 절연장치(70)는 과부하나 쇼크 및 데미지 등으로 알람시스템의 손상이 발생할 때 메인 제어장치(50)와 서브 제어장치(60)의 입력 단의 절연장치 만을 교체함으로써 시스템을 정상 가동하게 하였다.The insulation device 70 operates the system by replacing only the insulation device of the input terminal of the main control device 50 and the sub control device 60 when damage to the alarm system occurs due to overload, shock and damage.

더불어, 상기 메인 제어 장치(50)내에 타이머 부(55)를 내장함으로써 외부에 타임 처리 시스템을 별도 장착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별도의 타임 처리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음으로 해서 그에 따른 전선(케이블)결선 등의 작업공수를 없앨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 제어 장치(50)내의 타이머 부가 작업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타임을 세다가 DMR 스위치 입력여부를 체크, 타임을 다시 세거나 아니면 DEAD MAN ALARM 신호를 알아서 주므로 외부에 타임 처리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In addition, the built-in timer unit 55 in the main control device 50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ime processing system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ime processing system. Eliminate the labor of work. In other words, count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set by the timer operator in the main control device 50, check the input of the DMR switch, count the time again, or recognize the DEAD MAN ALARM signal. There is no need to install 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선박의 알람신호 처리시스템은 운항중인 선박의 주요 장소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할 때 그 이상신호를 통신 방식으로(단 2케이블)작업자나 거주자가 위치하는 알람장치로 전송함으로서, 일반적인 방식(전기설계방식)의 단점을 개선하였다. 다시 말하면, 이상신호의 수에 따라 전선(케이블)을 증설해야 하는 작업공수와 유지공수 및 케이블 비용의 낭비를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해결하였다. 또한 CPU를 내장하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의 체제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그 체제 변경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한편, 입력과 출력의 접점스위치를 절연하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알람신호 처리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쇼크 데미지 등이 가해져 손상을 입었을 때 그 손상부위에 대한 변경만을 진행시키도록 하여 종래 에서와 같이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전체를 교체하는데 따른 폐단을 해소하고, 더불어 알람시스템 내에 타이머 기능을 내장함으로써 별도의 타임 처리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 해서 그 사용상의 편의를 증진 시킴은 물론 설치 비용 및 유지 비용의 절감 또한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of the 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abnormal signal to an alarm device in which a worker or a resident is located in a communication method (only two cables)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a main place of a ship in operation. The shortcomings of the general method (electrical design method) have been improved. In other words, the waste of work labor, maintenance labor, and cable cost that require the extension of wires (cabl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abnormal signals has been solved by applying a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the system is built with a CPU so that even if a system change of the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occurs, the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is overloaded by adding a function to isolate the input and output contact switches more effectively. Or damage from damage caused by shock damage, etc., only changes to the damaged part can be carried out, eliminating the need to replace the entire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as in the prior art, and by adding a timer function in the alarm system. The need for a time-processing system not only improves the ease of use, but also reduce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일반적인 알람신호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도 2는 종래 알람신호 메인 스위칭 부의 상세도.2 is a detailed view of a conventional alarm signal main switching unit.

도 3은 종래 알람신호 서브 스위칭 부의 상세도.3 is a detailed view of a conventional alarm signal sub-switching unit.

도 4는 종래 메인 스위칭 부와 서브 스위칭 부의 연결상태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conventional main switching unit and a sub switching unit.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스위칭 부와 서브 스위칭 부의 연결 상태도.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main switching unit and a sub switching unit formed by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CPU 처리방식을 적용한 메인 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ain control device to which a CPU processing method is appli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CPU 처리방식을 적용한 서브 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7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ub-controller to which the CPU processing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감지장치 40; 알람장치10; Sensing device 40; Alarm device

50; 메인 제어장치 51; 제 1 키 입력 부50; Main controller 51; First key input section

52; 제 1 디스플레이 부 53; 제 1 메모리 부52; A first display unit 53; First memory part

54; 이상신호 분석 부 55; 타이머 부54; Abnormal signal analysis unit 55; Timer

56; 메인 알람 제어 부 60; 서브 제어 장치56; Main alarm control unit 60; Sub control unit

61; 제 2 키 입력부 62; 제 2 디스플레이 부61; A second key input 62; Second display part

63; 제 2 메모리 부 64; 신호 판독 부63; Second memory section 64; Signal reader

65; 서브 알람 제어 부 66; 신호 래치 부65; Sub alarm control unit 66; Signal latch section

70; 절연 장치70; Insulation device

Claims (6)

선박의 주요 장소에 다수 설치되어 사고나 기타 기계고장이 발생할 때 그에따른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이상신호에 따라 선박내의 사고여부를 작업자나 거주자가 인지하도록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장치를 포함하는 통상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Alarm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operator or occupant can recognize whether there is an accident in the ship according to the abnormal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device of the external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the main place of the ship and outputs the abnormal signal according to the accident or other mechanical failure. In a typical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n alarm device, 선박내의 특정장소에 설치되면서 다수의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와 접속되어 이상신호를 수신한 후 이상신호에 대응하는 알람신호 발생용 통신 제어신호와 출력을 딜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장치와,It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in the ship and is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s of a plurality of external systems and receives an abnormal signal, and then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alarm signal generation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ignal and a control signal for delaying the output. , 선박내의 주요장소에 설치된 다수의 알람장치와 개별적으로 접속하되, 상기 메인 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된 통신 제어신호에 따라 알람장치의 알람신호 발생을 제어하고 그 알람신호의 출력사양을 세팅 및 변경시키는 서브 제어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신호 처리시스템.Sub-control which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larm devices installed in major places in the ship individually, controls the alarm signal generation of the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and sets and changes the output specification of the alarm signal.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치와 서브장치 또는 서브장치와 서브장치 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알람 신호 케이블은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두 케이블 통신만으로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가진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The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alarm signal cables connecting the main device and the sub device or the sub device and the sub device are enabled by only two cable communication by applying a communicat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 장치와 서브제어 장치의 입력단에는,The input terminal of the main control device and the sub control device, 과부하나 쇼크 데미지 등으로 손상이 발생할 때 전원 분리를 통해 알람시스템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연장치를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is configured to replace the alarm system by separating the power when damage occurs due to overload or shock da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control device, 출력 딜레이 시간과 DMA기능의 타임을 세팅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키 입력부,A first key input section for outputting a key signal for setting an output delay time and a time of the DMA function, 제 1 키 입력부를 통한 딜레이 타임과 DMA 기능의 타임 정보를 열람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lay time through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DMA function so as to be viewable; 선박내의 각종 사고에 따라 발생하는 이상신호와 딜레이 설정 시간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부,A first memory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an abnormal signal and a delay setting time generated according to various accidents in the ship,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된 이상신호를 분석하여 메인 알람 제어부로 전해주는 이상신호 분석부,An abnormal signal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abnormal signal input from the detection device to pass to the main alarm control unit, 이상신호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제 1 메모리부에 제 1 키입력부로 저장된 딜레이 시간을 체크, 딜레이 시간이 경과하면 그 결과에 따른 통신제어 신호를 생성, 서브제어장치로 출력하는 메인 알람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The main alarm control unit checks the delay time stored as the first key input unit in the first memory uni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abnormal signal analysis unit, and generates a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sult when the delay time elapses,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sub-controller. 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is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 장치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control device, DMA(DEAD MAN ALARM)기능을 별도의 타임 처리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내에서 DMA 기능을 가능하게 하도록 타임 처리 시스템을 내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신호 처리시스템.Alarm signal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time processing system to enable the DMA function within itself without relying on the DMA (DEAD MAN ALARM)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controller,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세팅,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키 입력부,A second key input unit for outputting a key signal by setting an output specification for each alarm type according to a user's convenience; 제 2 키 입력부를 통한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을 열람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부,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utput specification for each alarm type through the second key input unit; 알람 유형별 세팅된 출력사양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부,A second memory unit for storing output specification information set for each alarm type; 메인 제어장치로부터 통신 제어신호가 출력될 때 그 출력되는 통신 제어신호가 어떤 종류의 알람 제어신호인지를 판독하는 신호판독부,A signal reading unit which reads what kind of alarm control signal the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outputted when the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is outpu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신호판독부 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제 2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 정보에 따라 신호 래치부에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보내주는 서브 알람 제어부, A sub-alarm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reading unit and generates and sends an output signal to the signal latch unit according to the output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alarm type stored in the second memory unit; 서브 알람 제어부로부터 출력신호를 받아 래치하여 해당하는 알람 장치로 출력하는 신호 래치부를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하는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And a signal latch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output signal from the sub-alarm control unit, latch the output signal, and output the signal to a corresponding alarm device.
KR10-2002-0069505A 2002-11-11 2002-11-11 Light signal column system KR1004709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505A KR100470900B1 (en) 2002-11-11 2002-11-11 Light signal colum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505A KR100470900B1 (en) 2002-11-11 2002-11-11 Light signal column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599U Division KR200304288Y1 (en) 2002-11-11 2002-11-11 Light signal colum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269A KR20030007269A (en) 2003-01-23
KR100470900B1 true KR100470900B1 (en) 2005-03-08

Family

ID=2772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505A KR100470900B1 (en) 2002-11-11 2002-11-11 Light signal colum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9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257B1 (en) * 2006-12-28 2008-07-29 (주)포스텍 It diagnoses a vessel auxiliary machinery diesel engine condition for the monitoring system
KR101052541B1 (en) * 2008-11-14 2011-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rine alarm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8531316B2 (en) * 2009-10-28 2013-09-10 Nicholas F. Velado Nautic ale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87A (en) * 1983-07-05 1985-01-24 Mitsubishi Heavy Ind Ltd Automatic generating device of ship steering and warning signals
KR930012510A (en) * 1991-12-10 1993-07-20 김주용 Communication module for ship automation control
KR20020065787A (en) * 2001-02-07 2002-08-14 김이곤 Fuzzy type state motion judgement system of telemetry monitoring system
JP2002320701A (en) * 2001-04-25 2002-11-05 Meidensha Corp Computer for div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87A (en) * 1983-07-05 1985-01-24 Mitsubishi Heavy Ind Ltd Automatic generating device of ship steering and warning signals
KR930012510A (en) * 1991-12-10 1993-07-20 김주용 Communication module for ship automation control
KR20020065787A (en) * 2001-02-07 2002-08-14 김이곤 Fuzzy type state motion judgement system of telemetry monitoring system
JP2002320701A (en) * 2001-04-25 2002-11-05 Meidensha Corp Computer for div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269A (en)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169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integrating management based on IOT
KR200384041Y1 (en) Safty alarm device
KR102034894B1 (en) Management system for circuit breakers in switchboard
WO2021086002A1 (en) System for managing disaster safety-type smart electrical panel
KR100783503B1 (en) Digital mosaic system
KR100470900B1 (en) Light signal column system
KR100825359B1 (en) Master CPU structure
JP3395032B2 (en) Switchboard switchgear and operation monitoring control system
KR200304288Y1 (en) Light signal column system
KR101005089B1 (en) A digital protection relay for distributingboard
CN108198370A (en) A kind of automatic fire alarm system for GIL piping lanes
US8912894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a combined burglar/fire alarm having isolation
KR20180115451A (en) Digital electric distribution equipment for display of protective relay condition
KR100626737B1 (en) Duplex control apparatus for micro control of diesel dispersion control system remote terminal equipment
KR20080003282U (en) An apparatus for monitoring a switch gear
KR100783505B1 (en)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JPH05300615A (en) Controller of receiving/distributing equipment
JP2010016537A (en) Extension input/output device for crime prevention system
KR102205262B1 (en) Self-powered smart alarm system
JP2000333324A (en) Supervisory controller
EP2690751B1 (en) Remote annunciator
CN107331099B (en) Elevator fire control signal monitoring devices
KR200426630Y1 (en) Master CPU structure
KR101965110B1 (en) Overheat monitoring system of non-contact type virtuous cycle communication
RU17648U1 (en) GAS-ANALYTICAL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915

Effective date: 200702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526

Effective date: 200702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428

Effective date: 200702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526

Effective date: 200702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828

Effective date: 200702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406

Effective date: 2007110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403

Effective date: 20071108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406

Effective date: 20071108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405

Effective date: 20071108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127

Effective date: 20080214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27

Effective date: 200802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220

Effective date: 2008040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