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231B1 - 화면검색장치 - Google Patents

화면검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231B1
KR100469231B1 KR1019970033534A KR19970033534A KR100469231B1 KR 100469231 B1 KR100469231 B1 KR 100469231B1 KR 1019970033534 A KR1019970033534 A KR 1019970033534A KR 19970033534 A KR19970033534 A KR 19970033534A KR 100469231 B1 KR100469231 B1 KR 100469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image
frame
dc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690A (ko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33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2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0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5Regeneration of digital synchronisat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디지탈 매체의 화면 검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가 입력되면 이를 출력하고 최근이나 이전 디지탈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에서 출력하는 임시 저장된 최근이나 이전 디지탈 이미지를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와 비교하여 찾고자 하는 프레임이면 선택 출력하는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와, 상기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에서 선택 출력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디지탈 매체에 모두 적용 가능하고, 어떤 그림을 보고 지나친 후에 다시 그 화면을 보고싶을 경우 디지탈 카메라등에서 많은 양의 사진 정보 중 일일이 사진을 검색하지 않고 쉽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면 검색장치{Picture Search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탈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매체의 화면 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면 검색장치의 일예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화면 검색장치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화면이 있을 경우 인덱스 방식이나 어드레싱 방식을 이용하여 원하는 화면을 검색한다.
그러나, 상기 인덱스 방식이나 어드레싱 방식은 다른 디지탈 매체의 저장방식과의 차이가 있다.
그리고, 티브이나 어떤 그림을 볼 경우에 보고 지나친 후에 다시 그 화면을 보고 싶을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디지탈 카메라등에서는 많은 양의 사진 정보가 있을 경우 일일이 사진을 검색해서 찾을 수 밖에 없다.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탈 매체의 화면 검색장치에서 인덱스 방식과 어드레스 방식은 다른 디지탈 매체의 저장방식의 차이로 범용성과 호환성이 없고, 그 적용 범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원하는 화면을 기준으로 기존의 저장된 화면 정보와의 비교 검색을 통해 찾고자 하는 화면을 찾을 수 있는 화면 검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검색장치의 특징은 이전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과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분할하여 DCT한 값의 차의 절대값을 구하여 이를 모두 합한 후 일정 경계값과 비교하여 일정 경계값 이하이면 찾고자 하는 프레임으로 출력하는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검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매체의 화면 검색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지탈 매체의 화면 검색장치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11)와, 중앙 처리부(11)의 제어에 의해 입력된 검색하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를 출력하고 이전에 디지탈 이미지를 저장해 놓은 디지탈 저장부(12)와, 중앙 처리부(11)의 제어에 의해 최근 디지탈 이미지를 임시 저장하며 디지탈 저장부(12)에 저장된 이전 디지탈 이미지와 검색하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13)와, 중앙 처리부(11)의 제어에 의해 임시 저장부(13)에 임시 저장된 최근 디지탈 이미지 또는 이전 디지탈 이미지와 검색하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를 비교하여 선택출력하는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14)와,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14)에서 선택 출력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14)는 임시 저장부(13)에서 출력된 이전 디지탈 이미지 또는 최근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임시로 저장 후 출력하는 제 1 버퍼(141)와, 임시 저장부(13)에서 출력된 검색하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임시로 저장 후 출력하는 제 2 버퍼(142)와, 제 1 버퍼(141)에서 출력된 이전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픽셀 또는 매크로 블록으로 분할하여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값을 출력하는 제 1 분할 및 DCT부(143)와, 제 2 버퍼(142)에서 출력된 검색하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 또는 최근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픽셀 또는 매크로 블록으로 분할하여 DCT한 값을 출력하는 제 2 분할 및 DCT부(144)와, 제 1 분할 및 DCT부(143)와 제 2 분할 및 DCT부(144)에서 출력된 DCT한 값의 차를 검출하는 감산기(145)와, 감산기(145)에서 출력된 차의 절대값을 구하여 모두 합하는 연산부(146)와, 연산부(146)에서 출력된 값이 일정 경계값괴 비교하여 일정 경계값 이하이면 현재 입력된 최근 디지탈 이미지 또는 이전 디지탈 이미지를 출력하는 비교 선택부(14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검색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은 도 2의 분할 및 DCT부의 휘도신호와 칼라성분 값 할당에 대한 도면으로써, 먼저, 사용자는 이전에 티브이나 브이씨알을 시청하다가 프레임 정보를 디지탈 저장부(12)에 저장해 놓는다.
그리고, 최근에 사용자가 저장한 프레임 정보는 임시 저장부(13)에 저장해 놓는다.
사용자는 검색할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이전에 프린트 해놓은 자료를 스캐너 등을 통해 디지탈 저장부(12)로 입력하고, 디지탈 저장부(12)에 입력된 검색할 디지탈 이미지는 임시 저장부(13)로 출력된다.
먼저, 임시 저장부(13)에 저장된 최근 프레임 정보와 상기 입력된 검색하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는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14)의 제 1, 2 버퍼(141)(142)로 동시에 출력되어 임시 저장된다.
상기 저장시 각 프레임의 시작 시점과 끝 시점에 대한 정보는 저장된 최근에 프레임 정보와 검색할 디지탈 이미지와의 휘도성분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의 계산시 그림 사이즈의 일치와, 각 화소의 일대일 대응의 정확성을 위해 저장한다.
상기 제 1, 2 버퍼(141)(142)의 임시 저장된 최근 프레임 정보와 검색하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는 제 1, 2 분할 및 DCT부(143)(144)로 출력되고, 제 2 분할 및 DCT부(144)는 입력된 검색하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를 분할(Segmentation)하고, 각 픽셀에 휘도와 칼라성분 값을 할당한다.
여기서, 제 2 분할 및 DCT부(144)는 연산하기 위한 데이터 량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입력된 검색할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의 픽셀값을 Y, Cb, Cr = 4: 4: 4 포맷의 데이터를 도 3과 같이 Y, Cb, Cr = 4: 2: 0 포맷으로 변환하고,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수행한다.
상기 DCT는 매크로 블록단위로 수행하여 연산하기 위한 데이터 량을 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분할 및 DCT부(143)는 최근에 저장해 놓은 프레임 정보도 제 2 분할 및 DCT(144)와 같이 포맷 변환 후 DCT를 수행한다.
상기 제 1, 2 분할 및 DCT부(143)(144)에서 DCT한 값은 감산기(145)에 입력되어 그 차가 연산되고 연산부(146)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DCT 후 양자화를 수행하여 감산기(145)에서 그 차를 연산하여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연산부(146)는 상기 감산기(145)에서 출력되는 값에 절대값을 계산해 그 합을 구하여 비교 및 선택부(147)로 출력한다.
비교 및 선택부(147)는 상기 연산부(146)에서 출력된 값을 임의의 경계값과 비교하여 임의의 경계값 이하이면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15)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비교 및 선택부(147)는 상기 연산부(146)에서 출력된 값을 임의의 경계값과 비교하여 임의의 경계값을 초과하면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가 아닌것으로 판단하여 임시 저장부(13)에 저장된 다음 프레임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가 나올때까지 수행한다.
상기 임시 저장부(13)에 저장된 프레임들중에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가 나오지 않는다면 디지탈 저장부(12)에 저장된 프레임들을 순서대로 읽어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가 나올때까지 검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검색장치는 찾고자 하는 프레임과 저장된 프레임의 경계값을 비교하여 검색하므로 디지탈 매체에 모두 적용 가능하고, 어떤 그림을 보고 지나친 후에 다시 그 화면을 보고싶을 경우 디지탈 카메라등에서 많은 양의 사진 정보 중 일일이 사진을 검색하지 않고 쉽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매체의 화면 검색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분할 및 DCT부의 휘도신호와 칼라성분 값 할당에 대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중앙 처리부 12 : 디지탈 저장부
13 : 임시 저장부 14 :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
15 : 디스플레이부 141, 142 : 버퍼
143, 144 : 분할 및 DCT부 145 : 감산기
146 : 연산부 147 : 비교 및 선택부

Claims (5)

  1.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가 입력되면 이를 출력하고 최근이나 이전 디지탈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에서 출력된 이전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임시 저장 후 출력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저장부에서 출력된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임시 저장 후 출력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에서 출력된 이전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픽셀로 분할하여 DCT한 값을 출력하는 제 1 분할 및 DCT부와, 상기 제 2 버퍼에서 출력된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픽셀로 분할하여 DCT한 값을 출력하는 제 2 분할 및 DCT부와, 상기 제 1 분할 및 DCT부와 제 2 분할 및 DCT부에서 출력된 DCT된 값의 차를 검출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에서 출력된 차의 절대값을 구하여 모두 합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출력된 값이 일정 경계값과 비교하여 일정 경계값 이하이면 현재 입력된 최근 디지탈 이미지 또는 이전 디지탈 이미지를 출력하는 비교 및 선택부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를 포함한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와,
    상기 프레임 비교 및 선택부에서 선택 출력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검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가 입력되면 이를 출력하고 이전 디지탈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디지탈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최근 디지탈 이미지를 임시 저장하며 상기 디지탈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디지탈 이미지와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 후 출력하는 임시 저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검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 및 DCT부 및 제 2 분할 및 DCT부는 상기 제 1, 2 버퍼에서 출력된 이전 디지탈 이미지와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매크로 블록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검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 및 DCT부 및 제 2 분할 및 DCT부는 상기 제 1, 2 버퍼에서 출력된 이전 디지탈 이미지와 찾고자 하는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픽셀로 분할하여 DCT한 후 양자화한 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검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퍼는 상기 임시 저장부에서 출력된 최근 디지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임시 저장 후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검색장치.
KR1019970033534A 1997-07-18 1997-07-18 화면검색장치 KR100469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534A KR100469231B1 (ko) 1997-07-18 1997-07-18 화면검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534A KR100469231B1 (ko) 1997-07-18 1997-07-18 화면검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690A KR19990010690A (ko) 1999-02-18
KR100469231B1 true KR100469231B1 (ko) 2005-03-16

Family

ID=3722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534A KR100469231B1 (ko) 1997-07-18 1997-07-18 화면검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2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4503A (ja) * 1992-06-05 1993-12-24 Fujitsu General Ltd 画像検出装置
JPH06205360A (ja) * 1992-12-28 1994-07-22 Canon Inc 撮像記録装置
JPH08154229A (ja) * 1994-11-25 1996-06-11 Sony Corp 量子化方法及びその装置、高能率符号化装置、記録再生装置並びに情報伝送システム
KR970009397A (ko) * 1995-07-17 1997-02-24 가네꼬 히사시 동화상 압축 유니트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4503A (ja) * 1992-06-05 1993-12-24 Fujitsu General Ltd 画像検出装置
JPH06205360A (ja) * 1992-12-28 1994-07-22 Canon Inc 撮像記録装置
JPH08154229A (ja) * 1994-11-25 1996-06-11 Sony Corp 量子化方法及びその装置、高能率符号化装置、記録再生装置並びに情報伝送システム
KR970009397A (ko) * 1995-07-17 1997-02-24 가네꼬 히사시 동화상 압축 유니트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690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0695A (en) Image coding device for coding image signal to reduce the amount of the information in the image
US7092023B2 (en) Moving image reproducing device equipped with multi-image playback function
JPH0837662A (ja) 画像符号化復号化装置
GB2336267A (en) Image processor controlling B-picture memory
JPH0918782A (ja) 映像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JPH11284948A (ja) サムネイル作成方法及びサムネイル表示方法
US5990976A (en) Video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method of the same
US6924809B2 (en) Method and buffer device for data stream transformation
KR20010108066A (ko) 텍스처 매핑 엔진에서 모션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20020019439A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에서 채널들을 변경하기 위한장치
KR940023250A (ko)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950006768B1 (ko) 라스터 포멧 콘버터 회로
KR100469231B1 (ko) 화면검색장치
JP7324065B2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撮像装置、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6188726B1 (en) Coding/decoding apparatus
JPH07236153A (ja) 動画像のカット点検出およびカット画面グループ検出装置
US6785335B1 (en) Method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and color of MPEG encoded video streams
KR19990041929A (ko) 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압축율 자동-변환 장치
US20030210830A1 (en) Image signal distortion removal apparatus, and image signal distortion removal method
US5774590A (en) Image data reproducing apparatus
JP2677224B2 (ja) 画像取り込み装置
KR100255761B1 (ko) 영상부호화시스템의부호화모드절환제어장치
JPH10145788A (ja) 映像再生装置
JPH06197333A (ja) 画面に重み付けを持たせた画像圧縮方式
JPH10301556A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