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141B1 - 운송 기구 - Google Patents

운송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141B1
KR100468141B1 KR10-2002-0007625A KR20020007625A KR100468141B1 KR 100468141 B1 KR100468141 B1 KR 100468141B1 KR 20020007625 A KR20020007625 A KR 20020007625A KR 100468141 B1 KR100468141 B1 KR 100468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less belt
gear
friction
transport mechanism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427A (ko
Inventor
장병욱
Original Assignee
장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욱 filed Critical 장병욱
Priority to KR10-2002-0007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1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67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75Tracked vehicles for ascending or descending stairs, steep slopes or vert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96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noise reducing means
    • B62D55/0966Low noise rollers, e.g. with antivibr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최소 마찰계수로 계단이나 특수지형에서 물체를 운송하는 운송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 운동 수단, 회전 운동 수단에서 전달된 회전 운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직선 운동 수단 및 직선 운동 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회전 운동 수단은 기어 부재와 기어 부재에 마련된 기어부를 구비하고, 직선 운동 수단은 이중으로 형성된 엔드리스 벨트부와 엔드리스 벨트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마찰흡수 팽이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마찰흡수 팽이수단의 각각은 그 양 단면의 중앙부가 서로 통하도록 마련된 관통구멍과 양 단면에서 중앙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한 장구 또는 실패 형상으로 이루어진 팽이 부재, 관통구멍내에 삽입되어 팽이 부재의 회전을 유지시키는 지지대, 지지대를 유지시키며 엔드리스 벨트부에 결합된 고정 받침대, 엔드리스 벨트부에 결합된 타이어 부재를 구비하며, 이탈 방지 수단은 팽이부재의 상부에 마련되어 팽이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운송 기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운송 기구의 마찰의 영향력이 최소한으로 되도록 구성되므로, 장치의 운영 및 보수에 있어서도 큰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운송 기구{Carrier Mechanism}
본 발명은 계단이나 특수지형에서 물체 또는 사람을 운송하는 운송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쇼핑카트, 택트공구함 트럭, 일륜 운반카, 리어카,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 핸드카, 유모차, 휠체어 등의 운반 기구에 사용되어 계단 등에 있어서 물체 또는 사람에게 충격이나 요동을 가하는 일없이 부드럽게 오르내릴 수 있는 운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운송기구에 있어서는 대부분 운송기구체와 지상과의 최소 마찰력으로 운송효과를 최대로 하기 위해 원으로 된 바퀴를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운송기구에 있어서는 턱이나 계단이 있는 경우 사용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다리, 허리 등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자력으로는 서서 걸을 수가 없기 때문에, 부상자나 장애자들을 위한 이동식의자(휠체어)는 가정이나 옥외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되는 물품이다.
예를 들면, 가정에서는 방, 부엌, 세면실, 화장실, 목욕실, 현관 등과 같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옥외에서는 여러 종류의 도로나 보호 등을 이동하거나 엘리베이터의 승강, 역 대합실 및 여러 건물 내부의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계단이나 굴곡면에서의 이동이 가능한 휠체어와 같은 이동용 의자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이동용 의자는 종래부터 최근까지 일반적으로 전후 좌우 4개의 바퀴를 갖고, 대구경의 후륜 바퀴는 의자에 앉은 사람을 지지하도록 하고, 소구경의 전륜 바퀴는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 이동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즉, 이와 같은 일반적인 휠체어에 있어서, 방향전환은 전륜 측을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킴과 함께, 후륜 측으로 그 일측을 전진방향, 다른 측을 후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따라, 비교적 용이한 방향전환을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근래 복지사회의 발전과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용 의자의 휠체어도 여러 가지의 개량이 실시되고 있으나, 이것을 일상생활과 같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직 여러 가지의 개량할 문제점이 남아 있다.
즉, 여러 종류의 이동용 의자로서 일상생활을 자유롭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리가 나빠 자력으로 서서 걸을 수 없는 사람도 부담 없이 자력으로 이를 실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의자를 탄 상태에서 경사진 도로의 주행 돌출부를 넘어가는 경우에 신체의 중심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등이 요구되나, 이와 같은 것들에 대한 대책이 불충분하여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1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4-0006558호(발명의 명칭 : 계단을 오르내리는 휠체어 캐리어)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상기 기술에 있어서는 계단을 오르내리기 위해, 레일프레임, 한 쌍의 무단벨트크롤러, 구동모터 등으로 구성된 이송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무단벨트크롤러는 그 스팬이 2개 계단 이상에 걸릴 수 있는 거리이며 레일프레임의 한쪽 끝부분에서 통상의 1개 계단이 높이보다는 높이로 돌출된 경사진 돌출부가 있고, 이송부의 프레임에는 핸들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휠체어캐리어에 있어서, 핸들이 함께 선회하도록 하기 위해서 핸들을 고정시키며 휠체어의 바퀴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보디와 핸들(3)과 함께 가이드보디를 선회시키고 가이드보디를 필요한 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해서 연결부재와 가이드보디 사이에 설치하는 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4-0006558호의 기술에 있어서는 기존의 휠체어에 있어서 계단을 오르내리기 위해 가이드보디, 이송부 및 전동식 스크류 잭을 설치해야 하므로, 그 장치가 대형이고 또한 중량이 증대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계단 승강 및 턱을 주행하게 될 때 일반휠체어나 전동흴체어로 주행하고자 할 경우 고가의 승강장치를 별도 구매를 하여야 하며 탈부착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한 보호자가 동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케터필러를 이용한 구동방식을 사용하여 계단이나 턱 그리고 폭이 좁은 도랑 등 바퀴를 이용한 휠체어로 갈 수 없는 곳을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20-0186026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기술은 케터필러를 이용하면서 좌우 구동방향으로 달리 할 수 있는 구동부와 센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전동휠체어로서, 별도의 승강장치를 부착하지 않고 계단 및 턱 그리고 좁은 도랑을 자유롭게 다닐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 의자를 90도, 180도 혹은 사용자 임의로 회전각을 조정함으로써 좌우 이동을 원활히 하며 좌우의 구동을 달리하여 제 위치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하여 전후 좌우 사용자의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이 가능하고 경사진 노면과 계단을 주행하게 될 경우 무게중심의 외부이탈을 방지하여 휠체어의 전복 사고를 방지하고, 의자의 평형을 유지함으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함과 안정감을 되찾을 수 있고, 일반 전동휠체어와 같이 계단이나 턱을 주행할 필요가 없을 경우 바퀴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20-0186026호의 기술에 있어서는 인도블록의 턱, 패어진 홈 등에서 케터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편리할지 모르지만 일반 휠체어로서 다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분리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이를 조작하기 위한 번거로움이 따르며 또한 장애가 심한 경우, 이를 사용할 수 있는 보호자가 동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수의 계단을 오르내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단이나 경사로를 주행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크롤러 등의 무한 궤도를 사용한 주행장치를 이용하거나, 이것을 주행장치인 4개의 바퀴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설치한 것, 혹은 주행성,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접지부에 슬리지형 프레임을 채용한 슬리지식 주행장치를 구비한 것 등의 여러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4륜식의 일반적인 휠체어는 바퀴가 주행하는 궤도상에 존재하는 돌기부나 방해물을 넘는 경우 방해물 등을 넘을 때마다 상하로 진동하여 안락성을 얻을 수 없고, 방해물을 넘을 때마다 상하 운동에 필요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문제점을 갖기 때문에 커다란 방해물을 넘기 위해서는 바퀴의 반경을 보다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 결과 휠체어의 전체적인 크기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무한 궤도나 슬리지식을 이용한 주행장치에 의한 접지점은 4점 이상이 되고, 4륜식에 비하여 굴곡면이나 방해물이 존재하는 주행면들을 주행하는 경우에 주행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어느 주행장치에서도 각 접지 부분에서 방향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각각 변경하는 것이 단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이러한 주행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방향 전환시 많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
즉, 이들 주행장치를 이동용 의자에 설치할 경우 4륜식과 같은 방향 전환이 불가능하고, 방향 전환을 위해서는 주행 장치의 일부 접지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이외의 접지점을 강제적으로 마찰력을 일으키면서 방향을 전환시키지 않고는 방향 전환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한 민국 특허 공보 특1994-000896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용 의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용 의자의 주행장치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라 이 종래의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이동용 의자(10)는 복수개의 파이프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의자 본체(11)와 이 의자 본체(11)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그라운드와 접지되어 의자 본체(11)를 주행시키기 위한 좌, 우 한 쌍의 주행장치(12)를 구비한다.
파이프 골조로 된 의자 본체(11)에서 시이트 쿠숀부와 시이트 등받이부 사이로 걸어져 시이트부(13)를 구성한다. 또한, 의자 본체(11)를 구성하는 다리부(14)의 전방 하측에는 공간이 마련되고, 의자 본체(11)의 시이트부(13)의 쿠숀부 양측에는 팔걸이부(16)가 설치된다.
이 이동용 의자(10)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단부(14a)가 회전 가능한 지지부로서 좌, 우 주행장치(12)축에 지지되는 전, 후 한 쌍의 다리부(14)를 구성하는 전, 후 크랭크형 샤프트, 이들 전, 후 샤프트의 수평부 사이로 개재되어 시이트부(13)를 구성함과 함께 그 양단부가 각 샤프프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용 프레임과 일측 샤프트의 다리부(14)의 일부와 연결용 프레임 간에 신축 가능한 형태로 개재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이 조절 가능하고 그 조정위치로 양 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스크류 축으로 된 연결 레버, 전방측 샤프트의 수평측과 후방측 샤프트의 다리부(14) 하단측간으로 설치되고 사용자가 앉아 있는 통상 시에는 각 다리부(14)가 수직 자세 상태를 유지하도록 힘을 부여하는 인장 스프링으로 된 탄성 수단(44)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주행장치(12)는 주행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의자 본체(11)의 다리부(14)가 연결됨과 함께 그 상하측 주변부 및 이들 양 단측을 연결하는 대략 T자형의 무단 레일부(20a)를 갖는 좌우 한 쌍의 주행 프레임(20), 이들 각 주행 프레임(20) 주위의 무단 레일부(20a)를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접지용 족(21)(22)으로 된 무한궤도(23)를 갖고 있고, 이들 복수의 접지용 족(21)(22)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족이 주행 프레임(20)의 접지측 하변부에 항상 위치하여 접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접지용 족(21)(22)을 주행 프레임(20)측의 무단 레일부(20a)의 접촉점으로부터 접지점까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적어도 장, 단형의 2종류의 접지용 족(21)(22)을 혼합시켜 구성하고, 이들 복수의 접지용 족(21)(22)을 구동벨트로서 상호 연결한 형태로서 주행 프레임(20)측의 무단 레일부(20a)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무한 궤도(23)로 주행 구동시키는 구동용 레버(30)는 사용자가 해당 레버(30)를 왕복시키는 것에 따라 구동력을 일 방향 클러치와 변속 치차 기구 등을갖는 구동 기구부(31)에 전달하고, 그 회전력을 체인 등의 전달 벨트(32)를 통해 주행 프레임(20)의 전면 단부에 지지된 구동기어(33)의 전달 기어부(33a)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기어(33)의 구동 기어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무한 궤도(23)를 구성하는 접지용 족(21)(22)을 프레임(20) 주위로 이동시켜 이동용 의자(10)를 주행시킨다.
(34)는 브레이크 기구(35)에 설치되어 해당 무한 궤도(23)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동 레버로서, 와이어(36a) 등을 통해 연결된 제동 레버(36)를 사용자가 수동 조작 가능한 구동용 레버(30)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것에 따라 무한 궤도(23)를 정지시켜 이동용 의자(10)의 주행을 멈추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계단이나 굴곡이 심한 지형을 이동할 때, 접지용 족이 그 굴곡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고 이에 따라 무한 궤도의 형상도 변형되어 사용자가 그 요동을 느끼게되어 불편하였다.
또,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구동 기어부와 주행 프레임과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 기어부 또는 주행 프레임 중의 어느 하나가 손상되고,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없어 그 다지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축전기등으로 부터의 구동력을 받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장치 자체가 고가로 되어 대중화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쇼핑카트, 일륜 운반카, 리어카,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 핸드카, 유모차 등에 적용하기는 그 실용성이 없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최소 마찰계수로 계단이나 특수지형에서 물체 또는 사람을 운송할 수 있는 운송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단 또는 굴곡이 있는 지형 등에 있어서 물체 또는 사람에게 충격이나 요동을 가하는 일없이 부드럽게 오르내릴 수 있는 운송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착탈 가능한 운송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용 의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용 의자의 주행장치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제1의 기어 부재로 이루어진 회전 운동 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제1의 마찰흡수 팽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제1의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제1의 마찰흡수 팽이부재와 제1의 가이드 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후 측면도,
도 7은 제1의 마찰흡수 팽이부재와 제1의 가이드 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좌우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 기구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제2의 기어 부재로 이루어진 회전 운동 수단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 기구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구조를 핸드카에 적용한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따른 제2의 마찰흡수 팽이부재와 제3의 가이드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3의 마찰흡수 팽이부재와 제4의 가이드 부재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운송 기구 101 : 제1의 기어 부재
102 : 기어부 103 : 마찰흡수 팽이부재
104 : 관통 구멍 105 : 가이드 부재
106 : 테이퍼부 107 : 지지대
108 : 너트 112 : 고정 받침대
115 : 타이어 부재 116 : 튜브 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운송 기구는 쇼핑카트, 택트공구함 트럭, 일륜 운반카, 리어카,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 핸드카, 유모차, 휠체어 등의 본체에 접속하여 계단이나 특수지형에서 물체 또는 사람을 운송할 수 있는 운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 운동 수단, 상기 회전 운동 수단에서 전달된 회전 운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직선 운동 수단 및 상기 직선 운동 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운동 수단은 기어 부재와 상기 기어 부재에 마련된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 운동 수단은 이중으로 형성된 엔드리스 벨트부와 상기 엔드리스 벨트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마찰흡수 팽이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흡수 팽이수단의 각각은 그 양 단면의 중앙부가 서로 통하도록 마련된 관통구멍과 양 단면에서 중앙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한 장구 또는 실패 형상으로 이루어진 팽이 부재, 상기 관통구멍내에 삽입되어 상기 팽이 부재의 회전을 유지시키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유지시키며 상기 엔드리스 벨트부에 결합된 고정 받침대, 상기 엔드리스 벨트부에 결합된 타이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탈 방지 수단은 상기 팽이부재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팽이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운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운송 기구가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한쪽 끝에 테이퍼부가 마련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와 연속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부에서 약 30도 내지 50도로 상승한 상승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 운동 수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운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운송 기구는 상기 회전 운동 수단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전진하고, 상기 회전 운동 수단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제1의 기어 부재로 이루어진 회전 운동 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흡수 팽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제1의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마찰흡수 팽이부재와 제1의 가이드 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후 측면도이고, 도 7은 마찰흡수 팽이부재와 제1의 가이드 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좌우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101)는 계단이나 특수지형에서 물체 또는 사람을 운송하는 운송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부재이고, (102)는 기어부재(101)에 돌출하여 마련된 기어부이다. 도 3의 구조에 있어서는 기어부(102)가 8개 마련된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이는 후술하는 마찰흡수 팽이부재의 설치 간격에 의해 결정되며, 또한 기어부(102)의 높이, 폭, 두께의 크기도 후술하는 마찰흡수 팽이부재에 따라 결정 된다.
또, 이 기어부재의 크기는 운송 대상에 따라 다르지만, 핸드카에 적용하는 경우 30∼100cm정도가 적합하며, 그 재질로서는 용도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기구의 피운송물의 중량이 가벼운 경우 자체의 무게를 경감하기 위해 고강도 합성 수지재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운송 기구의 피운송물의 중량이 무거운 경우 화염 경화와 표면 경화 용접이 가능한 합금 철강, 내부식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 강철, 큰 내 마모성을 갖는 CPM(Crucible Porticle Metallurgy) 공구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103)는 마찰흡수 팽이부재로 사용되는 장구 또는 실패 형상의 팽이 부재(이하, 설명상 실팽이라 한다)이고, (104)는 이 실팽이(103)의 양 단면의 중앙부가 서로 통하도록 마련된 관통구멍이다, 즉, 이 실팽이(10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면에서 중앙부를 향해 오목하게 되도록 오목부가 마련되며, 이 실팽이(103)의 재질도 상술한 기어부재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있어서, (105)는 실팽이(103)의 회전시 그의 중심부를 안내하는 제1의 가이드 부재이고, (106)는 제1의 가이드 부재(105)의 평탄부의 한쪽 끝에 마련된 테이퍼부이다. 제1의 가이드 부재(10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106)가 마련된 직선부와 이 직선부에서 약 30도 내지 50도 정도로 상승한 부분인 상승부 및 상승부에 이어 절곡된 절곡부로 이루어진다. 또, 이 제1의 가이드 부재(105)의 재질도 상술한 기어부재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6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각각의 구조에 의해 회전 운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직선 운동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7에 있어서, (107)는 관통구멍(104)내에 삽입되어 실팽이(103)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대이고, (112)는 지지대(107)를 유지시키는 고정 받침대이다. 이 실팽이(103), 지지대(107) 및 고정 받침대(112)에 의해 마찰흡수 팽이수단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마찰흡수 팽이수단은 실팽이(103)가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마찰흡수 팽이수단은 엔드리스 벨트인 이중 벨트부(113)와 (114)에 결합된다. 이 이중 벨트부는 휨이 좋고 질기며 얇은 제1의 벨트부(113)와 휨이 좋고 질긴 합성 고무재의 제2의 벨트부(114)로 이루어진다.
또,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115)는 일반 자동차에 사용되는 타이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타이어 부재이고, (116)는 정구공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튜브이다. 이 타이어 부재(115)와 튜브(116)에 의해 바퀴부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받침대(112)는 타이어 부재(115)의 상부까지 침입하여 체결되므로, 마찰흡수 팽이수단과 타이어 부재(115)가 일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 바퀴부의 하부 형상을 5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용도에 따라 6각, 8각, 원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가이드 부재(105)는 실팽이(103)에 있어서 중앙의 오목부 상에 마련되고, 제1의 가이드 부재(105)의 직선부와 실팽이의 오목부는 일부분 상에서만 접하게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 운동 수단과 직선 운동 수단이 결합한 상태를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마찰흡수 팽이수단의 일측 단면을 도시하였지만, 도 8에 있어서는 도 6 및 도 7의 마찰흡수 팽이수단이 엔드리스 벨트에 결합된 전체 구성 및 기어부재(101)와 제1의 가이드 부재(105)가 탑재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있어서, (100)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기구로서, 운송 기구 전체의구조, 예를 들어 운송 기구가 작동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구조 등의 형상은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이 아니므로, 이 실시예에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가이드 부재(105)의 테이퍼부(106)는 제1의 기어 부재(101)의 기어부(102)와 당접하지 않도록 마련되고, 엔드리스 벨트로 이루어진 마찰흡수 팽이수단은 제1의 가이드 부재(105)에 의해 지지되어 운송 기구(100)가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제1의 가이드 부재(105)의 직선부에 의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의 가이드 부재(105)의 상승부 및 절곡부에 의해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마찰흡수 팽이수단의 직선 운동은 이 제1의 가이드 부재(105)를 따라 이루어진다. 즉, 도 5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의 가이드 부재(105)의 상승부가 계단 또는 불규칙한 지면 등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30도 내지 50도 정도 상승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마찰흡수 팽이수단을 구비한 엔드리스 벨트도 이러한 구성에 따르게된다.
이 운송 기구(100)는 기어부재(10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전진하고(도 8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후진(도 8에 있어서 왼쪽 방향)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 제1의 기어 부재(101)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의 프레임에 결합되며, 본체를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제1의 기어 부재(101)가 회전하며,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기어부(102)가 실팽이(103)의 중앙의 오목부를 잡아당기거나 밀게되어 마찰흡수 팽이수단을 직진 운동하게 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제2의 기어 부재로 이루어진 회전 운동 수단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도 3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어부(102)가 실팽이(103)의 중앙의 오목부를 잡아당기거나 밀게되어 마찰흡수 팽이수단을 직진 운동하게 하였지만, 도 9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어부재의 기어부(125)가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기어부(125)가 실팽이(103)의 양쪽에 마련된 고정 받침대(112)를 잡아 당기거나 밀게되어 마찰 흡수 부재를 직진 운동하게 하는 구조이다.
즉, 도 9의 구조에 있어서는 기어부(125)의 홈부에 실팽이(103)가 삽입되도록, 기어부(125)의 폭이 도 3에 도시된 기어부(10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고정 받침대(112)에 회전력을 인가하므로, 마찰 흡수 부재를 보다 정밀하게 직진 운동시킬 수 있게된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 10 및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구조를 핸드카에 적용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120)는 제1의 기어 부재에 대응하여 도 6의 절곡부의 위치에 마련된 제3의 기어 부재이고, (121)는 제1의 기어 부재(101)와 일체로 마련된 제1의 톱니부이고, (122)는 제3의 기어 부재(120)와 일체로 마련된 제2의 톱니부이며, 이 제1의 톱니부(121)와 제2의 톱니부(122)는 체인(12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 (124)는 제2의 가이드 부재로서, 직선부와 상승부는 제1의 가이드 부재(105)와 동일한 형상이지만, 제1의 가이드 부재(105)에 비해 절곡부가 마련되는 대신에 상승부의 끝부분에도 직선부와 마찬가지로 테이퍼부가 마련되어 제3의 기어 부재(120)의 기어부와 당접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조를 한 쌍으로 하여 화물을 사용자가 직접 운반하는 핸드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있어서, (126)는 사용자가 핸드카를 이송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이고, (127)는 한 쌍의 제1의 기어 부재(101)를 결합시키는 제1의 결합축이고, (128)는 한 쌍의 제3의 기어 부재(120)를 결합시키는 제2의 결합축이며, (129)는 이송할 화물을 탑재하는 탑재부이다.
이 제3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의 가이드 부재(105)의 상승부가 30도 내지 50도 정도 상승한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3의 기어 부재(120)가 마련되므로, 계단 또는 불규칙한 지면 등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 부재에 의해 계단 또는 불규칙한 지면 등에서도 본체에 이동에 의한 진동, 충격이나 요동을 가하는 일없이 부드럽게 오르내릴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 12 및 도 1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흡수 팽이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마찰흡수 팽이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1의 도 4에 있어서는 마찰흡수 팽이부재로 사용되는 장구 또는 실패 형상의 팽이 부재에 오목부를 하나 마련하고 그 상부에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탑재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운송 기구의 특성에 따라 도 12 및 도 13과 같은 구조로 마련할 수 도 있다.
도 12에 있어서, (130)는 오목부가 2개 마련된 제2의 마찰흡수 팽이부재이고, (131)는 이 2개의 오목부에 각각 마련된 2개의 제3의 가이드 부재이다.
또, 도 13에 있어서, (132)는 오목부가 3개 마련된 제3의 마찰흡수 팽이부재이고, (133)는 이 3개의 오목부에 각각 마련된 3개의 제4의 가이드 부재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를 2개 이상 마련하는 것에 의해, 마찰흡수 팽이수단을 보다 확실하게 가이드하여 마찰흡수 팽이부재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쇼핑카트, 택트공구함 트럭, 일륜 운반카, 리어카,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 핸드카, 유모차, 휠체어 등에 적용하는 기술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등의 앞바퀴에 도 8에 도시된 운송기구를 장착하면, 계단이나 특수한 지형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운송기구를 활용할 수가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송 기구에 의하면, 계단이나 특수한 지형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물품의 운송시 충격이나 요동 없이 편안하게 오르내릴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운송기구에 의하면, 운송 기구에 있어서 그 마찰의 영향력이 최소한으로 되도록 구성되므로, 운송 기구의 각각의 장치의 운영 및 보수에 있어서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3)

  1. 쇼핑카트, 택트공구함 트럭, 일륜 운반카, 리어카,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 핸드카, 유모차, 휠체어 등의 본체에 접속하여 계단이나 특수지형에서 물체 또는 사람을 운송할 수 있는 운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 운동 수단,
    상기 회전 운동 수단에서 전달된 회전 운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직선 운동 수단 및
    상기 직선 운동 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운동 수단은 기어 부재와 상기 기어 부재에 마련된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 운동 수단은 이중으로 형성된 엔드리스 벨트부와 상기 엔드리스 벨트부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마찰흡수 팽이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흡수 팽이수단의 각각은 그 양 단면의 중앙부가 서로 통하도록 마련된 관통구멍과 양 단면에서 중앙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한 장구 또는 실패 형상으로 이루어진 팽이 부재, 상기 관통구멍내에 삽입되어 상기 팽이 부재의 회전을 유지시키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유지시키며 상기 엔드리스 벨트부에 결합된 고정 받침대, 상기 엔드리스 벨트부에 결합된 타이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탈 방지 수단은 상기 팽이부재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팽이부재를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운송 기구가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한쪽 끝에 테이퍼부가 마련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와 연속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부에서 약 30도 내지 50도로 상승한 상승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 운동 수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기구는 상기 회전 운동 수단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전진하고, 상기 회전 운동 수단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기구.
KR10-2002-0007625A 2002-02-08 2002-02-08 운송 기구 KR100468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625A KR100468141B1 (ko) 2002-02-08 2002-02-08 운송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625A KR100468141B1 (ko) 2002-02-08 2002-02-08 운송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427A KR20030067427A (ko) 2003-08-14
KR100468141B1 true KR100468141B1 (ko) 2005-01-26

Family

ID=3222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625A KR100468141B1 (ko) 2002-02-08 2002-02-08 운송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9297A1 (en) * 2008-09-10 2010-03-11 Torvec, Inc. Track suspens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6772A (ja) * 1984-08-10 1986-03-07 Hitachi Metals Ltd キヤタピラ−〔登録商標〕チエ−ン
JPH03169783A (ja) * 1989-11-28 1991-07-23 Iseki & Co Ltd 無限軌道帯式走行装置
KR950001110U (ko) * 1993-06-30 1995-01-03 삼성중공업주식회사 무한궤도형 중장비의 사이드프레임 접지길이 조정장치
JPH08310457A (ja) * 1995-05-16 1996-11-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トラックフレームの泥堆積防止装置
JPH107040A (ja) * 1996-06-20 1998-01-1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クローラ走行装置の可動転輪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6772A (ja) * 1984-08-10 1986-03-07 Hitachi Metals Ltd キヤタピラ−〔登録商標〕チエ−ン
JPH03169783A (ja) * 1989-11-28 1991-07-23 Iseki & Co Ltd 無限軌道帯式走行装置
KR950001110U (ko) * 1993-06-30 1995-01-03 삼성중공업주식회사 무한궤도형 중장비의 사이드프레임 접지길이 조정장치
JPH08310457A (ja) * 1995-05-16 1996-11-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トラックフレームの泥堆積防止装置
JPH107040A (ja) * 1996-06-20 1998-01-1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クローラ走行装置の可動転輪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427A (ko)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18167A1 (en) Omnidirectionally Moving Wheel, Moving Device, Carrying Device, and Massage Device
KR100508472B1 (ko) 구동식 무한궤도를 전륜으로 하는 휠체어
EP3345811B1 (en) Walking mechanism and electric power-assisted vehicle and toy equipped with same
US7422079B2 (en) Intelligent obstacle-overcoming vehicle
US5098087A (en) Pole propelled land vehicle
WO2009069144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US8650710B1 (en) Caster wheel lift and brake assembly
US20110175304A1 (en) One-piece running gear and running assembly comprising it
JP4021907B2 (ja) 走行装置
US8539640B1 (en) Caster wheel lift and brake assembly
US20120169025A1 (en) Asymmetric open-access wheel chair
CN111717315A (zh) 一种三角轮系爬楼车
US20090045002A1 (en) Wheelchair
KR100468141B1 (ko) 운송 기구
KR20200079288A (ko) 장애물을 타넘기 위한 운반 기구
WO2023032409A1 (ja) 運搬器具
KR100668623B1 (ko) 보행 운동 기구
KR100468142B1 (ko) 운송 기구
KR20090036063A (ko) 무한궤도식 전동 휠체어
WO2006103787A1 (ja) 走行装置
CN110816699A (zh) 能变形自平衡的双电驱履带式多功能移动平台
JP4078393B2 (ja) 脚車輪移動装置
JP2002284049A (ja) 車椅子の座面や荷台を水平に保って平地走行並びに階段昇降が可能な運搬車とその走行方法
CN113397844A (zh) 助行器
US10464373B1 (en) Caster wheel lift and brak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