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865B1 -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865B1
KR100467865B1 KR10-2001-0043883A KR20010043883A KR100467865B1 KR 100467865 B1 KR100467865 B1 KR 100467865B1 KR 20010043883 A KR20010043883 A KR 20010043883A KR 100467865 B1 KR100467865 B1 KR 100467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er
wireless internet
broadcas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878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원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원시스템
Priority to KR10-2001-0043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8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련되며, 좀 더 자세하게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되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 제작된 무선 인터넷 방송 컨텐츠의 등록을 처리하는 컨텐츠 등록 서버(600)와; 무선 인터넷 방송 컨텐츠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700)와; 방송국의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등록 서버(600)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의 전송에 필요한 등록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전송 서버(700)로 하여금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서버(400)와;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700)로부터 회원의 컨텐츠 참여에 따라 발생되는 반응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와; 상기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로부터 저장된 반응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이 반응 데이터를 편집하고 방송용 프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여 방송국의 다중화부(200)로 전송하는 방송용 컨텐츠 변환 서버(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환경을 이용하여 종래 일방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공중 방송 프로그램에 쌍방향성을 부가하고, 나아가 실시간으로 방송 참여 결과를 방송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wireless internet service system synchronized with broadcasting program}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련되며, 좀 더 자세하게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되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근래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전송 기술의 발달에 따라 개인 컴퓨터에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무선 인터넷은 그 특유의 이동성이 유선 인터넷의 특징과 결합하여 이용자들에게 편리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 무선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는 간단한 웹 페이지를 조회하거나 문자 메시지, 머드 게임 또는 다양한 컨텐츠의 다운로드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보편화도 눈앞에 다가와 있다.
한편, 기존의 공중파나 케이블을 통한 텔레비젼 방송은 일방적인 프로그램의 송출에 머물러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청자가 자동응답시스템(Automatic Response System)을 통해 음성 안내에 따라 메뉴를 선택함에 의해 프로그램의 진행에 참여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와 같은 기술은 자동응답시스템과 방송 시스템의 연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프로그램 진행이나 신규 프로그램의 제작에 많은 인력이필요하거나 노력이 필요하였다.
또 회선 수와 접속 시간 등의 문제로 동시에 프로그램의 진행에 참가할 수 있는 참여자 수가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이용자 입장에서는 간단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복잡한 메뉴를 따라가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접속의 어려움과 정보 전달의 어려움으로 인해 자동응답시스템으로는 시청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어려웠다.
좀 더 발달된 기술로 인터넷 상에서 여론 조사 등을 진행하면서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방송에 반영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이 기술에 따라 동시 접속 가능한 회원 수를 대폭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었고 사용자의 참여 환경도 매우 개선되었다. 그러나 인터넷 시스템으로 피드백된 사용자의 의사들을 자동으로 취합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실시간으로 반영한다는 것은 시스템간의 연계성의 부족으로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나아가 이동성이 지원되는 무선 인터넷을 통한 방송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위한 시스템은 제안된 적이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성이 지원되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시청자의 의사를 취합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방송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콘텐츠의 신규 등록이 손쉬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콘텐츠를 즐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방송-무선 인터넷 연동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
도 2는 컨텐츠 제어 서버(400)의 일 실시예를 도시
도 3은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의 상세한 블럭도
도 4는 방송용 컨텐츠 변환 서버(400)의 좀 더 상세한 블록도
도 5는 컨텐츠 전송 서버(500)의 좀 더 상세한 블록도
도 6은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컨텐츠를 통해 방송에 실시간으로 참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7은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송국 시스템 20 :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41 : 텔레비젼 42, 43 : 단말기
100 : 프로그램 제어장치 200 : 다중화부
300 : 방송 송출부 400 : 컨텐츠 제어 서버
500 : 컨텐츠 변환 서버 600 : 컨텐츠 등록 서버
700 : 컨텐츠 전송 서버 800 : 회원 반응 처리 서버
900 :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 제작된 무선 인터넷 방송 컨텐츠의 등록을 처리하는 컨텐츠 등록 서버(600)와; 무선 인터넷 방송 컨텐츠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700)와; 방송국의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등록 서버(600)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의 전송에 필요한 등록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전송 서버(700)로 하여금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서버(400)와;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700)로부터 회원의 컨텐츠 참여에 따라 발생되는 반응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와; 상기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로부터 저장된 반응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이 반응 데이터를 편집하고 방송용 프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여 방송국의 다중화부(200)로 전송하는 방송용 컨텐츠 변환 서버(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이동성이 지원되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시청자의 의사를 취합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방송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무선 인터넷을 통해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유리한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콘텐츠를 즐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컨텐츠에 참가하는 회원들의 반응 데이터를 반응 데이터베이스(804)에 저장하는 회원 참여 기록부(802)와; 상기 반응 데이터베이스(804)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방송용 컨텐츠 변환 서버(104)로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 및 전송부(8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유리한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콘텐츠의 신규 등록이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방송-무선 인터넷 연동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시스템은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는 방송국 시스템(10)과 무선 인터넷 시스템(20)으로 구성된다. 이 두 시스템은 실재로는 공간적으로 매우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도 있으며, 전용선이나 케이블과 같은 통신망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각각의 시스템은 몇 개인가의 서버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것은 반드시 물리적인 의미와 일치하지는 않으며, 각각의 서버는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에서 실행되는 다수의 프로세스일 수 있고, 역으로 하나의 서버는 처리 용량과 부하에 따라 다수의 물리적인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컴퓨터 관련 분야에서 다양한 기술이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송국 시스템(10)은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에 필요한 제어를 총괄하는 시스템인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와, 다양한 형식의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송출하는 다중화부(200) 및 방송 신호를 유선 및/또는 무선 망을 통해 송출하는 방송 송출부(300)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중화부(200)에는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의 방송 스케줄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받아 각종 프로그램, 예를 들면 문자 방송이나 음악, 화상 등의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제공원들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이 다중화부(200)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정보에 의해 제작되는 방송용 컨텐츠도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방송 송출부(300)를 통해 전송한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20)은 방송국 시스템(10)의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연동 제어를 위한 연동 신호에 따라 컨텐츠의 제작 및 전송의 동기화에 필요한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컨텐츠 제어 서버(400)와, 이 컨텐츠 제어 서버(400)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처리하는 다수의 서버들(500, 600, 700) 및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와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900)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과 동기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에 프로그램 스케줄에 따라 무선 컨텐츠의 동기화된 송출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 모듈은 스케줄의 특정한 시점에서 컨텐츠 제어 서버(400)로 하여금 특정한 컨텐츠의 송출에 필요한 제어를 행하도록 하는 한편, 다중화부(200)로 하여금 적절한 시점에서 컨텐츠 변환 서버(5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하나 혹은 다수의 타 프로그램과 믹싱하여 송출하거나 자막처리하거나 혹은 단독 프로그램으로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컨텐츠 등록 서버(600)에는 필요한 컨텐츠들이 사전에 제작되어 등록되어져야 하며, 컨텐츠 자체는 컨텐츠 전송 서버(700)에 저장되어진다. 컨텐츠 등록 서버(600)에 등록된 정보는 컨텐츠 전송 서버(700)에 저장된 컨텐츠의 식별에 필요한 정보와, 각각의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들의 식별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는 전송되는 무선 인터넷 컨텐츠에따른 회원들의 반응을 의미있는 방송 컨텐츠로 제작하는 모듈을 포함하도록 프로그램되어져야 한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900)는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42, 43)를 통해 방송국 시스템(10)에서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무선 인터넷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기들(42, 4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이를 다운로드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컨텐츠의 송출과 관련된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는 방송 스케줄에 따라 자동 혹은 수동으로 프로그램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방송 장비들에게 내보낸다. 이에 따라 다양한 포맷의 방송 프로그램들이 다중화부(200)에서 믹싱되거나 혼합되어 방송 송출부(300)를 통해 송출된다. 무선 인터넷을 통한 컨텐츠의 재생 타이밍이 임박하면,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는 컨텐츠의 동기화 재생에 필요한 동기화 신호를 컨텐츠 제어 서버(400)로 출력한다. 이러한 동기화 신호는 재생해야할 컨텐츠를 특정하는 식별 정보와 재생 순서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구체적인 재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와 컨텐츠 제어 서버(400)는 전용선과 같은 디지탈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상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는 재생이 임박한 타이밍에서 극히 간단한 동기화 신호, 예를 들면 특정한 펄스열 만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 동기화 신호에 따라 이루어져야 할 동작들은 컨텐츠 제어 서버(400)의 스케줄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져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제어 서버(400)는 방송국으로부터의 간단한 동기화 신호들의 발생 타이밍으로부터 현재 전송되어야 할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스케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관련 서버에서 필요한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어 서버(400)는 현재 전송되어야 할 컨텐츠의 식별정보로 컨텐츠 등록 서버(600)를 조회하여 현재 재생될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파일들의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이후에 컨텐츠 제어 서버(400)는 이 정보에 따라 컨텐츠전송 서버(700)를 제어하여 컨텐츠 전송 서버(700)가 해당하는 파일들을 전송함으로써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술한 컨텐츠가 전송되고 사용자가 텔레비젼(42)을 시청하면서 단말기(42, 43)를 사용하여 입력한 데이터가 방송 프로그램에 반영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무선 인터넷 컨텐츠는 텔레비젼(41)에서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되어 사용자의 단말기(42, 43)상에서 재생된다. 예를 들어 퀴즈 프로그램에서 퀴즈를 내면 현재 퀴즈 번호와 질문 내용이 단말기(42, 43) 화면 상에 표시되고 회원이 정답을 선택하는 키를 누르면 이 데이터는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처리된다. 이와 같은 회원의 반응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원의 음성 데이터는 물론 이미 출시된 바 있는 일체화된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고 내부의 신호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이미 현재의 단말기는 자체에 음성 코덱을 포함하고 있으며, 간단한 디지탈 영상 처리를 지원하고 있다. 향후 단말기가 지원하게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지문인식, 카메라 기능, 음성 인식 등에 따라 포함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들은 더욱 폭넓은 데이터 처리를 지원함으로써 본 발명을 한층 더 가치있게 만들어줄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회원의 반응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질적으로 시청자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는 이들 저장된 데이터를 통계처리하거나 편집하여 유용한 반응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 반응 컨텐츠는 예를 들면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집계표나 퀴즈의 정답의 분포 혹은 정답자와 오답자의 통계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텔레비젼 화면상에 방송되는 게임에 참가하는 몇 몇 회원들이 입력하는 게임 커맨드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회원들이 입력한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취합하고, 이를 텍스트 마이닝 등의 처리를 거쳐 내용 분석하여 분류하고 그 중 샘플 음성을 추출하여 일련의 의미있는 회원 의견의 샘플들로 방송 중에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영상 데이터도 같이 포함된다면 더욱 풍부한 방송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편집된 반응 결과 데이터는 컨텐츠 변환 서버(500)에서 방송 프로그램과 호환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되어 다중화부(200)로 전송된다.
한편,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에서 이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다양한 무선 인터넷 컨텐츠를 즐기기 위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06)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컨텐츠 제어 서버(40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어 서버(400)는 프로그램 제어 장치 인터페이스부(401)를 통해 방송국 시스템(10)의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로부터 연동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컨텐츠 등록 서버 인터페이스부(406)를 통해 해당 컨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컨텐츠와 관련된 음원 파일명, 문자 데이터 파일명, 포맷 파일명 등을 획득하여 프로그램 편성부(403)에서 저장된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 전송 서버 인터페이스부(407)를 통해 이들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컨텐츠 재생 스케줄은 프로그램 편성부(403)에 미리 저장될 수있으나,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컨텐츠 등록 서버(600)에 특정 파일로 저장되고 프로그램 편성부(403)로 불러들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송출된 컨텐츠에 대한 회원들의 반응은 컨텐츠 변환 서버 인터페이스부(405)를 통한 메인 제어부(404)의 제어에 따라 방송국 시스템(10)의 다중화부(200)로 전송된다.
컨텐츠 등록 서버(600)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를 문자 및 음성, 정지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구축하는 처리를 행한다. 실제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 파일들은 컨텐츠 전송 서버(700)에 저장되나 이들 파일들을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하나 혹은 복수개 결합하여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컨텐츠를 구성하는 파일들의 이름과, 이들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재생하는데 필요한 스케줄 정보 등이 컨텐츠 등록 서버(600)에 저장된다.
도 3은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의 상세한 블럭도이다. 무선 단말기(42, 43)를 통해 방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원 등록을 하여야 하며 회원 등록부(801)는 이를 처리하는 모듈이다. 이 회원 정보는 반응 데이터베이스(804)에 저장된다. 이후 무선 인터넷 방송 컨텐츠를 보면서 회원이 참여하면서 발생하는 데이터는 회원 참여 기록부(302)에서 반응 데이터베이스(804)에 저장하며, 이 정보를 데이터 수집 및 전송부(303)에서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편집하여 방송용 컨텐츠 변환 서버(104)로 전송한다.
도 4는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공중파 방송국 시스템(10)과 호환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방송국 시스템(10)의 다중화부(200)에서 다중화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방송용 컨텐츠 변환 서버(400)의 좀 더 상세한 블록도이다. 이 서버는 컨텐츠 제어 서버(400)의 신호를 인터페이스부(501)를 통해 수신, 해석하여 어떤 형식의 방송용 컨텐츠 정보로 변환할 것인가를 결정하여 변환부(403)에게 변환 형식을 전달한다.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로부터 데이터는 데이터 수신부(502)에서 수신되고 이는 변환부(503)에서 설정되는 변환 형식에 따라 변환되며, 컨텐츠 제어 서버(501)의 제어 명령에 따라 다중화부 인터페이스부(508)를 통해 방송국의 다중화부(200)로 전송된다.
도 5는 무선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고,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500)의 일 실시예의 좀 더 상세한 블록도이다. 이 서버는 컨텐츠 등록 서버 인터페이스부(502)를 통해 컨텐츠를 등록받아 이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703)에 저장한다. 재생 시에는 컨텐츠 제어 서버(400)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인터페이스부(701)를 통해 수신하고 해석하여 그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703)에 저장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이를 무선 단말기 통신 인터페이스부(702)를 통해 다양한 통신 방법, 예를 들면 TCP/IP, HTTP, UDP, SMS, WAP PUSH 등에 따라 전송한다.
도 6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컨텐츠를 통해 방송에 실시간으로 참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 망을 접속하여 방송국을 선택한다(S610, S620). 현재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참여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90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S630, S640). 이후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방송 싸이트에 로그인을 거쳐 접속하(S650)며, 컨텐츠를 수신한다(S660). 실시간으로 방송에 참여하는 시점에서 사용자는 참여를 원할 경우 데이터를 입력하여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로 데이터가 전송된다(S670, S680).
도7은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무선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한 컨텐츠 제공업체는 이를 컨텐츠 등록 서버(600)를 통해 등록한다(S710). 컨텐츠의 등록 정보는 컨텐츠 등록 서버(600)에 저장되며, 컨텐츠 재생에 필요한 파일들은 컨텐츠 전송 서버(700)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703)에 저장된다. 이후에 방송국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가 동기화 신호를 송출하면 이를 수신하여(S720), 그에 따라 무선 방송 컨텐츠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송출한다(S730). 이후에 회원이 방송에 참여함에 따라 무선 단말기로부터 참여 데이터가 수신되면(S740)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는 이를 축적한다. 컨텐츠 변환 서버(500)는 이 축적된 데이터를 실시간 혹은 일정 주기로 수신하여 컨텐츠 제어 서버(400)로부터의 제어 명령 혹은 자체 판단에 따라 변환이 필요한 지를 검토한다(S750). 검토결과 필요한 경우 이를 변환하며(S760), 다음으로 컨텐츠 제어 서버(400)의 제어에 따라 방송국으로 전송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는지를 검토한다(S770). 검토결과 필요한 경우 컨텐츠 변환 서버(500)는 해당 프로그램을 방송국 시스템(10)의 다중화부(200)로 전송한다(S780). 방송국에서는 다중화부(200)에서 취합된 프로그램이 방송 송출부(300)에서 송출된다(S790).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방송 프로그램에서 자신이 참여한 결과를 확인하면서 방송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환경을 이용하여 종래 일방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공중 방송 프로그램에 쌍방향성을 부가하고, 나아가 실시간으로 방송 참여 결과를 방송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마치 리모콘을 사용하듯이 방송 프로그램에 참가할 수 있으며, 단말기 화면과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과 동기화되면서도 독자적인 컨텐츠에 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이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관심 없이도 자동으로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것을 지원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5)

  1. 삭제
  2. 방송국 시스템과 연계 가능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제작된 무선 인터넷 방송 컨텐츠의 등록을 처리하는 컨텐츠 등록 서버(600)와;
    무선 인터넷 방송 컨텐츠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700)와;
    상기 방송국의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등록 서버(600)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의 전송에 필요한 등록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전송 서버(700)로 하여금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서버(400)와;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700)로부터 회원의 컨텐츠 참여에 따라 발생되는 반응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와;
    상기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로부터 저장된 반응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이 반응 데이터를 편집하고 방송용 프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국의 다중화부(200)로 전송하는 방송용 컨텐츠 변환 서버(500)와;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무선 인터넷을 통해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 서버(400)가 :
    방송국의 프로그램 제어 장치(100)의 동기 신호에 따라 무선 방송용 컨텐츠를 동기화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을 편성하는 프로그램 편성부(4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4. 제 2 항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가 :
    컨텐츠에 참가하는 회원들의 반응 데이터를 반응 데이터베이스(804)에 저장하는 회원 참여 기록부(802)와;
    상기 반응 데이터베이스(804)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방송용 컨텐츠 변환 서버(104)로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 및 전송부(8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5. 제 2항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변환 서버(500)가 회원 반응 처리 서버(800)로부터 회원 반응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제작하여 다중화부(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2001-0043883A 2001-07-20 2001-07-20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0467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883A KR100467865B1 (ko) 2001-07-20 2001-07-20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883A KR100467865B1 (ko) 2001-07-20 2001-07-20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878A KR20030008878A (ko) 2003-01-29
KR100467865B1 true KR100467865B1 (ko) 2005-01-24

Family

ID=2771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883A KR100467865B1 (ko) 2001-07-20 2001-07-20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3994A1 (en) * 2003-07-02 2005-01-13 Ho-Cheol Yoo Method for allowing real-time-participating in broadcasting program and system therefor
KR100700873B1 (ko) * 2004-03-30 2007-03-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참여 방법 및 방송 참여를 위한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0630897B1 (ko) * 2004-07-05 2006-10-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대화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691788B1 (ko) * 2004-10-28 2007-03-12 주식회사 한국라임티비 개인 컨텐츠 방송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과 그를이용한 방송 수신기
CN101156330A (zh) * 2005-04-02 2008-04-02 三星电子株式会社 移动广播系统中的文件分发方法和装置
US8374591B2 (en) 2006-03-03 2013-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KR102026454B1 (ko) * 2018-01-05 2019-09-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복수의 촬영 영상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5773A (en) * 1987-09-04 1989-03-13 Mitsui Petrochemical Ind Manufacture of separator for alkaline battery
JPH10200493A (ja) * 1997-01-10 1998-07-31 Toshib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00030869A (ko) * 2000-03-22 2000-06-05 안종배 인터넷 환경을 이용한 실시간 쌍방향 티브이방송 시스템
KR20000036601A (ko) * 2000-03-23 2000-07-05 안영진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광고, 조사, 이벤트 효과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0020A (ko) * 2000-05-10 2000-08-05 강신창 Diy-net의 웹 부라우저와 그 결합방식, 그리고부가된 asp에 관한 bm
KR20000054700A (ko) * 2000-06-19 2000-09-05 손병주 이중가격제도를 이용한 인터넷 구매 유도로 도메인광고효과 증대 및 판매효과 극대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5773A (en) * 1987-09-04 1989-03-13 Mitsui Petrochemical Ind Manufacture of separator for alkaline battery
JPH10200493A (ja) * 1997-01-10 1998-07-31 Toshib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00030869A (ko) * 2000-03-22 2000-06-05 안종배 인터넷 환경을 이용한 실시간 쌍방향 티브이방송 시스템
KR20000036601A (ko) * 2000-03-23 2000-07-05 안영진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광고, 조사, 이벤트 효과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0020A (ko) * 2000-05-10 2000-08-05 강신창 Diy-net의 웹 부라우저와 그 결합방식, 그리고부가된 asp에 관한 bm
KR20000054700A (ko) * 2000-06-19 2000-09-05 손병주 이중가격제도를 이용한 인터넷 구매 유도로 도메인광고효과 증대 및 판매효과 극대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878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741B1 (ko) 쌍방향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화일액세스 방법
KR100427814B1 (ko) 단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양방향 접속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호스트 장치
US84025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programming using captioning
KR100801366B1 (ko) 정보 제공장치, 정보 이용장치, 정보 가공장치, 정보제공시스템, 정보 제공방법, 정보 이용방법 및 기록매체
EP1107535A2 (en) Enhanced video programm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distributed community network
JP4378576B2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供給装置および方法、双方向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EP1089566A1 (en) Enhanced video programm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 web page staging area
EP16310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7116669A (ja) サブ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関連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1472013B1 (ko)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JP2001527724A (ja) 送信媒体にネットワークで接続している資源へのリンクを埋設する方法
US20070074250A1 (en) Sub-contents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ents related service providing system
KR100467865B1 (ko) 방송 프로그램과 동기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0393417B1 (ko) 공연 실황을 중계하는 인터넷 방송 방법 및 그 장치
EP1901559A1 (en) Bidirectional service system and multimedia content transmission device
JP2002351912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情報収集作成端末装置、情報提供装置、情報利用端末装置およびそれらを動作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ならびに、情報配信方法
KR20020000288A (ko) 인터넷 방송 시청자 반응도 조사 시스템
KR100803759B1 (ko) 케이블 tv 홈쇼핑방송에서 데이터 방송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JP2004128621A (ja) 番組表サービスシステムのユーザ端末、放送番組録画プログラム及び録画方法
JP200129843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端末装置
CN114827691B (zh) 一种基于电子节目单的用户专属频道定制方法、系统
JP2002278867A5 (ko)
WO2003090014A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based interactive television
JP2002209200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送信装置及び情報受信装置
KR100689063B1 (ko) 버추얼 양방향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