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062B1 -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062B1
KR100467062B1 KR1020030089515A KR20030089515A KR100467062B1 KR 100467062 B1 KR100467062 B1 KR 100467062B1 KR 1020030089515 A KR1020030089515 A KR 1020030089515A KR 20030089515 A KR20030089515 A KR 20030089515A KR 100467062 B1 KR100467062 B1 KR 100467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oam
carrier
porous
foam carrier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원식
김영훈
현병욱
박병주
이인중
Original Assignee
김영훈
신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신원식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102003008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담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활성탄과 같이 오염물질 흡착과 미생물 서식공간의 제공을 위한 표면적 확대물질이 첨가되고, 이 표면적 확대물질로 인하여 약화된 폴리우레탄 폼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가교제가 첨가되며, 더 나아가 폴리우레탄 폼의 비중 증가를 위하여 철과 같은 가중물질이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담체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담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방법은 오염물질 흡착과 미생물 서식공간을 제공을 위한 분말의 표면적 확대물질, 내구성 향상을 위한 가교제 및 폴리우레탄 폼의 비중 증가를 위한 가중물질을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수용액에 분산시키는 재료혼합 단계; 및 상기 분산 수용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을 발포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POROUS POLYURETHANE FOAM MEDIA AND MEDIA THEREOF}
본 발명은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에 표면적 확대물질, 가교제 및 가중물질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폐수, 축산폐수, 생활하수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 담체를 사용하여 미생물을 부착시켜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담체로는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제올라이트, 세라믹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담체는 미생물 부착이 힘들어서 오폐수의 처리가 잘 되지 않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계적인 힘에 의한 마모에 의해 담체의 내구성이 떨어져서 오폐수 처리 능력이 문제가 된다. 특히 오염물질 흡착과 미생물 서식공간을 제공을 위한 표면적 확대물질을 담지한 페수처리용 폴리우레탄의 폼 담체가 사용되고 있으나, 표면적 확대물질이 폴리우레탄에 대하여 이물질로 작용하므로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담체의 약화된 내구성은 교반되는 반응조에서 오폐수 처리 능력이 더욱 문제가 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232398호에는 폴리우레탄 또는 그 유도체인 담체(밀도 20~80kg/㎥)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을 비롯한 종래 폴리우레탄 폼 담체는 비중이 1 보다 작아서 물에 부유하므로 오염물질 제거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52836호에는 생물학적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로서 활성탄, 숯, 이온교환수지 및 천연점토 등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폼 담체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은 바이오필름(biofilm) 형성능이 있고, 오염물질의 흡착능은 뛰어나지만, 사용중에 담체가 부서지는 등 담체의 내구성의 문제가 있으며, 비중이 낮아 반응조에서 부유하여 오폐수 처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미생물 담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활성탄과 같은 표면적 확대물질이 담지되는 것으로 인하여 약화되는 폴리우레탄 폼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의 발포 전에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아울러 미생물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시 비중이 커서 담체가 물에 가라앉을 수 있으면서도 교반되는 반응조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도록 적절한 비중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이 되도록 가중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100g의 프리폴리머에 5g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영가철 2g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폼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이 물에 가라앉은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이 물에 떠있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1에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생물학적 제거능을 비교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2에서 COD농도 3,200ppm의 산업폐수를 비교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염물질 흡착과 미생물 서식공간을 제공을 위한 분말의 표면적 확대물질, 내구성 향상을 위한 가교제 및 폴리우레탄폼의 비중 증가를 위한 가중물질을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수용액에 분산시키는 재료혼합 단계; 및 상기 분산 수용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을 발포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내부에 표면적 확대물질, 가교제 및 가중물질이 담지된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의 미생물 담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폴리우레탄 폼의 내구성이 강화되며, 하 · 폐수 처리의 효율을 높여 교반되는 반응조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수용액에 표면적 확대물질, 가교제 및 가중물질을 분산시키는 재료혼합 단계; 및 상기 분산 수용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을 발포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료혼합 단계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는 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bischloroformate) 화합물을 디아민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올 화합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로서, 예를 들어, MDI(4,4'-methylenebis (phenylisocyatae)) 또는 TDI(toluene diisocyanate) 등이 있으며, 상업적으로는 Dow chemical社의 상품명 Hypol 2000 또는 Hypol 3000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각종 개시제(initiator), 실리콘계 정포제, 주석촉매, 아민촉매, 또는 물을 첨가하여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에 분산되는 표면적 확대물질은 활성탄, 숯, 이온교환수지(예: 앰버라이트(Amberlite), XAD 등), 천연점토, 제올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세포라이트, 돌마이트, 바라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분산이 잘 되도록 미세분말로 첨가된다. 이러한 각종 표면적 확대물질은 담체에서 제거대상 유기 및 무기오염물질을 흡착하는 기능과 미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여 미생물을 이용한 하 · 폐수 처리의 효율을 높이고, 미생물 부착성능이 뛰어나므로 궁극적으로는 슬러지 발생량을 감소시킨다.
그런데, 종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에 표면적 확대물질만을 분산시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은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폼의 내구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교제를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발포시 가교(crosslink)에 의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내구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교제는 트리에탄올 아민, 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의 유도체를 비롯하여 공지된 가교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 선택의 제한은 가교성능과 가격을 고려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교제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g을 함유하는 용기 1L 중에 50g/L 첨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료혼합 단계에서 가중물질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의 비중을 증가시켜 담체가 오폐수가 투입된 각종 반응조(고정층 반응기(packed bed reactor), 유동층 반응기(moving bed bioreactor(MBBR), SBR(Sequencing bacth reactor), HBR(Hybrid Biological Reactor) 등)에서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 · 폐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가중물질은 산화철이나 영가철일 수 있으며, 특히 가중물질이 삼방정계 헤마타이트일 경우, 헤마타이트는 가중물질과 표적적 확대물질의 기능을 겸할 수 있고 공업용 헤마타이트를 사용할 경우 가격면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갖는다.
가중물질은 역시 미세분말이어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수용액에 잘 분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종적으로 얻어진 담체의 비중은 1.0 내지 1.3,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1 인 것이 하 · 폐수 중에 쉽게 부유되지 않으면서도, 너무 비중이 크지 않아서 교반되는 반응조에 기계적인 과부하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표면적 확대물질과 가중물질은 100메쉬 이하인 크기를 갖는 것이 좋으며, 이는 100메쉬 이상인 경우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강도가 담체로서는 부적합해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필요한 담체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g을 함유하는 용기 1L 중에 첨가되는 표면적 확대물질과 가중물질은 각각 3~20g/L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단계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Tween 80이 있으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SDS(sodium dodecyl sulfate)가 있는데, 이들을 비롯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g을 함유하는 용기 1L 중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는 5 내지 100g/L 정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 담체는 다공성이면서 내구성이 강화되고 비중이 크므로 미생물의 고정화 담체로서 뛰어난 성능을 가지게 되어 하 · 폐수 내 고농도의 COD, BOD, 질소, 인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와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중과 내구성이 능가된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prepolymer, Dow Chemical 사의 Hypol 3000) 100 g을 1 L용기에 넣은 다음, 300 메쉬 이하의 20 g의 활성탄, 가교제로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 amine) 50g 및 과 5 g의 헤마타이트을 첨가하여 분산시켰다. 이후 분산 수용액에 30g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Tween 80을 첨가하여 발포시켜 비중과 내구성이 능가된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제조하였다.(비중 : 1.08, 인장강도 : 7.14kg/㎡)
실시예 2> 가교제로서 글리세린의 첨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가교제로 트리에탄올아민 대신 글리세린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제조하였다.(비중 : 1.07, 인장강도 : 7.08kg/㎡)
비교예 1> 비중이 증가된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은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제조하였다.(비중 : 1.10, 인장강도 : 3.11kg/㎡)
비교예 2> 활성탄 첨가된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가교제 및 가중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제조하였다.(비중 : 0.94, 인장강도 : 3.18kg/㎡)
실험예 1> BOD 및 COD 제거 효율의 측정
상기 실험에서는 실시예1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하수에서 BOD 제거효율 측정하였다.
2L 크기의 회분식 반응기에 BOD 농도 200ppm 포함하는 하수를 넣고, 페수처리장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부착된 활성탄 담지 폴리우레탄을 넣어서, 폭기하여 용존산소의 농도를 2ppm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시간에 따른 BOD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4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생물학적 제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같은 방법으로 COD농도 3,200ppm의 산업폐수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비중과 내구성이 능가된 폴리우레탄 폼 담체는 유입수에 비하여 유출수에서의 BOD 및 COD는 제로에 가까울 정도로 완전하게 제거된 반면에 비교예 1의 비중이 증가된 폴리우레탄 폼 담체, 비교예 2의 활성탄 첨가된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폴리우레탄 폼 담체는 유입수에 비하여 유출수에서의 BOD 및 COD는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는 장기간 사용시에도 처음과 마찬가지로 유입수에 비하여 유출수에서의 BOD 및 COD는 제로에 가까울 정도로 완전하게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어, 표면적 확대물질로 인하여 약화되는 폴리우레탄 폼의 내구성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고, 이와 아울러 철과 같은 가중물질을 첨가하더라도 미생물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시 담체가 물에 가라앉을 수 있으면서도 교반되는 반응조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도록 적절한 비중을 갖는 담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각종 오폐수 제거효율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하수, 오수, 섬유산업폐수, 도축폐수에서 연속반응기를 이용하여 폐수처리효율을 측정하였다. 연속반응기에 미생물이 부착된 고비표면적, 고강도, 고밀도의 폴리우레탄을 용적율 30-60%로 넣고 폭기하여 용존산소의 농도를 3ppm 이상으로 유지하여 60일 이상 장기 운전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는 활성탄과 같은 표면적 확대물질이 담지되어 있어 미생물 부착효율이 뛰어나고 오폐수의 유·무기 오염물질에 대한 흡착효율이 뛰어난 것임을 확인 할 수 있다.
[표 1]
구 분 폐수종류/ HRT(hr)하수/24 오수/12 산업폐수/36 도축도계폐수/36
조사항목 유입수 (mg/L) 유출수 (mg/L) 유입수 (mg/L) 유출수 (mg/L) 유입수 (mg/L) 유출수 (mg/L) 유입수 (mg/L) 유출수 (mg/L)
BOD 203 1.5 615 5 1,540 45 660 12
COD 92 7.4 255 8 2,800 54 2,030 23
SS 159 1.2 217 4 482 20 155 11
TN 40 3.4 35 2.5 150 8.2
TP 3 0.5 20 3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는 활성탄과 같은 표면적 확대물질이 담지되어 있어 미생물 부착효율이 뛰어나고 오폐수의 유·무기 오염물질에 대한 흡착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미생물 담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내구성이 강화되며, 하 · 폐수 처리의 효율을 높여 교반되는 반응조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오염물질 흡착과 미생물 서식공간을 제공을 위한 분말의 표면적 확대물질, 내구성 향상을 위한 가교제 및 폴리우레탄 폼의 비중을 증가시키기 위한 산화철 또는 영가철을 분산시키는 재료혼합 단계;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을 발포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폼의 비중이 1.0 내지 1.3인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적 확대물질은 활성탄, 숯, 이온교환수지, 천연점토, 제올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세포라이트, 돌마이트, 바라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적 확대물질과 가중물질은 100메쉬 이하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트리에탄올아민, 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의 제조방법.
  7.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내부에 활성탄, 숯, 이온교환수지, 천연점토, 제올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세포라이트, 돌마이트, 바라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면적 확대물질, 트리에탄올아민, 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교제 및 산화철이나 영가철 중에서 선택되는 가중물질이 담지된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물질은 산화철인 헤마타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의 비중은 1.0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KR1020030089515A 2003-12-10 2003-12-10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67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515A KR100467062B1 (ko) 2003-12-10 2003-12-10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515A KR100467062B1 (ko) 2003-12-10 2003-12-10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7062B1 true KR100467062B1 (ko) 2005-01-24

Family

ID=3722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515A KR100467062B1 (ko) 2003-12-10 2003-12-10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0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153U (ko) 2015-03-10 2016-09-21 이동혁 기밀 효과를 높인 창호용 잠금장치
KR101891525B1 (ko) * 2017-12-11 2018-08-27 (주) 삼진정밀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 및 부착용 유동성 생물막 담체 제조방법
KR20190114324A (ko) * 2018-03-29 2019-10-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고 분산성 산화 방지 철 나노입자의 합성방법
CN113087283A (zh) * 2021-03-02 2021-07-09 商丘师范学院 一种用于污水处理的泡沫状固载微生物填料及其制备方法
CN114621486A (zh) * 2022-03-30 2022-06-14 北京博汇特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微膨胀生物载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7186488A (zh) * 2023-08-24 2023-12-08 广州大学 一种β-FeOOH改性聚氨酯泡沫、制备方法及应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153U (ko) 2015-03-10 2016-09-21 이동혁 기밀 효과를 높인 창호용 잠금장치
KR101891525B1 (ko) * 2017-12-11 2018-08-27 (주) 삼진정밀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 및 부착용 유동성 생물막 담체 제조방법
KR20190114324A (ko) * 2018-03-29 2019-10-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고 분산성 산화 방지 철 나노입자의 합성방법
KR102202731B1 (ko) 2018-03-29 2021-01-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고 분산성 산화 방지 철 나노입자의 합성방법
CN113087283A (zh) * 2021-03-02 2021-07-09 商丘师范学院 一种用于污水处理的泡沫状固载微生物填料及其制备方法
CN113087283B (zh) * 2021-03-02 2023-09-08 商丘师范学院 一种用于污水处理的泡沫状固载微生物填料及其制备方法
CN114621486A (zh) * 2022-03-30 2022-06-14 北京博汇特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微膨胀生物载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7186488A (zh) * 2023-08-24 2023-12-08 广州大学 一种β-FeOOH改性聚氨酯泡沫、制备方法及应用
CN117186488B (zh) * 2023-08-24 2024-05-03 广州大学 一种β-FeOOH改性聚氨酯泡沫、制备方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ttacharya et al. Simultaneou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n moving bed bioreactor and other biological systems
Chu et al. Modification of polyurethane foam carriers and application in a moving bed biofilm reactor
RU2418748C2 (ru) Реактор с набивкой
US54239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developer-containing waste water at multiple biological treatment stages
AU2020103389A4 (en) Novel Filler Magic Cube-XQ (Magic Cube-XQ) for Sewage Treatment and Preparation Method
Abou-Elela et al. Potential of using biological aerated filter as a post treatment for municipal wastewater
EP0467969B1 (en) Process for removal of organic pollutants from waste water
CN102174253A (zh) 一种多孔亲水性脱氮生物载体的制备方法及其用途
US20050244945A1 (en) Light weight medium for growing microorganisms
Tyagi et al. Biodegradation of petroleum refinery wastewater in a modified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with polyurethane foam attached to the disks
JP4867098B2 (ja) 生物脱窒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467062B1 (ko)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
Ha et al.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n partially aerated biological aerated filter (BAF) with dual size sand media
KR100614561B1 (ko) 부유메디아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처리 방법
KR100961667B1 (ko) 백색부후균과 슬러지 탄화물이 담지된 다공성 폴리우레탄폼 담체와 부유메디아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염색폐수의처리방법
KR20000055546A (ko)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 폐수 처리장치
KR100877060B1 (ko) 난분해성 산업 폐수 처리를 위해 슬러지 탄화물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폼 담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472005B1 (ko) 생물학적 폐수처리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담체 및 그제조방법
Yu et al. Medium-strength ammonium removal using a two-stage moving bed biofilm reactor system
EP0600989B1 (en) Process for removal of organic pollutants from wastewater
JP2000024687A (ja) 廃硝酸の処理方法
KR100551045B1 (ko) 고농도 질산을 함유하는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방법
KR100212198B1 (ko) 유기물 및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용 메디아 충진형폐수처리 시스템
Abdalla et al. Upgrading of Activated Sludge Systems Using Immobilized Nitrifiers in Polymer Pellets
Chandravathanam et al. Studies in nitrification of municipal sewage in an upflow bio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