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599B1 -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599B1
KR100464599B1 KR10-2002-0063285A KR20020063285A KR100464599B1 KR 100464599 B1 KR100464599 B1 KR 100464599B1 KR 20020063285 A KR20020063285 A KR 20020063285A KR 100464599 B1 KR100464599 B1 KR 10046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quid crystal
fiber grating
present
hol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976A (ko
Inventor
이신두
김학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2-006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5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47Manufacturing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에 의하면, 중공부를 가지는 광섬유의 표면에 화학적인 식각 공정이나 전기적인 방전에 의해 격자 구조의 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에 액정이 주입하여 채워진다. 또한, 광섬유를 사이에 두고 1쌍의 대향하는 전극이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격자 구조의 형상을 갖는 중공형 광섬유와 외부의 전기장에 반응하는 중공부 내의 액정에 의해 넓은 파장 대역에서 광투과 특성을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한 광통신용 또는 광섬유 센서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Optical Fiber Grating Device Using Liquid Crystal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액정(liquid crystal)이 코아(core) 영역의 중공부(hollow)에 채워진 광섬유 격자 소자(optical fiber grat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에 물리적인 변형을 가하여 광섬유의 표면에 격자 구조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광투과 스펙트럼(spectrum)을 넓은 파장에서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격자 소자는 광섬유 내의 코어나 클래딩(cladding) 영역에 형성되는 격자 구조의 주기 및 형상에 따라 단주기(short period) 광섬유 격자, 장주기(long period) 광섬유 격자, 표본화 광섬유 격자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는 현재 스펙트럼(spectrum) 특성에 따라 광통신 분야 및 광센서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격자 구조는 일반적으로 광반응성 광섬유에 강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원하는 격자 구조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광섬유 격자 소자는 그 자체적으로 수동 소자이기 때문에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가 일단 제조되고 나면,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의 광투과 스펙트럼을 가변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의 용도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를 다기능의 광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차세대의 광통신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가변하는 시스템의 조건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광소자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장주기 격자 소자는 광통신 시스템 상의 광증폭기에 대한 이득 평탄화 필터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외부의 환경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동작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광센서로서의 용도에 적합하나 광통신 시스템에 그대로 적용될 경우, 광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광섬유 격자 소자에 열이나 장력을 가하여줌으로써 이미 제작된 광섬유 격자 소자의 특성을 가변시키고자 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의 대부분은 가변 영역이 제한적이고, 열이나 장력을 광섬유에 가하기 위해 격자 소자의 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액정 광섬유 소자에 격자 형태의 전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액정 광섬유 소자의 가변 특성을 얻고자 하는 방법도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격자 형태의 전기장 패턴을 얻기 위해 복잡한 전극 구조가 부가적으로 필요하며, 상기 격자 구조에 의해 모드 결합(mode coupling)이 생성됨으로써 선택되는 파장이 조절되지 않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통신 및 광센서 시스템의 요구 사양에 맞추어 광섬유격자 소자의 특성을 넓은 파장 영역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섬유 격자 소자의 동작 특성을 넓은 파장 영역에서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섬유 격자 소자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 광섬유 소자의 횡단면 구조를 나타내며 외부의 전기장이 인가된 경우 및 인가되지 않은 경우의 액정 배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의 횡단면 구조를 나타내며 광투과 스펙트럼의 전기적 조절이 가능한 동작 원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에 적용된 광섬유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제조 방법에 적용된, 광섬유에 주기적인 변형을 가하기 위한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의 광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에 적용된, 구동 전압이 고정된 경우 및 가변된 경우의 광투과 스펙트럼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는, 중공부가 형성된 클래딩 영역을 가지며, 상기 클래딩 영역의 표면에 격자 구조의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액정이 채워져 있는 광섬유; 및 상기 액정의 배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광섬유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1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정은 복 굴절 특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자 구조의 형상이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제조 방법은, 광섬유의 클래딩 영역의 내부에 상기 광섬유의 중심축을 따라 중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섬유의 클래딩 영역의 표면에 격자 구조의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에 액정을 주입하여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액정의 배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광섬유를 사이에 두고 1쌍의 전극을 대향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자 구조의 형상을 상기 광섬유에 인가된 전기적 방전과 장력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부분과 동일 구성 및 동일 작용의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의 횡단면 구조를 나타내며 광투과 스펙트럼의 전기적 조절이 가능한 동작 원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에 적용된 광섬유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100)는 중공형 광섬유(10)와, 상기 광섬유(10)의 중공부(11)에 채워진 액정(20) 및 상기 광섬유(1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1쌍의 전극(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10)는 코아 영역(13)과, 상기 코아 영역(13)을 둘러싸는 클래딩 영역(15)을 포함한다. 상기 코아 영역(13)은 상기 광섬유(10)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클래딩 영역(15)의 중심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빈 공간, 즉 중공부(11)에 채워진 액정(20)에 의해 구성된다.더욱이, 상기 클래딩 영역(15) 자체의 표면에는 물리적인 변형에 의해 격자 구조의 형상(도시 안됨)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액정(20)으로는 전기장에 반응하여 방향자의 배향 방향이 변하는 모든 종류의 액정이 사용 가능하나, 본 발명은 상기 액정(20)으로서 예를 들어 네마틱 액정(20)을 사용한다. 상기 네마틱 액정(20)은 바람직하게는 유전 이방성을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positive)의 유전 이방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중공부(11) 내의 네마틱 액정(10)이 다른 상(phase)을 갖는 액정에 비하여 배향 특성이 안정적이므로 상기 중공부(11)의 내벽(17)에 부가적인 배향 처리가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극(30)은 광대역 광투과 억제 필터로서의 소자 특성을 얻기 위해 상기 광섬유(10)에 장주기 격자 구조의 형상을 형성하므로 광섬유(10)의 전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다양한 광투과 특성을 얻기 위해 광섬유(10) 주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된 광섬유(10)의 직경이 125μm이고, 중공부(11)의 직경이 6μm이며, 클래딩 영역(15)의 굴절율이 1.447이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10)와 중공부(11)의 직경은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도시 안됨)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100)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원(40)의 스위치(S)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1쌍의 전극(30)과 상기 전원(4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상기 광섬유(10)의 중공부(11) 내의 네마틱 액정(20)에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네마틱 액정(20)은 상기 광섬유(10)의 중공부(11)의 내벽(17)과의 표면 상호 작용에 의해 초기 상태로 배향된다.
반면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40)의 스위치(S)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1쌍의 전극(30)과 상기 전원(4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네마틱 액정(20)에 전기장(E)이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네마틱 액정(20)의 방향자의 배열 상태가 상기 전기장(E)의 세기와 상기 광섬유(10)의 중공부(11)의 내벽(17)과의 표면 상호 작용에 의해 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네마틱 액정(20)은 유전 이방성이 양인 네마틱 액정이므로 상기 전기장(E)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네마틱 액정(20)의 방향자가 상기 전기장(E)의 방향으로 재배열된다.
이후, 상기 스위치(S)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네마틱 액정(20)에 인가된 상기 전기장(E)을 제거하면, 상기 네마틱 액정(20)은 상기 광섬유(10)의 내벽(17)과의 표면 상호 작용에 의해 다시 초기의 상태로 재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40)의 전압이 상기 네마틱 액정(20)에 인가되거나 인가되지 않은 경우와 상관없이 두 가지 경우에서 광모드 결합에 따른 광투과 특성이 모두 나타난다. 이는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100)의 네마틱 액정(20)이 상기 광섬유(10)의 중공부(11)에 주입되기 전에 상기 격자 구조의 형상이 상기 광섬유(10)의 클래딩 영역(15) 자체의 표면에 미리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100) 내의 도파광은 상기 네마틱 액정(20)의 유전 이방성에 의한 입사광의 편광에 따라 상이한 광학적 경로(optical path)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전기적으로 조절 가능한 특성은 광통신 시스템에서 도파광의 편광 성분의 제어가 필요한 분야, 예를 들면 편광 조절기나 편광 분산 보상기에 응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 광섬유 소자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광섬유(1) 내의 네마틱 액정(2)에 외부의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으면, 즉 상기 광섬유(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1쌍의 전극(3)이 전원(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스위치(S)의 오프 상태이면, 상기 네마틱 액정(2)이 초기 상태로 배열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S)의 온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네마틱 액정(2)에 외부의 전기장(E)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네마틱 액정(2)의 방향자가 상기 전기장(E)의 세기에 따라 재배열된다.
그러나, 종래의 액정 광섬유 소자에서는 상기 광섬유(1) 자체에 어떠한 물리적인 변형이 가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광섬유(1)의 클래딩 영역 자체의 표면에 격자 구조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종래의 액정 광섬유 소자는 외부의 균일한 전기장(E)의 조건 하에서 광모드 결합에 의한 필터로서의 기능을 갖지 못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제조 방법에 적용된, 중공형 광섬유에 물리적인 변형을 가하여 격자 구조의 형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조 장치(200)는 방전 발생부(210) 및 변형 위치조절부(22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방전 발생부(210)와 상기 변형 위치 조절부(220)는 중공형 광섬유(10)의 일측 선단부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나의 수직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변형 위치 조절부(220)가 상기 방전 발생부(210) 상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방전 발생부(210)에서는 전원(211)이 1쌍의 전극봉(213)에 고 전압(V)을 인가하고, 1쌍의 전극봉(223)이 수평으로 임의의 이격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10)가 1쌍의 전극봉(223) 사이의 공간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광섬유(10)의 하측 선단부에 장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전극봉(213) 사이에 방전(215)이 발생하면서 상기 광섬유(10)에 물리적인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변형 위치 조절부(220)에서는 광섬유 지지부(fiber holder)(221)가 광섬유(10)를 지지하고, 모터와 같은 구동부(223)가 상기 광섬유 지지부(221)와 체결되어 상기 광섬유(10)의 위치를 정밀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10) 자체의 표면에 상기 물리적인 변형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조 장치(200)의 경우, 상기 광섬유(10)가 상기 1쌍의 전극봉(2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원(211)으로부터 고 전압이 상기 전극봉(213)에 인가되면, 상기 전극봉(213) 사이에 전기적인 방전(215)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섬유(10)의 클래딩 영역(15)에 부분적인 용융(partial melting)이 생기면서 상기 클래딩 영역(15)의 표면에 물리적인 변형이 가해진다. 따라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 구조의 형상이 상기 클래딩 영역(15)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형의 크기는 상기 전극봉(213)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및 상기 전압의 반복 인가 회수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광섬유(10)의 변형 위치는 상기 구동부(223), 예를 들면 모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230),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방전 발생부(210) 및 상기 변형 위치 조절부(220)를 정밀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섬유(10)의 물리적인 변형을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극봉(213)의 이격 간격이 약 2.8mm이고, 상기 전극봉(213)에 인가된 전압이 1.35KV이다. 이때, 상기 광섬유(10)의 클래딩 영역(15)에 형성된 격자 주기가 80μm이고, 상기 광섬유(10)의 제조된 총 길이가 약 1.1cm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공정을 수차례 반복함으로써 격자 구조의 형상이 균일한 조건을 갖고 분포하도록 제조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광투과 억제 필터로서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측정 장치(300)는 도 2b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광투과 특성이 입사광의 편광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광대역 광원(310)으로부터 출력된 편광되지 않은 광(311)이 선형 편광자(320)를 거쳐 선형 편광된 광(321)으로 변화되고, 상기 선형 편광된 광(321)이 상기 광섬유(10)를 도파하고 난 후 스펙트럼 분석기(330)에 의해 분석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1쌍의 전극(30)이 균일한 전기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광섬유(10)의 중심축에 평행하며 상기 광섬유(1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전극(30)이 전원(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10)는 도 4의 제조 장치(200)에 의해 제조된 중공형 광섬유이다. 물론, 상기 광섬유(10)의 중공부(도시 안됨)에 예를 들어 네마틱 액정(ZLL 1800-100, E. Merck)(도시 안됨)이 주입되어 배향된다.
한편, 1550nm의 파장에서의 색 분산을 고려하여 볼 때, 상기 네마틱 액정의 이상 굴절율(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과 정상 굴절율(ordinary refractive index)이 각각 1.5325이고, 1.466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측정 장치(300)에서는 1쌍의 전극(30)에 전원(40)의 전압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광대역 광원(310)으로부터 출력된 편광되지 않은 광(311)이 상기 선형 편광자(320)를 거치면서 상기 선형 편광된 광(321)으로 변형된다. 이어, 상기 광(321)이 상기 광섬유(10)를 거쳐 도파된 후 상기 광의 스펙트럼이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330)에 의해 분석된다.
이때, 상기 광섬유(10)를 도파하는 광(321)이 상기 광섬유(10) 내의 네마틱 액정에 인가된 전기장(도시 안됨)의 방향과 평행하면, 광투과 억제 필터로서의 특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100)에 전원(40)의 세기를 변화시켜가면서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100)의광투과 특성을 상기 측정 장치(300)의 스펙트럼 분석기(330)로 분석하였다. 이때,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100)에 60V의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면서 스펙트럼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6a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100)에 전압을 0V, 21.4V, 42,8V, 60V, 64.2V 및 68.5V의 순서로 증가시키면서 스펙트럼의 변화를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6b에 나타내었다. 이때, 중공형 광섬유(10)에 형성된 장주기 광섬유 격자 소자(100)는 특정한 파장 대역에서 도파하는 코어 모드와 클래딩 모드간에 모드 결합이 생성됨으로써 광투과 억제 필터로서 작용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V의 전압이 상기 네마틱 액정에 인가될 경우,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100)는 광대역 입사광에 대해 1562nm와 1575nm 사이의 파장 대역에서 광투과도가 12dB 정도 억제된 필터의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100)의 코아 영역은 인가된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광굴절율 값이 변하므로 광투과 스펙트럼의 모드 결합 조건이 변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있어서 입사된 광은 네마틱 액정에 인가된 전기장의 방향과 평행하므로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유효 광굴절율이 증가한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된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광투과 특성이 억제되는 파장 대역이 장파장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필터는 광투과 특성을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의 중공형 광섬유의 클래딩 영역의 표면에 적절한 변형을 가하여줌으로써 외부의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를 광투과 억제 필터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광투과 스펙트럼을 외부의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넓은 파장 범위에서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투과 스펙트럼을 전기적으로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를 적용한 광통신 시스템의 환경 조건에 따라 필터의 특성을 최적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섬유의 클래딩 영역의 표면에 물리적인 변형을 가함으로써 유도되는 강한 모드 결합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광섬유 격자 소자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가 있고 아울러 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액정으로서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을 사용하므로 상기 광섬유 격자 소자를 광통신 시스템에서 필요한 편광 조절용 소자로서 다양한 형태로 응용 가능하다. 또한,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가변 광투과 억제 필터는 EDFA(Erbium-Doped Fiber Amplifier)의 광이득 평탄화 필터와 같은 광통신 분야 및 광센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나의 특정한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중공부가 형성된 클래딩 영역을 가지며, 상기 클래딩 영역의 표면에 격자 구조의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액정이 채워져 있는 광섬유; 및
    상기 액정의 배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광섬유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1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복 굴절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구조의 형상이 주기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5. 광섬유의 클래딩 영역의 내부에 상기 광섬유의 중심축을 따라 중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섬유의 클래딩 영역의 표면에 격자 구조의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에 액정을 주입하여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액정의 배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광섬유를 사이에 두고 1쌍의 전극을 대향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구조의 형상을 상기 광섬유에 인가된 전기적 방전과 장력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제조 방법.
  7. 삭제
KR10-2002-0063285A 2002-10-16 2002-10-16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464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285A KR100464599B1 (ko) 2002-10-16 2002-10-16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285A KR100464599B1 (ko) 2002-10-16 2002-10-16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976A KR20040033976A (ko) 2004-04-28
KR100464599B1 true KR100464599B1 (ko) 2005-01-03

Family

ID=3733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285A KR100464599B1 (ko) 2002-10-16 2002-10-16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65B1 (ko) 2004-09-10 2008-05-21 주식회사 케이티 중공 광섬유용 액정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공광섬유의 액정주입방법
US7409133B2 (en) * 2006-10-05 2008-08-05 Harris Corporation Capillary waveguide tunable optical device
US7457495B2 (en) * 2006-10-05 2008-11-25 Harris Corporation Method of filtering optical signals with a capillary waveguide tunable optical device
KR101139632B1 (ko) * 2010-07-26 2012-05-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장주기 격자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광섬유
CN106324903A (zh) * 2015-07-01 2017-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和实现显示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5631A (ja) * 1986-05-13 1987-11-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スイツチ
JPH0572586A (ja) * 1991-09-12 1993-03-26 Hitachi Ltd 第2次高調波発生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波長変換装置
JP2000147287A (ja) * 1998-11-10 2000-05-26 Yazaki Corp 光ファイバーの形成方法、光ファイバー、光導波路、及び光学デバイス
US6104852A (en) * 1996-01-18 2000-08-1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Optical waveguide with photosensitive refractive index cladding
KR20010100754A (ko) * 2000-05-04 2001-11-14 병 호 이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액정 광섬유 격자 소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5631A (ja) * 1986-05-13 1987-11-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スイツチ
JPH0572586A (ja) * 1991-09-12 1993-03-26 Hitachi Ltd 第2次高調波発生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波長変換装置
US6104852A (en) * 1996-01-18 2000-08-1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Optical waveguide with photosensitive refractive index cladding
JP2000147287A (ja) * 1998-11-10 2000-05-26 Yazaki Corp 光ファイバーの形成方法、光ファイバー、光導波路、及び光学デバイス
KR20010100754A (ko) * 2000-05-04 2001-11-14 병 호 이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액정 광섬유 격자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976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5451B2 (en) Optical fiber gratings with azimuthal refractive index perturbation
Zhang et al. High sensitivity chiral long-period grating sensors written in the twisted fiber
DE69838840T2 (de) Aktiver optischer wellenleiter mit asymmetrischer polarisation,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und seine verwendung.
JP3443124B2 (ja) ファイバを集積したフォトニック結晶およびそのシステム
US6859567B2 (en) In-guide control of optical propagation
JP2002508534A (ja) 同調可能な非線形チャープ格子
Zheng et al. Switchable multi-wavelength erbium-doped photonic crystal fiber laser based on nonlinear polarization rotation
EP1177470A1 (en) Dispersion compensation by using tunable nonlinearly-chirped gratings
CA2336493A1 (en) Mechanically induced, long period optical fiber gratings
US6285812B1 (en) Switchable and reconfigurable optical grating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EP1415183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fractive index in an optical fiber
KR100464599B1 (ko) 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409133B2 (en) Capillary waveguide tunable optical device
KR100399588B1 (ko)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액정 광섬유 격자 소자
CN208459624U (zh) 超模干涉滤波器及光纤波长可调谐锁模激光器
Delgado et al. Reduction of intrinsic polarization dependence in arc-induced long-period fiber gratings
Wang et al. Study on fabrication, spectrum and torsion sensing characteristics of microtapered long-period fiber gratings
CN213420829U (zh) 一种竖井火灾报警系统用偏振可调的高稳定宽带光源
JP2004354988A (ja) 偏光に依存しない空間的に再設定可能な屈折率をもったコアを有する光導波路
EP0049284A1 (en) ELECTRO-OPTICAL DEVICES FOR EXCITING DOUBLE AND COLOR BREAKAGE BY MEANS OF A STRONG EFFECT.
WO2007068244A1 (en) Optical fibre with photonic bandgap transition region
JP3608691B2 (ja) グレーティング素子及びグレーティング素子を利用した波長スイッチ
EP1866683B1 (en) A tunable filter device comprising a waveguide containing a bragg grating, and a planer substrate
Zhang et al. A highly sensitive sensor based on a novel helical long period fiber grating written in the rotated fiber by CO2 laser
Jeong et al. Electrically controllable liquid crystal fiber gra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