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645B1 -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 - Google Patents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645B1
KR100463645B1 KR10-2002-0044275A KR20020044275A KR100463645B1 KR 100463645 B1 KR100463645 B1 KR 100463645B1 KR 20020044275 A KR20020044275 A KR 20020044275A KR 100463645 B1 KR100463645 B1 KR 100463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ir
passage
sterilizer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35822A (en
Inventor
서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델타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델타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델타메디칼
Priority to KR10-2002-004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645B1/en
Publication of KR2003003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645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작업을 필요로 하는 멸균기 등에 설치하여 멸균실 내의 건조를 효과적으로 할수 있도록 한 멸균기의 진공건조용 이젝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jector apparatus for vacuum drying of a sterilizer installed in a sterilizer requiring a drying operation to effectively dry in a sterilization chamber.

이러한 본 발명의 이젝터는 직각으로 배치된 제1실과 제2실을 연락되게 접속하는 복수개의 통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통로의 제1실과의 반대 쪽에서 제2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실을 향하게 하는 공기의 고속 분사에 의한 제1통로 내의 속도 에너지의 변화에 따른 부압을 유발하여 상기 제2실내에 잔존되는 공기 및 증기 등을 상기 제1실의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하여, 상기 제2실 내를 신속히 진공 상태를 이루게 하면서 건조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멸균기 등에 적용시 멸균실과 같은 내부를 도어 등의 개방 없이도 쉽게 건조할 수 있게 한 특징이 있다.The ej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assages for connec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rranged at right angle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ha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via a second passag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chamber of the first passage. Induces a negative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velocity energy in the first passage by the high-speed injection of air, which causes the air and steam remaining in the second chamber to be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hamber, thereby Dry quickly while achieving a vacuum state. As a result, when applied to a sterilizer, it is possible to easily dry the interior of the sterilization chamber without opening the door.

Description

멸균기의 진공 건조용 이젝터 장치{Ejector Device For Vacuum Dry}Ejector Device for Vacuum Drying of Sterilizers

본 발명은 멸균기의 진공 건조용 이젝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의 고속 분사에 따른 부압을 유발하여 주위의 실내를 속히 진공 건조 시킬수 있게 한 멸균기의 진공건조용 이젝터 장치에 관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jector apparatus for vacuum drying of a steril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jector apparatus for vacuum drying of a sterilizer, which induces a negative pressure due to a high-speed injection of air, so that the surrounding room can be vacuum dried quickly.

일반적으로 실내의 건조 작업을 필요로하는 곳은 많이 있겠으나, 일 예로 병원 등에서 의료 용품을 소독 멸균하는데 사용하는 멸균기에서의 건조 공정은 대단히 필수적인 중요한 요소이다. 그 이유는 건조 공정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게 되면 멸균기 내에서의 고압 멸균처리 공정 중에서 발생되는 스팀 등이 그대로 묻어 있어서 이를 그대로 사용시 또 다른 세균 등의 번식이나 감염의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In general, there are many places that require drying operations indoors, for example, the drying process in the sterilizer used to sterilize medical supplies in hospitals, etc. is a very important important factor. The reason is that if the drying process is not performed properly, steam generated during the autoclaving process in the sterilizer is buried as it is, and when it is used as it, there is a cause of reproduction or infection of another bacteria.

따라서,기존의 대형 자동멸균기(Autoclave)의 경우에는 진공 펌프를 장착하여 건조 작업을 한다. 진공펌프를 사용하는 이유는 의료 용품 등을 멸균하고자 수용하는 멸균실(Chamber)내의 압력을 낮추기 위해서이다. 멸균실 내의 압력을 낮추어 진공 상태를 만드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전체 공정에서 진공 공정은 예비 진공(Pre-Vacuum)과 주 진공(post-Vacuum)으로 나누어 지는데, 첫번째의 예비 진공(Pre-Vacuum)은 스팀(steam)의 침투 시 멸균실 내의 공기를 배제하여 공기층( air layer)(공기층은 단열층으로, 열을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멸균 작업을 방해한다)을 제거하고, 두번째 post-Vacuum을 만들어 주면, 멸균실 내의 기화점이 낮아져서 스팀 등의 응결(凝結)을 방지하면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멸균실내의 완벽한 건조를 할 수 있다.Therefore, the existing large-scale autoclave (Autoclave) is equipped with a vacuum pump to perform the drying operation. The reason for using the vacuum pump is to lower the pressure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Chamber) for accommodating the medical supplies and the like. There are two reasons to create a vacuum by lowering the pressure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In the whole process, the vacuum process is divided into pre-vacuum and post-vacuum. The first pre-vacuum excludes air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during the infiltration of steam. By removing the air layer (the air layer is a heat insulating layer, which prevents sterilization because it cannot transfer heat), and makes a second post-vacuum, the vaporization point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is lowered to prevent condensation such as steam. While the stea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perfect drying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is possible.

그러나, 대부분의 직립형 자동 멸균기(Top-table Autoclave)는 상기에서 예시한 대형 자동멸균기(Autoclave)와는 달리 진공 펌프를 장착하지 않는다.However, most top-table autoclaves do not have a vacuum pump unlike the large autoclaves illustrated above.

그 이유는 멸균기 크기에 비해 무겁고 진공펌프의 진동과 소리가 심하며, 주변에 부속물을 장착해야 하기 때문이다. 부속물이란 급수관과 배수관이다.The reason is that it is heavy compared to the size of the sterilizer, the vibration and sound of the vacuum pump is severe, and the accessories must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Attachments are water and drain pipes.

하지만, 직립형 자동 멸균기(Top-table Autoclave)는 상기에서 언급한 대형 멸균기에 비해 쉽게 이동이 가능하고, 전기가 있는 곳 이라면 어디라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진공펌프는 스팀을 흡입하기 때문에 반드시 물이 필요하다. 그래서 급수관과 배수관의 설치가 불가피 해지고 이동이 불편해져, Top-table Autoclave의 위와 같은 장점이 사라지게 된다. 그래서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Top-table Autoclave는 중력(gravity)방식으로 멸균이 되며, 따라서 건조 공정때 필히 멸균실의 도어를 개방하여 건조 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upright autoclave can be easily moved compared to the above-mentioned large sterilizer and can be installed wherever there is electricity. However, vacuum pumps need water because they suck steam.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drain pipe becomes inevitable and the movement becomes inconvenient, and the above advantages of the top-table autoclave disappear. Therefore, the top-table autoclave that does not use a vacuum pump is sterilized by gravity,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or of the sterilization chamber must be opened by drying during the drying process.

멸균기 등에 있어서 건조 공정시 멸균실 도어의 개방은 세균 등이 멸균실의 내부로 침투되어 멸균 효과를 저감 시킬 우려가 있고, 또 건조 공정시 사용자들이 일일히 도어를 개폐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도 있다.In the sterilizer, the opening of the sterilization chamber door during the drying process may reduce the sterilization effect due to the penetration of bacteria into the sterilization chamber, and there is also the inconvenience that users must open and close the door daily during the drying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고속의 공기 분사방향으로 속도 변화에 따른 부압을 유발하여 인접된 실내(室內)를 신속히 진공 상태로 건조 분위기를 이루게 한 멸균기의 진공건조용 이젝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minate the above-mentioned shortcomings, and to induce a negative pressure according to the speed change in the direction of high-speed air injection, the vacuum drying ejector of the sterilizer which quickly achieves a dry atmosphere in a vacuum in an adjacent room. To provide a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멸균기의 진공건조용 이젝터 장치는 직각으로 배치된 제1실과 제2실을 연락되게 접속하는 복수개의 통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통로의 제1실과의 반대 쪽에서 제2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실을 향하게 하는 공기의 고속 분사에 의한 제1통로 내의 속도 에너지 변화에 따른 부압을 유발하여 상기 제2실내에 잔존되는 공기 및 증기 등을 상기 제1실의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함으로써,상기 제2실 내를 진공 분위기로 건조하는 이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acuum drying ejector apparatus of the ster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assages for contac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rranged at right angles, an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chamber of the first passage. Air and steam remaining in the second chamber are generated inside the first chamber by causing a negative pressure caused by a change in velocity energy in the first passage by a high-speed injection of air directed toward the first chamber via the second passage. By sucked into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jector for drying the inside of the second chamber in a vacuum atmosphere.

상기에서 이젝터는 상기 통로들을 직각을 이루게 형성하며, 그 통로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제1,2실들과 수밀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제2체결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제1실과 반대되는 상기 제1통로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나사 체결되어 공기 펌프와 연결하기 위한 제3체결부를 제공하며, 상기 제1통로 및 제2통로와 연락되는 공기분사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2통로를 경유한 지점에서 제1통로와 공극(孔隙)을 두고 위치된 공기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jector may be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passages, and at each end of the passages, a body including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for sealing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 third fastening part detachably screwed to an end of the first passage opposite to the first chamber to connect with an air pump, and having an air spray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And an air jet nozzle positioned at a point via the second passage with a gap between the first passage.

또한, 상기 공기 분사공은 그 노즐의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을 이루게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injection hole forms a conical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tip of the nozzle.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콤팩트한 구조로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건조를 하고자하는 실내를 신속히 건조 상태로 실행되게 할수가 있는 효과가 있고, 그 밖에 농축, 증류, 탈취 ,결정, 배기, 함침, 혼합, 냉각, 이송 작업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that can be produced in a low cost as a compact structure and can be carried out quickly to dry the room to be dried, in addition, concentrated, distilled, deodorized, crystal, exhaust It can be applied to impregnation, mixing, cooling, and conveying 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멸균기의 진공 건조용 이젝터 장치의 개략 설치도 이고,1 is a schematic installation diagram of the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ing of the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1에 표시된 멸균기의 진공 건조용 이젝터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횡단 면도이고,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only the vacuum drying ejector of the sterilizer shown in FIG. 1 is separated and enlarged.

도 3은 도2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멸균기의 진공 건조용 이젝터 장치가 멸균기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멸균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terilizer showing that the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ing of the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teriliz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제1실 20 : 제2실10: first room 20: second room

30 : 공기펌프 100 : 이젝터(Ejector)30: air pump 100: ejector

110 : 이젝터 본체 112 : 제1통로110: ejector body 112: first passage

114 : 제2통로 116,118,138 : 제1,제2,제3나사 체결부114: 2nd passage 116,118,138: 1st, 2nd, 3rd screw connection part

130 : 공기분사노즐 132 : 공기분사공130: air spray nozzle 132: air spray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멸균기의 진공 건조용 이젝터 장치의 개략 설치도이다.1 is a schematic installation diagram of an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ing of a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 장치(100)은, 직각으로 배치된제1실(室)(10) 및 제2실(20)과 연락되게 접속되어, 상기 제1실(10)과의 반대 쪽에서 상기 제1실(10)을 향해 공기 펌프(30)(에어콤프레샤 등)로부터 고속 분사되는 공기에 의한 속도 에너지의 변화에 따라 이젝터 장치(100)내에서의 부압(負壓)을 유발 시킴으로써, 상기 제2실(20)내에 잔존되는 공기 및 증기 등을 상기 제1실(10)의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하여, 상기 제2실(20)내를 진공 분위기로 건조됨을 달성하는 것이다. 상기 이젝터 장치(100)에의한 진공 건조 작업의 경우 제1실(10)은 개방하는 반면, 제2실(20)은 폐쇄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이젝터 장치(100)에 대한 구성은 도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ejecto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chamber 10 and the second chamber 20 arranged at a right angl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10. A negative pressure in the ejector device 100 is caused by a change in the velocity energy by the air injected at a high speed from the air pump 30 (air compressor, etc.) toward the first chamber 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y doing so, the air and steam remaining in the second chamber 20 are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hamber 10 to achieve drying in the second chamber 20 in a vacuum atmosphere. In the vacuum drying operation by the ejector device 100, the first chamber 10 is opened while the second chamber 20 is in a closed state. The configuration of the ejector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도1에 표시된 멸균기의 진공 건조용 이젝터 장치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횡단 면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dryer ejector device of the sterilizer shown in FIG.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Ejector)장치(100)은 고온, 고압등에 내성을 갖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 이젝터 본체(110)과 공기 분사노즐(130)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ejector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ejector body 110 and an air jet nozzle 130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be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and the like.

상기 이젝터 본체(110)의 내부에는 제1실(10)과 제2실(20)을 연락되게 접속하기 위한 통로들(112,114)가 적어도 직각으로 위치하면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통로(112)는 상기 이젝터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완전히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통로(114)는 상기 이젝터 본체(110)의 어느 일단 즉, 도2에서 보아 상기 제1실(10)과의 반대 단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통로(112)와 연락되게 그 제1통로(112)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실(10)과 제2실(20)은 상기 제1,제2통로들(112,114)를 통하여 상호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게된다. 상기 제1,제2통로들(112,114)의 단부 개구에는 상기 제1실(10) 및 제2실(20)을 기밀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제1,제2나사 체결부들(116,1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제2나사 체결부들(116,118)에는 상기 제1실(10) 및 제2실(20)이 직접 체결되기 보다는 작업의 편리성을 위해, 상기 제1실(10) 및 제2실(20)로부터 연장된 관들에 형성된 체결부(미도시)와 각각 기밀적으로 체결된다.In the ejector main body 110, passages 112 and 114 for connecting the first chamber 10 and the second chamber 20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continuously formed while at leas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irst passage 112 is formed to completely penetrat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jector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passage 114 is formed at any one end of the ejector main body 110, that is, the first path as shown in FIG. It is provided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passage 11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passage 112 at one side of the end opposite to the first chamber 10. Therefore, the first chamber 10 and the second chamber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112 and 114.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ortions 116 and 118 for hermetically fastening the first chamber 10 and the second chamber 20 are installed at end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112 and 114. have. The first chamber 10 and the second chamber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ortions 116 and 118 for convenience of work rather than the first chamber 10 and the second chamber 20 ar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It is hermetically fastened with fastening portions (not shown) formed in the tubes extending from 20, respectively.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은 상기 이젝터 본체(110)의 제1실(10)과 반대되는 상기 제1통로(112)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나사(134)체결되어 공기 펌프(30)로부터 발생되는 가압 공기를 상기 이젝터 본체(110)의 제1통로(112)를 따라 분사되게 한다.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은 상기 제1통로(112)와 연락되게 한 공기 분사공 (132)가 그 노즐(130)을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30)으로부터의 가압 공기를 상기 제1통로(112)의 내부로 분사되게 한다. 특히,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은 그 공기 분사노즐(130)의 공기 분사공(132)와 상기 제2통로(114)와의 연락을 위해, 상기 이젝터 본체(110)에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을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은 상기 제2통로(114)를 막지 않도록 체결되면서, 그 선단부위는 상기 제1통로(112)의 내 주벽부와 공극(孔隙)(d)을 두고 위치된다. 상기 공극(d)형성을 위해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의 선단부와 상기 제1통로(112)에서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의 선단 부위와의 대응 부위는 테이퍼(Taper)부(115)를 이루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분사 노즐(130)은 상기 제1통로(112)의 주벽면과의 사이에 공극(d)을 형성함에 알맞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을 상기 이젝터 본체(110)에 체결하면 상기 제1통로(112)와의 사이에자연적으로 공극(d)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극(d)을 두는 이유는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의 공기 분사공(132)와 상기 제1통로(112) 및 제2통로(114)가 상호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극(d)의 크기는 상기 공기분사노즐 (130)을 나사부(134)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임의로 조절가능한데, 가능한 공극(d)의 크기는 넓게 하기보다는 공기가 통과함에 큰 저항을 받지않게 되는 정도로 좁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의 공기 분사공(132)는 상기 공기 펌프(3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공기의 분사 속도를 좀더 빠른 속도로서 분사하기 위해 상기 공기분사노즐(130)의 공기 분사공(132)의 구조를 그 선단부를 향하여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되는 원추형을 이루게 함이 바람직하다.The air injection nozzle 130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passage 112 opposite to the first chamber 10 of the ejector body 110, and is generated from the air pump 30. Pressurized air is injected along the first passage 112 of the ejector body 110.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is formed so that the air injection hole 13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assage 112 penetrates through the nozzle 130, thereby receiving pressurized air from the air pump 30. It is to be injected into the first passage (112). In particular,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is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hole 132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and the second passage 114,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to the ejector body 110 ),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is fastened so as not to block the second passage 114, and the tip portion thereof is spac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first passage 112 (d). Are placed. In order to form the air gap d,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tip portion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and the tip portion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in the first passage 112 may have a taper portion 115. It is desirable to achieve this.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is set to a length suitable for forming a gap d between the main wall surface of the first passage 112 and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to the ejector main body 110. When fastened to the air gap (d) is naturally formed between the first passage 112 and. The reason for providing the air gap d is to achieve a state in which the air injection hole 132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and the first passage 112 and the second passage 11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ize of the air gap (d)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adjusting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through the screw portion 134, so that the size of the air gap (d) is not large resistance to the passage of air, rather than wider Narrowing is desirable. 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hole 132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is an air injection hole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to inject the injection speed of the pressurized air supplied from the air pump 30 at a higher speed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structure of 132 into a conical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its distal end.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은 상기 이젝터 본체(110)에 체결시 상기 공기 펌프(30)과의 연결 작업을 쉽게하기 위해, 상기 이젝터 본체(110)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상기 분사노즐(130)의 돌출단부에는 상기 공기펌프(30)과의 기밀 접속을 위한 제3나사 체결부(138)이 설치되어 있다.The air injection nozzle 130 is preferably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ejector body 110 in order to facilitate connection with the air pump 30 when fastened to the ejector body 110. In addition, a third screw fastening portion 138 for airtight connection with the air pump 30 is provided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injection nozzle 130.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공기 펌프(30)의 가동과 함께 그 공기펌프(30)에서 서 발생된 공기는 상기 공기분사노즐(130)의 공기 분사공(132)를 통하여 제1통로(112)측으로 향하게 되는데, 상기 공기 분사공(132)를 통과하는 공기는 좁은 직경을 이루는 P1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단 면적의 축소로 강하게 압축됨에 의해, 상기 공기 펌프(30)에서 나올때의 압력보다 더 강하게 가압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공기 분사공(132)로부터 고속 분사된다.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에 의한 공기의 고속 분사되는 공기의 주위인 P2 부위로 부압(負壓)을 발생하게 하여 주위의공기가 고속 분사되는 공기로 빨려들어(Suction)가게 하는 작용을 유도하여 상기 제2실(10)의 내부로 신속히 유입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2실(20)내에 잔존하고 있던 공기나 증기 등은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상기 제2통로(114) 및 공극(d)을 통해 제1통로(112)의 고속분사되는 방향으로 빨려들어 가면서 상기 공기 분사노즐 (130)으로부터 가압 분사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제1실(10)측으로 흡입됨에 의해, 상기 제2실(20)내부는 진공으로 건조된다. 상기 공기 분사노즐(130)을 통한 공기의 분사 이유는 부압 발생을 유도하여 주위에 존재하는 공기나 증기 등의 피 흡입물질을 강제적으로 신속하게 빨아들이기 위함이다. 상기 공기 분사노즐 (130)을 통한 공기의 분사 속도는 상기 공기 분사공(132)의 직경 크기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2실(20)내의 진공 완료 여부는 제2실(20)에 설착된 진공 계기(미도시)등을 통하여 확인함에 의해, 진공 건조 작업을 종료하게 되는데, 진공 건조작업의 종료는 공기 펌프(30)의 가동 중단과 함께 제2실(20)측의 밸브(V)(도1참조)폐쇄을 통하여 실행된다. 상기 제2실(20)내의 진공건조 작업에 따른 공기 펌프(30)의 가동 및 중단과 함께 밸브(V)의 개폐 작동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회로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구성은 당 분야에서는 일반적인 기술로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air generated by the air pump 30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30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passage 112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132 of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W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132 reaches a point P1 having a narrow diameter, the air is strongly compressed to reduce the short area, and thus the air is pressurized more strongly than the pressure from the air pump 30. While forming a high-speed jet from the air injection hole (132). By generating a negative pressure to the P2 portion which is around the high-speed jet air of the air by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to induce the action to suck the surrounding air into the high-speed jet air (Suction) It quickly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10). Therefore, the air or steam remaining in the second chamber 20 is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e direction of high-speed injection of the first passage 112 through the second passage 114 and the air gap d. By being sucked into the first chamber 10 with the air injected by the pressure injection from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the inside of the second chamber 20 is dried in a vacuum. The reason why the air is injected through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is to induce a negative pressure to forcibly and rapidly suck inhaled substances such as air or steam present in the surroundings. The injection speed of the air through the air injection nozzle 130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iameter size of the air injection hole 132. In the above, by checking whether the vacuum in the second chamber 20 is completed through a vacuum gauge (not shown) installed in the second chamber 20, the vacuum drying operation is terminated, and the vacuum drying operation is terminated by air. It is executed by closing the valve V (see Fig. 1) on the second chamber 20 side with the operation of the pump 30 stoppe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 V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ogether with starting and stopping of the air pump 30 according to the vacuum drying operation in the second chamber 20. Such a circuit configuration is a general technique in the art, and any modification can be mad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멸균 건조기의 진공 건조용 이젝터 장치가 의료용 멸균기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멸균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원 발명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같은 부호로서 표시 하였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terilizer showing that the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ing of the sterilization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dical sterilizer. Like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 and help understanding.

멸균기(1)을 통한 본원 발명의 사용 일예를 설명하기 앞서, 본원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용 멸균기(1)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의료용 멸균기(1)은 병원에서 각종 의료용품(수술도구,수술복 등)을 소독 멸균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그 멸균기(1)를 통한 소독멸균 작업은 급수,멸균, 배기 및 건조과정을 통하면서 최종적으로 소독 멸균 작업이 실행된다.Prior to describing an exampl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terilizer 1, the medical sterilizer 1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briefly described, the medical sterilizer 1 is a variety of medical supplies (surgical tools, surgical clothing, etc.) in the hospital ) Is used for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The sterilization operation through the sterilizer 1 is performed through water supply, sterilization, exhausting and drying, and finally sterilization sterilization is performed.

①먼저, 급수과정은 솔레노이드 밸브(5)가 열림으로써 저수 탱크(10)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물이 급수관(6)을 따라 유동하여 멸균실을 형성하는 챔버(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챔버(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수위 센서(9)에 의한 수위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를 닫히게 함으로써 급수를 중단한다.① First, in the water supply process, when the solenoid valve 5 is opened, water already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0 flows along the water supply pipe 6 to flow into the chamber 20 that forms a sterilization chamber. Water flowing into the chamber 20 stops water supply by closing the solenoid valve 5 according to whether the water level sensor 9 detects the water level.

②급수 작업이 완료 되면 멸균과정이 실행된다. 멸균과정은 상기 챔버(20)에 설치된 히이터(13)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상기 챔버(20)의 내부에 형성된 멸균실의 내부와 온도와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할 때 까지 계속되는데, 초기에 멸균실 내의 찬 공기와 가열된 설정 온도 이하의 일부 증기는 배기관(14)를 경유후 에어 배출기(4)를 통하여 저수탱크(10)의 내부로 배출된다. 히이터(13)의 지속적인 가열에 의해 멸균실 내부의 온도와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하게 되면, 에어 배출기(4)는 닫히게 되고, 멸균실 내에 미리 넣어 두었던 피 소독멸균 용품은 설정된 온도와 압력에 의하여 소독멸균된다.② Sterilization process is executed when water supply work is completed. The steriliz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the heater 13 installed in the chamber 20. The sterilization chamber is continued until the inside of the sterilization chamber formed in the chamber 20 and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reach a set value. The cold air inside and some steam below the heated set temperature are discharged into the water storage tank 10 through the air exhauster 4 after passing the exhaust pipe 14. When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inside the sterilization chamber reach the set value by the continuous heating of the heater 13, the air discharger 4 is closed, and the sterilized sterilized article previously placed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is disinfected by the set temperature and pressure. Sterilized.

③멸균 작업이 완료되면 멸균실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과정이 실행된다. 배기는 에어 배출기(4)와 솔레노이드밸브(5)가 모두 개방되면서 급수관(6) 및 배기관(14)를 통하여 저수탱크(10)의 내부로 신속히 배출되어 저장된다. 멸균실의 배기는 내부 온도가 통상적으로 100도가 될때 까지 자연 배기된다.③ When the sterilization work is completed, the exhaust process is performed to discharge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eam inside the sterilization chamber. The exhaust is quickly discharged and stored into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6 and the exhaust pipe 14 while both the air discharger 4 and the solenoid valve 5 are opened. The exhaust of the sterilization chamber is naturally exhausted until the internal temperature is typically 100 degrees.

④배기 과정이 완료되면, 건조 과정이 실시된다. 건조 과정은 멸균실내의 아직 기화되지 않은 물과 배기 과정에서 배출되지 않은 증기가 있고, 멸균 대상물은 습기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멸균실 내부의 습기와 멸균 대상물의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건조 작업은 본 발명의 이젝터 장치 (100)에 의해 실행된다. 즉, 이젝터 장치(100)에는 저수탱크(10)(도1,2표시의 제1실에 해당함), 멸균실을 형성하는 챔버(20)(도1,2표시의 제2실에 해당함)가 밸브(V)를 통하여 각각 연락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 상기 저수탱크(10)과의 반대측에는 공기 펌프(30)(에어컴프레셔)이 관(32)를 통하여 연락되게 설치되어 있다.④ When the exhaust process is completed, the drying process is carried out. The drying process is carried out to completely remove the moisture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and the moisture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since there is still vaporized water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and steam which has not been discharged in the exhaust process, and the sterilization target has moisture. . The dry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ejector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ejector apparatus 100 includes a storage tank 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mber of FIGS. 1 and 2) and a chamber 2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mber of FIGS. 1 and 2) to form a sterilization chamber. The valves V are provid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air pump 30 (air compressor)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water storage tank 10 via the pipe 32.

따라서, 상기 이젝터 장치(100)은 도1 내지 도3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바와 같이, 공기 펌프(30)의 가동의 개시로 공기펌프(30)에서 발생된 공기가 그 이젝터장치(100)내부에 구비된 공기분사노즐(도2참조)을 통하여 저수탱크(10)측으로 향하여 고속으로 분사되면, 도2에서 설명한바와 같은 작용에 의한 부압 발생으로 상기 챔버(20)의 멸균실 내의 공기는 멸균 과정에서 피 소독물에 묻은 습기와 함께 개방된 밸브(V)를 통하여 공기의 분사 방향인 저수탱크(10)의 내부로 빨려들어가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챔버(20)내부의 멸균실은 신속히 진공분위기로 건조된다. 건조 과정은 피 멸균 소독물에 묻은 습기가 완전히 제거될때 까지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하여 진행된다. 상기 밸브(V)는 공기 펌프(30)의 가동 중지와 함께 자동으로 닫힌다. 상기 밸브(V)는 공기 펌프(30)의 가동 및 중단에 따라서 자동으로 온/오프된다. 상기 챔버(20)의 멸균실내의 진공 건조 과정은 공기 펌프(30)의 가동 중지로 실행되고, 건조 과정의 완료 후에는 도어를 열고 피 소독물을 멸균실로부터 꺼내면, 일련의 소독 멸균 과정이 완료된다.Therefore, the ejector apparatus 100 has the air generated in the air pump 30 by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3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 inside the ejector apparatus 100. When sprayed at a high speed toward the water storage tank 10 side through the air spray nozzle (see Fig. 2) provided in the air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of the chamber 20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action as described in Figure 2 sterilization process Is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servoir tank 10 in the direction of air injection through the open valve (V) with the moisture in the disinfectant, the sterilization chamber in the chamber 20 is quickly To dry. The drying process continues for a preset time until the moisture on the sterilized disinfectant is completely removed. The valve V automatically closes upon shutdown of the air pump 30. The valve (V) is automatically turned on / off in accordance with the start and stop of the air pump (30). The vacuum drying process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of the chamber 20 is performed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30. After completion of the drying process,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sterilized material is removed from the sterilization chamber, a series of sterilization sterilization processes are completed. do.

상기에서는 진공과정에서 본 발명의 이젝터 장치(100)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급수 과정에서도 본 발명의 이젝터 장치를 가동하면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상기 챔버(20)의 멸균실 내부가 부압(혹은 음압)을 이루게 함에 의해 상기 저수탱크(10)의 물을 개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5) 및 급수관(6)을 통하여 멸균실을 형성하는 챔버(20)의 내부로 속히 급수되게 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 of the ejector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cribed in the vacuum process, but when the ejec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the water supply process, the inside of the sterilization chamber of the chamber 20 is negative pressure by the same principle as described above. By achieving a (or negative pressure) it can be quickly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chamber 20 to form a sterilization chamber through the solenoid valve 5 and the water supply pipe 6 to open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tank (10).

이상의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이젝터 장치를 멸균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일 예로들어 설명 하였으나, 그외에 본 발명은 농축, 증류, 탈취 ,결정, 배기, 함침, 혼합, 냉각, 이송 작업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4 described above, the ejec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a sterilizer is appli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ntrated, distilled, deodorized, crystallized, exhausted, impregnated, mixed, cooled, or transferred. It can also be appli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콤팩트한 구조로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건조를 하고자하는 실내를 신속히 건조 상태로 실행되게 할수가 있는 효과가 있고, 그 밖에 농축, 증류, 탈취 ,결정, 배기, 함침, 혼합, 냉각, 이송 작업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ct structure has the effect of being inexpensively manufactured and the effect of allowing the room to be dried to be quickly carried out in a dry state, and in addition, concentrated, distilled, deodorized, crystallized, and evacuated. It can be applied to impregnation, mixing, cooling, and conveying work.

Claims (3)

제1실과 제2실을 연락되게 접속하는 제2실을 진공 건조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vacuum drying the second chamber connec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실과 제2실들과 연락되게 접속하도록 직각으로 배치한 제1,제2통로들을 구비하고, 그 제1,제2통로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제1실과 제2실들과 수밀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제2체결부가 형성된 몸체 ; 및First and second passages arranged at right angles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s, and at each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to be watertightly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s. A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fasteners formed therein; And 상기 제1실과 반대되는 상기 제1통로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나사 체결되어 공기 펌프와 연결하기 위한 제3체결부를 제공하며, 상기 제1통로 및 제2통로와 연락되는 공기분사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2통로를 경유한 지점에서 제1통로와 공극(孔隙)을 두고 위치된 공기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멸균기의 진공 건조용 이젝터 장치.A third fastening part detachably screwed to an end of the first passage opposite to the first chamber to connect with an air pump, and having an air spray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An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ing of a steriliz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jet nozzle positioned with a gap between the first passage at a point via the second pass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2-0044275A 2002-07-26 2002-07-26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 KR1004636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275A KR100463645B1 (en) 2002-07-26 2002-07-26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275A KR100463645B1 (en) 2002-07-26 2002-07-26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875U Division KR200268605Y1 (en) 2001-10-27 2001-10-27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822A KR20030035822A (en) 2003-05-09
KR100463645B1 true KR100463645B1 (en) 2004-12-30

Family

ID=2957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275A KR100463645B1 (en) 2002-07-26 2002-07-26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64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552A (en) 2019-04-18 2020-10-28 지창용 A sterilizing method by pre-vaccum using the air ejector
KR20220148573A (en) * 2021-04-29 2022-11-07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Disinf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672B1 (en) * 2013-09-02 2015-02-16 주식회사 로우템 Sterilizer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using vacuum
CN106091657B (en) * 2016-06-22 2018-08-10 浙江康盛股份有限公司 A kind of blown film air knife apparatus for removing Zincing passivation processing rear surface remnants passivating solu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40A (en) * 1999-06-21 2000-01-15 오종락 a low temperature and reduce the pressure dryer for the farm products,marine products,forest produ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40A (en) * 1999-06-21 2000-01-15 오종락 a low temperature and reduce the pressure dryer for the farm products,marine products,forest produc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552A (en) 2019-04-18 2020-10-28 지창용 A sterilizing method by pre-vaccum using the air ejector
KR102214207B1 (en) * 2019-04-18 2021-02-08 지창용 A sterilizing method by pre-vaccum using the air ejector
KR20220148573A (en) * 2021-04-29 2022-11-07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Disinfector
KR102602247B1 (en) 2021-04-29 2023-11-14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Disinf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822A (en)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22901C (en) Sterilization apparatus and container for sterilization
KR101921472B1 (en) Sterilizer using hydrogen peroxide vapor
US5364602A (en) Sterilization system
CA1313021C (en) Process for sterilizing a tight enclosure and installation for performing this process
US6470593B1 (en)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ing
KR100463645B1 (en)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
KR200268605Y1 (en) Ejector Device For Vacuum Dry
KR102090428B1 (en) High pressure sterilizer
KR102602247B1 (en) Disinfector
CN114061266B (en) Quick low temperature vacuum drying's equipment
CN211301263U (en) Nursing article degassing unit
KR100755296B1 (en) Pasteurization apparatus for medical device
KR102214207B1 (en) A sterilizing method by pre-vaccum using the air ejector
JPH0244752Y2 (en)
JPH07299125A (en) High pressure steam sterilizer
CN207152802U (en) A kind of Ultrasonic Diagnosis Ultrasonic-B probe disinfection box
CN216777565U (en) Steam disinfection cabinet
JP6472643B2 (en) Steam sterilizer
KR102441954B1 (en) Spatial sterilization device having an invisible Vaporized Hydrogen-peroxide generator
CN114344495B (en) Steam disinfection cabinet
CN215982463U (en) Steam generator for steam sterilizer
CN211434318U (en) Disinfectant evaporation device for disinfection robot
CN219208196U (en) Steam sterilizing cabinet
CN115026041B (en) Medical disinfection cabinet for cleaning medical instruments
CN219049611U (en) Aseptic discharge pulsation vacuum cabinet type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