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638B1 -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638B1
KR100461638B1 KR10-2001-0069576A KR20010069576A KR100461638B1 KR 100461638 B1 KR100461638 B1 KR 100461638B1 KR 20010069576 A KR20010069576 A KR 20010069576A KR 100461638 B1 KR100461638 B1 KR 10046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cooking
steam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8149A (ko
Inventor
이기성
정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69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638B1/ko
Publication of KR2003003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밸브몸체(20)에 제1밸브부(30), 제2밸브부(40) 및 안전밸브부(50)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밸브부(30)와 안전밸브부(50)는 일체로 된 밸브커버(25)에 의해 밸브몸체(20)에 형성된 제1밸브몸체부(30b)와 안전밸브몸체부(50b)의 내부를 차폐한다. 상기 제1밸브부(30)는 조리기 내부의 압력에 따라 내부의 압력스프링(37)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증기의 배출을 조절한다. 제2밸브부(4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신호에 의해 배출유로(41)를 개폐하여 증기를 배출한다. 상기 제2밸브부(40)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배출유로(41)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여 평상시에 비압력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안전밸브부(50)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부(30,40)의 고장에 의해 조리기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증기배출장치가 별개의 유로를 가지는 다수개의 밸브부가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각각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게 되면서도 다양한 기능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An vapor discharging apparatus in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기 내부를 원하는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한 증기배출장치는 일종의 솔레노이드밸브로서, 조리기 내부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외부와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뚜껑에 설치된다.
즉, 뚜껑부 내판(1)을 관통하여 밸브몸체(5)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몸체(5)의 하단부에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체결캡(3)이 설치된다. 상기 체결캡(3)에는 연통공(4)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체결캡(3)은 상기 밸브몸체(5)에 상기 내판(1)의 일면에 밀착되게 조여져 체결된다.
상기 밸브몸체(5)에는 상기 체결캡(3)의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유로(6)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5) 내부에 해당되는 상기 배출유로(6)의 끝부분에는 시트부(6s)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부 내판(1)의 상면과 대응되는 상기 밸브몸체(5)에는 솔레노이드하우징(7)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하우징(7)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코일(8)이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코일(8)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내부가 상기 밸브몸체(5)의 배출유로(6)와 연통되는 원통상의 슬리이드(9)가 설치되고, 상기 슬리이브(9)의 내부에는 플런저(10)가 설치된다. 상기 플런저(10)는 그 선단에 실링재(11)가 구비된다. 상기 플런저(10)는 그 승강동작에 의해 상기 실링재(11)가 상기 시이트부(6s)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배출유로(6)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플런저(10)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2)에 의해 상기 배출유로(6)를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받는다. 상기 스프링(12)의 일단부는 상기 슬리이브(9)의 내부에 설치된 스토퍼(13)에 지지되어 상기 플런저(10)를 상기 배출유로(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밀어준다.
상기 스토퍼(13)의 내부에는 상기 슬리이브(9)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유로(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유로(14)는 조리기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증기배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상기 플런저(10)가 상기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의 하방으로 눌러져 상기 실링재(11)가 상기 시이트부(6s)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유로(6)는 상기 실링재(11)에 의해 폐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조리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지 않아 조리기의 내부에서 조리가 진행되면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서 압력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코일(8)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플런저(10)가 상기 스프링(1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도면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플런저(10)는 슬리이브(9)의 내부에서 상승하여 상기 스토퍼(13)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10)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실링재(11)가 상기 시이트부(6s)에서 분리되어 상기 배출유로(6)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연통공(4)을 통해 조리기 내부의 증기가 상기 배출유로(6)로 전달되고, 상기 배출유로(6)에서 상기 슬리이브(9)의 내부와, 상기 스토퍼(13)의 연통유로(14)를 통해 증기가 조리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평상시에 상기 플런저(10)가 상기 스프링(12)에 의해눌러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10)의 실링재(11)가 상기 시이트부(6s)에 밀착되어 배출유로(6)를 폐쇄한 상태를 항상 유지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코일(8)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리를 위한 공간 내부에서는 항상 압력조리만 수행된다. 다시 말해 압력조리가 아닌 일반 조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조리를 위한 공간에서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는 유로 내에 상기 플런저(10)와 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플런저(10)나 스프링(12)이 조리중에 발생되는 밥물이나 국물에 그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밥물 등에 의해 상기 플런저(10)나 스프링(12)이 구속되어 제대로 동작이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에는 증기배출장치의 고장시에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의 압력을 낮춰줄 수 있는 안전밸브가 없어 조리기 내부가 과도한 압력으로 되어 폭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도한 압력이 걸렸을 때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장치를 증기배출장치에 설치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하면 증기배출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제조원가가 높아지고 조립성이 떨어지며 쉽게 고장이 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단순한 증기배출구조를 가지는 다수개의 밸브부를 하나의 유니트로 하는 증기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력조리와 비압력조리를 겸하여 수행할 수 있는 증기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로의 개폐를 위한 구성이 유로와 별도의 공간에 위치되는 증기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 및 안전밸브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2밸브부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밸브몸체 22: 체결공
23, 27': 결합돌기 23',27: 결합요홈
25: 밸브커버 28: 배출파이프
29: 연통유로 30: 제1밸브부
30b: 제1밸브몸체부 31: 배출유로
32: 시이트부 33: 연통공간
34: 바이패스유로 35: 다이아프램
36: 플런저 37: 압력스프링
40: 제2밸브부 40b: 제2밸브몸체부
41: 배출유로 42: 시이트부
43: 연통공간 44: 바이패스유로
45: 다이아프램 46: 플런저
47: 솔레노이드 49: 압착링
50: 안전밸브부 50b: 안전밸브몸체부
52: 보조배출유로 53: 연통공간
54: 증기피난구 56: 플런저
57: 압력스프링 60: 내판
61,62,63: 연통공 65: 실링부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밸브몸체부, 제2밸브몸체부 및 안전밸브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제1밸브몸체부와 안전밸브몸체부에 해당되는 부분을 차폐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각각의 연통공간을 형성하는 밸브커버와, 상기 제1밸브몸체부와 밸브커버에 의해 이루어진 연통공간에 구비되고 압력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플런저와 상기 연통공간과 플런저를 차폐함과 동시에 연통공간과 상기 조리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렘을 구비하여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제1밸브부와, 상기 제2밸브몸체부에 다이아프램을 구동하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부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밸브부와 별도의 경로를 통해 상기 조리공간과 외부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고 전원이 인가됨에 의해 조리공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시키는 제2밸브부와, 상기 안전밸브몸체부와 밸브커버에 의해 이루어진 연통공간에 구비되고 압력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의해 구동되어 연통공간과 상기 조리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렘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밸브부와 별도의 경로를 통해 조리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1밸브부보다 높은 압력에서 개방되어 상기 조리공간에서 발생된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안전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전밸브부의 압력스프링은 상기 제1밸브부의 압력스프링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구비한다.
상기 밸브커버와 밸브몸체에는 각각 서로의 체결을 안내하기 위한 체결돌기와 체결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밸브부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부는 조리공간의 압력과 상관없이 별도의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2밸브부의 다이아프램은 상기 솔레노이드부가 상기 제2밸브몸체부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의 가장자리를 상기 제2밸브몸체부에 눌러주는 압착링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증기배출장치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게 되면서도 다양한 기능의 조리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고, 하나의 조리기에서 압력조리와 비압력조리를 겸하여 수행할 수 있고, 동작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도 2의 B-B'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밸브몸체(20)가 소정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몸체(20)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뚜껑부 내판(60)에 체결된다. 상기 밸브몸체(20)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밸브부(30)와 안전밸브부(50)의 일부를 형성하는 밸브커버(25)가 체결나사(26)로 체결된다.
상기 밸브몸체(20)와 밸브커버(25)에는 각각 결합돌기(23,27')와 결합요홈(23',27)이 형성되어 밸브커버(25)의 장착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밸브몸체(20)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 밸브부(30,40)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를 조리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28)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파이프(28)의 내부에는 연통유로(29)가 형성된다.
이제, 제1밸브부(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1밸브부(30)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조리기 내부의 압력을 특정한 값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밸브부(30)를 구성하는 제1밸브몸체부(30b)는 상기 밸브몸체(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밸브몸체부(30b)에는 배출유로(31)가 형성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과 제1밸브몸체부(30b)의 내부에 형성된 연통공간(33)을 연통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유로(31)의 하류부에는 시이트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33)은 바이스패스유로(34)를 통해 상기 배출파이프(28)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시이트부(32)에는 다이아프램(35)이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배출유로(31)를 개폐한다. 상기 제1밸브몸체부(30b)의 내부는 상기 밸브커버(25)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밸브커버(25)가 밸브몸체(20)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35)이 상기 제1밸브몸체부(30b)에 그 가장자리가 눌러져 고정된다.
상기 밸브커버(25)를 관통하여 지지되게 플런저(36)가 설치된다. 상기 플런저(36)는 상기 밸브커버(25)에 일단부가 지지된 압력스프링(37)에 의해 상기 시이트부(32)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36)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35)이 상기 시이트부(32)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스프링(37)의 탄성력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에 형성되는 압력에 따라 설정된다.
다음으로 제2밸브부(40)의 구성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밸브부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의 압력에 상관없이 별도로 가해지는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압력조리 후 조리기 내부의 압력을 신속하게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2밸브부(40)를 구성하는 제2밸브몸체부(40b)는 상기 밸브몸체(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밸브몸체부(40b)에는 배출유로(41)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유로(41)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배출유로(41)의 하류부에는 시이트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밸브몸체부(40b)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유로(41)와 연통되는 연통공간(43)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간(43)과 상기 배출파이프(28)는 바이패스유로(44)에 의해 연통된다.
상기 제2밸브몸체부(40b)의 내부에는 다이아프램(45)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유로(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다이아프램(45)은 플런저(46)에 의해 구동되는데, 상기 플런저(46)는 솔레노이드(47)의 내외부로 입출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46)는 상기 솔레노이드(47)에 전원이 인가됨에 의해 구동된다. 평상시, 즉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46)는 솔레노이드(47)에 수납된 상태여서 상기 다이아프램(45)이 상기 시이트부(42)에서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47)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플런저(46)가 솔레노이드(47)에서 돌출되면서 상기 다이아프램(45)이 상기 시이트부(42)에 밀착되어 배출유로(41)를 폐쇄한다.
상기 솔레노이드(47)는 체결나사(48)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2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45)은 상기 솔레노이드(47)가 상기 밸브몸체(20)에 장착됨에 의해 눌러지는 압착링(49)에 의해 상기 제2밸브몸체부(40b)에 그 가장자리가 눌러져 고정된다.
다음으로 안전밸브부(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안전밸브부(50)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부(30,40)가 고장났을 때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전밸브부(50)를 형성하는 안전밸브몸체부(50b)는 상기 밸브몸체(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안전밸브몸체부(50b)에는 보조배출유로(52)가 형성된다. 상기 안전밸브몸체부(50b)의 내부에는 연통공간(53)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간(53)은 증기피난구(54)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증기피난구(54)는 상기 연통공간(53)에 전달된 증기를 조리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배출유로(52)는 패킹(55)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패킹(55)은 상기 밸브몸체(20)의 내면 일측에 밀착되어 상기 보조배출유로(52)를 개폐한다. 여기서상기 패킹(55)은 상기 안전밸브몸체부(50b)의 내부를 차폐하는 상기 밸브커버(25)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56)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플런저(56)는 상기 밸브커버(25)에 의해 차폐되는 상기 안전밸브몸체부(50b)의 내부에서 압력스프링(57)에 의해 상기 보조배출유로(5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패킹(55)은 상기 플런저(56)에 의해 상기 보조배출유로(52)를 차단한다. 이때 상기 압력스프링(57)은 상기 제1밸브부(30)의 압력스프링(37)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증기배출장치는 상기 밸브몸체(20)가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차폐하는 뚜껑에 설치된다. 즉, 상기 뚜껑을 구성하는 내판(60)의 상면에 상기 밸브몸체(20)가 상기 체결공(22)을 관통하여 내판(60)에 체결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내판(60)에는 상기 각각의 배출유로(31,41,52)와 연통되는 연통공(61,62,63)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도면 부호 65는 밸브몸체(20)와 내판(60) 사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35,45)은 증기가 배출되는 유로와 유로의 개폐를 위한 구성을 차폐하여 유로의 개폐를 위한 구성으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솔레노이드(47)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밸브부(40)를 통해 조리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에는 조리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상기 연통공(62), 배출유로(41), 연통공간(43), 바이패스유로(44) 및 연통유로(29)를 차례로 통과하여 조리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압력이 형성되지 않아 비압력조리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제1밸브부(30)와 안전밸브부(50)는 각각 다이아프램(35)과 패킹(55)이 배출유로(31)(52)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솔레노이드(47)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플런저(46)가 솔레노이드(47)에서 돌출되면서 상기 시이트부(42)에 상기 다이아프램(45)이 밀착되어 상기 배출유로(41)가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밸브부(30)와 안전밸브부(50)는 각각 상기 압력스프링(37)(57)의 탄성력에 의해 다이아프램(35)과 패킹(55)이 배출유로(31)(52)를 폐쇄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리기 내부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면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에 압력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밸브부(30)와 안전밸브부(50)의 상태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조리가 진행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걸리게 되면 상기 압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36)가 상기 압력스프링(3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다이아프램(35)이 상기 시이트부(32)에서 분리되면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외부로 증기가 배출된다. 이때에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증기가 상기 연통공(61), 배출유로(31), 연통공간(33), 바이패스유로(34) 및 연통유로(29)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증기의 배출에 의해 상기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내부에서는 상기 압력스프링(37)에 대응되는 압력이 유지되면서 압력조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밸브부(30)나 제2밸브부(40)가 고장에 의해 조리기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안전밸브부(50)에 의해 증기가 배출된다. 이때에는 상기 조리기 내부가 상기 제1밸브부(30)에 의해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압력 이상으로 되는 경우로, 상기 플런저(56)가 압력스프링(5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되어 상기 패킹(55)이 상기 보조배출유로(52)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되면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증기는 상기 연통공(63), 보조배출유로(52), 연통공간(53) 및 증기피난구(54)를 통해 조리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는 다수개의 밸브를 하나의 유니트로 만든 것으로 각각의 밸브부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되나 각각의 밸브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다양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밸브부가 평상시에는 조리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비압력조리를 수행하고, 필요시에는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인가하여 조리기의 내부와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여 압력조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압력조리중에 조리기 내부의 압력조절은 제1밸브부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기배출장치를 사용하면 하나의 조리기로 압력조리와 비압력조리를 겸하여 수행할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각의 밸브부에서 증기가 배출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 다이아프램에 의해 차폐되어 있어 증기에 섞여 배출되는 여러가지 조리물 찌꺼기에 의해 증기배출장치가 고장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어 동작신뢰성이 크게 향상된다.

Claims (6)

  1. 제1밸브몸체부, 제2밸브몸체부 및 안전밸브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제1밸브몸체부와 안전밸브몸체부에 해당되는 부분을 차폐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각각의 연통공간을 형성하는 밸브커버와,
    상기 제1밸브몸체부와 밸브커버에 의해 이루어진 연통공간에 구비되고 압력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플런저와 상기 연통공간과 플런저를 차폐함과 동시에 연통공간과 상기 조리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렘을 구비하여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제1밸브부와,
    상기 제2밸브몸체부에 다이아프램을 구동하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부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밸브부와 별도의 경로를 통해 상기 조리공간과 외부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고 전원이 인가됨에 의해 조리공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시키는 제2밸브부와,
    상기 안전밸브몸체부와 밸브커버에 의해 이루어진 연통공간에 구비되고 압력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의해 구동되어 연통공간과 상기 조리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렘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밸브부와 별도의 경로를 통해 조리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1밸브부보다 높은 압력에서 개방되어 상기 조리공간에서 발생된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안전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부의 압력스프링은 상기 제1밸브부의 압력스프링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커버와 밸브몸체에는 각각 서로의 체결을 안내하기 위한 체결돌기와 체결요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부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부는 조리공간의 압력과 상관없이 별도의 신호에 의해 구동됨을 특징으로하는 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부의 다이아프램은 상기 솔레노이드부가 상기 제2밸브몸체부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의 가장자리를 상기 제2밸브몸체부에 눌러주는 압착링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KR10-2001-0069576A 2001-11-08 2001-11-08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 KR10046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576A KR100461638B1 (ko) 2001-11-08 2001-11-08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576A KR100461638B1 (ko) 2001-11-08 2001-11-08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149A KR20030038149A (ko) 2003-05-16
KR100461638B1 true KR100461638B1 (ko) 2004-12-14

Family

ID=2956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576A KR100461638B1 (ko) 2001-11-08 2001-11-08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6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10U (ko) * 1999-05-20 2000-12-15 정윤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용 상시열림형 밸브장치
KR100277266B1 (ko) * 1998-06-08 2001-03-02 정담 전기 압력솥의 다중 밸브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266B1 (ko) * 1998-06-08 2001-03-02 정담 전기 압력솥의 다중 밸브기구
KR20000021110U (ko) * 1999-05-20 2000-12-15 정윤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용 상시열림형 밸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149A (ko) 200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5592A1 (en) Bypass valve closing means
WO1998008150A1 (en) Elastomeric element valve
EP3631297A1 (en) An improved gas valve unit
KR100294363B1 (ko) 베이스부착형변환밸브에부착하기위한압력조절밸브
US5131427A (en) Pilot operated relief valve
KR100461638B1 (ko)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
JPH0226115B2 (ko)
US6659129B1 (en) Valve arrangement
KR100438637B1 (ko) 스페이서형 감압밸브
KR20010089348A (ko) 단일 레버 혼합 밸브용 카트리지
EP0819874B1 (en) Fluid flow control valve device
JPH0134721Y2 (ko)
GB2259968A (en) Double-seat valve device
JP2007057086A (ja) 圧力制御弁
US7007713B2 (en) Pressure control apparatus
KR200398816Y1 (ko)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30038148A (ko)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
KR200374929Y1 (ko) 메카니컬 밸브 구조
KR101924242B1 (ko) 양정 편향 시스템을 포함한 가스 밸브 유닛
JPH11304037A (ja) バルブ
KR100216096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US6332476B1 (en) Pressure level control device
KR100295197B1 (ko) 전기압력밥솥용증기자동배출장치
JP4689318B2 (ja) 開放弁
KR100309391B1 (ko) 전기압력밥솥겸용조리기의안전밸브를겸한솔레노이드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