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545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545B1
KR100459545B1 KR10-2002-0021649A KR20020021649A KR100459545B1 KR 100459545 B1 KR100459545 B1 KR 100459545B1 KR 20020021649 A KR20020021649 A KR 20020021649A KR 100459545 B1 KR100459545 B1 KR 100459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ttenuation
power
variable attenua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3208A (ko
Inventor
임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1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545B1/ko
Priority to US10/384,021 priority patent/US7103323B2/en
Publication of KR2003008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펙을 만족하면서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출력 전력의 튐 현상을 방지하면서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송신 대역의 신호로 상승 변환하는 상승 변환부와, 상기 상승 변환부의 출력 신호를 감쇄 제어 값에 따라 높은 감쇄 및 낮은 감쇄를 수행하는 가변 감쇄기와, 상기 감쇄기의 출력을 송신 전력으로 전력 상승 처리하는 송신 전력 처리부와, 상기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가 낮은 출력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 높은 감쇄를 높은 출력 전력 수준에서는 낮은 감쇄를 제어하는 감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는 장치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TRANSMITTING OF RADIO SIGNAL I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신호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송신 신호의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은 상호간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離隔)되어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상승 변환한다. 즉, 소정의 대역의 무선 신호로서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무선으로 데이터가 송신되므로 유선의 경우에서 보다 잡음(Noise)이 매우 큰 문제로 작용한다. 이러한 잡음(Noise)은 일반적으로 채널 환경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며, 송신기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 채널 환경에 의하여 발생하는 잡음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채널 환경에 따른 잡음이란, 무선 채널에서 유사한 두 주파수간 상호 간섭에 의해 발생하거나 또는 지형지물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무선 채널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대하여 상술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두 주파수간 상호 간섭에 의한 잡음을 살펴본다.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상승 변환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상승된 주파수 대역과 유사한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가 인접한 경우 두 신호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유사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두 무선 단말이 거리적으로 인접한 경우에 발생한다. 다음으로 지형지물에 의한 잡음을 살펴본다. 무선 송신을 위해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상승 변환하게 된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를 가지게 되므로 굴절 및 회절의 성질이 저하되어 발생되는 잡음과, 송신 경로상의 차이로 인해 시간 지연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송신의 경우에는 상기한 무선 채널에서 발생하는 잡음 이외에 송신하고자 하는 기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이 발생한다. 그러면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대하여 살펴본다.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은 신호의 상승 변환 및 송신 증폭 등의 경우에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확산 스펙트럼(Spreading Spectrum) 시스템의 경우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잡음과 기타 이외의 대역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비율로 살펴보면, 송신기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이 전체 잡음 지수의 80%를 차지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기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잡음을 줄이기 위한 무선 송신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기저대역 처리부(10)는 기저대역의 신호, 즉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심볼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심볼들은 가변 증폭기(12)에서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다. 그리고 대역통과 필터(14)에서 필터링된 후 혼합기(16)로 입력된다. 상기 혼합기(16)는 기저대역의 심볼들을 소정 대역 무선 신호로 상승 변환한다. 상기 상승 변환된 신호는 대역통과 필터(18)에서 필터링 되고, 가변 증폭기(20)에서 증폭된 후 고정 감쇄기(22)에서 미리 설정된 고정 감쇄 값을 가지고 신호를 감쇄시킨다. 그리고 상기 감쇄된 신호는 다시 대역통과 필터(24)를 통과하면서 필터링 되고, 가변 증폭기(26)에 의해 소정 이득 값을 가지도록 증폭된 후 전력 증폭기(28)에서 전력 증폭되어 출력된다.
상기 도 1의 회로에서는 고정 감쇄기(22)를 두어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고정 감쇄기를 두면, 연속적인 전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스펙(Spec)에서 요구하는 ACPR(Adjacent Channel Power Rejection Ratio)을 만족하게 된다. 그러나 고정 감쇄기(22)의 값이 항상 고정되어 있으므로 최대 출력 전력의 ACPR을 만족하는 입력 전력의 수준을 낮추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저온에서 전력 변화가 심한 문제가 발생한다.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잡음을 줄이기 위한 무선 송신기의 다른 블록 구성도이다. 그러면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과 도 2를 대비할 때, 도 1은 고정 감쇄기(22)를 사용하고 있으며, 도 1은 드라이브 앰프(Drive AMP)(50)를 사용하는 구성 이외에 차이를 가지지 않는다. 상기 드라이브 앰프(50)는 스텝 이득(Step Gain) 조절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도 2의 구성은 상기 드라이브 앰프(50)를 사용하므로 전류를 절약할 수 있으며, 온도에 대한 특성이 좋아지며, 제어 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드라이브 앰프(50)는 스텝 이득 조절 방식을 사용하므로 전력 조절 시 필연적으로 불연속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무선 신호의 측정 시 예를 들어 open_loop_time_response와 같은 측정 시에 출력 전력의 튐 현상으로 인해 스펙에서 요구하는 범위를 넘어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펙을 만족하면서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력 전력의 튐 현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선형성 및 연속성을 유지하고,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송신 대역의 신호로 상승 변환하는 상승 변환부와, 상기 상승 변환부의 출력 신호를 감쇄 제어 값에 따라 높은 감쇄 및 낮은 감쇄를 수행하는 역순 가변 감쇄기와,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의 출력을 송신 전력으로 전력 상승 처리하는 송신 전력 처리부와, 상기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가 낮은 출력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 높은 감쇄로 높은 출력 전력 수준에서는 낮은 감쇄로 제어하는 감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승 변환부로부터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에 대응하는 감쇄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감쇄 값을 읽어와 이를 적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는,
상기 감쇄 제어 신호는 입력되는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인덕터를 통해 핀 다이오드의 에노드로 연결되고, 상기 핀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제3저항을 통해 접지되며,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의 접점과 상기 접지 사이에 제1캐패시터가 연결되며,상기 제2저항과 상기 인덕터의 접점 사이에 제2캐패시터가 연결되고, 상기 핀 다이오드의 에노드와 상기 인덕터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캐패시터를 연결하며, 상기 핀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상기 상승 변환부의 출력단과 송신 전력 처리부의 입력단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송신 대역의 신호로 상승 변환하는 상승 변환부와, 상기 상승 변환부의 출력 신호를 제어 신호에 의해 감쇄를 수행하는 역순 가변 감쇄기와,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의 출력을 송신 전력으로 전력 상승 처리하는 송신 전력 처리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의 감쇄 값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상승 변환부로부터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낮은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임계 값보다 낮은 경우 미리 설정된 감쇄율보다 높은 감쇄율을 가지도록 상기 감쇄 값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상승 변환부로부터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높은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임계 값보다 높은 경우 미리 설정된 감쇄율보다 낮은 감쇄율을 가지도록 상기 감쇄 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잡음을 줄이기 위한 무선 송신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잡음을 줄이기 위한 무선 송신기의 다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잡음을 줄이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신호 송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 감쇄기의 상세 회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잡음을 줄이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신호 송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신호 송신 장치의 블록 구성 및 각 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저대역 처리부(100)는 기저대역의 신호, 즉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심볼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서 BBA(Base Band Analog) 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00)에서 처리된 심볼들은 가변 증폭기(102)로 입력된다. 상기 가변 증폭기(102)는 입력된 심볼들을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대역통과 필터(104)로 출력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104)는 상기 증폭된 심볼들에 포함된 잡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한다. 즉, 입력된 심볼들을 필터링하고, 이를 혼합기(106)로 출력한다. 상기 혼합기(16)는 기저대역의 심볼들을 소정 대역 무선 신호로 상승 변환한다. 즉, 송신하고자 하는 대역의 신호로 상승 변환하여 대역통과 필터(108)로 출력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108)는 상기 상승 변환되면서 포함된 잡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입력된 신호 중 불요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하고, 이를 가변 증폭기(110)로 출력한다. 상기 가변 증폭기(110)는 입력된 신호를 요구되는 소정의 전력 레벨에 따라 증폭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감쇄기(112)로 출력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가변 증폭기(102) 내지 상기 가변 증폭기(110)의 장치들을 "상승 변환부"라 칭한다. 즉, 상승 변환부란, 기저 대역 처리부(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상승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들을 말한다. 이와 같이 상승 변환부에서 처리된 신호는 상기 가변 감쇄기(112)로 입력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무선 송신(RF_TX)단에서 낮은 전력 수준에서의 신호대 잡음비는 낮게 된다. 이러한 신호대 잡음비는 전체적인 시스템 잡음 지수와 내부 변조 왜곡(Inter Modulation Distortion : IMD) 성분에 의해 좌우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자기 신호 채널 중심 주파수에서 1.98[MHz] 옵셋(offset) 주파수에서 전력 수준이다. 상기 전력 수준은 시스템 잡음 지수에 의해 대부분이 결정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에서 잡음 지수는 RF_TX front 등에서의 앞부분 소자 잡음 지수가 전체 잡음의 80%를 차지한다. 그러므로 초단의 잡음 지수를 낮추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즉, 상기한 상승 변환부에서 발생한 잡음이 송신 신호의 전체 잡음에 80%를 차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송신 신호의 잡음을 낮추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승 변환된 신호를 가변 감쇄기(112)로 입력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가변 감쇄기(112)는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따라 감쇄의 값이 변경된다. 즉, 낮은 출력 전력에서는 높은 감쇄를 수행하고, 높은 출력 전력 수준에서는 낮은 감쇄를 수행하는 감쇄기이다. 이는 낮은 출력 전력 수준에서는 상승 변환부의 이득이 작으므로 잡음지수는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최종단의 출력 전력의 신호대 잡음비(C/N)는 낮아진다.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상승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값을 측정하고, 상기 검사된 전력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미리 설정된 감쇄 값보다 작은 감쇄 값을 가지는 PDM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검사된 전력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미리 설정된 감쇄 값보다 큰 감쇄 값을 가지는 PDM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감쇄 값은 상기 제어부(111)에서 소정의 계산 식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메모리(119)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감쇄 값과 전력 값간의 관계를 소정의 테이블로 구성하고 이를 메모리(119)에 저장한 후 상기 제어부(111)는 이를 읽어와 감쇄 값을 가지는 PDM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후 단의 처리 과정을 살피기 전에 먼저 상기 가변 감쇄기(112)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 감쇄기의 상세 회로 구성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감쇄기의 상세 회로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감쇄 값을 알리는 PDM 신호는 제1저항(R1)과 제2저항(R2) 및 인덕터(L1)를 통해 핀 다이오드(PIN-D)의 에노드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제1캐패시터(C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저항(R2)과 인덕터(L1)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제2캐패시터(C2)가 연결되며, 상기 인덕터(L1)와 상기 핀 다이오드(PIN-D)의 에노드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제3캐패시터(C3)가 연결된다. 상기 핀 다이오드(PIN-D)의 캐소드는 제3저항(R3)을 통해 접지된다. 그리고 상기 핀 다이오드(PIN-D)의 캐소드와 제3저항(R3)의 접점은 상기 가변 증폭기(110)가 연결되며, 동시에 상기 도 3의 가변 감쇄기 이후에 도시된 대역통과 필터(114)의 입력단과 연결된다.
상기 제1캐패시터(C1) 내지 제3캐패시터(C3)는 상기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PDM 신호의 교류 주파수 성분을 바이패스(By-pass)시키는 경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저항(R1)과 제2저항(R2) 및 인덕터(L1)는 상기 핀 다이오드(PIN-D)와 가변 매칭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핀 다이오드(PIN-D)는 주파수 성분에 따라 교류적인 입장에서 등가회로로 구성할 경우 가변 저항과 캐패시터의 병렬 연결로 볼 수 있으므로 입력되는 신호의 특성에 따른 매칭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핀 다이오드(PIN-D)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3저항(R3) 또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PDM 신호는 송출되는 신호의 전력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증폭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매칭 값에 의해 감쇄가 이루어져 출력된다. 이러한 감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낮은 출력 전력에서는 높은 감쇄를 수행하고, 높은 출력 전력 수준에서는 낮은 감쇄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표준 스펙(SPEC)에서 요구하는 ACPR을 만족하면서도 선형적인 신호의 감쇄를 수행할 수 있고 잡음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동소자들을 사용하므로서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승 변환부 이후에 가변 감쇄기를 연결함으로써 동일한 출력 전력인 경우에 상기 상승 변환부의 이득이 높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감쇄기가 없는 경우보다 시스템 전체의 잡음 지수는 낮아지게 되며 결국 출력 전력의 신호대 잡음비(C/N)는 높아진다. 이러한 효과는 각 전력 수준 특히 -13dBm spurious ACPR(Adjacent Channel Power Rejection or Adjacent Channel ProtectionRatio)에서의 측정 시 높은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높은 입력 전력 수준에서 낮은 감쇄를 수행하고, 낮은 입력 수준에서 높은 감쇄를 수행하는 감쇄기를 이하 "역순 가변 감쇄기"라 한다.
그러면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112)에서 감쇄된 신호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114)로 입력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114)는 가변 감쇄기(112)에서 감쇄 시에 발생한 잡음 성분을 제거하고, 이를 가변 증폭기(116)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가변 증폭기는 소정 값만큼 신호를 증폭한 후 전력 증폭기(118)로 출력하여 송신 시에 필요한 전력으로 전력 증폭하여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가변 감쇄기(112)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 하는 대역통과 필터(114) 내지 전력 증폭기(118)는 신호를 송신 전력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 처리부"가 된다. 즉, 송신 전력 처리부란 전송할 신호를 송신 전력에 맞춘 전력 레벨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회로에 역순 가변 감쇄기를 사용함으로써 표준을 만족하면서 잡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송신 대역의 신호로 상승 변환하는 상승 변환부와,
    상기 상승 변환부의 출력 신호를 감쇄 제어 값에 따라 높은 감쇄 및 낮은 감쇄를 수행하는 역순 가변 감쇄기와,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의 출력을 송신 전력으로 전력 상승 처리하는 송신 전력 처리부와,
    상기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가 낮은 출력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 높은 감쇄로 높은 출력 전력 수준에서는 낮은 감쇄로 각각 제어하는 상기 감쇄 제어 값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는,
    상기 감쇄 제어 신호는 입력되는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인덕터를 통해 핀 다이오드의 에노드로 연결되고, 상기 핀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제3저항을 통해 접지되며,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의 접점과 상기 접지 사이에 제1캐패시터가 연결되며, 상기 제2저항과 상기 인덕터의 접점 사이에 제2캐패시터가 연결되고, 상기 핀 다이오드의 에노드와 상기 인덕터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캐패시터를 연결하며, 상기 핀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상기 상승 변환부의 출력단과 송신 전력 처리부의 입력단을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변환부로부터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에 대응하는 감쇄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감쇄 값을 읽어와 이를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 제어 값은 PDM 신호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송신 대역의 신호로 상승 변환하는 상승 변환부와, 상기 상승 변환부의 출력 신호를 제어 신호에 의해 감쇄를 수행하는 역순 가변 감쇄기와,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의 출력을 송신 전력으로 전력 상승 처리하는 송신 전력 처리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의 감쇄 값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승 변환부로부터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이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낮은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임계 값보다 낮은 경우 미리 설정된 감쇄율보다 높은 감쇄율을 가지도록 상기 감쇄 값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상승 변환부로부터 상기 역순 가변 감쇄기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높은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임계 값보다 높은 경우 미리 설정된 감쇄율보다 낮은 감쇄율을 가지도록 상기 감쇄 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2-0021649A 2002-04-19 2002-04-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459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649A KR100459545B1 (ko) 2002-04-19 2002-04-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384,021 US7103323B2 (en) 2002-04-19 2003-03-07 Apparatus for transmitting RF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649A KR100459545B1 (ko) 2002-04-19 2002-04-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208A KR20030083208A (ko) 2003-10-30
KR100459545B1 true KR100459545B1 (ko) 2004-12-04

Family

ID=3237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649A KR100459545B1 (ko) 2002-04-19 2002-04-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03323B2 (ko)
KR (1) KR100459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0684A1 (en) * 2004-09-07 2006-03-09 First Data Corporation Message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JP5297889B2 (ja) * 2009-05-21 2013-09-25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8422969B2 (en) * 2010-08-20 2013-04-16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nc.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8648A (ja) * 1993-08-18 1995-03-03 Kenwood Corp 無線送信機
JPH10233710A (ja) * 1997-02-18 1998-09-02 Saitama Nippon Denki Kk Tdma方式無線機とシンセサイザ出力レベル調整回路
KR20000041309A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송신전력 증폭 장치
KR20000066018A (ko) * 1999-04-12 2000-11-15 김영환 출력레벨이 자동 조절되는 cdma 휴대전화기의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3690B1 (en) * 1999-04-16 2005-02-08 Parkervision,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balanced frequency up-conversion of a baseband signal and 4-phase receiver and transceiver embodiments
US7010276B2 (en) * 2001-04-11 2006-03-07 Tropian, Inc. Communications signal amplifiers having independent power control and amplitude modulation
US7092684B2 (en) * 2003-03-31 2006-08-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ing signals in a transmit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8648A (ja) * 1993-08-18 1995-03-03 Kenwood Corp 無線送信機
JPH10233710A (ja) * 1997-02-18 1998-09-02 Saitama Nippon Denki Kk Tdma方式無線機とシンセサイザ出力レベル調整回路
KR20000041309A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송신전력 증폭 장치
KR20000066018A (ko) * 1999-04-12 2000-11-15 김영환 출력레벨이 자동 조절되는 cdma 휴대전화기의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03323B2 (en) 2006-09-05
US20040198252A1 (en) 2004-10-07
KR20030083208A (ko)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9576B2 (en) Interferenc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JPWO2016117482A1 (ja) 高周波電力増幅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US7388428B2 (en) Power amplifier with controllable feedback loop
US6407630B1 (en) DC offset cancelling circuit applied in a variable gain amplifier
US9077302B2 (en) Amplifier for a wireless receiver
CN211352192U (zh) 基于2.4GWiFi的变频收发电路
JPH0449298B2 (ko)
KR1004595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신호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9746119U (zh) 一种毫米波多通道接收机
US76974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plit isolation in radio frequency electronics
EP2151062B1 (en) Increasing sensitivity of radio receiver
JP2019071540A (ja) 電力増幅モジュール
TW201345207A (zh) 通訊裝置與射頻等化器
KR100993084B1 (ko) 무선통신 시스템
KR100743589B1 (ko)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CN117375655B (zh) 一种5GHz WIFI射频信号处理电路
CN211352183U (zh) 一种反馈接收机电路及电子设备
KR101075755B1 (ko)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661590B1 (ko) 적응형 협대역 여파기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 장치 및 그방법
KR100265429B1 (ko) 아이에프신호자동이득제어회로
KR10037779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믹서 신호손실 보상장치
KR20240038543A (ko) 증폭 회로, 이를 포함하는 인체 채널 기반 통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0447387B1 (ko) 무선가입자망 수신기의 자동 이득조정 루프회로
CN116886152A (zh) 星载抗干扰测控接收机
CN118074632A (en) Low noise amplifi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