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416B1 -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416B1
KR100459416B1 KR10-2001-0080281A KR20010080281A KR100459416B1 KR 100459416 B1 KR100459416 B1 KR 100459416B1 KR 20010080281 A KR20010080281 A KR 20010080281A KR 100459416 B1 KR100459416 B1 KR 100459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input
output jack
jack
sliding cap
in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934A (ko
Inventor
안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4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는 본체(1) 상단부의 외부 케이스(101)와 내부 케이스(102)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어 잭 결합공(103)을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딩 캡(104)과, 상기 내부 케이스(102)의 하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내부 케이스(102)에 형성된 안내공(102a)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캡(104)에 결합되어 있는 홀더 플레이트(105)와, 그 홀더 플레이트(105)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 케이스(102)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홀더 플레이트(105)를 항상 슬라이딩 캡(104)이 잭 결합공(103)을 닫을 수 있는 일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당기기 위한 코일 스프링(106)으로 구성되어, 오디오 입출력 잭(111)을 연결할때는 슬라이딩 캡(104) 단부의 틈새로 오디오 입출력 잭(111)의 단부를 밀어넣어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을 분해하지 않고 간단하게 오디오 입출력 잭(111)을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AUDIO JACK DOOR APPARATUS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입출력 잭을 원터치식으로 간단하게 단말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년동안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대부분의 사람이 보유할 정도로 보편화된 전자제품 중의 하나가 되었다.
또한, 단말기의 기능도 최근 몇년동안 급격히 발전을 거듭하여 인터넷, 이메일 송수신, 화상송수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형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의 상단부에 힌지(2)에 의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폴더(3)가 결합되어 있고, 그 폴더(3)의 내측에는 정보가 글자나 숫자로 표시되는 액정(4)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후면에는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밧데리(5)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는 내측에 일정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상,하부케이스(6)(7)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 공간부에 배치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피시비(미도시) 및 그 피시비(미도시)와 상부 케이스(6)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부 케이스(6)에 형성된 통공(6a)을 통하여 돌출되어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개의 패드(9a)가 형성되어 있는 패드 시트(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하단부에는 마이크(10)가 내장되어 있고, 폴더(3)의 상단부에는 스피커(11)가 내장되어 있으며, 본체(1)의 후면 일측에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2)가 입,출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폴더(3)를 열고 액정(4)에 나타나는 정보들을 확인함과 아울러 본체(1)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패드(9a)들을 눌러서 송신 및 수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1)에는 이어폰이나 핸즈 프리의 오디오 입출력 잭(13)이 결합될 수 있도록 콘넥터(14)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그 입구부는 더스트 캡(15)에 의하여 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이어폰이나 핸즈 프리를 이용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에 오디오 입출력 잭(13)을 결합할때는 콘넥터(14)가 설치된 입구부에 복개되어 있는 더스트 캡(15)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고, 그 콘넥터(14)에 오디오 입출력 잭(13)을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이 번거로울뿐 아니라 분리된 더스트 캡(15)이 분실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콘넥터가 설치된 입구부가 슬라이딩식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부품의 분실우려 없이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또한, 오디오 입출력 잭이 결합된 상태에서 오디오 입출력 잭에 외력이 가해져도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먼지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오디오 입출력 잭을 결합할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6, 도 7, 도 8은 은 본 발명에서 오디오 입출력 잭 결합동작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101 : 외부 케이스
102 : 내부 케이스 102a : 안내공
103 : 잭 결합공 104 : 슬라이딩 캡
104a : 라운드 부 104b : 누름부
104b' : 돌부 104c : 사각돌기부
105 : 홀더 플레이트 105a : 원형통공
105b : 사각통공 110 : 콘넥터
111 : 오디오 입출력 잭 112 : 스크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상단부의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어 잭 결합공을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딩 캡과, 상기 내부 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내부 케이스에 형성된 안내공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캡에 결합되어 있는 홀더 플레이트와, 그 홀더 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홀더 플레이트를 항상 슬라이딩 캡이 잭 결합공을 닫을 수 있는 일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당기기 위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캡의 단부에는 콘넥터에 결합되는 오디오 입출력 잭의 측면을 감싸도록 밀착되게 라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이루는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다.
즉, 본체(1)의 상단부에 힌지(2)에 의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폴더(3)가 결합되어 있고, 그 폴더(3)의 내측에는 정보가 글자나 숫자로 표시되는 액정(4)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후면에는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밧데리(5)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하단부에는 마이크(10)가 내장되어 있고, 폴더(3)의 상단부에는 스피커(11)가 내장되어 있으며, 본체(1)의 후면 일측에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2)가 입,출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 상단부의 통공(101a)이 구비된 외부 케이스(101)와 내부 케이스 (102)사이에는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어 잭 결합공(10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캡(104)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부 케이스(102)의 하면에는 내부 케이스(102)에 형성된 안내공(102a)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캡(104)에 결합될 수 있도록 홀더 플레이트(105)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홀더 플레이트(105)에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내부 케이스(102)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캡(104)이 항상 일측으로 당겨지도록 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10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102)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캡(104)이 안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안착홈(10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캡(104)은 일단부에 콘넥터(110)에 결합되는 오디오 입출력 잭(111)의 측면을 감싸도록 라운드부(104a)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부(104b')가 형성된 누름부(104b)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 플레이트(105)에는 원형통공(105a)과 사각통공(105b)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원형통공(105a)을 통하여 스크류(112)로 상기 슬라이딩 캡(104)의 하면에 고정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캡(104)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사각돌기부(104c)가 사각통공(105b)에 삽입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폴더(3)를 열고 액정(4)에 나타나는 정보들을 확인함과 아울러 본체(1)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패드들을 눌러서 송신 및 수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어폰이나 핸즈 프리를 이용하기 위하여 오디오 입출력 잭(111)을 콘넥터(110)에 연결하고자 할때는 한손으로 단말기를 파지하고 나머지 한손으로 오디오 입출력 잭(111)을 파지한 상태에서 오디오 입출력 잭(111)의 단부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04b)와 외부 케이스(101) 사이의 틈으로 밀어 넣는데, 이와 같이 밀어넣는 힘에 의하여 슬라이딩 캡(104)이 도 7에서와 같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며 밀리게 된다.
그후 상기와 같이 삽입되는 오디오 입출력 잭(11)의 단부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넥터(110)에 자연스럽게 삽입됨과 아울러 그 콘넥터(110)의 측면에 슬라이딩 캡(104)의 라운드부(104a)가 감싸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콘넥터(110)에 삽입되어 있는 오디오 입출력 잭(111)을 뺄때는 한손으로 다시 단말기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오디오 입출력 잭(111)을 파지한 상태에서 삽입할때의 역방향으로 그대로 빼면 콘넥터(110)에서 오디오 입출력 잭(111)이 빠지게 되며, 슬라이딩 캡(104)은 코일 스프링(106)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열릴때의 역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입구부를 닫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캡이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여, 오디오 입출력 잭을 연결할때는 한손으로 단말기를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오디오 입출력 잭의 단부를 슬라이딩 캡의 단부 틈새로 밀어 넣어 원터치 식으로 콘넥터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오디오 입출력 잭을 연결함과 아울러 부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또한, 오이도 입출력 잭이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캡의 단부에 형성된 라운드 부가 오디오 입출력 잭의 외측을 감싸도록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오디오 입출력 잭이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외부로 부터의 먼지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상단부의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사이에 일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어 잭 결합공을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딩 캡과, 상기 내부 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내부 케이스에 형성된 안내공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캡에 결합되어 있는 홀더 플레이트와, 그 홀더 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홀더 플레이트를 항상 슬라이딩 캡이 잭 결합공을 닫을 수 있는 일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당기기 위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캡의 단부에는 콘넥터에 결합되는 오디오 입출력 잭의 측면을 감싸도록 밀착되게 라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는 원형통공과 사각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원형통공을 통하여 스크류로 상기 슬라이딩 캡의 하면에 고정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캡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사각돌기부가 사각통공에 삽입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캡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부가 형성된 누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
KR10-2001-0080281A 2001-12-17 2001-12-17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 KR100459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281A KR100459416B1 (ko) 2001-12-17 2001-12-17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281A KR100459416B1 (ko) 2001-12-17 2001-12-17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934A KR20030049934A (ko) 2003-06-25
KR100459416B1 true KR100459416B1 (ko) 2004-12-03

Family

ID=2957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281A KR100459416B1 (ko) 2001-12-17 2001-12-17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4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792Y1 (ko) * 2000-04-08 2000-09-01 손자문 충전용 잭 안전장치를 가진 휴대폰
KR200194791Y1 (ko) * 2000-04-08 2000-09-01 손자문 이어폰 잭 안전장치를 가진 휴대폰
KR200235265Y1 (ko) * 2001-03-15 200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리셉터클 개폐장치
KR20010100594A (ko) * 2000-05-04 2001-11-14 이계철 먼지차단 도어를 구비한 모듈러 잭의 전면판
JP2001319727A (ja) * 2000-05-12 2001-11-16 Kenwood Corp ジャック防塵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792Y1 (ko) * 2000-04-08 2000-09-01 손자문 충전용 잭 안전장치를 가진 휴대폰
KR200194791Y1 (ko) * 2000-04-08 2000-09-01 손자문 이어폰 잭 안전장치를 가진 휴대폰
KR20010100594A (ko) * 2000-05-04 2001-11-14 이계철 먼지차단 도어를 구비한 모듈러 잭의 전면판
JP2001319727A (ja) * 2000-05-12 2001-11-16 Kenwood Corp ジャック防塵構造
KR200235265Y1 (ko) * 2001-03-15 200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리셉터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934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4734A (en) Telephone with sliding keypad
EP1484920B1 (en) Pora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0058623A (ko) 힌지 스타일러스와 보조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100035136A1 (en) Battery fix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50124395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KR1004594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 잭 입구개폐장치
KR100365797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20040001432A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005757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0090550A (ko) 부채형 슬라이드 폰
KR20060078508A (ko)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68244A (ko) 푸쉬 푸쉬 방식의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내부 삽입형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43875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100703394B1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04511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결합구조
KR2005006832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317627B1 (ko) 슬라이드식과 플립식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KR1005757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KR100585744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2004000994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잭 개폐장치
KR100400552B1 (ko) 넓은 엘시디 창을 가지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