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049B1 -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049B1
KR100459049B1 KR10-2001-0034575A KR20010034575A KR100459049B1 KR 100459049 B1 KR100459049 B1 KR 100459049B1 KR 20010034575 A KR20010034575 A KR 20010034575A KR 100459049 B1 KR100459049 B1 KR 10045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am
damp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6244A (ko
Inventor
강병구
양호
Original Assignee
강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구 filed Critical 강병구
Priority to KR10-2001-0034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049B1/ko
Publication of KR20020096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cam-and-slide transmission between driving shaft and piston within the closer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어를 여닫을 시 댐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장치는 대부분 유압 실린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하게되면 실린더 패킹이 마모되어 기능이 쉽게 상실되며, 90°에서 멈춤동작 되는 힌지장치와 멈추지 않는 힌지장치가 각각 별개로되어 있어 한번 선택하여 설치하면 그 기능밖에 수행하지 못하므로, 도어를 90°로 오픈시켜 놓게되는 여름철과 걸림없이 닫혀야 하는 겨울철에 맞추어 선택 사용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도어의 힌지와 연동되는 동판 디스크를 구비하고 이 동판 디스크와의 사이에서 와전류를 유도하고 그로부터 나오는 자속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라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을 구비하여 반영구적인 댐퍼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저항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힌지의 하부에 2개의 상이한 캠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 닫힘동작되게 하거나, 90°멈춤동작되게 함으로써 계절에 맞는 선택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 힌지장치{Door hinge apparatus being able to control selectively damping pressure and rotation degree}
본 발명은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판 디스크와 영구자석 사이의 자력 저항작용으로 댐퍼 작용되게 하면서 계절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도어를 자유회전되게 하거나 걸림 작동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물의 출입구에는 양방향 또는 일방향 도어가 적용되는데, 비교적 사람들의 출입이 잦은 곳에서는 양방향 개폐도어가 이용되고, 비교적 출입이 적은 아파트, 오피스텔, 주택의 현관문에는 일방향 개폐도어가 주로 이용되며, 이러한 도어는 힌지의 역할에 따라 도어의 성능 및 적용상태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즉, 도어의 힌지는 도어가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열림과 닫힘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하여도 초기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자동으로 천천히 닫히도록 하는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식 댐퍼장치가 등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식 댐퍼장치의 경우 실린더의 내부에 오일을 충진하여 그 유압에 의해 도어의 닫힘동작을 천천히 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므로 힌지장치를 설치하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피스톤로드와 연결된 패킹이 실린더 내측벽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어 오일이 누출되어 반대편으로 저항없이 넘어가게 되므로 그 닫힘성능이 떨어지거나 아예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기능을 상실하게되는 경우, 문이 닫히는 방향으로 센 바람을 받게 되면 큰 소음과 함께 큰 압력으로 닫히기 때문에 노약자 안전사고의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영구자석과 동판 사이의 유도작용에 따라 저항력을 발생시켜 반영구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자석을 이용한 댐퍼장치가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자석을 이용한 댐퍼장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은 있으나, 설정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장 상황과 도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그때 그때 압력을 조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었다.
한편, 도어 힌지장치에는 걸림홈이 없는 평활면으로된 회전캠을 적용하여 도어가 여닫힐 때 걸림이 없이 여닫힐 수 있도록하는 겨울철에 적합한 통상의 방식과, 걸림홈을 갖는 캠을 적용하여 90°열림 상태에서 멈춤되도록 하므로서 하절기 도어를 열어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들은 각각 별개로 되어있어 하나의 도어에 하나의 방식만을 채택 적용하게 되므로 계절에 따라 혹은 개인별 취향에 따라 임의 선택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힌지와 연동되는 동판 디스크를 구비하고 이 동판 디스크와의 사이에서 와전류를 유도하고 그로부터 나오는 자속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라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을 구비하여 반영구적인 닫힘 지연 댐퍼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그 저항력의 세기를 외부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도어 힌지장치의 회전축 상에 평활면과 걸림홈을 갖는 2개의 상이한 캠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 닫힘동작되게 하거나, 열림 상태에서 90°멈춤동작하게 하는 선택 조정이 가능한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조의 장착 설치상태를 보인 조립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 단면도로서, 제 1, 제 2 캠의 분리 구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단면도로서, 제 1, 제 2 캠의 결합 구동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부의 작동예시 발췌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의 작동상태 예시 평면도로서,
(a)는 제 2캠의 닫힘 상태 예시도
(b)는 제 2캠의 열림 작동상태 예시도
(c)는 제 1캠의 작동상태와 가압봉의 관련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 1, 제 2 캠 중 한개를 장착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의 분리, 접촉 작동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어 2 : 힌지
3 : 구동기어 4 : 종동기어
5 : 동판 6 : 영구자석
7 : 제 1캠 8 : 제 2캠
9,12,13,14,15,24,26 : 스프링 10 : 상부 작동판
11 : 하부 작동판 16,17,18,19 : 지지대
20 : 좌우방향 홈 22 : 작동핀
23 : 가압봉 25 : 스프링 캡
27 : 당김줄 28 : 4각 조정편
100 : 하우징 101 : 래크 작동공
102 : 가이드공 103,104 : 나사공
105,106 : 조정나사 107 : 스프링 안착돌기
108 : 패킹 109 : 4각 요홈
110 : 래크 바아 111 : 가이드 바아
112 : 피니언 113 : 조정축
114 : 회전 조정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1)의 하부 일측이 결합되어 자동으로 천천히 닫히는 플로어 힌지(2)로서, 동판 디스크와 영구자석을 통한 반영구적인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는 도어 댐퍼부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캠을 2개 채용하여 선택적으로 걸리게 할 수 있는 선택 걸림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 댐퍼부는 도어(1)의 하부 일측과 결합되는 힌지(2)의 축(2a) 하단부에 구동기어(3)가 설치되고, 이 구동기어(3)에는 그 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종동기어(4)가 치합되며, 종동기어(4)의 축(4a) 하부에는 동판 디스크(5)가 설치되고, 동판 디스크(5)의 일측 주위에는 동판 디스크(5)를 감싸는 형상으로 접촉되지 않게 단면상 "ㄷ"자 형상의 영구자석(6)이 구비되어 도어(1)가 닫힐 때 지연동작할 수 있으며, 여기에 영구자석(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래크 작동공(101)과, 그 상하에 부싱이 끼워지는 가이드공(102)을 형성하여, 상기 영구자석(6)을 끼운 케이싱 일측으로 연결된 래크 바아(110)와, 그 상하의 가이드 바아(111)를 끼워 설치하고, 외측에는 이와 대응되는 피니언(112)이 장착된 조정축(113)을 설치하되, 그 상단에 회전 조정홈(114)을 형성하여 외측에서 수직으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 시킴으로서, 영구자석(6)이 좌, 우 이동하여 조정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도어 작동에 있어서의 선택 걸림부는 힌지(2)의 축(2a) 중간부에 외주연을 따라 대칭형의 유선형면(7a)을 가지고 상하 이동가능한 제 1캠(7)과, 외주연을 따라 대칭형의 작동홈(8a)을 가지고 고정되는 제 2캠(8)이 탄성력을 발현하는 제 1스프링(9)을 사이에 두고 순차 편심되게 키결합 설치되어 제 1캠(7)을 상시 밀어주게 구성되고, 제 1캠(7)의 상부와 제 2캠(8)의 하부에는 각각 상부 작동판(10)과 하부 작동판(11)이 각각 제 2∼제 5스프링(12∼15)을 갖는 제 1∼제 4지지대(16∼19)들을 사이에 두고 힌지(2)의 축(2a)에 삽입되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2개의 나사공(103)(104)이 형성되어 이들 나사공(103)(104)을 통해 평상시 입구측을 폐쇄하고 있는 패킹(108)을 제거한 후 각각에 조정나사(105)(106)를 끼우고 조정함에 따라 상부 작동판(10) 및 제 1캠(7)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하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게 구성되며, 각 상, 하부 작동판(10)(11)의 힌지 삽입부위에는 각 캠(7)(8)과의 접촉에 따라 좌우 이동가능하게 상하폭보다 좌우폭이 넓은 홈(20)이 형성되고, 상부 작동판(10)과 하부 작동판(11)의 홈(20) 옆으로 작동핀(22)이 설치되어 제 1캠(7)의 상하위치에 따라 제 1캠(7)의 유선형면(7a)에 접촉되거나 제 2캠(8)의 유선형 면 및 홈(8a)과 접촉되며, 지지대(16∼19) 중 일측의 2개의 지지대(16)(17)와 가압봉(23)이 연결되고 하우징(100)의 측벽에는 스프링 안착돌기(107)가 형성되며 스프링 안착돌기(107)와 가압봉(23)의 사이에는 제 6스프링(24)이 개재되어 제 6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틀체로 구성된 상부 작동판(10)과 하부 작동판(11)을 상시 측방으로 밀어주게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봉(23)의 중간부에는 장공(23a)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으로 통과하는 상기 종동기어(4)의 축(4a)과 간섭없이 작동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하우징(100) 상부의 상부 작동판(10) 및 제 1캠(7) 조정을 위한 2개의 나사공(103)(104)은 조정나사(105)(106)가 삽입되지 않을 시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108)과 같은 마개로 막아줌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하절기 또는 동절기와 같은 외부기온의 변화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도어를 180°로 완전 개폐되게 하거나 90°에서 멈출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도어가 천천히 닫히도록 하는 도어 댐퍼부의 저항력 세기를 도어의 크기,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정한 압력으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어(1)가 회전하게 되면 도어(1)의 하부 일측과 결합된 힌지(2)가 회전하면서 그 축(2a) 하단부의 구동기어(3)도 같이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이 구동기어(3)와 치합된 종동기어(4)에 전달되는데, 종동기어(4)는 구동기어(3)보다 그 직경이 작게 구성되므로 구동기어(3)가 느리게 회전되더라도 종동기어(4)는 빠르게 회전되며, 이 빠른 회전력이 종동축(4a)에 결합된 동판 디스크(5)에 전달되어 동판 디스크(5)가 빠르게 회전되면서 단면상 "ㄷ"자 형상의 영구자석(6)과의 사이에서 와전류가 유도되고 영구자석(6)으로부터 나오는 자속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반발력이 생겨 저항력이 발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은 도어(1)가 닫힐 때에도 마찬가지가 되므로 도어(1)가 자동으로 닫힐 때 닫힘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도어(1)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서 그 회전에너지가 다르게 나타나며, 현장에 따라 특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도어 개폐장치의 설치시 이러한 도어 닫힘지연부를 모든 장소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는 것이며, 이러한 단점때문에 종래에는 반영구적인 시스템적인 이점에도 불구하고 그 적용이 미비하였던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에는 영구자석(6)의 일측으로 래크 바아(110)가 연결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피니언(112)이 하우징(100)의 외측벽 상에 수직 설치된 조정축(113)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조정축(113)은 상단의 회전 조정홈(114)을 통하여 외부측에서 수직으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 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력이 전달되어 래크 바아(110)가 좌우 왕복하면서 영구자석(6)을 이동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도 5와 같이 영구자석(6)의 위치를 동판(5)과 가깝게 하거나 멀리 하여 동판(5)과 영구자석(6) 사이의 와전류 및 자속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그 저항력의 세기를 최적의 상태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어(1)가 회전되어 힌지(2)의 축(2a)이 회전되면 그와 키 결합되어 있는 제 1캠(7) 및 제 2캠(8)도 회전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2개의 조정나사(105)(106)를 조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1캠(7)이 제 1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제 2캠(8)으로부터 작동핀(22)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 정도로 이격되므로 힌지(2)의 축(2a)이 회전할 때 제 2캠(8)만이 작동핀(22)과 접촉된다.
이때, 제 2캠(8)의 외주연에는 작동홈(8a)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핀(22)은 가압봉(23)이 상부 작동판(10) 및 하부 작동판(11)을 상시 밀어주고 있으므로 도 6의 (a)와 같이 제 2캠(8)이 작동핀(22)과 접촉 회전되면서 그 작동홈(8a)이 작동핀(22)에 걸려 도어(1)의 위치를 90°에서 멈추게 할 수 있는 것이며,작동핀(22)이 제 2캠(8)의 작동홈(8a)이 이루는 굴곡면을 따라 접촉되는 것에의해 상부 작동판(10) 및 하부 작동판(11)은 그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20)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제 2캠(8)은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1)를 열면 열수록 그 뾰족한 면 쪽으로 작동핀(22)이 접촉되면서 이동하게 되고, 스프링(24)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는 가압봉(23)은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면서 밀리게 되어, 도어(1)가 닫히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작동홈(8a)에 작동핀(22)이 걸리게 될 때는 도어가 멈출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스프링 반발력에 의해 가압봉(23)이 원위치 되는 압력에 의해 작동핀(22)을 캠 쪽으로 밀게 되므로, 도어(1)는 자동으로 천천히 닫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멈춤동작은 하절기에 도어(1)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멈추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반대로, 도 3의 상태에서 도 4의 상태로 하우징(100) 상부의 나사공(103)(104)을 통해 나사공을 평상시 밀폐하고 있던 패킹(108)을 분리해 내고, 조정나사(105)(106)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정나사(105)(106)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내려가면서 상부 작동판(10)을 눌러주게 되며, 상부 작동판(10)은 제 1캠(7)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제 1캠(7) 역시 하부로 내려와 제 1캠(7)이 작동핀(22)과 접촉될 수 있는 위치가 된다.
따라서, 도어가(1) 회전되어 힌지(2)의 축(2a)이 회전하게 되면 도 6c 와 같이 제 1캠(7) 및 제 2캠(8)이 회전하면서 작동핀(22)이 제 1캠(7)의 유선형면(7a)과 제 2캠(8)의 작동홈(8a) 사이의 돌출된 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때의 작용은실질적으로 제 1캠(7)의 유선형면(7a)에만 접촉될 때처럼 작용되는 것으로, 도어(1)를 손으로 밀어 열게되면 제 1캠(7)이 회전하면서 접촉 상태에 있는 작동핀(22)을 밀게되며, 그에 따라 작동핀(22)을 걸고있는 가압봉(23)은 뒤로 밀리면서 스프링(24)을 압축하여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는 상태로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며, 그 상태로 계속하여 캠의 뾰족한 끝인 90°범위를 벗어나 더 회전하게 되면, 캠의 작동핀(22)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고, 그 다음부터는 스프링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던 가압봉(23)이 작동핀(22)을 밀게 되므로서 작동핀(22)이 캠의 반대면과 접촉 슬라이드 하면서 도어가 완전히 180°로 열릴 수 있는 것이며, 닫힘에 있어서는 반대로 90°범위까지만 사람의 힘으로 닫아주면 그다음은 저절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통상 도어를 출입함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완전히 열어놓는 상태가 되지는 않는 것이며, 90°범위 내에서 여닫히게 되는 것이 통상적인 것으로 상기에서와 같이 90°범위에서 열릴때는 사람의 힘에 의하여 스프링을 압축하는 상태로 열리고 닫힐 때에는 스프링의 반발 복귀력에 의하여 저절로 닫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자동 닫힘 동작은 동절기 빠른 시간내에 즉시 도어(1)를 닫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자동 닫힘동작을 하는 상태에서 다시 멈춤동작으로 변환하고 싶을 때에는 조정나사(105)(106)를 풀어내기만 하면 각 스프링(9,12,13,14,15)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제 1캠(7)과 상부 작동판(10)을 상방향으로 밀게 될 것이므로 분리가 이루어져 제 1캠(7)은 작동핀(22)과 접촉될 수 없는 위치가 되고, 하부측의 제 2캠(8)만 접촉 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그 전환도 간단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언제든지 조정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1캠(7)의 상부에 스프링 캡(25)을 형성하고, 스프링 캡(25)과 제 1캠(7)의 사이에 제 7스프링(26)을 개재하여 제 1캠(7)을 상시 하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하며, 제 1캠(7)을 관통하여 하단부에 당김줄(27)을 연결하고, 당김줄(27)의 상단부는 하우징(100) 상단부로 인출하여 4각 조정편(28)에 연결하며, 하우징(100) 상단부에는 4각 조정편(28)의 형상에 대응되는 4각 요홈(109)을 형성하여 4각 조정편(28)을 안치하되, 4각 조정편(28)의 하부에는 대각방향으로 각각 돌기(28a)(28b)를 형성하고, 4각 요홈(109)에는 돌기(28a)(28b)에 대응되는 홈(109a)(109b)을 형성하여 4각 조정편(28)의 위치에 따라 제 1캠(7)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4각 조정편(28)을 들었다 놓을 수 있도록 4각 요홈(109)의 양측면에 홈을 형성하거나 4각 조정편(28)의 상부에 고리홈(28c)을 형성하고 그 중간에 걸치게 고리(28d)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에는 4각 조정편(28)의 대각방향 돌기(28a)(28b)가 4각 요홈(109)의 대각방향 홈(109a)(109b)에 일치되면 제 1캠(7)이 하강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작동핀(22)과 접촉하면서 자동 닫힘동작을 할 수 있고, 4각 조정편(28)의 대각방향 돌기(28a)(28b)가 4각 요홈(109)의 대각방향 홈(109a)(109b)과 어긋나게 위치하면 제 1캠(7)이 작동핀(22)과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어 제 2캠(8)에 의한 다단 멈춤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실질적인 작용효과는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에 따라 동판 디스크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그 주위를 감싸게 위치한 영구자석과의 사이에서 와전류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영구자석으로부터 나오는 자속에 의해 반발력을 발현하여 천천히 닫히는 동작을 반영구적으로 수행하면서도 영구자석의 위치를 조정하여 도어의 크기 또는 현장의 특수한 상황에 맞게 저항 댐퍼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적용범위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조정나사를 통한 조정유무에 따라 형상이 다른 2개의 캠을 선택적으로 이격시켜 걸림없는 여닫힘동작 및 90°멈춤 동작을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며, 하절기 또는 동절기와 같은 기온에 맞는 상황이나 개인적인 기호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하여 선택 사용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도어(1)의 하부 일측이 힌지(2)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1)의 개폐시 걸림없이 개폐되는 것과, 멈춤 개폐작동되는 것 및 그 닫힘속도를 지연시키는 댐퍼 기능을 갖는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2)의 축(2a) 하단부에는 구동기어(3)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기어(3)에는 상기 구동기어(3)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종동기어(4)를 치합하며, 상기 종동기어(4)의 축(4a) 하부에는 동판 디스크(5)을 설치하고, 상기 동판 디스크(5)의 일측에는 상기 동판 디스크(5)를 감싸는 형상으로 접촉되지 않게 단면상 "ㄷ"자 형상의 영구자석(6)을 구비하여 지연동작되게 하되, 상기 영구자석(6)의 일측에는 래크 바아(110)를 연결하여 하우징(100) 외부측에 수직 설치되는 조정축(113) 상의 피니언(112)와 치합되게 하고, 이 조정축(113)의 상단에는 회전 조정홈(114)을 형성하여 공구로 회전 시킴에 따라 영구자석(6)의 위치가 조정되어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압력과 회전 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2)의 축(2a) 중간부에는 유선형면(7a)을 가지는 제 1캠(7)을 설치하고, 그 상하부에는 상부 작동판(10)과 하부 작동판(11)을 스프링(12∼15)을 갖는 지지대(16∼19)를 사이에 두고 상기 힌지(2)의 축(2a)에 끼워지게 각각 설치하되, 상기 각 작동판(10)(11)의 힌지 삽입부에는 상하폭보다 좌우폭이 큰 홈(20)을 형성하고, 상기 홈(20) 옆으로 작동핀(22)을 수직 설치하여 캠의외면과 접촉 구동되게 하며; 일측 지지대(16)(17)와 가압봉(23)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돌기(107)와 상기 가압봉(23)의 사이에는 스프링(24)을 개재하여 상기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각 작동판(10)(11)을 밀어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서, 도어가 180°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댐퍼 작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압력과 회전 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 힌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2)의 축(2a) 중간부에는 작동홈(8a)을 가지고 고정되는 제 2캠(8)을 설치하고, 그 상하부에는 상부 작동판(10)과 하부 작동판(11)을 스프링(12∼15)을 갖는 지지대(16∼19)를 사이에 두고 상기 힌지(2)의 축(2a)에 끼워지게 각각 설치하되, 상기 각 작동판(10)(11)의 힌지 삽입부에는 상하폭보다 좌우폭이 큰 홈(20)을 형성하고, 상기 홈(20) 옆으로 작동핀(22)을 수직 설치하여 캠의 외면과 접촉 구동되게 하며; 일측 지지대(16)(17)와 가압봉(23)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돌기(107)와 상기 가압봉(23)의 사이에는 스프링(24)을 개재하여 상기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각 작동판(10)(11)을 밀어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서, 도어가 90°멈춤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댐퍼 작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압력과 회전 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 힌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2)의 축(2a) 중간부에는 유선형면(7a)을 가지고상하 이동가능한 제 1캠(7)과, 작동홈(8a)들을 가지고 고정되는 제 2캠(8)을 스프링(9)을 사이에 두고 순차 설치하고, 상기 각 캠(7)(8)의 상하부에는 상부 작동판(10)과 하부 작동판(11)을 스프링(12∼15)을 갖는 지지대(16∼19)를 사이에 두고 상기 힌지(2)의 축(2a)에 끼워지게 각각 설치하되, 상기 제 1캠(7)을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부터 조정나사(105)(106)를 연결하며, 상기 각 작동판(10)(11)의 힌지 삽입부에는 상하폭보다 좌우폭이 큰 홈(20)을 형성하고, 상기 홈(20) 옆으로 작동핀(22)을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제 1캠(7)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각 캠(7)(8)과 선택적으로 접촉되게 하며; 일측 지지대(16)(17)와 가압봉(23)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돌기(107)와 상기 가압봉(23)의 사이에는 스프링(24)을 개재하여 상기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각 작동판(10)(11)을 밀어 줄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도어의 개폐를 180°와 90°멈춤기능 상태로 선택적용 가능한 상태에서 댐퍼 작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압력과 회전 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 힌지장치.
  5. 삭제
KR10-2001-0034575A 2001-06-19 2001-06-19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힌지장치 KR10045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575A KR100459049B1 (ko) 2001-06-19 2001-06-19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575A KR100459049B1 (ko) 2001-06-19 2001-06-19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힌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482U Division KR200262502Y1 (ko) 2001-10-16 2001-10-16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244A KR20020096244A (ko) 2002-12-31
KR100459049B1 true KR100459049B1 (ko) 2004-12-08

Family

ID=2770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575A KR100459049B1 (ko) 2001-06-19 2001-06-19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180B1 (ko) * 2002-01-22 2004-07-05 광주과학기술원 자기식 플로어 힌지
KR102276472B1 (ko) * 2019-02-11 2021-07-13 신재민 자동 도어 힌지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3894A (en) * 1987-07-09 1990-11-27 Oy Wartsila Ab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timizing of the function of a door closer
KR950032970A (ko) * 1994-05-12 1995-12-22 이종환 도어의 플로어 힌지
KR970052058U (ko) * 1997-06-05 1997-09-08 김정용 건축물용 도어개폐장치
JPH09317315A (ja) * 1996-05-29 1997-12-09 Miwa Lock Co Ltd ドアクローザ
JPH10159432A (ja) * 1996-12-03 1998-06-16 Miwa Lock Co Ltd ドアクローザ
JPH1193501A (ja) * 1997-09-18 1999-04-06 Miwa Lock Co Ltd ドアクローザ
KR20000004323U (ko) * 1998-08-04 2000-03-06 황천익 유압식 플로어 힌지용 실린더
KR20010045272A (ko) * 1999-11-04 2001-06-05 김효근 도어 클로우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3894A (en) * 1987-07-09 1990-11-27 Oy Wartsila Ab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timizing of the function of a door closer
KR950032970A (ko) * 1994-05-12 1995-12-22 이종환 도어의 플로어 힌지
JPH09317315A (ja) * 1996-05-29 1997-12-09 Miwa Lock Co Ltd ドアクローザ
JPH10159432A (ja) * 1996-12-03 1998-06-16 Miwa Lock Co Ltd ドアクローザ
KR970052058U (ko) * 1997-06-05 1997-09-08 김정용 건축물용 도어개폐장치
JPH1193501A (ja) * 1997-09-18 1999-04-06 Miwa Lock Co Ltd ドアクローザ
KR20000004323U (ko) * 1998-08-04 2000-03-06 황천익 유압식 플로어 힌지용 실린더
KR20010045272A (ko) * 1999-11-04 2001-06-05 김효근 도어 클로우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244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4924A (en) Door closer unit
RU2399740C2 (ru) Амортиз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US20120311817A1 (en) Door closer, particularly for glass doors
US20110302743A1 (en) Hinge apparatus for a door
AU2320102A (en) Device for locking running gear guided in rails
CN1936250B (zh) 门体关闭装置
JP5845512B2 (ja) 自動引き込み・ダンピング装置
RU2687625C2 (ru) Демпфирующее или возвр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ворок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AU2018254734B2 (en) Door closer
CN107965223B (zh) 一种缓冲铰链装置
CA2148740C (en) Damped one-way self-closing gate
KR100459049B1 (ko)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힌지장치
EP1159503A1 (en) Door closer
KR200262502Y1 (ko) 댐퍼 압력과 회전각도를 선택 조절할 수 있는 도어힌지장치
KR101268957B1 (ko) 댐핑 장치
KR101840515B1 (ko) 압력 조절이 가능한 완충 경첩
RU2751705C2 (ru) Приводной механизм распашной двери
KR101895118B1 (ko) 여닫이문용 경첩
KR200379094Y1 (ko) 강화 유리문을 위한 도어 힌지장치
JP2016094740A (ja) 閉鎖機構付きピボットヒンジ
JP6891573B2 (ja) 引戸障子用ブレーキ装置
CN219176116U (zh) 一种新型合页
KR200384265Y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100511563B1 (ko)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KR101784984B1 (ko)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