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525B1 -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525B1
KR100458525B1 KR10-2001-0052044A KR20010052044A KR100458525B1 KR 100458525 B1 KR100458525 B1 KR 100458525B1 KR 20010052044 A KR20010052044 A KR 20010052044A KR 100458525 B1 KR100458525 B1 KR 100458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ollution
client
damage
insuran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351A (ko
Inventor
김재형
김지한
마정재
김홍근
홍종철
윤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1-005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52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525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토양오염 손해평가에 필요한 토양오염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format)을 통해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각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들에 부합하는 적용상수와 매칭하여 상기 적용상수를 적용하고,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 비용 및 복원공사 비용 등을 자동 계산하여 그 계산된 예측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 등)에 대한 피해보상액을 본 발명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적당한 보험상품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개인 정보 및 상기 손해평가를 산정하기 위한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를 입력받는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와, 상기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를 통해 입력된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와 연동하여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 비용 및 복원공사 비용을 자동 산출하는 손해평가부 및 상기 손해평가부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들을 토대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보험 상품을 제공하는 보험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The system for valuating the loss of soil environment and dealing with the insurance against the loss of soil environment}
본 발명은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토양오염 손해평가에 필요한 토양오염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format)을 통해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각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들에 부합하는 적용상수와 매칭하여 상기 적용상수를 적용하고,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 비용 및 복원공사 비용 등을 자동 계산하여 그 계산된 예측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 등)에 대한 피해보상액을 본 발명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적당한 보험상품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더불어 각 산업분야는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눈부신 성장만큼이나 주변의 환경은 점점 훼손되어 갔고, 급기야 환경 호르몬 등의 문제들이 사회 문제로 이슈화되면서 이에 대한 중요성을 급박하게 인식하고 여러 환경단체들이 부지기수로 늘어나게 되었다. 그만큼 환경의 중요성은 그 인식이 많이 더디어 있었고, 여러 가지 제반 문제들을 동반하기에 환경 오염에 대한 심각성에 비해 그 대처방안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에 국가적 환경평가는 삶의 가치 및 질을 평가하는 척도로써 대두되면서, 환경 보존은세계화라는 경제적 논리와 맞물려 새로운 산업의 형태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경우에는 슈퍼펀드(Superfund)와 같은 자금을 조성하여 환경 보존과 그 복원을 위해 법제화된 환경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 슈퍼펀드는 1978년 러브 커널(canal) 사건으로 1980년에 제정된 것으로 20세기 초에 한 사업가가 오대호의 두 호수를 잇는 운하를 만들 목적으로 땅을 파다가 경제 상황의 변화 등을 이유로 중단한 곳에, 1940년대 후크 케미컬이라는 화학 회사가 그 곳을 매입하여 공장에서 나오는 화학물질을 매립하게 되었다. 후에 이 지역에서 여러 가지 질병이 끊임없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미국 연방 환경청이 조사를 한 결과, 땅 속에 매립되어 있던 화학물질이 원인임을 밝혀내고, 1978년 그 지역을 환경 재난 지역으로 선포하였다. 그러나 상기 피해에 대한 보상할 책임 주체의 불분명으로 미국은 슈퍼펀드 법을 제정하여 일반적인 손해 배상을 초월한 막대한 기금을 조성하도록 하여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국내의 경우에는 대기, 수질, 토양 등 다양한 부분에서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관련법의 제정도 다양화되고 세분화되어 집행되고 있으나, 환경정책수단의 형평성 등의 문제(오염자 부담 원칙 등)들로 인해 선진국에 비해 미미한 편이다.
또한, 선진국의 슈퍼펀드나 금융권 대출형태의 자금 등과 같은 환경오염 등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자금조성이 어렵고, 해당 지역이 얼마나 오염되어 있고, 그에 해당하는 복원 등의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일반인으로써는 쉽게 알기에 어려운 부분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토양오염 손해평가에 필요한 토양오염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format)을 통해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각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들에 부합하는 적용상수와 매칭하여 상기 적용상수를 적용하고,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 비용 및 복원공사 비용 등을 자동 계산하여 그 계산된 예측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 등)에 대한 피해보상액을 본 발명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적당한 보험상품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특정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개인 정보 및 상기 손해평가를 산정하기 위한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를 입력받는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와, 상기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를 통해 입력된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와 연동하여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 비용 및 복원공사 비용을 자동 산출하는 손해평가부 및 상기 손해평가부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들을 토대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보험 상품을 제공하는 보험 처리부를 구비하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과, 특정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개인 정보 및 상기 손해평가를 산정하기 위한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들을 통해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 비용 및 복원공사 비용을 자동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보험 상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에 대한 주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전체적인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3은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 내의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4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 및 손해평가 요소의 값들이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5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6은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내에 포함된 손해평가 요소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7은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 내의 손해평가부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8은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 내의 손해평가부가 사용자가 입력한 손해평가에 필요한 요소를 참조하여 손해 산정을 실시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9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 내의 보험처리부를 나타내는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10은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 내의 보험처리부를 통해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이 인터넷 상에서 구현되는 일실시예도이다.
도12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 내에 구비된 보험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이 인터넷을 통해 구현될 때, 클라이언트의 접속에서 해당 보험에 가입하기까지의 전체적인 과정을 간단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4는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을 통해 손해평가 시스템에 접속하였을 시에 보여지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도15는 클라이언트가 손해평가 요소들 중에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용량 등에 관한 요소값을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도16은 클라이언트가 손해평가 요소들 중에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저장내용 등에 관한 요소값을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도17은 클라이언트가 손해평가 요소들 중에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내역 및이력 등에 관한 요소값을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도18은 클라이언트가 손해평가 요소들 중에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의 주변환경 등에 관한 요소값을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도19는 클라이언트가 손해평가 요소들 중에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의 지하수 존재 여부 등에 관한 요소값을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도20은 클라이언트가 본인이 입력한 손해평가 필요한 각 요소 값들에 대한 적용상수가 적용되어 확인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도21은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손해평가 요소들을 통해 정밀조사 손해산정 비용이 산출되는 웹 브라우저 예시도이다.
도22는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손해평가 요소들을 통해 복원비용 손해산정 비용이 산출되는 웹 브라우저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 105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
110 : 손해평가부 115 : 보험처리부
120 :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125 :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
130 : 화면출력 제어장치 135 : 프린터
140 : 입력장치
본 발명은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토양오염 손해평가에 필요한 토양오염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format)을 통해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각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들에 부합하는 적용상수와 매칭하여 상기 적용상수를 적용하고,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 비용 및 복원공사 비용 등을 자동 계산하여 그 계산된 예측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 등)에 대한 피해보상액을 본 발명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적당한 보험상품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은 화면출력 제어장치, 입력장치 등을 구비한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과 특정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 및 상기 손해평가를 산정하기 위한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를 입력받는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와, 상기 입력받은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들을 통해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 비용 및 복원공사 비용을 자동 계산하는 손해평가부와, 상기 계산된 데이터들을 토대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한 보험 상품을 제공하는 보험 처리부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시스템의 운용을 통해 하기에 기술하는 각 단계들을 거쳐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의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한다.
즉,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을 운용하여 상기 토양오염 손해평가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오염 손해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은,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사용자(클라이언트)로부터 개인 정보 및 상기 손해평가를 산정하기 위한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를 입력받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들을 통해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 비용 및 복원공사 비용을 자동 계산하는 제 2단계와, 상기 계산된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한 보험 상품을 제공하는 제 3단계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각 단계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로 하여금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하도록 하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을 인터넷 상에서 구현하는 방법은, 인터넷 상에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제공하는 웹서버와 상기 토양오염 손해평가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사용자)로 구성되어지며, 인터넷 상에서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개인 정보 및 상기 손해평가를 산정하기 위한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를 입력받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들을 통해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 비용 및 복원공사 비용을 자동 계산하는 제 2단계와, 상기 계산된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한 보험 상품을 제공 및 보험가입 의사가 있을 경우, 그 가입을 처리하는 제 3단계 등을 더 포함하여, 상기의 각 단계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로 하여금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가 인터넷 상에서 실시하도록 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보다 더 충실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 수준의 변경이나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에 대한 주구성도이다.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은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105), 손해평가부(110), 보험처리부(115) 및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125), 화면출력 제어장치(130) 및 입력장치(140)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스템(100)을 통해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사용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손해평가 산정에 필요한 데이터(개인 정보 및 손해 산정 요소들의 값 등)를 입력받아 자동 계산함으로써,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에게 해당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 비용을 제시하여 준다.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는 특정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 등이 존재하는 지역 등)에 대한 손해평가 비용 데이터를 획득할 목적으로 상기 시스템(100)을 사용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해 본 발명을 구현하고자 할 때는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유저(User)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시스템(10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는 상기 특정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 등이 존재하는 지역 등)에 대한 손해평가 산출 내역을 제공받기 위해 각각의 손해평가 산정요소(factor)들에 대한 해당 값을 입력해야 한다.
상기 시스템(100) 내의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105)는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로부터 개인(또는 법인 등) 정보 등을 입력받아 처리하며, 또한 손해평가에 필요한 요소(factor)들의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일정한 형식의 입력창(인터넷의 경우 웹페이지 등) 등을 제공하여 입력토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105)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또는 법인 등) 정보 입력부(300)와 손해평가 요소(factor) 입력부(30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인 정보 입력부(300)는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이름(또는 회사 이름), 주소, 이메일 계정 및 기타 본인확인 필요한 정보(주민등록번호 또는 사업자 등록번호 등)를 입력받아 관리하며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와 연동하여 상기 사항들을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손해평가 요소(factor) 입력부(305)는 상기 사용자에게 손해평가 요소 입력 페이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손해평가 요소(factor)로는 토양오염 유발시설이 포함된 토지면적,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형태 및 용량,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저장 내용,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내역 및 과거이력, 해당 토지의 소유권자 정보, 해당 지역의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 해당 지역의 지하수 유무, 주유소 면적 대비 주유기 보유 대수, 주유소의 일간/월간 판매량, 주유소 토지의 공시지가, 주유소 면적 대비 지하 유류 저장시설 및 주유면적 비율, 복원기간에 다른 영업손실 비용의 처리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상기 요소(factor)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정된 것임을, 또한 상기 기술한 것들에 국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그 요소들의 수가 추가될 수도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손해평가부(11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손해평가 요소(factor)들을 바탕으로 각 요소들에 적당한 적용상수를 적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밀조사 비용 및 복원공사 비용 등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출력 제어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그 역할에 따라 손해평가 요소(factor) 조합부(700), 정밀조사 비용 산출부(705) 및 복원공사 비용 산출부(7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손해평가 요소(factor) 조합부(700)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각 요소들의 값을 확인하여 그 값들에 적용 가능한 적용상수와 매칭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밀조사 비용 산출부(705)는 매칭된 각 요소들의 적용상수를 이용하여 정밀조사 손해 산정에 필요한 비용을 자동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출력 제어장치(130)를 통해 제공한다.
복원공사 비용 산출부(710)는 상기 적용상수를 이용하여 복원공사 손해 산정에 필요한 비용을 자동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출력 제어장치를 통해 제공한다.
보험처리부(115)는 상기 손해평가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된 해당 비용에 따른 보험료를 자동 산출 및 적당한 보험 상품을 제공하여 해당 보험에 가입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으로 보험료 산출부(900), 보험 상품제시부(905) 등으로 구성된다.
보험료 산출부(900)는 손해평가부(110)에서 계산된 손해비용들을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험료 등을 산출하여 제공한다.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105)와 연동하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400)와 손해평가 요소(factor) 데이터 베이스(405)로 구성된다.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125)는 보험처리부(115)와 연동하며, 다수 개의 보험상품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에 관련된 데이터들(상품명, 내용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은 상기 기술한 각 부들과 유용한 데이터 베이스들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바탕으로 특정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 등)에 대한 손해평가 데이터를 알고자 하는 사용자(클라이언트)로부터해당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 요소(factor)들을 입력받아 그에 따른 적용상수를 적용하여 손해평가를 실시한 후,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에게 그 결과를 제공 가능하다.
도2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전체적인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클라이언트)가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실시할 목적으로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을 구동하면(200),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이름(또는 회사 이름), 주소, 이메일 계정 및 기타 본인확인 필요한 정보(주민등록번호 또는 사업자 등록번호 등)) 등의 입력을 요구한다(205).
상기 개인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본 발명을 구현하려고 할 때, 접속한 사용자(클라이언트)의 개인확인 및 이메일을 통한 정보제공에 필요할 수 있고,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보험 가입 시에 필요한 필수 사항들로써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클라이언트)의 개인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100)은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해당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 산정요소(factor)의 입력을 요구하게 된다(210).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에 의해서 입력되는 상기 손해평가 요소는 해당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중요한 작용을 발생시키며, 그 요소들은 본 발명을 통해 제시한 것에 국한되지 않고, 변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요소(factor)들은 손해산정을 위해 필요한 산술적 계산을 이루기 위해 각각 알맞은 적용상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적용상수는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요소(factor)를 수신한 상기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이 포함하며 그 계산을 주도한다.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손해평가에 필요한 요소(factor)들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손해평가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입력한 각 요소들의 적당한 적용상수를 손해평가 요소 데이터 베이스(405)를 통해 적용하고(215), 상기 적용상수들을 토대로 손해 산정을 위해서 자동 계산을 실시하게 된다(220).
상기 계산된 손해산정 결과는 화면출력 제어장치(130)를 통해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고(225),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결과 및 개인성향에 따라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125)로부터 적절한 보험상품을 추출하여 출력한다(230).
손해 산정에 의해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얻고자 하는 해당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가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100)은 계산된 손해 산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한 보험 상품을 제시한다. 상기 보험 상품은 손해평가를 통해 얻어진 해당 비용을 참조하여 그 가격 등이 책정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본 발명이 구현되었을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사용자)는 상기 내역을 통해 상기 웹서버가 제공 가능한 보험 상품을 선택하고 그 가입을 실시할 수도 있다.
도3은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 내의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105)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105)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와 연동을 하며, 사용자(해당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개인 또는 법인 등)에 대한 정보(이름(또는 회사 이름), 주소, 이메일 계정 및 기타 본인확인 필요한 정보(주민등록번호 또는 사업자 등록번호 등)) 등을 입력받아 처리하며, 상기 손해평가 산정에 필요한 손해평가 요소(factor) 들에 대한 값을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게 되며, 원활한 프로세스 운용을 위해 개인(또는 법인) 정보 입력부(300)와 손해평가 요소 입력부(305)로 구성되어 운용된다.
상기 개인 정보 입력부(300)는 본 발명이 나타내고자 하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에 접속한 사용자(클라이언트)로부터 개인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시킨다.
손해평가 요소 입력부(305)는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특정 정보(손해평가 요소)를 수신하며, 그 정보 데이터를 손해평가 산정을 위해 손해평가부(110)로 전송한다.
상기 특정 정보(손해평가 요소)로는 해당 지역의 특성이나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에 따라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토양오염 유발시설이 포함된 토지면적,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형태 및 용량,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저장 내용,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내역 및 과거이력, 해당 토지의 소유권자 정보, 해당 지역의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 해당 지역의 지하수 유무, 주유소 면적 대비 주유기 보유 대수, 주유소의 일간/월간 판매량, 주유소 토지의 공시지가, 주유소 면적 대비 지하 유류 저장시설 및 주유면적 비율, 복원기간에 다른 영업손실 비용의 처리 등을 그 요소로서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요소들은 본 발명에 보다 충실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 수준의 변경이나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4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에 접속한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및 손해평가 요소의 값들이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는 상기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105)와 연동하여 운용이 되며,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400)와 손해평가 요소(factor) 데이터 베이스(405)로 나누어져 각각의 정보들을 분리하여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는 상기 시스템(100)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125)와 연동이 가능하다.
도5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 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400)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400)는 특정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 등)에 대한 손해평가를 실시할 목적으로 접속한 사용자(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이름(또는 회사 이름), 주소, 이메일 계정 및 기타 본인확인 필요한 정보(주민등록번호 또는 사업자 등록번호 등))가 저장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400)는 본 발명이 인터넷 상에서 구현될 때, 보다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6은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 내에 포함된 손해평가 요소 데이터 베이스(405)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손해평가 요소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20) 내에 위치하며 손해평가에 필요한 요소(factor)들에 대한 정보 및 각각에 해당하는 적용상수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그 요소들로는 토양오염 유발시설이 포함된 토지면적,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형태 및 용량,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저장 내용,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내역 및 과거이력, 해당 토지의 소유권자 정보, 해당 지역의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 해당 지역의 지하수 유무, 주유소 면적 대비 주유기 보유 대수, 주유소의 일간/월간 판매량, 주유소 토지의 공시지가, 주유소 면적 대비 지하 유류 저장시설 및 주유면적 비율, 복원기간에 다른 영업손실 비용의 처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요소들은 상기 기술한 요소들에 국한하지 않는다.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이 포함된 토지면적은 정밀조사 및 복원 비용을 산정하는 직접적인 상수로써, 해당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 등)의 소유권자에 의해 소유된 토지를 말할 수 있으며, 토지의 면적은으로 환산하여 적용가능하다.
상기 해당 토지의 소유권자 정보는 해당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 등)의 토지 소유권자가 개인 또는 법인인지를 구분하여 그에 따라 해당 적용상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주유소 면적 대비 주유기 보유 대수는 해당지역(주유소 등)의 주유기 등의 파손으로 인한 토양오염 유발 확률을 고려하는 요소이다.
상기 주유소의 일간/월간 판매량은 유류의 판매량에 따른 보험료 차등산정방법의 요소로서 제공가능하며 기 산정된 요소(factor)인 각 유류별로 환산하여 적용 가능하다.
상기 주유소 토지의 공시지가는 경우에 따라 오염된 토양의 복원 비용이 공시지가를 앞지를 수도 있기에, 또한 이를 악용하여 고의적인 사고와 그에 따른 배상을 요구할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방안으로 요소로써 포함 가능하다.
상기 주유소 면적 대비 지하 유류 저장시설 및 주유면적 비율은 토지의 면적이 협소하면 그만큼 복원이 어려워지고 비용도 늘어날 수 있으므로, 그 면적의 비율에 따른 보험료의 차등지급을 위한 요소로써 포함 가능하다.
상기 복원기간에 다른 영업손실 비용의 처리는 복원이 진행되면 경우에 따라 부분적 또는 전면적인 영업중지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에 따른 영업손실비용의 포함을 위한 요소로 적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in-situ 복원방법의 경우 6개월 정도의 부분적인 영업정지가 예상되며, ex-situ 복원방법은 2주정도의 전면적 영업중지가 예상 가능하다.
도7은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 내의 손해평가부(110)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손해평가부(11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105) 내의 손해평가 요소 입력부(305)로부터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입력한 해당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 요소(factor)들을 전송 받고, 수신한 각 요소들과 매칭되는 적용상수를 각각 적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 산정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출력 제어장치(130)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110) 내에 손해평가 요소(factor) 조합부(700), 정밀조사 비용 산출부(705) 및 복원공사 비용 산출부(710) 등을 구비하여 손해평가를 산정한다.
상기 손해평가 요소(factor) 조합부(700)는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입력한 각 요소들의 값들을 손해평가 요소 입력부(305)로부터 수신하여 그 각각의 값들에 적용 가능한 적용상수와 매칭시켜 정밀조사 비용 산출부(705)와 복원공사 비용 산출부(71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정밀조사 비용 산출부(705)는 상기 과정을 통해 매칭된 각 요소들의 적용상수를 이용하여 정밀조사 손해 산정에 필요한 비용을 자동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의 화면출력 제어장치(130)를 통해 제공한다. 상기 정밀조사 비용은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에 필요한 비용을 의미하며, 그 비용 산출은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입력한 각각의 요소들에 매칭되는 적용상수들과 정밀조사 비용 계산에 필요한 임의의 적용상수를 통해 자동 계산된다.
복원공사 비용 산출부(710)는 상기 정밀조사 비용 산출부(705)와 유사하게 각각의 적용상수를 이용하여 복원공사 손해 산정에 필요한 비용을 자동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의 화면출력 제어장치(130)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복원공사 비용은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요소들에 해당하는 지역이 어느 정도 오염이 되어 있다고 판단될 시에 그 복원에 필요한 비용을 의미하며, 그 비용 산출은 상기 적용상수와 복원공사 비용 계산에 필요한 임의의 적용상수를 통해 자동 계산된다.
도8은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 내의 손해평가부(110)가 사용자가 입력한 손해평가에 필요한 요소를 참조하여 손해 산정을 실시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해당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알아보려는 사용자(클라이언트)가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을 구동을 하면(800), 상기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의 손해평가 의사를 확인하고 손해평가 산정에 필요한 요소들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인터넷의 경우 웹 페이지 또는 별도의 창) 등을 제공한다.
상기 요소들은 정확한 손해 산정을 위해 다수 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요소가 불충분(또는 손해 산정 계산에 부족)하다고 인식이 되면 상기 시스템(100)은 추가로 더 요구할 수도 있다(805).
손해평가 산정요소의 입력이 완료되면(810), 상기 손해평가 요소 데이터들은 손해평가 요소 데이터 베이스(405)에 저장이 된다(815). 상기 시스템(100) 내의 손해평가부(110)는 상기 손해평가 요소 데이터 베이스(405)로부터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손해평가 요소를 추출하여 각 요소들에 알맞은 적용상수를 적용한다(825).
상기 적용된 적용상수들을 통해 상기 손해평가부(110) 내의 정밀조사 비용 산출부(705)와 복원공사 비용 산출부(710)는 각각의 비용을 손해산정 하고(830,835),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의 화면출력 제어장치(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도9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 내의 보험처리부(115)를 나타내는 간단한 구성도이다.
상기 시스템(100) 내의 보험처리부(115)는 상기 손해평가부(110)를 통해 사용자(클라이언트)에게 제시된 해당 비용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보험료를 자동 산출하며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에게 적당한 보험 상품을 제공한다.
보험처리부(115)는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125)와 연동을 하고, 상기 부는 보험료 산출부(900), 보험상품 제시부(905) 등을 두어 각각 해당하는 업무를 분할하고 있다.
상기 보험처리부(115) 내의 보험료 산출부(900)는 손해평가부(110)의 정밀조사 비용 산출부(705) 및 복원공사 비용 산출부(710) 등에서 계산된 각각의 비용들을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보험료 등을 산출하여 화면출력 제어장치(130)를 통해 제공한다.
보험상품 제시부(905)는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125)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적절한 보험상품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험 상품에는 정밀 조사 특약, 한정 복원 특약, 무한 복원 특약 등이가능하며, 정밀 조사 특약의 경우 토양 환경 보전법에 근거하여 토양오염 발생 시에 행정적 관리와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정밀 조사의 진행, 복원 방법 및 비용 산출을 포함한 컨설팅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정 복원 특약은 상기 정밀 조사 특약의 제공 서비스를 포함 가능하며, 한정 복원 특약이 정한 범위 내에서의 오염 토양 복원 사업의 진행 및 사후 관리 등을 위한 컨설팅 등의 제공이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비용에 대하여는 피보험자가 부담할 수 있다. 무한 복원 특약은 보험사(본 발명을 포함하는 웹사이트)의 전적인 책임 하에 토양 환경 보전법이 정하는 기준치 이하로 토양의 복원 등이 속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보험 상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일실시예로 적용한 것일 뿐, 상기 보험 상품들에 한정하지는 않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10은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 내의 보험처리부(115)를 통해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 내의 손해평가부(110)로부터 손해비용 산정이 계산되어(1000) 손해비용 산정 데이터가 발생하면(1005) 상기 보험처리부(115)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1010) 사용자에 알맞은 보험료를 자동으로 산출한다(1015). 보험료가 산출이 되면,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125)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에 적절한 보험상품을 추출하여 화면출력 제어장치(130)를 통해 상기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1020).
도11은 본 발명이 인터넷 상에서 구현되는 일실시예도이다.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이 인터넷 상에서 실시될 시에, 상기 기술한 보험처리부(115) 내에 보험가입부(1100) 및 보험관리부(1105) 등을 더 구비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사용자)(1115)의 보험가입 등의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보험 데이터 베이스(1110) 내에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1200) 및 보험관리 데이터 베이스(1205)를 구비하여 각각의 해당 데이터들을 저장 및 추출할 수 있다.
보험가입부(1100)는 상기 보험료 산출부(900)를 통해서 산출된 보험료 등을 토대로 인터넷 상에서 클라이언트(사용자)(1115)의 보험 가입 업무를 책임지며, 가입 내역 등의 데이터를 보험 데이터 베이스(1110)에 저장하도록 한다.
도12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시스템(100) 내에 구비된 보험 데이터 베이스(1110)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상기 보험 데이터 베이스(1110)는 원활한 데이터의 저장 및 활용을 위해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1200)와 보험관리 데이터 베이스(1205)로 구성 가능하며, 상기 보험상품 데이터 베이스(1200)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사용자)(1115)에게 제공 가능한 보험상품 목록 및 해당 보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보험관리 데이터 베이스(1205)는 해당 보험에 기 가입한 사용자(클라이언트)의 보험상품을 관리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다.
도13은 본 발명이 인터넷을 통해 구현될 때, 클라이언트(1115)의 접속에서 해당 보험에 가입하기까지의 전체적인 과정을 간단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클라이언트(사용자)(1115)가 인터넷을 통해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실시할 목적으로 본 발명을 유치하는 웹서버에 접속하면(1300), 상기 웹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1115)의 개인정보(이름(또는 회사 이름), 주소, 이메일 계정 및 기타 본인 확인 필요한 정보(주민등록번호 또는 사업자 등록번호 등)) 등의 입력을 요구한다(1305). 상기 개인정보는 접속한 클라이언트(1115)에 대한 확인 및 보험 가입 시에 필요한 필수 사항들로 제공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사용자)(1115)의 개인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웹서버는 클라이언트(사용자)(1115)가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해당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 요소(factor)의 입력을 요구하게 된다(1310). 클라이언트(사용자)(1115)에 의해서입력되는 상기 손해평가 요소는 해당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손해산정 계산에 중요하게 작용하며, 그 요소들은 본 발명을 통해 제시한 것에 국한되지 않고, 변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요소(factor)들은 손해산정을 위해 필요한 산술적 계산을 이루기 위해 각각 알맞은 적용상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적용상수는 클라이언트(사용자)(1115)가 입력한 요소(factor)를 수신한 상기 웹서버 내의 손해평가 시스템(100)이 포함하며 그 계산을 주도한다.
클라이언트(사용자)(1115)로부터 손해평가에 필요한 요소(factor)들의 입력이 완료되면 손해평가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사용자)(1115)가 입력한 각 요소들의 적당한 적용상수를 손해평가 요소 데이터 베이스(405)를 통해 적용하고(1315), 상기 적용상수들을 토대로 손해 산정을 위해서 자동 계산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자동 계산된 손해산정은 정밀조사 손해비용 산정(1320)과 복원비용 손해비용 산정(1325)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그 결과들은 상기 클라이언트(1115)의 웹 브라우저로 전송이 된다(1330).
상기 손해 산정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사용자)(1115)가 얻고자 하는 해당지역에 대한 손해평가가 완료되면, 상기 클라이언트(1115)에게 예측된 손해에 대비한 보험 가입 의사를 확인하고(1335), 보험에 가입할 의도가 있다면(1340), 계산된 손해 산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115)에게 적절한 보험 상품을 제시한다(1345).
상기 클라이언트(1115)가 제시된 보험상품에 가입을 하게 되면(1350), 상기 보험 가입 내역은 보험 데이터 베이스(1110)에 저장이 된다(1355).
도14는 클라이언트(1115)가 인터넷을 통해 손해평가 시스템(100)에 접속하였을 시에 보여지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본 도면은 특정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 등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본 발명을 유치하는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그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임의의 클라이언트(1115)가 접속하였을 시에 제공 가능한 웹 브라우저 화면으로써, 본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클라이언트(1115)는 특정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받기 위해 개인(또는 법인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야 하고, 손해 비용 계산을 위해 상기 웹사이트에서 입력을 원하는 손해평가 요소(손해평가를 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에 대한 요소 등)를 입력해야 한다.
도15는 클라이언트(1115)가 손해평가 요소들 중에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용량 등에 관한 요소값을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본 도면은 본 발명을 유치하는 웹사이트가 상기 클라이언트(1115)에게 제공 가능한 손해평가 요소 입력란으로써, 그 요소로써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용량 및 형태에 대한 요소값을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이다.
상기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은 그 형태에 따라 지상 또는 지하로 구분이 가능하며, 그 용량에 대해 본 도면에서는 20,000ℓ이하, 20,000 ~ 50,000ℓ, 50,000 ~ 100,000ℓ, 100,000 ~ 200,000ℓ, 200,000ℓ이상 등으로 구분을 하였는데, 이와 더불어 하기에 기술되는 다른 요소들에 대한 설명들도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된 일실시예임을 밝힌다.
도16은 클라이언트(1115)가 손해평가 요소들 중에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저장내용 등에 관한 요소값을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본 도면에서 다루고자 하는 토양오염 유발시설물 저장 내용은 휘발유, 항공유, 경유(등유, 디젤유), 원유, 벙커유, 윤활유, 폐유, 솔벤트류, PCBs, PCP 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저장 내용은 그에 해당하는 적용상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손해 산정 비용 계산에 이용될 수 있다.
도17은 클라이언트(1115)가 손해평가 요소들 중에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내역 및 이력 등에 관한 요소값을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포함하고 있는 사용 내역 및 과거 이력 등도 충분히 손해 산정 비용 계산에 적용이 가능하고, 그 사용 내역은 시설물의 설치 연도에 따라 2년 미만, 2~5년, 5~10년, 10년 이상 등으로 구분이 가능하고, 상기 시설물의 검사 유무에 따라 6개월 이내, 6개월~1년, 1년 이상으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설물의 관리정도에 따라 지하 방호벽의 존재, Double Layer Tank, Unknown 등의 요소로 나누어 각각의 적용상수를 적용할 수 있다.
도18은 클라이언트(1115)가 손해평가 요소들 중에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의 주변환경 등에 관한 요소값을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의 주변환경은 토양오염 손해평가 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지역의 주변환경을 상업지역, 도심 주택가 지역, 농지 근접지역, 하천 근접 지역, 해안 근접 지역, 상수원 보호지역, 산악 지역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적용상수를 적용할 수 있다.
도19는 클라이언트(1115)가 손해평가 요소들 중에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의 지하수 존재 여부 등에 관한 요소값을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본 도면은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의 지하수 유무에 대한 요소값을 클라이언트(1115)가 입력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로써, 그 구분은 3m 이내 존재, 3~6m 존재, 6~10m 존재, 10m 이하 존재 및 존재하지 않음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도20은 클라이언트(1115)가 본인이 입력한 손해평가 필요한 각 요소 값들에 대한 적용상수가 적용되어 확인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15부터 도19까지의 예시도 등과 같이 특정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클라이언트(1115)가 본 발명을 유치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위해 상기 지역에 대한 손해 산정 요소(factor) 값을 입력하였을 때, 그 각각의 요소값에 해당하는 적용상수가 적용되어 상기 클라이언트(1115)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이를 확인하는 간단한 예시도이다.
도21은 클라이언트(1115)가 입력한 손해평가 요소들을 통해 정밀조사 손해산정 비용이 산출되는 웹 브라우저 예시도이다.
도20을 통해 클라이언트(1115)가 입력한 손해평가 산정 요소들을 이용하여 정밀 조사 손해 산정을 자동 계산되는 것을 웹 브라우저 화면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산정 비용의 계산은 정밀 조사 손해 산정을 계산하기 위한 정밀 조사 손해 산정 요소와 상기 클라이언트(1115)가 입력한 각각의 요소들의 적용상수를 이용하여 그 계산이 가능할 수 있다.
도22는 클라이언트(1115)가 입력한 손해평가 요소들을 통해 복원비용 손해산정 비용이 산출되는 웹 브라우저 예시도이다.
본 도면은 클라이언트(1115)가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특정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 산정을 위해 입력한 다수 개의 요소(factor)들을 통해 자동으로 계산이 되고, 이는 상기 클라이언트(1115)의 웹 브라우저로 전송이 된다.
보험 관리부는 임의의 클라이언트(1115)에게 제공될 다수 개의 보험 상품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담당하며, 상기 구비된 다수 개의 보험 상품들 중에서 접속한 클라이언트(1115)에게 적합한 보험 상품을 선정하여 제공 가능하고 상기 보험 상품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주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특정 지역에 대한 손해평가를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상기 지역에 대한 요소들의 간단한 입력을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는 손쉽게 상기 지역의 손해 평가에 대한 결과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인터넷 상에서 구현될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을 유치하는 웹사이트는 상기 손해평가에 대한 결과 및 그에 상응하는 보험료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보험 상품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웹사이트는 본 발명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토양오염에 대한 심각성 및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특정 지역(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실시하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소정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입력받는 개인 정보 입력부와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손해평가 요소 데이터 입력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토양오염 손해평가를 산정하기 위한 소정의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토양오염 유발시설이 포함된 토지면적 데이터와, 형태에 따라 지상 또는 지하로 구분되며, 용량에 따라 20,000ℓ이하, 20,000 ~ 50,000ℓ, 50,000 ~ 100,000ℓ, 100,000 ~ 200,000ℓ, 200,000ℓ이상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적용상수가 적용되는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형태 및 용량 데이터와, 휘발유, 항공유, 경유(등유, 디젤유), 원유, 벙커유, 윤활유, 폐유, 솔벤트류, PCBs, PCP류로 구분되어 각각의 적용상수가 적용되는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저장 물질 성상 데이터와, 상기 시설물의 설치 연도에 따라 2년 미만, 2~5년, 5~10년, 10년 이상으로 구분되며, 상기 시설물의 검사 유무에 따라 6개월 이내, 6개월~1년, 1년 이상으로 구분되며, 상기 시설물의 관리정도에 따라 지하 방호벽의 존재, Double Layer Tank, Unknown 요소로 각기 구분되어 각각의 적용상수가 적용되는 토양오염 유발시설물의 내역 및 과거이력 데이터와, 상업지역, 도심 주택가 지역, 농지 근접지역, 하천 근접 지역, 해안 근접 지역, 상수원 보호지역, 산악 지역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적용상수가 적용되는 해당 토지의 소유권자 및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 데이터와, 3m 이내 존재, 3~6m 존재, 6~10m 존재, 10m 이하 존재 및 존재하지 않음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적용상수가 적용되는 해당 지역의 지하수 존재 유·무 데이터와, 토지 면적 대비 유류 또는 유독물 저장탱크 보유 대수 데이터와, 유류 또는 유독물 일간/월간 출고량 데이터와, 상기 토지의 공시지가 데이터와, 상기 토지 면적 대비 지하 유류 또는 유독물 저장시설(면적) 비율 데이터와, 상기 토지 복원기간에 따른 영업손실 비용 처리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손해평가 산정 요소(factor) 데이터-를 입력받는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
    상기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상기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 생성부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손해평가 요소(factor)데이터들의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기 손해평가 요소(factor)데이터에 대응하여 적용되는 소정의 적용상수를 추출하는 손해평가 요소(factor) 조합부;
    상기 손해평가 요소(factor) 조합부를 통해 추출된 상기 손해평가 요소(factor)데이터에 대응하는 적용상수를 이용하여 정밀조사 손해 산정에 필요한 비용을 자동 산출하는 정밀조사 비용 산출부;
    상기 손해평가 요소(factor) 조합부를 통해 추출된 상기 손해평가 요소(factor)데이터의 적용상수를 이용하여 복원공사 손해 산정에 필요한 비용을 자동 산출하는 복원공사 비용 산출부;
    상기 정밀조사 비용 산출부 및 복원공사 비용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정밀조사 비용 데이터 및 복원공사 비용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보험료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보험료 산출부;
    상기 보험료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보험료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양오염 관련 보험상품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보험상품을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보험상품 제시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보험상품 제시부가 제공한 보험상품 가입시, 상기 클라이언트의 보험 가입 업무를 수행하며, 가입 내역 데이터를 상기 보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보험가입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1-0052044A 2001-08-28 2001-08-28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 KR100458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044A KR100458525B1 (ko) 2001-08-28 2001-08-28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044A KR100458525B1 (ko) 2001-08-28 2001-08-28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794A Division KR20040041139A (ko) 2004-04-26 2004-04-26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351A KR20030018351A (ko) 2003-03-06
KR100458525B1 true KR100458525B1 (ko) 2004-12-03

Family

ID=2772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044A KR100458525B1 (ko) 2001-08-28 2001-08-28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996B1 (ko) 2018-05-09 2018-09-28 디비손해보험 주식회사 유해화학물질의 환경오염배상위험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환경책임보험 산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030B1 (ko) 2015-08-21 2017-04-14 광주과학기술원 광역스케일의 환경공간정보를 사용하여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을 평가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5747A (ja) * 1995-04-28 1996-11-22 Hitachi Ltd 保険商品選出方法及び装置
KR20000024171A (ko) * 2000-01-26 2000-05-06 김성준 인터넷 자동차보험료 산출 및 청약 시스템
KR20000036505A (ko) * 2000-03-18 2000-07-05 이준범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보험료 비교 및 계약 서비스 방법
KR20000054081A (ko) * 2000-05-22 2000-09-05 홍완기 고객 맞춤 보험 상품 판매 방법
KR20010068111A (ko) * 2001-04-24 2001-07-13 김병진 인터넷을 이용한 보상금 비교 견적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5747A (ja) * 1995-04-28 1996-11-22 Hitachi Ltd 保険商品選出方法及び装置
KR20000024171A (ko) * 2000-01-26 2000-05-06 김성준 인터넷 자동차보험료 산출 및 청약 시스템
KR20000036505A (ko) * 2000-03-18 2000-07-05 이준범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보험료 비교 및 계약 서비스 방법
KR20000054081A (ko) * 2000-05-22 2000-09-05 홍완기 고객 맞춤 보험 상품 판매 방법
KR20010068111A (ko) * 2001-04-24 2001-07-13 김병진 인터넷을 이용한 보상금 비교 견적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996B1 (ko) 2018-05-09 2018-09-28 디비손해보험 주식회사 유해화학물질의 환경오염배상위험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환경책임보험 산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351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tchie et al. Disintermediation, disintegration and risk in the SME global supply chain
US20110276452A1 (en) Procurement and Salvage Auction System
Bartke Valuation of market uncertainties for contaminated land
Ehsan Wahla et al. Measures of customers’ perception of car Ijarah financing
Hidayat et al. The development of website 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e-commerce and services
Smith Lightning rods, dart boards, and contingent valuation
Lee et al. Would people pay a price premium for electricity from domestic wind power facilities? The case of South Korea
Weber The valuation of contaminated land
KR100458525B1 (ko)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시스템
Rodgers J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growth management, and the comprehensive plan.[with glossary]
KR20040041139A (ko) 토양오염 손해평가 및 보험 처리 방법
US20180218465A1 (en) Service To Identify Class Action Settlements For Which A User Is A Class Member And Assist The User In Obtaining Settlement Damages
Baker et al. What Price Innocence-A Realistic View of the Innocent Landowner Defense under CERCLA
Al-Gahtani et al. Risk Factors for Time and Cost Overruns of Pipeline Projects in Saudi Arabia
Travassos et al.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the beta model: an accounting economic vision for environmental damage in Atlântico Sul Shipyard
Rohrman et al. Environmental Assessments as Components of Pre-Acquisition Due Diligence
Hamzeh et al. An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Iran's insurance industry in the underwriting of climate change
US20180300817A1 (en) Method for managing environmental insurance
Manning Managing Environmental Risk and Investment Opportunities to Maximize Shareholder Wealth
Yulianti et al. Determinant of The Corporate Environmental Disclosure: Study on Jakarta Islamic Index
Baumann et al. Approaches to Reduce Conflict when Insuring the Environmental Cleanup of Closed Military Bases Intended for Redevelopment
Simons et al. Determining off-site damages to non-residential property from leaking underground storage tanks using Contingent Valuation analysis
Huong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ENTERPRISES WHEN USING E-TAX PAYMENT SERVICES AT TAX DEPARTMENT OF TRANG BOM DISTRICT, DONG NAI PROVINCE
Alrasheed et al. Delay Dispute Cases: Comparative Analysis and Claimed Value Prediction Model
Handoko et al. INTERNAL CONTROL AND RISK MANAGEMENT ANALYSIS IN PROPERTY BROKERAGE COMPAN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