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266B1 -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차수시스템 - Google Patents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차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266B1
KR100458266B1 KR10-2002-0006958A KR20020006958A KR100458266B1 KR 100458266 B1 KR100458266 B1 KR 100458266B1 KR 20020006958 A KR20020006958 A KR 20020006958A KR 100458266 B1 KR100458266 B1 KR 100458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layer
landfill
foam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111A (ko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한국벤토나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벤토나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벤토나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2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1Rubbers
    • E02D2300/0003Car t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37Clays
    • E02D2300/004Bentonite or bentonite-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46Foams
    • E02D2300/0048P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 매립장의 경사면에 차수기능을 갖는 소정 두께의 발포우레탄층을 포설함으로써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 요철부를 충진하고 사면을 안정화 및 평탄화시키며 매립장의 침출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장의 경사면에 경질 폴리우레탄폼을 현장에서 직접 발포시켜 소정 두께의 발포우레탄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숏크리트를 대체하고 침출수 누출을 차단하는 차수층을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우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수로를 상기 발포우레탄층의 하부에 형성하며, 침출수의 누출을 보다 완전하게 차단하기 위해 벤토나이트매트, 지오멤브레인 등과 같은 차수재를 상기 발포우레탄층 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System for flatting and waterproofing rugged slope in waste landfill using polyurethane foam}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 매립장의 경사면에 소정 두께의 발포우레탄층을 현장에서 직접 발포시켜 포설함으로써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 요철부를 충진하여 안정화 및 평탄화시킴과 아울러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달과 함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각종 산업 및 생활 쓰레기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발생된 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처리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도 대부분의 폐기물은 매립장에 매립되고 있다. 또한 앞으로 소각 등의 처리방법이 보편화되어 폐기물의 발생량이 감소된다하더라도 소각 등의 부산물은 결국 매립장에 매립될 수밖에 없으므로 환경오염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위생적인 매립장의 건설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도1은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위생 매립장의 일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장(100)의 바닥면(130)과 경사면(150)에는 점토, 지오멤브레인, 지오텍스타일 등으로 이루어진 침출수 차수시스템(120)이 설치되어 있고, 매립장(100) 상부의 최종복토층(170)에는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매립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매립가스 차단시스템(140)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침출수 차단시스템(120)은 침출수가 지하로 유출되어 지하수나 토양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점토, 벤토나이트, 고화토, 벤토나이트매트 등과 같이 치밀한 구조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차수층(123)과, 폴리에틸렌(HDPE)시트나 지오멤브레인 등과 같이 상기 차수층(123) 위에 포설되어 침출수의 누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차수층(123)을 보호하는 시트 형태의 차수막(125)과, 지오콤포지트, 지오네트 또는 지오텍스타일 등과 같이 차수막(125) 위에 포설되어 자갈, 모래 등에 의해 상기 차수막(125)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부직포 형태상의 보호층(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폐기물 매립장의 환경에 맞도록 차수층(123), 차수막(125) 및 보호층(127)을 적절히 설치한 후, 그 위에 모래, 자갈 및 쇄석 등으로 이루어진 배수층(133)을 설치하고 상기 배수층(133) 내에 침출수를 신속히 배출시키기 위한 침출수 집배수관(135)을 설치함으로써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벤토나이트매트, 지오멤브레인 및 지오콤포지트 등의 차수재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매트(mat)나 시트(sheet)형상으로 경사도가 급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웠다.
즉, 우리나라는 대부분 산간/계곡형 매립장이어서 바닥 면적보다 경사면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고, 종량제 봉투 등과 같은 비닐봉투가 많이 포함되어 침출수의 흐름을 차단하기 때문에 침출수의 수위가 높아지므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에 차수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된다. 그러나 경사가 급하고 요철이 심한 매립장의 사면에 벤토나이트매트나 지오멤브레인 등과 같은 차수재를 설치하는 것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이미 설치된 벤토나이트매트나 지오멤브레인 등이 원지반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요철부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매립장의 경사면에 차수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면의 경사도를 낮추거나 적어도 경사면을 평탄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사면의 경사도를 낮추는 것은 경제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우므로 경사면의 요철부를 숏크리트로 충진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숏크리트 충진공법은 별도의 특수 장비가 필요하고 보강용 철망과 앵커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공사비가 비싸고 날씨나 기온변화에 따른 시공조건이 까다로우며, 주재료인 시멘트가 고알칼리성이고 크롬 등의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어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에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숏크리트는 시멘트의 수화 반응에 따른 수축균열에 의해 외력에 의해 쉽게 쪼개지기 때문에 차수능이 거의 없으므로 그 위에 벤토나이트매트 등과 같은 차수재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솟크리트를 대체할 수 있는 사면 안정제 및 충진재를 연구하던 중 폐기물 매립장의 경사면에 경질 폴리우레탄폼을 현장 분사함으로써 요철부를 평탄화시킴은 물론 폴리우레탄폼 자체의 강한 접착력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독립 기포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폼의 방수능 또는 차수능을 이용하여 매우 경제적으로 침출수 차단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은 폴리이소시아나이트와 폴리올을 반응시켜 만들어지는 것으로 폴리이소시아나이트로서는 주로 트리렌디이소시아나트(TDI), 다핵폴리이소시아나트 등이 사용되고, 폴리올(polyol)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피레글리콜 등 또는 각종 트리콜 등의 이른바 폴리에테르가 사용된다. 그리고 발포제로는 물, R-11, HCFC-141b, 씨크로펜탄, HRC-245fa 등이 사용되고 정포제로는 실리콘 정포제가 사용된다. 기타 반응속도 조절 등을 위해 2-3종류의 촉매가 첨가된다.
이러한 폴리우레탄폼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과 발포제 등이 혼합된 레진프리믹스(Resin Premix)를 혼합하여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노즐 밖으로 강하게 분사시켜 수초 내에 0.025∽0.04g/cm의 폼으로 만들어지는 스프레이(Spray)방식이 적용된다.
이렇게 발포된 발포폴리우레탄폼(이하 '발포우레탄'이라 한다)은 초경량성, 단열성, 방수성, 완충성 및 자체 접착성 등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종래에도 전기냉장고, 쇼케이스 등 가전분야의 단열재나 조립식 목욕조, 지붕, 천정 등의 건축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운동장의 바닥이나 대형 건물의 방수재로도 사용되기도 하나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재로 사용된 적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폐기물 매립장의 경사면에 폴리우레탄폼을 현장 분사하여 경사면의 요철부를 충진시켜 평탄화시키고, 사면을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소정 두께의 발포우레탄층을 형성하여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경사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경사면의 원지반에서 발생되는 우수를 신속히 배출시키고 침출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지반 위에 투수계수가 좋은 다수의 합성수지 다발관을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소정 두께의 발포우레탄층을 형성한 침출수 차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포우레탄으로 평탄화된 폐기물 매립장의 경사면에 벤토나이트매트, 지오멤브레인 및 지오텍스타일 등 차수재를 설치하여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차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폐기물 매립장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발포우레탄층이 형성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발포우레탄층의 하부에 배수로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의 설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에 설치되는 합성수지 다발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 위에 벤토나이트매트를 설치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 위에 벤토나이트매트, 지오멤브레인 및 지오콤포지트를 형성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수시스템의 표면에 폐타이어층을 더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 위에 지오멤브레인을 포설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 위에 텍스타일을 포설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지반 30 : 발포우레탄층
40 : 배수로 45 : 합성수지 다발관
63 : 벤토나이트매트 65 : 지오멤브레인
67 : 지오콤포지트 또는 텍스타일 70 : 배수관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장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매립장의 경사면에 경질 폴리우레탄폼을 현장 발포시켜 형성한 소정 두께의 발포우레탄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폐기물 매립장의 경사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발포우레탄층은 사면의 원지반 위에 직접 포설되고 그 두께는 요철부에 따라 수cm 내지 수m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cm이상의 두께로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우레탄폼은 발포기에서 발포된 후 수초 내에 경화되면서 강한 자기 접착력으로 원지반에 접착되어 경사면을 안정화시키고 요철부를 평탄화시킬 뿐만 아니라 독립 기포구조를 가지고 있어 침출수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고 흡수량이 적어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차수시스템은 원지반에서 발생되는 우수 또는 지하수를 신속히 배출시키기 위해 매립장 사면의 원지반이나 상기 원지반을 평탄화시키기 위해 형성된 제1 발포우레탄층 위에 설치된 다수의 배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배수로는 투수계수가 좋은 합성수지 다발관인 것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폐기물 매립장 사면의 원지반 위에 포설된 발포우레탄층과; 상기 발포우레탄층 위에 포설되어 침출수의 누출을 차단하는 벤토나이트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벤토나이트매트 위에 지오멤브레인을 더 포설하여 상기 벤토나이트매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지오멤브레인 위에 지오콤포지트 또는 지오텍스타일 등과 같은 보호층을 더 형성하여 상기 지오멤브레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오콤포지트 또는 지오텍스타일의 위에 다수의 폐타이어를 설치하여 상기 보호층 및 차수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포우레탄층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배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는 사면의 원지반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나 우수를 신속히 배출시키기 위해 지하수 배수관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2는 폐기물 매립장(1)의 사면에 포설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경사가 급한 매립장 사면의 원지반(10) 위에 경질 폴리우레탄폼을 분사시켜 소정 두께의 발포우레탄층(30)을 형성한 것이다. 즉, 다수의 요철부가 있는 매립장 사면의 원지반(10) 위에 이소시아네이트와 레진프리믹스 등을 혼합한 다음 발포기의 노즐 밖으로 강하게 분사시키면 발포된 우레탄폼이 자기접착력에 의해 지반의 표면에 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발포우레탄층(30)의 두께는 요철부의 깊이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며경우에 따라서는 수cm에서 수m의 두께로 형성된다. 그러나 차수기능을 고려할 때, 적어도 5cm이상의 두께로 포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사면을 평탄화시키기 위해 종래와 같이 숏크리트를 충진하는 경우에는 자체 하중에 의해 그 두께가 제한되므로 요철부가 깊은 경우에는 평탄화가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10)은 가볍기 때문에 수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경사면을 평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포된 폴리우레탄폼은 분사된 후 수초내로 신속히 경화되어 사면의 암반을 서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원지반(10)을 안정화시키게 된다. 또한 발포된 우레탄폼은 독립기포 구조를 가지므로 투수계수가 낮아 침출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장의 경사면에 경질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소정 두께의 발포우레탄층을 형성함으로써 경사면을 평탄화시키며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명요철 충진 및 침출수 차수시스템이 설치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폐기물 매립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발포우레탄층(30)은 밀도가 33.5kg/㎥이상이고, 흡수량은 2.5g/100㎠이하이며, 자기접착력이 2.5kg/㎠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질우레탄폼의 일반적인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1
항목 표준치 단위 비고
밀도 33.5이상 kg/㎥
압축강도 3.1이상 kg/㎠
흡수량 2.5이하 g/100㎠
열전도율 0.019이하 kcal/hm℃
자기접착력 2.5이상 kg/㎠ 콘크리트 기준
내열성 -70~180
내약품성 진한 산 및 일부 용제를 제외 하고는 거의 침식되지 않음
이어 도3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차수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매립장 사면의 원지반(10)으로부터 생성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로(40)를 발포우레탄층의 하부에 설치한 것이다. 즉, 발포우레탄층(30)과 원지반(30) 사이로 지하수나 우수가 유입되면 그 수압에 의해 발포우레탄층(30)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발포우레탄층(30)을 설치하기 전에 원지반(10) 위에 투수계수가 좋은 합성수지로 된 배수로(4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다음 폴리우레탄폼을 발포시켜 소정 두께의 발포우레탄층(30)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원지반(10)의 표면에 요철이 많은 경우에는 먼저 일정 두께의 발포우레탄층(30)을 1차로 포설하여 사면을 평탄화시킨 후 그 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울퉁불퉁한 원지반(10) 위에 그대로 배수로(40)를 설치할 경우 배수가 원활하지 않게 되므로 도3 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로 1차 발포우레탄층(30)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배수로(40)를 설치하고 2차로 충분한 두께의 발포우레탄층(3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로(4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계수가 좋은 다수의 합성수지관(43)이 튜브형태로 배열된 합성수지 다발관(45)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합성수지 다발관(45)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의 요철이 심한 경우에는 원지반 (10)위에 1차 발포우레탄층(30)을 형성하여 사면을 평탄화시킨 후 투수계수가 좋은 합성수지 다발관(45)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다음 그 위에 다시 소정 두께로 발포우레탄층(30)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수시스템이 완성된다.
이어 도6 내지 9도는 침출수의 누출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30) 위에 종래의 차수층, 차수막 및 보호층을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6은 상기 발포우레탄층(30)의 상부에 벤토나이트매트(63)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벤토나이트매트(63)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매트 또는 시트형상의 차수재로서 요철부가 많고 경사가 급한 사면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30)을 원지반(10) 위에 포설하면 그 표면이 평탄하게 되므로 벤토나이트매트(63)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30)의 상부에 벤토나이트매트(63)와 상기 벤토나이트매트(63)를 보호하는 지오멤브레인(65)을 설치한 경우이다. 즉, 벤토나이트매트(63) 위에 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에 의해 벤토나이트매트(63)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벤토나이트매트(63) 위에 지오멤브레인(65)을 더 포설하여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벤토나이트매트(6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 상기 지오멤브레인(65) 위에 지오콤포지트나 지오텍스타일(67)을 더 깔아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에 의해 상기 지오멤브레인(6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발포우레탄층(30)을 포함하는 차수시스템의 상부에 폐타이어층(69)을 더 포설하여 상기 차수시스템을 보호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30), 지오멤브레인(65), 지오콤포지트(67) 등은 장기간 대기에 노출될 경우 자외선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매립되는 폐기물의 하중에 의해 파손될 수 있으므로 그 표면에 폐타이어층(69)을 설치함으로써 자외선과 폐기물에 의한 전단력으로부터 차수시스템을 보호하는 것이다.
한편, 도3 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포우레탄층(30)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로(40)는 매립장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관로(7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원지반(10)에서 생성되는 지하수나 우수를 신속히 배출시킨다.
그리고 도9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9는 경사면의 발포우레탄층(30) 위에 지오멤브레인(65)을 포설한 경우이고, 도10은 원지반(10) 위에 형성된 발포우레탄층(30) 위에 지오콤포지트나 텍스타일과 같은 보호층(67)을 형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우레탄층(30) 위에 지오멤브레인(65)을 설치함으로써 침출수의 차단기능을 보강하는 동시에 상기 발포우레탄층(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발포우레탄층(30) 위에 지오멤브레인(65)을 포설하는 경우에는 발포우레탄폼의 자기접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오멤브레인(65)을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질 폴리우레탄폼을 폐기물 매립장 경사면에현장 발포시켜 발포우레탄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사면요철 충진 및 침출수 차수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폐기물 매립장 경사면에 발포우레탄층을 포설하여 요철부를 안정화 및 평탄화시킴으로써 벤토나이트매트, 지오멤브레인 등의 차수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수시스템은 경사가 급한 사면에 자체 접착력만으로 설치할 수 있고 요철이 심한 경우에도 자체 하중이 적기 때문에 두께에 관계없이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는 매립된 폐기물의 하중 및 침하로 인한 전단력을 완충시켜 차수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폐기물 매립장 경사면의 원지반 위에 경질 폴리우레탄폼을 현장 발포시켜 형성한 발포우레탄층과;
    상기 발포우레탄층의 하부에 원지반에서 발생되는 우수 또는 지하수를 신속히 배출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의 하부에 경사면의 원지반을 평탄화시키기 위해 형성된 1차 발포우레탄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우레탄층은 원지반 위에 직접 포설되며 그 두께가 적어도 5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상기 발포우레탄층보다 투수계수가 좋은 합성수지 다발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 사면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갖는 폐기물 매립장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원지반 위에 포설된 발포우레탄층과;
    상기 발포우레탄층 위에 포설된 벤토나이트매트와;
    상기 벤토나이트매트층 위에 포설된 지오멤브레인과;
    상기 지오멤브레인 위에 전면적으로 지오콤포지트와;
    상기 지오콤포지트층 위에 포설된 폐타이어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우레탄층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배수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
  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갖는 폐기물 매립장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원지반 위에 전면적으로 포설된 발포우레탄층과;
    발포우레탄폼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발포우레탄층 위에 포설된 지오멤브레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멤브레인을 지오콤포지트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 차수시스템.
KR10-2002-0006958A 2002-02-07 2002-02-07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차수시스템 KR100458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958A KR100458266B1 (ko) 2002-02-07 2002-02-07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차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958A KR100458266B1 (ko) 2002-02-07 2002-02-07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차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111A KR20030067111A (ko) 2003-08-14
KR100458266B1 true KR100458266B1 (ko) 2004-11-26

Family

ID=3222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958A KR100458266B1 (ko) 2002-02-07 2002-02-07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차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430B1 (ko) 2006-03-09 2006-07-03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쓰레기 매립지의 경사면 유실 방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60B1 (ko) * 2009-10-01 2011-05-02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판형다발관을 이용한 폐기물매립장 및 이의 시공방법
CN102367661B (zh) * 2011-09-13 2014-01-01 北京高能时代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钠基膨润土垫的铺设方法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543A (ja) * 1993-10-05 1995-04-18 Ohbayashi Corp 遮水シートの保護構造
JPH07265830A (ja) * 1994-03-30 1995-10-17 Toyo Tire & Rubber Co Ltd 廃棄物処理場及び廃棄物処理方法
JPH07265831A (ja) * 1994-03-30 1995-10-17 Toyo Tire & Rubber Co Ltd 廃棄物処理場及び廃棄物処理方法
KR19980066612A (ko) * 1997-01-27 1998-10-15 장혁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0161689B1 (en) * 1990-12-17 1999-01-15 American Colloid Co Water barrier of water-swellable clay sandwiched between interconnected layers of flexible fabric
JPH1128439A (ja) * 1997-07-14 1999-02-02 Taiyo Kogyo Kk 廃棄物処分場の法面における遮水層の保護構造
KR19990039324A (ko) * 1997-11-12 1999-06-05 김춘자 토양안정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 조성방법
KR20000009346U (ko) * 1998-11-02 2000-06-05 신동현 밀봉용 벤토나이트 층이 형성된 방수 매트
JP2000220125A (ja) * 1999-02-02 2000-08-08 Ohbayashi Corp 遮水シートにおける発泡性ウレタンの吹付け工法
JP2001220746A (ja) * 2000-02-09 2001-08-17 Achilles Corp 軽量盛土構造
KR200254059Y1 (ko) * 2001-06-15 2001-11-23 주식회사 세원지오신테크 높은 하중압력 하에서 우수한 투과계수를 갖는 토목합성수지배수
KR20030021780A (ko) * 2001-09-07 2003-03-15 주식회사 엔바이로피아 쓰레기 매립지의 차수층보호를 위한 필름결합형지하수배제시설물
KR100384688B1 (ko) * 2000-01-14 2003-05-22 주식회사 일광지오라인 매립지 침출수 차단을 위한 주열식 심층혼합토고화연직차수벽 보강방법
KR20030042878A (ko) * 2001-11-26 2003-06-02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침투성 방수제에 의한 불투수성 폐기물 매립장 차수벽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0056626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골든포우 폐기물 매립장 침출수 배수용 토목합성 차수재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689B1 (en) * 1990-12-17 1999-01-15 American Colloid Co Water barrier of water-swellable clay sandwiched between interconnected layers of flexible fabric
JPH07102543A (ja) * 1993-10-05 1995-04-18 Ohbayashi Corp 遮水シートの保護構造
JPH07265830A (ja) * 1994-03-30 1995-10-17 Toyo Tire & Rubber Co Ltd 廃棄物処理場及び廃棄物処理方法
JPH07265831A (ja) * 1994-03-30 1995-10-17 Toyo Tire & Rubber Co Ltd 廃棄物処理場及び廃棄物処理方法
KR19980066612A (ko) * 1997-01-27 1998-10-15 장혁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JPH1128439A (ja) * 1997-07-14 1999-02-02 Taiyo Kogyo Kk 廃棄物処分場の法面における遮水層の保護構造
KR19990039324A (ko) * 1997-11-12 1999-06-05 김춘자 토양안정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 조성방법
KR20000009346U (ko) * 1998-11-02 2000-06-05 신동현 밀봉용 벤토나이트 층이 형성된 방수 매트
JP2000220125A (ja) * 1999-02-02 2000-08-08 Ohbayashi Corp 遮水シートにおける発泡性ウレタンの吹付け工法
KR100384688B1 (ko) * 2000-01-14 2003-05-22 주식회사 일광지오라인 매립지 침출수 차단을 위한 주열식 심층혼합토고화연직차수벽 보강방법
JP2001220746A (ja) * 2000-02-09 2001-08-17 Achilles Corp 軽量盛土構造
KR200254059Y1 (ko) * 2001-06-15 2001-11-23 주식회사 세원지오신테크 높은 하중압력 하에서 우수한 투과계수를 갖는 토목합성수지배수
KR20030021780A (ko) * 2001-09-07 2003-03-15 주식회사 엔바이로피아 쓰레기 매립지의 차수층보호를 위한 필름결합형지하수배제시설물
KR20030042878A (ko) * 2001-11-26 2003-06-02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침투성 방수제에 의한 불투수성 폐기물 매립장 차수벽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0056626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골든포우 폐기물 매립장 침출수 배수용 토목합성 차수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430B1 (ko) 2006-03-09 2006-07-03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쓰레기 매립지의 경사면 유실 방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111A (ko)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7389A (en) Insulation system for soil
JP3363805B2 (ja) 雨水貯留浸透構造物
KR101528674B1 (ko) 폐석산 또는 대사면을 활용한 단계별 성토층에 의한 폐기물 매립방법
KR20180129154A (ko) 신소재 포켓 섬유와 팽창제를 이용한 지반함몰 복구 공법 및 복구 공동 유지관리 방법
US11542667B1 (en) Flexible pavement structure
KR100458266B1 (ko)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차수시스템
KR101206728B1 (ko) 빗물 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842122B1 (ko) 오염제어형 반응차수구조
US6974278B2 (en) Thermo-structural base for construction on unstable soils
JP2012255250A (ja) 雨水処理施設
KR20030021780A (ko) 쓰레기 매립지의 차수층보호를 위한 필름결합형지하수배제시설물
KR101684629B1 (ko) 벽체용 방수층 이중 보호재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JP2000178980A (ja) 斜面の遮水保護工法
Koerner Geotextiles used in separation
JP2814898B2 (ja) 地下貯留施設
KR101850782B1 (ko) 지반함몰부 복구장비 및 이를 이용한 지반함몰부 복구 공법
JP4681515B2 (ja) 上載型廃棄物埋立処分場
KR1007583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에 형성된 유실부를 보수하는 방법
CN215441251U (zh) 防渗水路面或地面
KR102296412B1 (ko) 광해방지 응급조치사업을 위한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지하공동 보강방법
US20210332547A1 (en) Device to Prevent Marl Erosion in Reserved Water and Mud Waste Pits at Drilling Sites
KR200458991Y1 (ko) 방근판 기능을 갖는 방수층 보호재
JP2000237710A (ja) 廃棄物処分場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5531705A (ja) 軟弱地盤上の断熱構造基礎
KR200266326Y1 (ko) 쓰레기 매립지의 차수층보호를 위한 필름결합형지하수배제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