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917B1 - 자동차용 루프 랙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루프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917B1
KR100457917B1 KR10-2002-0068040A KR20020068040A KR100457917B1 KR 100457917 B1 KR100457917 B1 KR 100457917B1 KR 20020068040 A KR20020068040 A KR 20020068040A KR 100457917 B1 KR100457917 B1 KR 100457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ack
cross bar
rails
sliders
cross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824A (ko
Inventor
김봉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91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 랙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시 공기저항과 와류를 감소하고, 높이가 높지 않은 물품은 끈으로 묶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루프 패널(1)에 고정한 베이스(4)(4')(5)(5')에 전·후방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 레일(2)(2')과; 상기 레일(2)(2')에, 각 외측단에 형성한 슬라이더(7)(7')를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더(7)(7')의 수직 상방에 지지고리(8)(8')를 형성하며, 대면부(P1)(P2)에 간격(C)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호 직선을 유지토록한 적어도 2조의 크로스 바(6)(6')와; 상기 크로스 바(6)(6')의 대면부에 설치한 길이 조정수단(11)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루프 랙 {ROOF RACK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 랙에 관한 것이다.
소득수준이 증가함과 동시에 토요휴무의 실시에 따라 가족단위의 장거리 숙박 여행이 증가하고 있고, 상기 장거리 숙박 여행시에는 5 내지 9인승 자동차 소위 레크리에이션 자동차(RV)(SUV, MPV 등)를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장거리 숙박 여행시에는 길이가 길거나 부피가 큰 물품 예를 들어 자전거, 보트 등을 휴대 운반함에 따라 이들 물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루프 패널에 루프 랙을 설치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의 루프 랙은 루프 패널의 좌우 양측에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베이스를 고정하여 상기 베이스 사이에 레일을 루프 패널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하며, 상기 레일에는 통상 2개의 크로스 바를 상기 레일과 직각으로 그 양측에 고정한 슬라이더에 의하여 전후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에는 로크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루프 랙은 운반하려는 물품의 부피 등에 따라 로크수단을 조작하여 전후 크로스 바의 간격을 조절한 후 크로스 바에 물품은 적재하고 끈을 묶어서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루프 랙은 레일 및 크로스 바와 루프 패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주행시 레일 및 크로스 바와 루프 패널 사이에 형성한 간격에서 와류가 발생함으로 소음이 발생하고, 공기저항의 증대에 의하여 연료 소비량이 증대되고 있으며, 또한 높이가 높지 않은 물품도 반드시 끈으로 묶어야 함으로 번잡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주행시 공기저항과 와류를 감소하고, 높이가 높지 않은 물품은 끈으로 묶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루프 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루프 패널에 고정한 베이스에 전·후방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 레일과; 상기 레일에, 각 외측단에 형성한 슬라이더를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수직 상방에 지지고리를 형성하며, 대면부에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호 직선을 유지토록한 적어도 2조의 크로스 바와; 상기 크로스 바의 대면부에 설치한 길이 조정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2' : 레일 3 : 핀 4, 4', 5, 5' : 베이스
6, 6' : 크로스 바 7, 7' : 슬라이더 8, 8' : 지지고리
9, 9' : 후크 11 : 길이 조정수단 14 : 벨로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선 단면도로서, 1은 루프 패널이고, 2, 2'는 레일로서, 상기 레일(2)(2')은 전·후방에 핀(3)을 형성하여 루프 패널(1)의 전·후방 양측에 고정한 베이스(4)(4')(5)(5')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 것이다.
6, 6'는 크로스 바로서, 상기 크로스 바(6)(6')는 적어도 전·후 2조를 설치하고, 크로스 바(6)(6')의 각 외측단에 슬라이더(7)(7')를 형성하여 상기 레일(2)(2')에 지지한 후 볼트(10)로 고정하여 후술하는 길이 조정수단(11)에 의하여 크로스 바(6)(6')가 신축할 때 레일(2)(2')이 회전하거나, 볼트(10)를 풀면 레일(2)(2')은 회전하지 않고 슬라이더(7)(7')만 레일(2)(2')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슬라이더(7)(7')의 수직 상방에 지지고리(8)(8')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대면부(P1)(P2) 사이에 간격(C)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호 직선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며, 또한 상기 지지고리(8)(8')의 상방에는 후크(9)(9')를 대향되게 형성한 것이다.
11은 길이 조정수단으로서, 상기 길이 조정수단(11)은 일측 크로스 바(6)에 모터(12)를 설치하여 그 축에 상기 간격(C)에 위치되는 나사봉(13)을 설치하고, 타측 크로스 바(6')에 암나사(13')를 설치하여 상기 나사봉(13)을 나사 결합하며, 상기 대면부(P1)(P2)에 간격(C)을 밀폐하여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벨로즈(14)를 설치한 것으로서, 모터(12)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나사봉(13)이 회전함에 따라 간격(C)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면서 크로스 바(6)(6')의 합계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모터(12)는 직류모터를 사용하여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루프 랙에 물품을 적재하지 않을 때는 모터(12)를 대면부(P1)(P2) 사이에 형성한 간격(C)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사봉(13)의 회전에 의하여 타측 크로스 바(6')가 잡아당겨지고, 타측 크로스 바(6')가 잡아당겨지면 슬라이더(7')는 레일(2')에 볼트(10)로 고정되어 있음으로 레일(2')이 회전하면서 루프 패널(1)에 근접되며, 상기 상태에서 모터(12)를 계속 회전하면 타측 크로스 바(6')는 잡아당겨지지 않고 일측 크로스 바(6)가 잡아당겨져 일측 크로스 바(6)도 루프 패널(1)에 근접 위치되어서 즉 크로스 바(6)(6')의 합계 길이가 축소됨에 따라 레일(2)(2')과 크로스 바(6)(6')가 루프 패널(1)에 근접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레일(2)(2')과 크로스 바(6)(6')가 루프 패널(1)에 근접되면 주행시 공기저항과 와류가 감소되는 것이다.
그리고 루프 랙에 물품을 적재할 때 물품의 두께가 지지고리(8)(8')의 높이보다 작고 그 폭이 레일(2)(2')의 간격과 유사할 때에는 모터(12)를 상기레일(2)(2')이 루프 패널(1)에 근접되는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로스 바(6)(6')의 합계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레일(2)(2')은 루프 패널(1)의 외측으로 회전함으로 레일(2)(2')을 지지고리(8)(8')의 상방에 형성한 내측 후크(9)가 레일(2)(2')의 중심축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회전시킨 후 크로스 바(6)(6') 상면에 물품을 적재하고 다시 모터(12)를 크로스 바(6)(6')의 합계 길이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물품의 양측면과 상면은 지지고리(8)(8') 및 내측 후크(9)에 지지 고정됨으로서 별도의 끈으로 묶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루프 랙에 적재하는 물품이 레일(2)(2')의 간격보다 작거나 그 높이가 지지고리(8)(8')보다 높을 때에는 레일(2)(2')이 루프 패널(1)에 근접된 위치에 그대로 두거나, 모터(12)를 회전하여 레일(2)(2')을 지지고리(8)(8')가 수직상태로 되게 회전한 후 크로스 바(6)(6')의 상면에 물품을 적재하고 외측 후크(9')끼리 끈을 연결하여 물품을 묶는 것이다.
또한 전후 크로스 바(6)(6')의 간격을 조절할 때에는 볼트(10)만을 풀고 레일(2)(2')에서 크로스 바(6)(6')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간편하게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레일과 크로스 바를 루프 패널에 근접시킴으로써 주행시 공기저항과 와류가 감소되어 연비를 개선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폭이 넓고 높이가 높지 않은 물품은 끈을 사용하지 않고 지지고리 및 내측 후크만으로 지지 고정함으로써 물품의 적재와 하역이 신속하고 간편한 것이다.

Claims (4)

  1. 루프 패널에 고정한 베이스에 전·후방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 레일과; 상기 레일에, 각 외측단에 형성한 슬라이더를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수직 상방에 지지고리를 형성하며, 대면부에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호 직선을 유지토록한 적어도 2조의 크로스 바와; 상기 크로스 바의 대면부에 설치한 길이 조정수단으로 구성한 자동차용 루프 랙.
  2.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 조정수단은 일측 크로스 바에 모터를 설치하여 그 축에 상기 간격에 위치되는 나사봉을 설치하고, 타측 크로스 바에 암나사를 설치하여 상기 나사봉을 나사 결합한 자동차용 루프 랙.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고리의 상방에 후크를 형성한 자동차용 루프 랙.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크로스 바의 대면부에 벨로즈를 설치한 자동차용 루프 랙.
KR10-2002-0068040A 2002-11-05 2002-11-05 자동차용 루프 랙 KR100457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040A KR100457917B1 (ko) 2002-11-05 2002-11-05 자동차용 루프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040A KR100457917B1 (ko) 2002-11-05 2002-11-05 자동차용 루프 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824A KR20040039824A (ko) 2004-05-12
KR100457917B1 true KR100457917B1 (ko) 2004-11-18

Family

ID=3733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040A KR100457917B1 (ko) 2002-11-05 2002-11-05 자동차용 루프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1117A (zh) * 2018-10-10 2019-01-04 安徽省华晟塑胶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卸汽车行李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453U (ja) * 1983-08-27 1985-03-27 秋本 潔 自動車用荷台の載荷部の構造
EP0664241A1 (fr) * 1994-01-26 1995-07-26 Automobiles Peugeot Dispositif formant porte-bagages de toit de véhicule automobile
KR19980026356U (ko) * 1996-11-08 1998-08-05 박병재 차량의 루프 캐리어 박스 지지봉 고정구조
KR20020040182A (ko) * 2000-11-23 2002-05-30 이계안 자동차의 루프 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453U (ja) * 1983-08-27 1985-03-27 秋本 潔 自動車用荷台の載荷部の構造
EP0664241A1 (fr) * 1994-01-26 1995-07-26 Automobiles Peugeot Dispositif formant porte-bagages de toit de véhicule automobile
KR19980026356U (ko) * 1996-11-08 1998-08-05 박병재 차량의 루프 캐리어 박스 지지봉 고정구조
KR20020040182A (ko) * 2000-11-23 2002-05-30 이계안 자동차의 루프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824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2983B2 (en) Multi-configuration, multi-purpose rack system
US7845528B2 (en) Load carry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US8777288B2 (en) Folding roof rack for vehicle
US7874774B2 (en) Vehicle cargo arrangement
US6575516B2 (en) Tailgate ramp and load locking accessories for a pickup truck
US6382480B1 (en) Bicycle carrier apparatus adapted for use within a cargo area of a vehicle
US6398290B1 (en) Equipment transportation system
US8322582B2 (en) Over cab extension kit
US6971563B2 (en) Stationary ladder rack with double wedge interlocking mechanism
US7784657B2 (en) Carrier rack system
US6439814B1 (en) Trailer structure &amp; tie-down mechanism
US20060163300A1 (en) Truck rack
US20030205597A1 (en) Convertible ladder and load platform for a vehicle articulating roof rack system
US80964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towable cross bars
US20100072237A1 (en) Disassemblable Rack Having Dual Mounting Crossbars for Use with Pickup Trucks and SUVs
US11577637B2 (en) Truck bed rack
US20190291677A1 (en) Modular roll bar
US11230230B2 (en) Weight distributing cargo rack system for use on vehicles
US20090260538A1 (en) Rail car extension system
KR100457917B1 (ko) 자동차용 루프 랙
US10071692B2 (en) Pickup truck roof rack system
US20180236944A1 (en) Pickup box adaptable side-mounted rail
KR100490371B1 (ko) 자동차용 루프 랙
US20180370448A1 (en) Roof Rack System for a Vehicle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Installation
US67729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inching cargo to a vehicle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