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641B1 -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641B1
KR100457641B1 KR10-2001-0048272A KR20010048272A KR100457641B1 KR 100457641 B1 KR100457641 B1 KR 100457641B1 KR 20010048272 A KR20010048272 A KR 20010048272A KR 100457641 B1 KR100457641 B1 KR 100457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ain tank
tank
auxiliary tank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969A (ko
Inventor
배기만
배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운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운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운메카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1-004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6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3/34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timing of filling operations
    • B65B3/3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timing of filling operations and arresting flow by cut-off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23Packaging flue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상물이 저장되는 주탱크(10)와,이 주탱크(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이송된 포장지(2)에 액상물을 주입하는 액상물 주입관(40)과,주탱크(10)의 하부에 형성된 액상물 배출구(12)에 제어기(20)에 의해 관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30)와,상기 주탱크(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소정의 용량으로 임시 저장하도록 유입구멍(51)이 뚫어지는 보조탱크(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상기 보조탱크(50)는 주탱크(10)의 바닥면(11) 상부 위치로 액상물 유입구멍(51)이 뚫어지며, 그 하부면에 일정길이로 관로 중심을 향해서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액상물 공급구(52)를 돌출하여 액상물 배출구(12)의 입구에 접속시키고, 상부에는 공기배출관(53)이 장착된 덮개부(54)가 분리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 상태로 주탱크(10)의 바닥면(11) 상부에는 형성된 설치홈(13)에 상기 보조탱크(50)가 안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액상물이 포장되는 공정이 반복될 경우 주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의 양이 감소되더라도 포장지(2)에 공급되는 액상물은 보조탱크(50)내의 압력에만 영향을 받으므로 개폐밸브(30)의 개폐시간을 제어기에 일정하게 입력할 수 있어, 주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의 양의 감소에 따라 개폐시간을 조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탱크(50)는 상부에 분리가능한 덮개부(54)가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사용후 용이하게 덮개부(54)를 분리하여 보조탱크(50) 내부의 액상물 찌꺼기를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정량의 액상물이 자동포장되어 상품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Liquid pouring device for automatic liquid packaging machine}
본 발명은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주탱크의 액상물 배출구 상부에 액상물 정량의 용량을 가지는 보조탱크를 설치하여 액상물이 포장지 내부로 항상 일정한 정량으로 공급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물 자동포장기는 합성수지 비닐봉지 등으로 제조된 포장지에 한약이나, 과일등에서 추출된 액즙이나, 주류, 식혜 등과 같은 액상물을 일정량 주입하여 자동으로 포장하는 기계이다.
그리고, 액상물 자동포장기는 내부로 투입된 포장지가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면서 액상물이 일정량 주입되고, 주입된 포장지를 밀봉시키면서 자동으로 포장된다.
한편, 상기 액상물 자동포장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액상물 주입장치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물이 저장되고, 하부면에 액상물 배출구(12')가 형성된 주탱크(10')와, 상기 주탱크(10')의 액상물배출구(12')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일측면에는 공기배출관(53')이 설치되고, 하부면에는 포장지(2') 내부로 액상물을 주입하는 액상물 주입관(40')이 구비되어, 포장지(2')에 주입될 액상물의 일정량을 저장하는 보조탱크(50')와, 상기 주탱크(10')와 보조탱크(50') 사이의 연결관에 설치되는 제 1 개폐밸브(31')와 상기 보조탱크(50')의 액상물 주입관(40')에 설치되는 제 2 개폐밸브(32')로 구성된다.
따라서, 보조탱크(50')의 하부면에 구비된 액상물 주입관(40')에 포장지(2')가 이송되면, 제어기(20')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제 1 개폐밸브(31')가 열려 상기 보조탱크(50')내로 단위포장량의 액상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제 1 개폐밸브(31')가 닫히고, 제 2 개폐밸브(32')가 열리게 되어 액상물 주입관(40')을 통해 액상물이 포장지(2')내로 주입되면, 포장지(2')를 밀봉시켜 자동으로 포장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상물 주입장치는 제어기가 상기 제 1 개폐밸브의 열린시간을 조정하여 주탱크에서 보조탱크내로 액상물을 공급하므로, 주탱크에 저장된 액상물의 수위에 따라 압력이 변화하여 일정시간내에 보조탱크내로 공급되는 액상물의 양이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계속적인 자동포장작업을 하기 위해선 주탱크의 액상물양과 포장개수를 제어기에 입력시켜 연산한 다음 제 1 개폐밸브의 개방시간을 계산하여 자동포장작업중에 제 1 개폐밸브가 열리는 시간을 점차적으로 증대시켜야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어하기 위해선 제어시스템이 복잡하여 제작비가 상승되고, 고장이 자주 일어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사용중에 보조탱크내부에 발생되는 이물질을 청소할 경우 상기 보조탱크를 전문가가 보조탱크를 연결관으로 부터 분리하여 청소한 다음 다시 결합하여야 하므로 세척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공기배출구가 구비된 덮개부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보조탱크가 주탱크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어 주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의 양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액상물이 포장지로 주입되도록 한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탱크의 덮개부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사용중 보조탱크내부를 청소할 경우 상기 덮개부를 분리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액상물 자동포장기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단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보조탱크의 부분단면도.
도 4 는 종래의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자동포장기 본체 2 - 포장지
10 - 주탱크 11 - 바닥면
12 - 액상물 배출구 13 - 설치홈
14 - 테이퍼부 15 - 오링
20 - 제어기 30 - 개폐밸브
40 - 액상물 주입관 50 - 보조탱크
51 - 액상물 유입구멍 52 - 액상물 공급구
53 - 공기배출관 54 - 덮개부
55 - 나사홈 56 - 나사산
57 - 공기 배출구멍 58 - 보호캡부재
59 - 공간부 60 - 보빈
61 - 안내로울러 62 - 센서부
63 - 종방향용착로울러 64 - 횡방향용착로울러
65 - 절단로울러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액상물이 저장되는 주탱크(10)와,이 주탱크(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이송된 포장지(2)에 액상물을 주입하는 액상물 주입관(40)과,주탱크(10)의 하부에 형성된 액상물 배출구(12)에 제어기(20)에 의해 관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30)와,상기 주탱크(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소정의 용량으로 임시 저장하도록 유입구멍(51)이 뚫어지는 보조탱크(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상기 보조탱크(50)는 주탱크(10)의 바닥면(11) 상부 위치로 액상물 유입구멍(51)이 뚫어지며, 그 하부면에 일정길이로 관로 중심을 향해서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액상물 공급구(52)를 돌출하여 액상물 배출구(12)의 입구에 접속시키고, 상부에는 공기배출관(53)이 장착된 덮개부(54)가 분리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 상태로 주탱크(10)의 바닥면(11) 상부에는 형성된 설치홈(13)에 상기 보조탱크(50)가 안착되어 설치되므로써 달성된다.
즉, 주탱크(10) 내부에 액상물이 저장되면, 보조탱크(50)의 액상물 유입구멍(51)을 통하여 액상물이 주입되어 채워지게 되고, 포장지(2)가 이송되어 액상물 주입관(40)에 위치되면 개폐밸브(30)가 제어기(20)에 의해 열려 보조탱크(50)에 채워진 액상물의 양만큼 포장지(2)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보조탱크(50)내에 채워진 액상물이 포장지(2)로 공급되어 밀봉된 다음에는 다시 주탱크(10)에 저장된 액상물이 보조탱크(50)내로 주입되어 채워지면서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자동으로 포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탱크(10)내부에 저장되는 액상물의 양에 관계없이 포장지(2)내로는 항상 보조탱크(50)내에 채워진 일정한 양의 액상물이 공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액상물 자동포장기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단면 구성도로서, 액상물 주입관의 하부로 보빈에 다수겹으로 권취된 포장지가 이송되어 액상물이 공급되면, 이 포장지를 밀봉하여 절단시키는 절단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탱크의 부분단면도로서, 보조탱크 상부에는 덮개부가 분리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요부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탱크(10)의 바닥면(11) 상부에는 설치홈(13)이 보조탱크(50)보다 다소 큰 크기로 형성되어 후술될 보조탱크(50)가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설치홈(13)에는 주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을 배출하고, 액상물 주입관(40)으로 연결되는 액상물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주탱크(10)의 바닥면(11) 상부에 형성된 설치홈(13)에 안착되는 보조탱크(50)는 상기 주탱크(10)의 용적보다는 적고, 포장지(2)내로 공급되는 주입량보다는 다소 큰 용량의 공간부(59)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이 공간부(59)로 주탱크(10)에 저장된 액상물이 압력에 의해 유입되는 액상물 유입구멍(51)이 뚫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액상물 유입구멍(51)은 보조탱크(50)의 측면 하단에 형성되는데, 주탱크(10)의 바닥면(11) 바로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파여지게 하여 주탱크(10)에 저장된 액상물이 보조탱크(50)의 내부 공간부(59)로 빠짐없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고, 액상물을 포장하는 과정이 반복될 경우 주탱크(10)내부의 액상물의 잔량이 모두 보조탱크(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50) 상부의 내측면에는 나사홈(55)이 형성되어, 외측면에 상기 나사홈(55)에 대응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56)이 형성된 덮개부(54)가 나사결합되어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부(54)의 상부면에는주탱크(10)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공기배출구멍(57)이 형성된 공기배출관(53)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보조탱크(50) 내부로 공기배출관(53)의 공기배출구멍(57)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므로 주탱크(10)의 액상물이 보조탱크(50)의 내부로 원할하게 채워지며, 후술될 개폐밸브(30)가 열려 액상물 주입관(40)을 통하여 포장지(2)내로 공급할 경우에도 액상물이 원할하게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보조탱크(50)의 상부에는 덮개부(54)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덮개부(54)를 회전시키면 용이하게 분리, 결합이 가능하여 사용후에 보조탱크(50)내의 액상물찌꺼기를 청소할 경우 상기 덮개부(54)를 분리하여 보조탱크(50) 내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탱크(50)가 주탱크(10) 내부에서 별물로 설치되므로 주탱크(10)내부에 저장되는 액상물의 양에 따르는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배출관(53)의 상부 끝단에는 이 공기배출관(53)의 직경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된 보호캡부재(58)가 장착되어 주탱크(10) 내부로 제조된 액상물이 주입될 경우 공기배출구멍(57)으로 액상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공기배출구멍(70)을 상기 보호캡부재(58)의 상부에 형성하여 주탱크(10) 내부에 저장되는 액상물의 양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보조탱크(50)의 하부 외측면에는 오링(15)이 구비되어 설치홈(13)에 설치될 경우 상기 설치홈(13)의 내측면과 보조탱크의 외측면 사이로 액상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시켜 결합된다.
또, 보조탱크(50)의 저면에는 일정길이로 돌출된 액상물 공급구(52)가 형성되어 상기 주탱크(10)의 설치홈(13)에 형성된 액상물 배출구(12)에 끼워져 결합된다.
즉, 주탱크(10) 내부로 액상물이 일정한 수위로 저장되면, 압력에 의하여 보조탱크(50)의 액상물 유입구멍(51)을 통하여 액상물이 주입되고, 보조탱크(50)내에 공기는 공기배출관(53)을 통하여 배출되어 보조탱크(50)내부에 액상물이 가득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주탱크(10)의 액상물 배출구(12)에 열결되어 설치된 개폐밸브(30)가 제어기(20)의 신호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열리고 닫히면 보조탱크(50)내에 채워진 액상물이 연결관을 통하여 액상물 주입관(40)으로 이동하여 이 액상물 주입관(40) 하부로 이송된 포장지(2) 내부로 일정한 양의 액상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즉,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된 보빈(60)에 각각 권회된 포장지(2)는 수개의 안내로울러(61)에 의해 안내되어 센서부(62)를 통과하고, 전기적으로 가열되어 그 일축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으로 회동되는 한쌍의 종방향용착로울러(63)와 횡방향용착로울러(64)를 통과하며, 상기 포장지(2)의 사이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상기 액상물 주입관(40)으로 부터 과즙이나 약물등의 액상물이 정량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용착로울러(64)에 의하여 액체가 투입된 포장지(2)의 상단을 접합함과 동시에 약물이 아직 투입하기 직전의 새로운 포장지(2)하단부를 밀폐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62)에서 포장지(2) 일측에 형성된 절단위치감지부를 감지하여 상기 횡방향용착로울러(64)의 하부에 설치된 절단로울러(65)가 작동하여 상기 횡접합부의 중앙, 즉, 절단위치감지부의 중앙이 절단되어 액상물을 자동으로 포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탱크(50) 내부에 채워진 액상물이 포장지(2)로 공급되어 포장되므로 자동 포장공정이 반복될 경우 주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제어기(20)에서 개폐밸브(30)가 개폐되는 시간을 매번 조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보조탱크(50)의 하부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액상물 공급구(52)는 관로 중심을 향해서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보조탱크(50) 내부에 채워진 액상물이 주탱크(10)의 배출구를 통하여 전량 액상물 주입관(40)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주탱크(10)의 액상물 배출구(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액상물 공급구(52)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상부 모서리에 테이퍼부(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조된 액상물이 저장되는 주탱크의 하부면 상부에 보조탱크가 설치되어 주탱크의 배출관을 통하여 상기 보조탱크내에 채워지는 액상물이 액상물 주입관으로 이동되므로, 포장지에 항상 일정한 양의 액상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액상물이 포장되는 공정이 반복될 경우 주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의 양이 감소되더라도 포장지에 공급되는 액상물은 보조탱크내의 압력에만 영향을 받으므로 개폐밸브의 개폐시간을 제어기에 일정하게 입력할 수 있어, 주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의 양의 감소에 따라 개폐시간을 조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탱크는 상부에 분리가능한 덮개부가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사용후 용이하게 덮개부를 분리하여 보조탱크 내부의 액상물 찌꺼기를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정량의 액상물이 자동포장되어 상품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액상물이 저장되는 주탱크(10)와,
    이 주탱크(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이송된 포장지(2)에 액상물을 주입하는 액상물 주입관(40)과,
    주탱크(10)의 하부에 형성된 액상물 배출구(12)에 제어기(20)에 의해 관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30)와,
    상기 주탱크(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소정의 용량으로 임시 저장하도록 유입구멍(51)이 뚫어지는 보조탱크(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50)는 주탱크(10)의 바닥면(11) 상부 위치로 액상물 유입구멍(51)이 뚫어지며, 그 하부면에 일정길이로 관로 중심을 향해서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액상물 공급구(52)를 돌출하여 액상물 배출구(12)의 입구에 접속시키고, 상부에는 공기배출관(53)이 장착된 덮개부(54)가 분리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 상태로 주탱크(10)의 바닥면(11) 상부에는 형성된 설치홈(13)에 상기 보조탱크(50)가 안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
  3. 삭제
KR10-2001-0048272A 2001-08-10 2001-08-10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 KR10045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272A KR100457641B1 (ko) 2001-08-10 2001-08-10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272A KR100457641B1 (ko) 2001-08-10 2001-08-10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324U Division KR200253031Y1 (ko) 2001-08-10 2001-08-10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969A KR20030013969A (ko) 2003-02-15
KR100457641B1 true KR100457641B1 (ko) 2004-11-26

Family

ID=2771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272A KR100457641B1 (ko) 2001-08-10 2001-08-10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6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969A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6583B2 (ja) 上部スペースの気体除去を伴う、液体分配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331487B2 (en) Office water cooler adapter for use with bagged fluids
US6024251A (en) Device for decanting a pressurized liquid
US20010047641A1 (en) Packaging machine
FI885388A0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septisk fyllning av en foerpackning med vaetska.
KR200253031Y1 (ko)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
KR100457641B1 (ko)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주입장치
US7096892B2 (en) Fluid filling device
RU2656822C2 (ru) По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запорными средствами
RU23187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енсации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й
WO2017130041A1 (en) Container
RU23938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рилизации полотна и способ стерилизации
GB2470212A (en) Pouch dispensing device with dosing means
JP3638394B2 (ja) 流体充填装置
KR910008179B1 (ko) 액체분배용 장치
KR100982133B1 (ko) 자동포장기용 누액 제거 노즐
KR101729240B1 (ko) 파우치 포장기의 유체 주입 노즐 장치
KR900001367Y1 (ko) 진공을 이용한 내용물의 정량 자동분주장치
KR101388603B1 (ko) 액체의 정량 주입 노즐을 이용한 수액(樹液) 주입 장치
KR101597113B1 (ko) 다단 롤러 방식 액상 내용물 자동 포장기의 액상 내용물 정량 공급장치
EP4375230A1 (en) Filling device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id products
JP4431821B2 (ja) 流体充填装置
CN209192302U (zh) 一种过氧化二异丙苯熔融灌装装置
KR100226345B1 (ko) 액즙 자동포장기의 액즙 정량 주입장치
FR2477188A1 (fr) Distributeur de produit liquide, et machine a laver comportant un tel distribute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