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703B1 - 오염토양 복원장치 - Google Patents

오염토양 복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703B1
KR100456703B1 KR10-2002-0046405A KR20020046405A KR100456703B1 KR 100456703 B1 KR100456703 B1 KR 100456703B1 KR 20020046405 A KR20020046405 A KR 20020046405A KR 100456703 B1 KR100456703 B1 KR 10045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as
liquid separator
air pump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472A (ko
Inventor
김명술
김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02-004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7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5Extraction of vapours or gases using vacuum 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2101/00In situ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증기 추출법(SVE; Soil Vapor Extraction)과 공기 주입법(BV; Bio venting)을 별도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오염토양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링 웰과 연결되고 모니터링 웰에서 유입되는 기액상의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기액분리기, 기액분리기에 연결되어 기액분리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공기펌프, 기액분리기와 모니터링 웰 사이에 설치되어 기액분리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상기 모니터링 웰로 주입하기 위한 제 2공기펌프 및 제 2공기펌프의 공기유입경로와 유출경로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들을 구비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공기와 액체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배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토양 증기 추출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율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공기 주입법 단독으로 또는 토양 증기 추출법과 공기 주입법의 혼합방식으로 오염토양을 정화할 수 있으며, 오염토양의 정화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정화효율산출의 정확도도 뛰어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염토양 복원장치{Apparatus for restoring polluted soil}
본 발명은 오염토양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양 증기 추출법(SVE; Soil Vapor Extraction)과 공기 주입법(BV; Bio venting)을 별도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오염토양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기술은 복원하는 위치에 따라 지중 처리(In-situ)기술과 지상처리(Ex-situ)기술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은지중처리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지중처리기술에는 토양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추출시킬 때 토양의 공극 사이에 존재하는 휘발성, 준휘발성 오염 물질이 기화되어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원리를 이용한 토양 증기 추출법과, 토양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주입하여 토양의 산소 농도를 증대시킴으로써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여주는 공기 주입법이 있다.
토양 증기 추출법은 그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광범위하게 오염된 토양의 복원에 적합하며, 불포화 대수층에는 효과적이나, 포화 대수층의 지반 또는 지하수의 오염원을 정화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공기 주입법은 토양 내 산소의 농도 증가로 인해 토양의 환경 변화가 초래되고, 많은 정화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각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토양 증기 추출기법에 공기 주입법을 접목시키는 기술이 연구,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관련된 것으로 특허출원 2001-0022134호로 출원되고 그의 이중출원으로 실용신안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0242963호 “오염 토양 복원시스템”(2001년 8월 3일 등록)이 있다. 이는 고압용기(공기주입부재)로 모니터링 웰(monitoring well)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진공용기로 모니터링 웰로부터 공기를 추출하거나, 선택된 모니터링 웰로는 고압용기로 공기를 주입하면서 나머지 모니터링 웰의 공기는 진공용기로 추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오염 토양 복원시스템은 토양 증기 추출법(SVE)과 공기 주입법(BV)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토양 증기추출법에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추출효율이 떨어지며, 진공용기와 고압용기가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장비의 활용성도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 증기 추출법에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추출효율이 뛰어나면서도 토양 증기 추출법과 공기 주입법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장비의 활용성도 뛰어난 오염토양 복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복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오염토양 복원장치 110 : 모니터링 웰
120 : 배관 121 : 제 1밸브
122 : 제 2밸브 125 : 제 3밸브
129 : 제 4밸브 130 : 분배기
140 : 기액분리기 150 : 제 1공기펌프
160 : 제 2공기펌프 170 : 제어수단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웰들을 통해 오염 토양에 존재하는 기액상의 오염 물질을 추출하거나, 토양 속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오염 토양을 복원하기 위한 오염토양 복원장치에 있어서, 모니터링 웰과 연결되고 모니터링 웰에서 유입되는 기액상의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기액분리기, 기액분리기에 연결되어 기액분리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공기펌프, 기액분리기와 모니터링 웰 사이에 설치되어 기액분리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모니터링 웰로 주입하기 위한 제 2공기펌프 및 제 2공기펌프의 공기유입경로와 유출경로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들을 구비하고 필요한 구성요소들 간의 공기와 액체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복원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기액분리기와 모니터링 웰들 사이에 직경이 큰 입자상의 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스트레이너(strainer)와 모니터링 웰들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기액상의 오염물질의 추출압력을 일정하게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위 기액분리기에는 유면계, 진공게이지, 온도계, 압력계 및 수위조절기가 설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 수위조절기는 기액분리기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 기액분리기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 및 수위감지센서의 동작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위 제 1공기펌프와 제 2공기펌프로는 링 블로워(ring blower)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기액분리기와 제 2공기펌프 사이에 제 1밸브가, 제 1밸브와 제 2공기펌프 사이에 제 2밸브를 갖는 공기흡입관이, 제 2공기펌프와 모니터링 웰 사이에 제 3밸브가, 제 2공기펌프에는 제 4밸브를 갖는 공기배출관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 제 1공기펌프와 제 2공기펌프의 공기배출구쪽에는 공기시료채취구가 설치되고, 공기시료채취구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기화합물질 농도측정기와 측정된 유기화합물질의 농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장치가 연결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위 측정되는 유기화합물질의 농도에 따라 제 1, 제 2공기펌프와 제 1∼제 4밸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물론, 경우에 따라 제 1밸브∼제 4밸브는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복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는 모니터링 웰(110)들이 도시되어 있다. 모니터링 웰(110)들은 오염물질의 이동, 농도변화, 수위변화 등을 점검하고 외부공기를 오염토양으로 공급하거나 오염토양에 있는 공기를 추출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주입정(injection well)과 추출정(extraction well)으로 구분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추출정이 주입정이 될 수도 있고, 주입정이 추출정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웰(110)들에는 일반적으로 둥근 원통형의 PVC 파이프(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파이프)에 폭이 0.5㎜ 정도인 슬롯(slot)을 5㎜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슬롯은 파이프의 파손, 견고함 등을 고려하여 파이프의 원주를 따라 커팅되어 형성되며, 그 길이는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달라진다. 또, 파이프의 하단부에는 토양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부 캡이 설치되며, 파이프의 상단부에는 파이프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상부 캡이 설치된다. 이러한 모니터링 웰과 관련하여서는 실용신안등록 제 0242963호와 실용신안등록 제 0266062호의 등록공보를 참고하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모니터링 웰(110)들에는 배관(120)을 통해 분배기(130)가 연결되어 있다. 분배기(130)는 모니터링 웰(110)에서 유입되는 찌꺼기를 걸러주기 위한 스트레이너(132)들과 각 모니터링 웰(110)에서의 기액상의 물질의 추출압력을 동일하게 조정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134)로 되어 있다.
분배기(130)에는 기액분리기(140)가 연결되어 있다. 이 기액분리기(140)는 각 모니터링 웰(110)에서 추출되는 기액상의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기액분리기(140)는 용기형상을 하고 있으며, 뒤에서 설명되는 제 1, 제 2공기펌프(150, 160)에 의해 형성되는 부압으로 모니터링 웰(110)을 통해 토양 속에 존재하던 기체, 액체 등을 흡입하였다가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여 배출한다.
이러한 기액분리기(140)의 유입구쪽에는 미세한 찌꺼기를 걸러주기 위한 필터나 필터기능을 갖는 다른 장치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액분리기(140)에는 진공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진공게이지(141), 내부 온도와 압력 측정을 위한 온도계(142), 압력계(143), 내부 수위조절을 위한 수위조절기(144), 유면의 높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면계(145) 등이 설치된다. 수위조절기(144)는 기액분리기(140) 내부에 수위가 일정 이상 되는 것을 감지하는 수위센서(114a)를 설치하여둔 상태에서 수위센서에서의 수위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수단(170)에서 또는 별도의 모터제어수단에서 드레인 펌프(144b)를 동작시켜 기액분리기(140) 내부의 액체를 펌핑하여 필요한 곳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드레인 펌프(144b)의 배출구에는 유량계(146)를 설치하여 드레인 펌프(144b)를 통해 배출되는 지하수량을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수동으로 기액분리기(140) 내부의 지하수 등을 배출하고자하는 경우에는 기액분리기(140) 하단에 수동밸브(147)를 설치하여 필요할 때마다 수동밸브(147)를 개방하여 지하수 등을 배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액분리기(140)에는 제 1공기펌프(150)가 연결되어 있다.이 제 1공기펌프(150)는 기액분리기(14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기액분리기(140)에 부압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링 블로워를 사용하면 된다. 링 블로워는 임펠러(impeller) 챔버 내부의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에 의해 고효율, 고진공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에는 임펠러 챔버를 2단으로 설치한 2단 링 블로워가 적당하다.
위와 같은 제 1공기펌프(150)의 배출구쪽에 공기시료 채취구(152)와 온도계(153), 버터플라이밸브(154), 공기유량계(155) 등을 설치하여 기액분리기(14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공기량을 측정하여 필요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시료채취구(152)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측정장치(156)와 데이터저장장치(157)를 설치하여 복원작업의 진행정도를 측정 기록함으로써 오염토양의 정화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되는 오염토양의 정화정도에 따라 정화방식을 조정할 수 있으며, 전체 정화공정의 자동화에 활용할 수 있다.
제 1공기펌프(150)의 일측으로는 쿨링 팬(cooling fan, 158)을 설치하여 제 1공기펌프(150)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액분리기(140)에는 제 2공기펌프(160)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제 2공기펌프(160)는 모니터링 웰(110)들과도 연결되어 있다. 이 제 2공기펌프(160)는 필요에 따라 기액분리기(14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모니터링 웰(110)로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 2공기펌프(160) 역시 제 1공기펌프(150)에서 설명한 링 블로워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제 2공기펌프(160)의 배출구쪽에도 공기시료 채취구(161)와 온도계(162), 공기유량계(163) 등을 설치하여 기액분리기(14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공기량을 측정하여 필요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또, 제 2공기펌프(160)의 일측으로는 쿨링 팬(cooling fan, 164)을 설치하여 제 2공기펌프(160)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제 2공기펌프(160)쪽의 공기시료채취구(161)에도 휘발성 유기화합물농도측정장치와 데이터 저장장치를 더 설치하여 장치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액분리기(140)와 제 2공기펌프(160) 사이에 제 1밸브(121)가 설치되어 있고, 제 1밸브(121)와 제 2공기펌프(160) 사이에 제 2밸브(122)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흡입관(123)이 연결되어 있다. 이 공기흡입관(123)에는 에어필터(124)가 설치되어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 2공기펌프(160)와 모니터링 웰(110) 사이에 제 3밸브(125)와 안전밸브(126) 및 압력계(127)가, 제 2공기펌프(160)에 연결되는 공기배출관(128)에는 제 4밸브(129)와 유량계(16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복원장치(100)는 제어수단(17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수단(170)은 제 1, 제 2공기펌프(150, 160), 각 밸브(121, 122, 125, 126, 129, 134, 144c, 154)들, 온도계(142, 153, 162), 압력계(127, 143), 쿨링팬(158, 164), 드레인 펌프(144b) 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복원장치(100)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수단(170)은 없어도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복원장치(100)의 모드별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 증기 추출법 모드]
제 1밸브(121)와 제 4밸브(129) 및 제 1공기펌프(150)의 배출구쪽에 설치된 밸브(154)는 개방되고, 제 2밸브(122)와 제 3밸브(125)는 닫힌 상태에서 제 1공기펌프(150)와 제 2공기펌프(160)가 동시에 구동된다. 이에 따라 기액분리기(140)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는 제 1공기펌프(150)와 제 2공기펌프(160)의 배출구쪽으로 각각 빠져나고, 기액분리기(140) 내부에는 고진공상태가 되어 강력한 부압이 발생된다. 이 부압은 분배기(130)에서 균등 분배되어 각 모니터링 웰(110)들로 전달된다. 각 모니터링 웰(110)과 그 주위의 토양에 존재하던 기액상의 오염물질은 기액분리기(140)로 빠른 속도로 흡입된다. 물론,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들은 스트레이너(132) 등에서 걸러진다. 제 1, 제 2공기펌프(150, 160)에 의해 형성되는 기액분리기(140) 내부의 강력한 부압으로 오염물질을 흡입하므로 그 흡입성능이 매우 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복원장치는 초기에 매우 큰 작업효율로 오염토양 정화작업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기액분리기(140)로 흡입된 기액상의 물질은 액체와 기체로 분리되어 액체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 기액분리기(140) 내에 저장되고, 기체는 제 1공기펌프(150)와 제 2공기펌프(160)를 통해 공기정화를 위한 별도의 공기정화장치나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한편으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농도는 공기시료 채취구(152)에 설치된 유기화합물농도측정장치(156)를 통해 지속적으로 측정되고, 그 데이터는 시간대별도 데이터저장장치(157)에 저장된다. 측정되는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일정 이상 떨어져 토양 증기 추출법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효율이 저하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복원장치는 그 작업방식을 공기 주입법 단독 모드나 토양증기 추출법과 공기 주입법 혼합모드로 전환한다.
쿨링팬(158, 164)은 제 1공기펌프(150)와 제 2공기펌프(160)를 냉각시킨다.
또, 한편으로 기액분리기(140) 내부에 수위가 일정 이상 되면 수위센서(14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170)으로 감지신호를 보내면 제어수단(170)은 드레인 펌프(144b)를 작동하여 기액분리기(140) 내부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수처리장치 등으로 보낸다. 물론, 별도의 모터제어수단이 있는 경우, 수위센서(144a)의 감지신호는 별도의 모터제어수단으로 제공된다. 이 때 드레인 펌프(144b)의 배출구쪽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144c)는 개방되어 있어야 하고, 유량계(146)는 배출되는 유량을 측정하여 나타낸다.
[토양 증기 추출법과 공기 주입법의 혼합 모드]
토양 증기 추출법으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제 1밸브(121)와 제 4밸브(129)를 잠그고 제 2밸브(122)와 제 3밸브(125)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기액분리기(140) 내부의 공기는 제 1공기펌프(150)만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기액분리기(140) 내부에 부압이 발생되게 된다. 제 2공기펌프(160)와 기액분리기(140) 사이는 차단되고, 제 2공기펌프(160)는 공기흡입관(123)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모니터링 웰(110)들로 공기를 주입한다. 이 때공기가 배출되는 모니터링 웰(110)과 공기가 주입되는 모니터링 웰(110)은 서로 달라야 함은 당연하다. 공기의 주입과 추출경로의 조정은 분배기(13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134)들과 공기 주입단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126a)들을 개폐하여 조정하면 된다. 즉, 왼쪽 세 모니터링 웰(110)로는 기액분리기(140)의 부압으로 공기를 기액분리기(140)로 추출하고, 오른쪽 세 모니터링 웰(110)로는 제 2공기펌프(160)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그 반대로 하여 오염토양을 정화할 수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와 같다.
[공기 주입법 모드]
공기 주입법만으로 오염토양을 정화하고자 하는 경우 제 1공기펌프(150)의 가동을 중단하고, 제 1밸브(121)와 제 4밸브(129)를 잠그고 제 2밸브(122)와 제 3밸브(125)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 2공기펌프(160)만을 구동하여 모니터링 웰(110)들에 공기를 주입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오염토양 복원장치는 토양 증기 추출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율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공기 주입법 단독으로 또는 토양 증기 추출법과 공기 주입법의 혼합방식으로 오염토양을 정화할 수 있으며, 오염토양의 정화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정화효율산출의 정확도도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복원장치는 추출되는 공기에서 측정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참조하여 적절한 시기에 모드전환을 할 수 있고 자동화에 유리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복원장치는 별도의 고압용기가 필요치 않고 제 2공기펌프를 2가지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장비의 활용성도 뛰어나다.

Claims (8)

  1. 지중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웰들을 통해 오염 토양에 존재하는 기액상의 오염 물질을 추출하거나, 상기 토양 속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오염 토양을 복원하기 위한 오염토양 복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웰과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링 웰에서 유입되는 기액상의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기액분리기;
    상기 기액분리기에 연결되어 상기 기액분리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공기펌프;
    상기 기액분리기와 모니터링 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액분리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상기 모니터링 웰로 주입하기 위한 제 2공기펌프; 및
    상기 제 2공기펌프의 공기유입경로와 유출경로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들을 구비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공기와 액체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복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모니터링 웰들 사이에 직경이 큰 입자상의 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스트레이너와 상기 모니터링 웰들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기액상의 오염물질의 추출압력을 일정하게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복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에는 유면계, 진공게이지, 온도계, 압력계 및 수위조절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복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기는 상기 기액분리기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 상기 기액분리기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동작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복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기펌프와 제 2공기펌프는 링 블로워(ring blow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복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와 제 2공기펌프 사이에 제 1밸브가, 상기 제 1밸브와 제 2공기펌프 사이에 제 2밸브를 갖는 공기흡입관이, 상기 제 2공기펌프와 상기 모니터링 웰 사이에 제 3밸브가, 상기 제 2공기펌프에는 제 4밸브를 갖는 공기배출관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복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기펌프와 제 2공기펌프의 공기배출구쪽에는 공기시료채취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시료채취구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기화합물질 농도측정기와 상기 측정된 유기화합물질의 농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장치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복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되는 유기화합물질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제 1, 제 2공기펌프와 제 1∼제 4밸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복원장치.
KR10-2002-0046405A 2002-08-06 2002-08-06 오염토양 복원장치 KR10045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405A KR100456703B1 (ko) 2002-08-06 2002-08-06 오염토양 복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405A KR100456703B1 (ko) 2002-08-06 2002-08-06 오염토양 복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472A KR20040013472A (ko) 2004-02-14
KR100456703B1 true KR100456703B1 (ko) 2004-11-10

Family

ID=3732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405A KR100456703B1 (ko) 2002-08-06 2002-08-06 오염토양 복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92B1 (ko) * 2007-07-19 2009-11-05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토양 오염물질의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102378387B1 (ko) * 2021-04-30 2022-03-25 주식회사 예일 다단 입도 분리 용출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CN113777273A (zh) * 2021-09-02 2021-12-10 陕西地建土地工程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采集样品的自动淋洗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4753A (ja) * 1994-04-20 1995-10-31 Sumikon Serutetsuku Kk 地下汚染物質の除去方法および地下汚染物質の除去装置
JPH08323339A (ja) * 1995-05-31 1996-12-10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土壌浄化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45802A (ko) * 1999-01-13 1999-06-25 황종식 토양및지하수정화장치
KR200242965Y1 (ko) * 2001-04-25 2001-10-12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차량 구동형 오염 토양 복원장치
KR200242963Y1 (ko) * 2001-04-25 2001-10-12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오염 토양 복원시스템
KR200266062Y1 (ko) * 2001-11-14 2002-02-27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오염물질이 불규칙하게 분포된 지중의 오염 토양 및지하수 복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4753A (ja) * 1994-04-20 1995-10-31 Sumikon Serutetsuku Kk 地下汚染物質の除去方法および地下汚染物質の除去装置
JPH08323339A (ja) * 1995-05-31 1996-12-10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土壌浄化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45802A (ko) * 1999-01-13 1999-06-25 황종식 토양및지하수정화장치
KR200242965Y1 (ko) * 2001-04-25 2001-10-12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차량 구동형 오염 토양 복원장치
KR200242963Y1 (ko) * 2001-04-25 2001-10-12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오염 토양 복원시스템
KR200266062Y1 (ko) * 2001-11-14 2002-02-27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오염물질이 불규칙하게 분포된 지중의 오염 토양 및지하수 복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472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38211A (ja) 汚染された地下水面より上の地層領域から揮発性有機化合物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276538B1 (ko) 오염토양의 정화처리장치
CN111646577A (zh) 处理污染地下水中VOCs和DNAPLs的循环井系统
CN109772828B (zh) 一种气袋清洗装置以及气袋的清洗方法
KR20160106566A (ko) 악취 배출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KR100536061B1 (ko) 지하수공의 청소 방법 및 그 청소장치
CN107921329A (zh) 具有压缩空气充气的油/水分离器
KR100456703B1 (ko) 오염토양 복원장치
CN208680149U (zh) 一种用于污染场地修复的原位气相抽提系统
KR20070024775A (ko) 원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213231850U (zh) 一种原位地下水注入修复系统
CA2531344C (en) Apparatus for measuring mercury contained in gaseous medium
CN206362593U (zh) 一种水中挥发性有机物的吹脱气提采集装置
CN106872225A (zh) 一种水样品前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209189501U (zh) 一种用于污染场地修复的生物通风系统
CN112213454A (zh) 一种医药化工中间体生产过程气体分析预处理系统
CN114380380B (zh) 一种全氟化合物污染地下水的原位修复系统与方法
KR20060015663A (ko) 다기능 통합형 오염 복원 장치
KR100401170B1 (ko) 오염 토양 복원시스템
KR101746382B1 (ko) 수평 관정을 이용한 토양 내 기체 주입-추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Z22404U1 (cs) Zarízení na zneškodnování odpadu
KR100301389B1 (ko) 토양 및 지하수 정화장치
KR200242963Y1 (ko) 오염 토양 복원시스템
CN113252429A (zh) 一种污水毒品自动萃取装置及工艺方法
KR101403614B1 (ko) 기액 분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