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480B1 -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480B1
KR100454480B1 KR10-2001-0042456A KR20010042456A KR100454480B1 KR 100454480 B1 KR100454480 B1 KR 100454480B1 KR 20010042456 A KR20010042456 A KR 20010042456A KR 100454480 B1 KR100454480 B1 KR 100454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nformation
service
exposure tim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617A (ko
Inventor
장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Priority to KR10-2001-004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4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동영상을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는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영상내의 객체에대한 부가 정보를 서비스하는 것으로, 온라인상에서의 실시간 혹은 브이오디 형태와 오프라인상에서의 시디 혹은 디브이디의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시스템 구성 측면에서 보면 동영상내의 객체에대한 부가정보를 편집하는 동영상 편집 시스템, 동영상을 서비스하는 서버, 동영상을 재생하는 미디어 플레이어, 그리고 미디어 플레이어의 동영상 재생중에 사용자가 발생시킨 이벤트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미들웨어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체계들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작동하며 양방향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미들웨어는 존재하지 않고 있다. 또한 미들웨어의 역할을 이벤트 발생의 인식과 이에 대응하는 단순한 정보전달에만 머물게하여, 실제로 서비스 되고 있는 현황에 정보를 얻지 못하고 ,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는 고가의 동영상 편집 시스템을 사서 동영상을 편집한 뒤, 양방향 서비스 체계의 틀안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이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들웨어에 모니터링, 과금, 보안등의 기능을 추가하여, 동영상 소비자에게는 다양한 형식의 동영상을 단일한 인터페이스로 시청하면서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전자 상거래, 각종 부가 정보 서비스 등)를 동영상 시청과 동시에 즐길 수 있으며,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저가 혹은 무상의 동영상 편집 시스템을 사용하여 양방향 동영상 서비스를 할 수 있으며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과금체계에 의하여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고객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Both sides service system through the internet}
본 발명은 동영상을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에서 미들웨어를 통한 서비스 모니터링 및 과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와 동영상 시청자간의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체계를 제공하므로서,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동영상내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쇼핑몰과도 직접 연결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해주며, 제공된 정보의 모니터링에 의하여 정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동영상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동영상 시청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욕구를 해소하므로서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를 더 유익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며, 동영상 서비스에 사용된 소품을 그 자리에서 원클릭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한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체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와 인터넷 동영상 시청자간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고, 제공된 정보의 모니터링을 통한 정보 분석, 보안기능을 이용한 정보이용의 제한 기능을 가진 미들웨어를 개발하고 이 미들웨어를 이용한 과금 체계를 적용함에 목적을 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들웨어란 현재 동영상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한 다양한 플레이어(예를 들면windows media player, real player, apple quicktime player, packet video, Set Top Box player 등)에서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고 이를 이용한 정보분석, 보안 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하드웨어 칩을 미들웨어라 정의한다.
이 미들웨어를 포함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저작툴을 개발한다. 저작툴에서는 동영상 원본 편집기와 다양한 과금 체계를 정의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 저작툴을 개발한다. 동영상 원본 편집기에는 동영상에 관련된 부가 정보를 시간별, 시간 영역별로 추출하여 부가정보와 연결해 준다.
시간 기반 편집기는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가 노출되는 시간을 편집하는 편집기이다. 시간 기반 편집기를 통하여 부가정보가 노출되는 정보를 생성하여 양방향 미들웨어에 전달한다. 시간 영역기반 편집기는 부가정보가 노출되는 시간, 영역의 정보를 생성하여 양방향 미들웨어 전달한다.
부가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관리되며 이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하는 모듈이 저작툴에 포함된다. 부가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노출시간, 노출시간 영역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미들웨어에 전달하게 되는 구조이며 전달된 정보를 미들웨어에서 해석하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게 한다.
저작툴에는 또한 이 서비스에 다양한 형태의 과금 로직을 생성하여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암호화 로직은 미들웨어의 해석을 통하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저작툴에서는 또한 다양한 동영상 플레이어(예를 들면 windows media player, real player, apple quicktime player, packet video, set top box player 등)의 동영상을 읽어 들여 편집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저작툴에는 과금체계 및 암호화 구조가 포함된다. 저작툴의 과금 체계로는1)양방향 서비스가 진행되는 날짜를 기준으로 한 과금 2)양방향 서비스가 이루어질 때 접속하는 사람들 기준으로 한 과금 3) 양방향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사이트에 대한 과금 4)양방향 서비스가 이루어질 때 양방향 서비스의 내용이 전자 상거래일 경우 전자상거래 성사에 따른 이익 분배 등의 수익 구조를 가진다.
저작툴의 암호화 구조로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 128비트 암호화 기법을 사용한다. 암호화 구조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서비스 컨텐츠 내용, 과금 체계에 대한 내용이 암호화 되어 포함된다. 여기서 생성된 암호화 키가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때 포함되어 동영상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달되어 서비스 이용자의 미들웨어에서 해석된 후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양방향 서비스장치를 보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기의 양방향 서비스 생성툴을 보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미디어플레이어 콘트롤모듈을 보인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노출시간 정보DB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노출시간 영역DB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전자상거래DB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DB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관리자단말기의 HTML 템플레이트 생성모듈을 보인 블럭도.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서비스셋팅모듈을 보인 도면.
도 10 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의 양방향 서비스 미들웨어를 보인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보안관리부를 보인 도면.
도 13 은 양방향 서비스를 받기위한 사용자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14 는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관리자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15 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용자 단말기, 2: 동영상 제공서버,
3: 양방향 서비스서버, 4: 관리자 단말기,
11: 통신부, 12: 동영상 플레이어,
13: 양방향 서비스 미들웨어, 14: 노출시간 정보 DB,
15: 노출시간 영역정보 DB, 21: 동영상 서버엔진,
22: 동영상 DB, 31: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엔진,
32: 웹서버엔진, 33: 노출시간 정보DB,
34: 노출시간 영역정보 DB, 35: 전자상거래 DB,
36: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DB, 41: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생성툴,
42: 전자상거래 DB 인터페이스,
43: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DB 인터페이스,
도 1 내지 도 15 는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양방향 서비스장치를 보인 블럭도로서,
인터넷을 통해 양방향서비스서버(3)에 접속하여 데이타를 제공받기 위한 통신부(11)와, 통신부(11)를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을 재생시켜 화면 출력하는 동영상 플레이어(12)와, 사용자단말기(1)와 양상향 서비스서버(3)간의 보안관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영상 및 관련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이벤트(응답)관리, 동영상 재생의 제어 등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들웨어(13)와, 양방향 서비스서버(3)로부터 동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시간을 저장하는 노출시간정보DB(14)와, 양방향서비스서버(3)로부터 동영상과 함께 제공되는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위치를 저장하는 노출시간 영역정보 DB(15)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와;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위한 다양한 동영상 데이타를 저장하는 동영상 DB(22)와, 상기 동영상 DB(22)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타를 전송하는 동영상서버엔진(21)으로 구성된 동영상 제공서버(2)와;
사용자 단말기(1)로 동영상과 그 관련정보가 제공될때 사용자 단말기(1)과 양방향서비스서버(3)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엔진(31)과,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웹서버엔진(32)과, 사용자 단말기(1)로 제공되는 동영상의 관련정보 노출시간정보를 관리자단말기(4)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하는 노출시간정보DB(33)와, 관리자단말기(4)로부터 제공되는 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노출시간영역정보DB(34)와, 동영상에 출력되는 소품과 같은 것을 원클릭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그 소품들의 구매를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전자상거래DB(35)와, 사용자단말기(1)와 양방향서비스서버(3)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예를 들면 교육정보, 여행 관광정보, 아파트분양정보, 박물관, 미술관 정보등)를 저장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DB(36)로 구성되어 있는 양방향서비스서버(3)와;
사용자 단말기(1)와 양방향 서비스서버(3)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생성툴(41)과, 사용자의 전자상거래를 위한 관련사이트 및 전자상거래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DB 인터페이스(42)와, 사용자 단말기(1)와 양방향 서비스서버(3)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관련정보를생성하여 제공하기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DB 인터페이스(43)로 구성된 관리자단말기(4);로 대별 구성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에 구비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통신부(11)및 동영상 플레이어(12)를 이용하여 동영상 제공서버(2)에서 제공되는 동영상과 커뮤니케이션 관련정보를 양방향서비스서버(3)에 접속하여 요청한다.
양방향서비스서버(3)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사항에 따라 해당 동영상정보를 동영상제공서버(2)의 동영상DB(22)로부터 제공받고, 미리 정의된 동영상 관련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정보(노출시간정보, 노출시간영역정보, 전자상거래정보, 상거래외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인터넷으로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의 환경을 검사한 후 미들웨어(13)를 설치하게되며, 미들웨어(13)의 설치작업이 종료된 후 동영상은 동영상제공서버(2)의 동영상서버엔진(21)으로부터 제공받고, 양방향 서비스서버(3)가 제공하는 동영상 관련정보로서 전자상거래DB(35)를 이용한 전자상거래를 실시하거나 양방향커뮤니케이션DB(36)를 이용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하게 된다.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제공자 측에서는 우선 동영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동영상들을 동영상 DB(22)에 저장하여 준비하고, 이를 통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기위한 사전작업을 관리자단말기(4)를 통해 진행한다.
관리자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생성툴(41)을 통하여 원본 동영상에서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관련정보를 입수하여 동영상에서의 해당 객체(관련정보)의 노출시간, 노출시간영역정보 등을 생성하여 양방향 서비스서버(3)의 노출시간정보DB(33), 노출시간영역정보DB(34)에 저장시키고, 또 전자상거래에 관한 관련정보들을 전자상거래DB(35)에 저장하며, 사용자단말기(1)와 양방향 서비스서버(3) 상호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사전정보들을 양방향서비스서버(3)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DB(36)에 저장한다.
한편, 생성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정보는 웹서버엔진(32)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되며 서비스실시중에 발생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요청은 양방향커뮤니케이션엔진(31)을 통하여 처리된다.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실시중에 동영상 서비스를 위한 동영상 제공서버(2)를 운영하며, 동영상제공서버(2)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서버에 같이 운영할 수도 있으며 따로 분할하여 운영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관리자단말기의 양방향커뮤니케이션 생성툴을 보인 블럭도로서,
동영상 미디어 파일의 형식에 관계없이 동영상을 재생하기위하여 다양한 파일형식(asf, rm, mpeg, avi)을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플레이어(413)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413)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을 이용한 양방향커뮤니케이션 편집을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 콘트롤모듈(414)과, 사용자에게 제공한 동영상에서 그 동영상정보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정보들을 이용하여 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시간을 검출하여 양방향서비스서버(3)의 노출시간정보DB(33)에 저장하는 노출시간 편집기(411)와, 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시간 영역에 관란 정보를 검출하여 양방향서비스서버(3)의 노출시간영역정보DB(34)에 저장하는 노출시간 영역편집기(412)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서비스가 홈페이지상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html 템플레이트를 생성하는 html 템플레이트 생성모듈(415)과, 관리자의 관리작업이 완료된 후 관리작업 결과물을 서비스의 형태별로 저작해주기 위해서 여러가지 정보를 셋팅하기위한 서비스 셋팅모듈(4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리자 단말기(4)에서는 동영상 미디어 파일의 형식에 관계없이 노출정보 및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여러 형식의 미디어파일 예를들면 asf, wmv, ra, rm, ram, mpeg, mpg, avi, mov 등과 같은 미디어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미디어플레이어콘트롤모듈(414)을 이용하여 양방향커뮤니케이션정보를 편집한다.
또 동영상 정보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노출시간편집기(411)와 노출시간영역편집기(412)로서 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시간정보와 노출시간영역정보를 편집하여 해당 DB(33,34)에 저장하고, 전자상거래DB 인터페이스(42)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연결하여주며 또 기존의 전자상거래 제품정보와 연결한다.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DB 인터페이스(43)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 이외의 교육, 박물관, 여행관광정보 등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DB(36)와 연결한다.
관리자는 html 템플레이트 생성모듈(415)을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제공될 화면 템플레이트를 생성하고 html화면을 제작할 수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미디어플레이어 콘트롤모듈을 보인 블럭도로서,
미디어플레이어 콘트롤모듈(414)은 미디어 플레이어(413)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413)를 한 요소로서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413)는 자체 제작한 플레이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저작을 위한 원본 동영상의 시간 정보와 시간위치정보 저작을 위하여 플레이어 제어유닛(4140)을 제공하며, 동영상의 재생(play), 정지(stop), 빠른전진탐색(ff), 빠른후진탐색(rew), goto, 일시정지(pause)등의 기능키이(4141)들을 제공하여 미디어 플레이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저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노출시간 정보DB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상기 노출시간 정보DB(33)에 저장되는 정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영상에 표시되는 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시간과 노출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전자상거래가 아닌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시에는 노출상품 정보대신 노출정보로 대치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노출시간 영역DB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영상에서 특정상품이 노출되는 시간 및 그 시간대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영역정보로 구분된다.
노출시간 영역 DB(34)는 노출시간 영역, 노출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되며, 전자상거래가 아닌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시에는 노출상품정보 대신노출정보로 대치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전자상거래DB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상기 전자상거래 DB 인터페이스(42)는 전자상거래 서비스시 필요한 것으로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전자상거래 DB(35)와 관리자단말기(4)의 노출시간편집기(411)와 노출시간 영역 편집기(412)에 의해 편집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노출시간정보DB(33)와 노출시간영역정보DB(34)를 연결해주는 기능을 가진다.
전자상거래 DB 인터페이스(42)는 다양한 DB(예를들면, DB2, oracle, informix, MS SQL, mysql)를 연결하기 위한 DB 연결모듈(364)과, 상기 DB연결을 관리해주는 DB연결관리자(361)로 구성되어 있으며, DB에서 상품 정보를 요청(query)하기 위한 상품코드정보(363)와, 이를 이용한 요청을 DB에 맞게 생성해주는 query generator(362)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양방향커뮤니케이션 DB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이 양방향커뮤니케이션 DB 인터페이스(36)는 기존에 구축되어있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DB(36)와 노출시간정보DB(33) 및 노출시간영역정보DB(34)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상호 연결해주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양방향커뮤니케이션 DB 인터페이스(36)는 다양한 형식의 DB, 예를들면, DB2, oracle db, informix, MS SQL, mysql 등을 연결해주는 DB 연결모듈(364)과, 상기 DB연결모듈(364)의 연결동작을 관리해주는 DB 연결관리자(361)로 구성되고, DB에서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요청하기위한 코드정보(363)와 이를 이용한 요청을 DB에 맞게 생성해주는 query generator(363)로 구성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관리자단말기의 HTML 템플레이트 생성모듈을 보인 블럭도로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할때 소비자에게 표현되는 html 템플레이트 생성모듈(415)이다.
이 모듈(41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html main template생성부(415a)와, DB 인터페이스 query부(415b)와, html template관리부(415c)로 구성된다.
상기 html main template생성부(415a)는 고객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의 템플레이트를 생성하는 모듈이며, 이 모듈에서는 화면 전체의 구성 및 표시정보의 종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DB 인터페이스 query부(415b)는 상품 정보를 DB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필요한 요청(query)문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요청문의 결과로 소비자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받을 때 동영상과 같이 상품 정보를 볼 수 있게된다.
html template 관리부(415c)는 이미 생성되어 있는 html 템플레이트 모듈을 수정하거나 신규 html 템플레이트 모듈을 생성하거나 기존 DB에 관리되어 있는 것을 삭제하는 등 html 템플레이트를 관리할 때 사용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서비스셋팅모듈을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서비스 셋팅모듈(416)은 관리자단말기(4)를 이용한 작업 후 서비스를하기위해 필요한 사항을 정의하는 서비스 셋팅모듈(416)이다.
서비스 셋팅모듈(416)에는 online/offline특성정의부(4160)와, 보안관리부(4161)와, html생성부(4162)로 구성되는데,
상기 online/offline특성정의부(4160)는 현재 진행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online(web)을 통해서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offline(CD,DVD)을 통하여 이루어지는지를 정의하는 기능을 가지며, online의 경우 동영상 정보와 노출정보등이 홈페이지로 저장되고, offline의 경우 동영상 정보와 노출정보 등은 CD,DVD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보안관리부(4161)는 서비스 수행시 필요한 키 발급 및 인증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것이고, html 생성부(4162)는 관리자단말기(4)에서의 작업 종료 후 서비스를 위한 html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며, online의 경우는 서버에 저장하고 offline의 경우에는 CD 또는 DVD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하게 된다.
도 10 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사용자는 통신부(11)를 통해 양방향서비스서버(3)에 접속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요청하게되고, 이 요청정보에 의해 양방향 서비스서버(3)는 양방향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방향커뮤니케이션 미들웨어(13)를 통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동영상 파일은 동영상 플레이어(12)를 통해 재생하여 화면출력하며,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2)로는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windows media player, real player, quick time player, 자체제작 play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들웨어를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들웨어(13)는 미디어 플레이어 제어부(131)와, 이벤트 핸들러(132)와, 보안관리부(133)로서 구성된다.
미디어 플레이어 제어부(131)는 동영상 플레이어(12)의 여러 동작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이벤트 핸들러(132)는 사용자 단말기(1)에 출력되는 동영상 및 관련정보에 대응하여 행해지는 사용자의 마우스 클릭 이벤트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그 정보에 따른 반응을 처리하는 모듈이다.
그리고, 상기 보안관리부(133)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시에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권한을 가지고 있는 서버로부터의 서비스인지를 점검하는 모듈이며, 이러한 보안관리부(133)는 도 12에 상세히 도시하였다.
도 1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보안관리부를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보안관리부(133)는 보안키 검증부(134)와 보안서버 연결부(135)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안키 검증부(134)는 사용자 단말기(1)와 양방향 서비스서버(3)가 상호 양방향 통신을 할때 관리자단말기(4)의 보안키생성부(4163)에서 생성된 검증키의 정상여부를 검증하는 기능을 가지며, 보안서버 연결부(135)는 서비스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정보를 보안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보안키 생성부(4163)는 서비스 셋팅모듈(416)의 보안관리부(4161)에 구성되어지며, 이 보안키 생성부(4163)에서 생성된 보안키는 사용자 단말기(1)와 양방향 서비스 서버(3)간의 데이타 통신시 서비스 적합성을 검증하는 정보로서 사용된다.
도 13 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받기위한 사용자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를 이용하여 양방향 서비스서버(3)에 접속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양방향 서비스서버(3)는 사용자 단말기(1)의 작동환경 체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의 작동환경즉,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들웨어(13)가 존재하는지를 체킹한다.
상기 체킹결과 사용자 단말기(1)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들웨어(13)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 그 프로그램을 다운로딩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1)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들웨어(13)를 구비하고 있으면, 양방향 서비스서버(3)는 서비스 셋팅모듈(416)에 의해 서비스 셋팅환경(노출시간 DB, 노출시간 영역DB, 보안키 등)을 전송하고, 상기 환경의 설정이 완료되면 동영상 제공서버(2)에 동영상을 요청한 후 보안점검을 실시한다.
보안점검 결과 사용자 단말기(1)가 정당한 서비스 이용자이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동영상, 즉, 동영상 제공서버(2)에서 출력되어 양방향 서비스서버(3)에서 동영상 관련정보가 취합된 형태의 동영상이 사용자단말기(1)의 통신부(11)를 통해 수신되어 동영상 플레이어(12)를 통해 재생된다.
만약, 상기 보안점검에서 실패하는 경우에는 관련정보가 배재된 동영상만이 재생된다.
상기 설명과같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고객이 마우스를 클릭하여 반응하게되면 커뮤니케이션 DB(36)의 내용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이 진행된다.
그리고, 재생된 영상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면 계속 동영상이 재생되고, 사용자의 종료나 동영상의 내용이 종료되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종료된다.
도 14 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관리자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관리자는 우선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원하는 동영상과 관련정보를 입수하고, 입수된 정보를 토대로하여 노출시간 편집 및 노출시간영역정보를 편집한다.
상기 동작은 노출시간 편집기(411)와 노출시간 영역편집기(412)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해당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동안 커뮤니케이션 자료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DB, 즉, 노출시간정보DB(33)에 상기 관련자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정보를 각각의 DB(33)에 생성시켜 저장한다.
편집을 지속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노출시간에 대한 편집을 연속적으로 진행하며, 노출시간에 대한 편집이 종료되면 그동안 편집된 노출시간 정보가 노출시간정보 DB(33)에 저장된다.
노출시간 편집이 종료되면 노출시간 영역편집을 시작할 수 있다.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자료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동영상에 폴리건(Polygon)을 작성하고, 해당 DB에 관련정보와 연결하여 노출시간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편집을 지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노출시간영역에 대한 편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며, 상기와같이 노출시간정보DB(33)와 노출시간영역정보DB(34)의 생성이 완료된 후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셋팅모듈(416)을 이용한 서비스셋팅작업을 실시한다.
서비스셋팅작업은 우선 사용자로의 서비스영역이 online인지 offline인지를 설정하고, online의 경우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대다수의 정보들이 웹서버에 존재하게되며, offline의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매체(CD,DVD)에 저장된다.
online/offline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적절한 서비스를 하기위한 보안키 생성과정이 진행된다.
보안키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시에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아이템에 대한 내용, 서비스 가능일에 대한 정보등이 암호화되어 포함되며, 이러한 보안키의 생성은 보안관리부(4161)에 구성되어 있는 보안키생성부(4163)에 의해 구현된다.
서비스셋팅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online으로 서비스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양방향 서비스서버(3)에 저작물을 저장시키고, offline으로 서비스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CD,DVD와같은 기록매체에 저작물을 저장시켜 배포한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를 이용하여 양방향 서비스서버(3)에 접속한 후 웹서버엔진(32)에서 제공되는 홈페이지상에서 양방향 동영상 서비스를 클릭하므로서 양방향 서비스서버(3)에 동영상 서비스를 요청한다.
상기 서버(3)는 사용자의 단말기(1) 작동환경을 체킹하기위해 관련 체킹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에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한 미들웨어(13)가 설치되어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들웨어(13)가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는 양방향 서비스서버(3)에 미들웨어 프로그램을 요청하며, 상기 서버(3)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들웨어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제공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단말기(1)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들웨어(13)를 설치한 후 다시 동영상 링크를 클릭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양방향 서비스서버(3)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DB(36)와 노출시간정보DB(33), 노출시간영역정보DB(34), 전자상거래DB(35), 보안정보 등 각종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는 양방향 서비스 서버(3)로부터 제공되는 보안키이를 보안키검증부(134)에서 검증하여 이 서비스가 정당한 서비스인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정당한 서비스가 아닌 경우 사용자는 동영상 내용만 시청할 수 있게되고, 만약 정당한 서비스이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가 받게되어 동영상 시청시에 관련정보를 함께 시청할 수 있게된다.
동영상 정보가 존재하고 사용자가 커뮤니케이션을 요청(응답)하면, 서버는 커뮤니케이션 DB(36)에 저장된 내용을 기반으로하여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하고, 관련정보에 관한 로그를 기록한다.
상기와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그 동영상에 관련한 정보들을 같은 화면내에서 원클릭으로 점검할 수 있게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특정 드라마에 대한 동영상을 요청하였고, 그 드라마에 대한 동영상이 출력되면서 그 화면의 일측에는 사용자와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정보로서 드라마에 사용된 소품내용, 연기자정보, 소품을 원클릭으로 구매할 수 있는 정보등과 같은 관련정보가 출력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관련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그에 관련한 정보를 습득함은 물론 그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을 원클릭으로 구매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같은 관련정보들은 노출시간정보DB(33), 노출시간영역정보DB(34), 전자상거래DB(35)등에 저장되어있는 정보들에 따라 동영상의 재생시간 및 영역에 맞춰 그때 그때 자동으로 변경되므로서 사용자는 하나의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아주 많은 양의 관련정보를 동시에 습득할 수 있게되는 것이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업체의 경우에는 동영상제공 뿐만 아니라 동영상 관련된 소품들을 전자상거래를 통해 원클릭으로 판매할 수 있게되므로 확실한 수익모델을 구축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와 인터넷 동영상 시청자간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므로서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동영상 관련정보, 스폰서 정보 등 동영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쇼핑몰과도 직접 연결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해주며, 또한 동영상 소비자의 입장에서 동영상 시청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욕구를 해소하므로서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를 더 유익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며, 동영상 서비스에 사용된 소품을 그 자리에서 원클릭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인터넷을 통해 양방향서비스서버(3)에 접속하여 데이타를 제공받기 위한 통신부(11)와, 통신부(11)를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을 재생시켜 화면 출력하는 동영상 플레이어(12)와, 사용자단말기(1)와 양상향 서비스서버(3)간의 보안관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영상 및 관련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이벤트(응답)관리, 동영상 재생의 제어 등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들웨어(13)와, 양방향 서비스서버(3)로부터 동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시간을 저장하는 노출시간정보DB(14)와, 양방향서비스서버(3)로부터 동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위치를 저장하는 노출시간 영역정보 DB(15)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와;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위한 다양한 동영상 데이타를 저장하는 동영상 DB(22)와, 상기 동영상 DB(22)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타를 전송하는 동영상서버엔진(21)으로 구성된 동영상 제공서버(2)와;
    사용자 단말기(1)로 동영상과 그 관련정보가 제공될때 사용자 단말기(1)과 양방향서비스서버(3)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엔진(31)과,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웹서버엔진(32)과, 사용자 단말기(1)로 제공되는 동영상의 관련정보 노출시간정보를 관리자단말기(4)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하는 노출시간정보DB(33)와, 관리자단말기(4)로부터 제공되는 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노출시간영역정보DB(34)와, 동영상에 출력되는 소품과 같은 것을 원클릭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그 소품들의 구매를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전자상거래DB(35)와, 사용자단말기(1)와 양방향서비스서버(3)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DB(36)로 구성되어 있는 양방향서비스서버(3)와;
    사용자 단말기(1)와 양방향 서비스서버(3)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생성툴(41)과, 사용자의 전자상거래를 위한 관련사이트 및 전자상거래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DB 인터페이스(42)와, 사용자 단말기(1)와 양방향 서비스서버(3)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관련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기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DB 인터페이스(43)로 구성된 관리자단말기(4);로 대별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생성툴(41)은,
    동영상 미디어 파일의 형식에 관계없이 동영상을 재생하기위하여 다양한 파일형식(asf, wmv, ra, rm, ram, mpeg, mpg, avi, mov)을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플레이어(413)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413)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을 이용한 양방향커뮤니케이션 편집을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 콘트롤모듈(414)과, 사용자에게 제공한 동영상에서 그 동영상정보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정보들을 이용하여 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시간을 검출하여 양방향서비스서버(3)의 노출시간정보DB(33)에 저장하는 노출시간 편집기(411)와, 동영상 관련정보의 노출시간 영역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여 양방향서비스서버(3)의 노출시간영역정보DB(34)에 저장하는 노출시간 영역편집기(412)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서비스가 홈페이지상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html 템플레이트를 생성하는 html 템플레이트 생성모듈(415)과, 관리자의 관리작업이 완료된 후 관리작업 결과물을 서비스의 형태별로 저작해주기 위해서 여러가지 정보를 셋팅하기위한 서비스 셋팅모듈(4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셋팅모듈(416)에는
    현재 진행되는 양방향 서비스가 다양한 전달 매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는 online(web,mobile,pda,set top box)을 통해서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offline(CD,DVD)을 통하여 이루어지는지를 정의하는 기능을 가지는 상기 online/offline특성정의부(4160)와, 서비스 수행시 필요한 키 발급 및 인증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보안관리부(4161)와, 관리자단말기(4)에서의 작업 종료 후 서비스를 위한 html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며, online의 경우는 서버에 저장하고 offline의 경우에는 CD 또는 DVD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하게 되는 html 생성부(41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KR10-2001-0042456A 2001-07-13 2001-07-13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KR10045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456A KR100454480B1 (ko) 2001-07-13 2001-07-13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456A KR100454480B1 (ko) 2001-07-13 2001-07-13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617A KR20030006617A (ko) 2003-01-23
KR100454480B1 true KR100454480B1 (ko) 2004-10-28

Family

ID=2771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456A KR100454480B1 (ko) 2001-07-13 2001-07-13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744B1 (ko) * 2006-03-20 2007-05-17 (주) 엘지텔레콤 방송 수신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방송프로그램과연관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38797B1 (ko) * 2006-09-07 2008-06-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가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90193475A1 (en) * 2008-01-29 2009-07-30 Corey Halverso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Configurable Context-Specific Actions in Streaming Video
KR101379513B1 (ko) * 2011-09-16 2014-04-02 박혜옥 부가정보 제공 기능을 가진 동영상 재생 장치
KR101381966B1 (ko) * 2011-09-16 2014-04-10 박혜옥 동영상 재생 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1748A (ja) * 1994-05-26 1995-12-08 Hitachi Ltd ビデオ・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
KR20000017754A (ko) * 1999-11-08 2000-04-06 황영헌 방송 포털 서비스 시스템
KR20000050108A (ko) * 2000-05-16 2000-08-05 장래복 영상매체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정보제공방법과소품판매방법
KR20010035099A (ko) * 2000-12-22 2001-05-07 유명현 장면 전환 자동 검출을 이용한 스트리밍 하이퍼비디오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081479A (ko) * 2000-02-15 2001-08-29 한상돈 인터넷마케팅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1748A (ja) * 1994-05-26 1995-12-08 Hitachi Ltd ビデオ・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
KR20000017754A (ko) * 1999-11-08 2000-04-06 황영헌 방송 포털 서비스 시스템
KR20010081479A (ko) * 2000-02-15 2001-08-29 한상돈 인터넷마케팅 방법
KR20000050108A (ko) * 2000-05-16 2000-08-05 장래복 영상매체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정보제공방법과소품판매방법
KR20010035099A (ko) * 2000-12-22 2001-05-07 유명현 장면 전환 자동 검출을 이용한 스트리밍 하이퍼비디오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경제2001.2.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617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07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edia assets to user devices via a portal synchronized by said user devices
US73434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edia assets to user devices and managing user rights of the media assets
AU2001251322B2 (en) Online digital video signal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830728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nline video-based property commerce
US66091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electronic works
EP1010098B1 (en) Network delivery of interactive entertainment complementing audio recording
US20020032905A1 (en) Online digital video signal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20060053066A1 (en) Online digital video signal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20020154157A1 (en) Website system and process for selection and delivery of electronic information on a network
US20050262024A1 (en) Digital entertainment service platform
CN105027101A (zh) 同时的内容数据流和交互作用系统
US20090249427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ng with unaltered media
AU2001251322A1 (en) Online digital video signal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WO2001078304A1 (en) Website system and process for selection and delivery of electronic information on a network
CA237008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toring, distributing, and accessing intellectual property in digital form
JP2007267173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方法
CN103458273A (zh) 应用于多媒体文件传输中的数字版权控制系统和方法
KR100454480B1 (ko)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시스템
WO2002050744A9 (en) Use of convergence-enabled dvd and web system
US2010016946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Electronic Media Content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Existing Media
KR20090066607A (ko) 동영상에 대응되는 투명 레이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N101366088A (zh) 用于提供、分发并刻录数字数据的方法及关联分发服务器
JP2005210662A (ja) ストリーミング映像配信システム
KR100708090B1 (ko) 멀티 스토리 컨텐츠 애드 온 시스템 및 방법
WO201009554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