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710B1 -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710B1
KR100452710B1 KR10-2002-0016201A KR20020016201A KR100452710B1 KR 100452710 B1 KR100452710 B1 KR 100452710B1 KR 20020016201 A KR20020016201 A KR 20020016201A KR 100452710 B1 KR100452710 B1 KR 100452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structure
reinforcing
wire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228A (ko
Inventor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이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근 filed Critical 이상근
Priority to KR10-2002-001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710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핑공정, 구체강화 공정, 단면복구 공정과 보강부재 정착 공정 및 마감 공정으로 진행되는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열화되어 부식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치핑공정과, 상기 치핑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실한 콘크리트에 침투성 경화제를 이용하여 구체를 강화 시키는 구체 강화 공정과, 상기 구체 강화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가넷혼입 수성아크릴 폴리머 모르터를 이용하여 단면을 복구하는 단면복구 공정과, 상기 단면복구 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와이어와 앵커볼트로 구성된 보강부재를 정착하는 보강부재 정착 공정과, 상기 보강부재 정착 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가넷혼입 수성아크릴 폴리머 모르터를 이용하여 마감하는 마감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Process and method for the refom/reinforcement of concrete building structure using a reinforcement structural frane}
본 발명은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핑공정, 구체강화 공정, 단면복구 공정과 보강부재 정착 공정 및 마감 공정으로 진행되는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의 토목 구조물과 건축구조물에 콘크리트가 박리/박락/비정상적인 크랙 등 여러 가지의 열화현상으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철근의 인장강도가 떨어져서 철근콘크리트의 손상과 붕괴현상, 철조구조물의 부식으로 인한 철조구조물의 손상 등에 의한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열화인자/열화현상의 요인으로는 콘크리트가 강알칼리성 (PH=12.5)을 가지고 있어 철근 부식은 진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탄산가스/산성물질/염물질(염소이온)의 침투와 알칼리골재반응과 기상조건하의 수축/팽창으로 인하여 철근콘크리트에 중성화 현상이 진행되어 철근이 부식되어 녹이 쓸게 된다.
그리고, 철근에 녹이 쓸게되면 녹의 팽창으로 인해 콘크리트조직에 균열이 발생되고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박락현상이 생기고 부식된 철근의 국부적인 노출현상 등에 의하여 철근콘크리트가 손상되어 콘크리트구조물이 붕괴에 이르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토목 건축물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 및 부식으로 손상된 손상부를 보수/보강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강판, FREP, 탄소판, 그리고 탄소, 유리섬유 쉬트 접착공법을 쓰이고 있으나, 이러한 보강재들은 접착시키는 에폭시의 강도는 콘크리트 보다 크다.
특히, 휨, 인장강도가 뛰어나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보다 적어 변형이 쉽고 콘크리트보다 열팽창계수가 2~4배가 크므로, 수축, 팽창에 의한 계면박리사 쉽게 일어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면 접착재 에폭시가 고열에 견디지 못하고 녹아내려 쉽게 박리가 일어날 수 있으며,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철근을 이용한 무수축 그라우트 단면증설의 조성물에서는 콘크리트의 피복부족현상 또는 열화의 진행에 따른 콘크리트의 박리, 박락등에 의해 철근이 노출된 벽체에 대해서 지금까지 보수공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천장 슬라브나 빔에는 철근 굵기로 인한 피복두께로 하중 부담에 따른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장강도가 뛰어난 철심이 삽입된 와이어를 앵커볼트로 고정한 후, 기존 콘크리트와의 물성, 특성이 같으면서 접착강도, 압축강도, 휨강도, 방수성, 내마모성, 광택성, 방활성 등이 우수한 고강도 몰탈로 마감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에 있어서 편리성, 견고성, 시공성을 제공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력증강에 따른 성능개선은 물론, 수명을 영구적으로 할 수 있는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열화되어 부식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치핑공정과, 상기 치핑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실한 콘크리트에 침투성 경화제를 이용하여 구체를 강화 시키는 구체 강화 공정과, 상기 구체 강화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가넷혼입 수성아크릴 폴리머 모르터를 이용하여 단면을 복구하는 단면복구 공정과, 상기 단면복구 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와이어와 앵커볼트로 구성된 보강부재를 정착하는 보강부재 정착 공정과, 상기 보강부재 정착 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가넷혼입 수성아크릴 폴리머 모르터를 이용하여 마감하는 마감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와이어는 철심을 중심으로 얇은 스테인레스 스틸을 다수겹 꼬는 형식으로 제작된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앵커볼트는 상부면에 가격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의 일면과 타면으로 관통 형성되어,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과, 상기 몸체의 중앙의 정면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 고정홈과, 상기 몸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 하측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를 표면으로 부터 일정길이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이격부 하부면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등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의 전체 흐름도.
도 2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보수/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도.
도 3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사시도.
도 4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의 사시도.
도 5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와 앵커볼트의 결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강부재 20 : 와이어
22 : 철심 24 : 스테인레스 스틸
30 : 앵커볼트 31 : 몸체
31a : 가격부 32 : 와이어 삽입홈
33 : 와이어 고정홈 33a : 고정부재
34 : 이격부 35 : 삽입부
36 : 걸림돌기 100 : 부식된 콘크리트층
110 : 침투성 경화제층 120 : 가넷혼입수성아크릴 폴리머 몰탈
130 : 보강부재층 140 : 가넷혼입수성아크릴 폴리머 몰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보수/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은 치핑공정(S10), 구체강화 공정(S20), 단면복구 공정(S30)과 보강부재 정착공정(S40) 및 마감공정(S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치핑공정(S10)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열화되어 부식된 콘크리트(100)를 제거하는 공정으로, 부식된 부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건이고, 부식된지 않았지만 부식된 부위 주위에 콘크리트를 같이 제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체강화 공정(S20)은 치핑공정(S10)으로 부실해진 콘크리트층(100) 부위에 침투성 경화제를 이용하여 침투성 경화제층(110)을 형성하여, 보다 수명이 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의 기초를 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면복구 공정(S30)은 치핑공정(S10)과 구체강화 공정(S20)으로 다듬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에 가넷혼입 수성아크릴 폴리머 모르터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단면을 깨끗하는 복구하여, 가넷혼입수성아크릴 폴리머 몰탈층(120)을 형성하여, 작업으로 보강부재(10)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강부재 정착 공정(S40)은 도 3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심(22)을 중심으로 얇은 스테인레스 스틸(24)을 다수겹 꼬는 형식으로 제작된 와이어(20)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20)에 도 3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개의 앵커볼트(30)로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와이어(20)를 앵커볼트(30)에 연결할 때에는 앵커볼트(30)의 몸체(31) 중앙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32)에 삽입한 후, 몸체(31) 중앙의 정면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홈(33)에 고정부재(34)를 나사결합하여 와이어(2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20)가 삽입된 앵커볼트(30)의 몸체(31) 하측으로 형성된 삽입부(35)를 콘크리트 구조물 삽입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35)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삽입할 때에는 몸체(31) 상부면에 형성된 가격부(31a)를 해머(hammer)등과 같이 물건을 두드리기 위한 철제(鐵製)의 대형 망치를 이용하여 가격하여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된 삽입부(35)의 중앙에 형성된 한개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36)에 의해 삽입부의 고정력을 증대시켜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보강부재층(130)을 형성한다.
상기 마감 공정(S50)은 정착된 보강부재와 콘크리트 구조물에 가넷혼입 수성아크릴 폴리머 모르터를 이용하여 마감하여 가넷혼입수성아크릴 폴리머 몰탈층(130)을 형성한다.
이때, 도 5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와 앵커볼트의 결합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30)에 의해 고정된 와이어(20)는 상기 앵커볼트(30)에 형성된 이격부(34)에 의행 콘크리트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가넷혼입 수성아크릴 폴리머 모르터로 마감공정 진행시 보다 안정적으로 마감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이 깨끗하게 보임으로 미각적 미려을 줄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인장강도가 뛰어난 철심이 삽입된 와이어를 앵커볼트로 고정한 후, 기존 콘크리트와 물성, 특성이 같으면서 접착강도, 압축강도, 휨강도, 방수성, 내마모성, 광택성, 방활성 등이 우수한 고강도 몰탈로 마감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에 있어서, 편리성, 견고성, 시공성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력 증강에 따른 성능개선은 물론 수명을 영구적으로 보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 구조물에 열화되어 부식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치핑공정과;
    상기 치핑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실한 콘크리트에 침투성 경화제를 이용하여 구체를 강화 시키는 구체 강화 공정과;
    상기 구체 강화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가넷혼입 수성아크릴 폴리머 모르터를 이용하여 단면을 복구하는 단면복구 공정과;
    상기 단면복구 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와이어와 앵커볼트로 구성된 보강부재를 정착하는 보강부재 정착 공정과;
    상기 보강부재 정착 공정을 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가넷혼입 수성아크릴 폴리머 모르터를 이용하여 마감하는 마감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철심을 중심으로 얇은 스테인레스 스틸을 다수겹 꼬는 형식으로 제작된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3. 제 1항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는
    상부면에 가격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의 일면과 타면으로 관통 형성되어,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과;
    상기 몸체의 중앙의 정면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 고정홈과;
    상기 몸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 하측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를 표면으로 부터 일정길이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이격부 하부면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등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2002-0016201A 2002-03-25 2002-03-25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0452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201A KR100452710B1 (ko) 2002-03-25 2002-03-25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201A KR100452710B1 (ko) 2002-03-25 2002-03-25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228A KR20030077228A (ko) 2003-10-01
KR100452710B1 true KR100452710B1 (ko) 2004-10-14

Family

ID=3237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201A KR100452710B1 (ko) 2002-03-25 2002-03-25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7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592B1 (ko) 2005-01-18 2006-08-21 유성권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 메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균열부 보수/보강 방법
KR101331562B1 (ko) * 2013-02-08 2013-11-20 설재숙 수중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2268630B1 (ko) * 2020-11-16 2021-06-23 주식회사 미래건설안전 와이어 앵커가 구비된 복합 앵커를 이용한 단면 복구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007B1 (ko) * 2010-03-04 2011-06-16 구원회 실리콘 작업용 헤라
CN107012892A (zh) * 2017-04-14 2017-08-04 中建五局土木工程有限公司 新老混凝土接口防水结构及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375A (ja) * 1990-07-13 1992-03-09 Atsushi Sasaki 外壁の補修方法
KR19990024271A (ko) * 1998-12-29 1999-03-25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KR19990083837A (ko) * 1999-08-18 1999-12-06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침투성 폴리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375A (ja) * 1990-07-13 1992-03-09 Atsushi Sasaki 外壁の補修方法
KR19990024271A (ko) * 1998-12-29 1999-03-25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KR19990083837A (ko) * 1999-08-18 1999-12-06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침투성 폴리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신기술59호,Page 16, 17, 1997. 4. 7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592B1 (ko) 2005-01-18 2006-08-21 유성권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 메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균열부 보수/보강 방법
KR101331562B1 (ko) * 2013-02-08 2013-11-20 설재숙 수중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2268630B1 (ko) * 2020-11-16 2021-06-23 주식회사 미래건설안전 와이어 앵커가 구비된 복합 앵커를 이용한 단면 복구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228A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07848A2 (en) Improved reinforcing b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50075973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로드부재
KR102232277B1 (ko) 초속경 고강도 무기계 폴리머 몰타르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보강보수 공법
Shannag et al. Strengthening and repair of a precast reinforced concrete residential building
KR100597175B1 (ko) 표면열화 및 피복이 미 확보된 기존 구조물에 대한 보강재매입보강공법
KR100311054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신축 콘크리트 보강용 로드부재
KR100452710B1 (ko)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JP4647340B2 (ja) 低層住宅用シングル配筋既設基礎の補強工法
KR10115139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고강도 보강재
KR100741439B1 (ko) 스터드 고정형 콘크리트 보수/보강시트 및 이를 이용한보수/보강방법
Moghtadernejad Design, inspection, maintenance, life cycle performance and integrity of building facades
KR100894492B1 (ko) 아라미드 스트립 부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 시공방법
Carolin Strengthening of concrete structures with cfrp: shear strengthening and full scale applications
KR100927867B1 (ko) 나선형 보강재를 이용한 폴리머 모르타르 단면 수복 보수방법
US20220089489A1 (en) Concrete structure repaired and reinforced using textile grid reinforcement and highly durable inorganic binder and method of repairing and reinforcing the same
KR100384942B1 (ko) 부재를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및그부재
KR200386862Y1 (ko) 스터드 고정형 콘크리트 보수/보강시트
JP3875601B2 (ja) 塩害を受け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Slaton et al. Reinforced Concrete
Jurczakiewicz et al. Composite materials in conservation of historical buildings: examples of applications
KR100776808B1 (ko) 로드부재
KR20030072729A (ko) 로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Jeetendra et al. Application of FRP in concrete structures
Ware Diagnosing and repairing carbonation in concrete structures
Malešev et al. Fire Damage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Repair Possi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