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036B1 -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036B1
KR100452036B1 KR10-2002-0039177A KR20020039177A KR100452036B1 KR 100452036 B1 KR100452036 B1 KR 100452036B1 KR 20020039177 A KR20020039177 A KR 20020039177A KR 100452036 B1 KR100452036 B1 KR 100452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ad
container
cleaning device
water tank
ultrasonic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4941A (ko
Inventor
정회승
조남형
김후영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쏘하이텍
학교법인주성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쏘하이텍, 학교법인주성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쏘하이텍
Priority to KR10-2002-003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0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4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초음파진동부가 저면에 설치된 수조에 상부 및 하부가 개봉된 형상의 용기가 자중에 의해 안착되며, 그 안에 세척수 및 피세척물이 수장되어 전달되는 초음파진동이 수조의 바닥을 지나 곧바로 세척수에 전달되어 초음파진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용기의 하부에는 고무패드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용기가 안착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수조의 바닥면에도 보조고무패드를 부착하여 상호 밀착 결합력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조의 바닥면에 소정깊이로 요홈부가 형성되고, 용기의 하부에는 대응하여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 때 밀착되는 수조 및 용기 부분에 고무패드 및 보조고무패드가 구비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의 외벽면에 고무패드가 부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Partially Driving Type Kitchen Ultrasonic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수조 내에 안착시킨 별도의 용기에 피세척물을 수장하고, 용기 안착부위에 국한하여 초음파진동부를 설치하는 구조로서, 용기 내의 물만으로도 피세척물에 대한 초음파세척이 가능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는 물론 하부까지 개봉된 용기가 자중에 의해 수조 바닥면에 안착됨으로써, 수조 저면에 설치되는 초음파진동부의 진동이 수조 바닥면을 통해 곧바로 용기 내의 물에 전달되어 진동 전달율의 증대가 가능하며, 이 때 용기와 수조가 맞닿은 부위에 고무패드를 설치하여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세척장치는 수조 하부에 초음파진동부가 설치되어 수조 내에 수장된 피세척물,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수저 등을 초음파진동에 의해 생성되는 미세거품으로 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가정 내에 주방에 설치되는 수조는 피세척물에 비해 용적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일반적인 세척(세제 등을 물에 용해시켜 행해지는 형태의 세척)시에도 별도의 세척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는 수조에 담수되는 물이 지나치게 많음으로써, 별도의 세척용기 즉 상기 수조에 비해 용적이 작은 세척용기의 사용이 없이는 물의 낭비가 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존 수조의 구조적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종래 초음파 세척장치는 별도의 용기 설치없이 수조 저면에 초음파진동부를 설치하여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조 내의 물 전체에 대해 진동전달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과도한 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결국 물의 낭비와 전력의 낭비 등 초음파세척이 주는 편리성에 비해 구조적 문제점에 기인한 낭비요인을 안고 있다.
이러한 종래 초음파세척 장치의 구조적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별도의 용기를 수조 내부에 안착하고 이에 국한적으로 초음파진동을 전달하는 구조의 세척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상기 세척장치에서 초음파진동부는 수조의 저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진동은 수조와 상기 용기의 각 저면과 바닥면을 통과해야 결국 용기 내의 물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물에 전달되는 초음파는 원래 진동부에 발생되었던 세기에 비해 현저하게 감쇄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결국 세척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음이 비교적 심하고 용기내의 수온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절수목적으로 도입되었던 용기에 기인하여 세척율의 저하라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점의 타결로 절수 및 세척율 제고라는 두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의 세척장치 개발이 현시점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수조 내에 설치되어 집중적으로 진동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용기가 포함되어 세척에 소요되는 물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수조의 바닥면에 접하는 용기의 하부가 개봉되어진 구조를 취함으로써, 전달되는 초음파가 수조의 바닥면만을 극복하면 곧바로 용기내의 물에 전달될 수 있어 세척율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일측에 배출구(60)가 설치되는 수조(10);
상기 수조(10) 내의 바닥면에 대해 높이방향을 따라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부 및 하부가 개봉되어진 형상의 용기(20);
상기 용기(20)의 안착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수조(10)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는 초음파진동부(30); 및
상기 초음파진동부(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도록 상기 초음파 진동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회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대응하여 밀착되는 상기 용기(20)의 하부 테두리에는 일체형으로 고무패드(40)가 더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무패드(40)에 대응하여 밀착되는 보조 고무패드(50)가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무패드(40) 및 보조 고무패드(5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일측에 배출구(60)가 설치되며, 바닥면의 소정부위가 일정깊이로 하향 연장되어 요홈부(11)가 형성되는 수조(10);
상기 요홈부(11) 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안측을 향해 수직 연장되고 하향 절곡되어 상기 요홈부(11)에 형상적으로 대응하는 삽입부(21)가 하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봉되어진 형상의 용기(20);
상기 용기(20)의 안착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요홈부(11)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는 초음파진동부(30); 및
상기 초음파진동부(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도록 상기 초음파 진동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회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홈부(11)에 대한 상기 삽입부(21)의 결합으로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상기 용기(20)의 하부영역에는 일체형으로 고무패드(40)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무패드(40)에 대응하여 밀착되는 보조 고무패드(50)가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홈부(11)에 대한 상기 삽입부(21)의 결합으로 상기 요홈부(11)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상기 삽입부(21)의 외벽면에는 일체형으로 고무패드(40)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용기(20)의 안측에는 그물망 형태의 차단부재(22)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진동부(30)는 볼트조임형 란쥬반진동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세척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세척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세척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세척장치의 구성되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수조 11: 요홈부
20: 용기 21: 삽입부
22: 차단부재 30: 초음파진동부
40: 고무패드 50: 보조고무패드
60: 배출구 61: 배출호스
70: 구동회로 100: 초음파세척장치
200: 피세척물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세척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세척장치(100)는 가정 내 주방에 위치하는 수조(10)에 설치되어 그릇, 접시 및 수저 등과 같은 피세척물(200)을 초음파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세척장치(100)에서 수조(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면이 전반적으로 평편하다. 그리고 일측에는 배출구(60) 및 배출호스(6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10)의 평편한 바닥면에 높이방향으로 안착된 것이 금속재질의 용기(20)이다. 상기 용기(20)는 상부는 물론 하부까지 개봉된 원통 형상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20) 내에는 세척수와 더불어 피세척물(200)이 수장되어 있다.
상기 용기(20)의 하부 테두리에는 고무패드(40)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용기(20)가 자중에 의해 수조(10) 바닥면에 안착되어 있을 때 보다 밀착력을 높여 안정적인 고정을 담보해낼 수 있도록 상기 고무패드(40)가 설치된다.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수조(10)의 특성상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고무패드(40)가 밀착되었을 경우 마찰에 의해 보다 높은 밀착력이 생성될 수 있으며, 세척수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는 수밀기능을 겸비한다.
게다가 용기(20) 내에는 세척수가 담겨지므로 물의 무게만큼 용기(20)의 안정적 고정이 보다 뒷받침된다.
또한 상기 용기(20)의 안측에는 그물망 형태의 차단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재(22)는 세척 이후 상기 용기(20)를 수조(10)의 바닥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세척수를 배출구(60)로 배수할 경우 피세척물(200)의 낙하 및 이탈을 방지하고자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수조(10)의 저면에 설치된 것이 초음파진동부(30)이다. 각 초음파진동부(30)는 볼트조임형 란쥬반진동자(Bolt-clamped Langevin Type Transceducer)의 형태이며, 전기적으로 구동회로(70)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원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초음파진동부(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초음파진동이 발생되는데, 수조(10)의 바닥을 지나 용기(20) 내의 물에 전달되는 경로를 갖는다. 이는 상기 용기(20)의 하부가 개봉되어진 구조를 취하기 때문이며, 미개봉구조 즉 용기(20)의 바닥이 있는 구조일 경우 전달경로에 용기(20)의 바닥이 추가되어 전달율의 저하가 있게 마련이다.
상기 초음파가 상기 수조(10)의 바닥을 통과하여 용기(20) 내의 세척수에 전달되면, 세척수를 매질로 각 피세척물(200)이 세척된다. 세척 즉 피세척물(200) 표면의 이물질 이탈은 초음파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거품의 연속적인 타격으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세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100)에서 수조(10)의 바닥면에는 보조고무패드(50)가 접착재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보조고무패드(50)는 용기(20) 하부의 고무패드(40)에 대응하여 밀착된다.
이 때 상기 고무패드(40) 및 보조고무패드(50)는 각기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고 있는 고무자석 형태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무패드(40)가 (+)극의 자성을 띠고 있다면, 보조고무패드(50)는 (-)극의 자성을 띠고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20)가 수조(10)의 바닥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고무패드(40)가 보조고무패드(50)에 밀착되면, 서로 다른 극성에 의해 인력이 발생되어 결합력이 제고되며, 세척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밀기능이 겸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세척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100)에서 용기(20)의 하부는 안측으로 수직 연장되고 다시 하향 절곡되어 전반적으로 안측으로 오므려져 있는 형상으로 취하고 있는 것이 삽입부(21)이며, 결국 상기 용기(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이다.
그리고 수조(10)의 바닥면은 상기 용기(20)의 삽입부(21)가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부(11)가 형성되어 있는데, 형성깊이는 상기 삽입부(21)에서 하향 절곡된 부위의 높이에 대응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1)에서 안측으로 수직 연장된 부분으로 바깥면에 플랜지 형상의 고무패드(40)가 접착재로 부착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요홈부(11)의 주변 영역으로 수조(10)의 바닥면에는 플랜지 형상의 보조 고무패드(50)가 접착재로 부착되어 상기 삽입부(21)가 요홈부(11)에 삽입되면서 고무패드(40)는 보조 고무패드(50)에 밀착된다.
따라서 삽입부(21)에서 하향 절곡된 부위의 바깥면이 요홈부(11)의 내벽면에 밀착되고, 고무패드(40)는 보조고무패드(50)에 밀착되며, 용기(20) 내의 세척수의 무게로 인해 하중이 발생되어 용기(20)는 수조(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진동부(30)는 상기 요홈부(11)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20) 내에 국한하여 초음파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세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세척장치(100)에서, 용기(20)의 삽입부(2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연에는 원통형상의 고무패드(40)가 접착재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21)가 수조(10)의 요홈부(11)에 삽입되면, 요홈부(11) 내벽면 즉 내주연에 상기 삽입부(21)의 외주연에 부착된 상기 고무패드(40)가 밀착되면서 결합력을 보다 공고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무패드(40)는 상기 용기(20) 내에 세척수가 담겨 있을 경우 세척수가 삽입부(21)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밀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100)에서, 상기 용기(20)의 형상은 원통형 이외에, 사각, 오각, 육각 등 다른 다양한 다각형상 중에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패드(40) 및 보조고무패드(50) 이외에, 고무링을 용기(20) 하부 테두리 및 대응하는 수조(10) 바닥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고무를 소정두께로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차단부재(22)는 그물망 형태 이외에, 관통구가 형성된 격자 구조의 판재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1)의 외주연 이외에, 요홈부(11)의 내주연에 고무패드(4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에서, 수조 전체에 걸쳐 담겨진 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물이 담겨진 특정 용기에 국한적으로 초음파 진동이 인가되므로, 기존에 비해 동일한 개수의 초음파 진동부를 사용하여 보다 높은 세척효율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세척에 소요되는 물의 양의 절감할 수 있으며, 초음파가 전달되는 경로에서 용기의 바닥이 제외되기 때문에, 진동절단율의 상승에 의한 세척율 제고 및 소음감소의 장점이 있다.
아울러 세척 이후 요염된 물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0)

  1. 일측에 배출구(60)가 설치되는 수조(10);
    상기 수조(10) 내의 바닥면에 대해 높이방향을 따라 안착되어 자중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부 및 하부가 개봉되어진 형상의 용기(20);
    상기 용기(20)의 안착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수조(10)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는 초음파진동부(30); 및
    상기 초음파진동부(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도록 상기 초음파 진동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회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대응하여 밀착되는 상기 용기(20)의 하부 테두리에는 일체형으로 고무패드(40)가 더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40)에 대응하여 밀착되는 보조 고무패드(50)가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40) 및 보조 고무패드(5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5. 일측에 배출구(60)가 설치되며, 바닥면의 소정부위가 일정깊이로 하향 연장되어 요홈부(11)가 형성되는 수조(10);
    상기 요홈부(11) 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안측을 향해 수직 연장되고 하향 절곡되어 상기 요홈부(11)에 형상적으로 대응하는 삽입부(21)가 하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봉되어진 형상의 용기(20);
    상기 용기(20)의 안착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요홈부(11)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는 초음파진동부(30); 및
    상기 초음파진동부(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도록 상기 초음파 진동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회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1)에 대한 상기 삽입부(21)의 결합으로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상기 용기(20)의 하부영역에는 일체형으로 고무패드(40)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40)에 대응하여 밀착되는 보조 고무패드(50)가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1)에 대한 상기 삽입부(21)의 결합으로 상기 요홈부(11)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상기 삽입부(21)의 외벽면에는 일체형으로 고무패드(40)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0)의 안측에는 그물망 형태의 차단부재(2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진동부(30)는 볼트조임형 란쥬반진동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KR10-2002-0039177A 2002-07-06 2002-07-06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KR100452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177A KR100452036B1 (ko) 2002-07-06 2002-07-06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177A KR100452036B1 (ko) 2002-07-06 2002-07-06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941A KR20040004941A (ko) 2004-01-16
KR100452036B1 true KR100452036B1 (ko) 2004-10-08

Family

ID=3731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177A KR100452036B1 (ko) 2002-07-06 2002-07-06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4673A (zh) * 2013-06-18 2013-09-11 武汉昊昱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化智能水槽及其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9046U (ko) * 1986-06-05 1987-12-18
JP2000325281A (ja) * 1999-05-24 2000-11-28 Mastec Ltd 流し台ユニット
JP2001212057A (ja) * 2000-02-04 2001-08-07 Tetsuo Sekiya 電動式食器洗い器
JP2002011423A (ja) * 2000-06-29 2002-01-15 Toshiba Tec Corp 超音波式洗浄機
KR200264582Y1 (ko) * 2001-11-15 2002-02-19 권현옥 망 형태의 초음파 등의 식기및 과일 또는 야채 세척기
KR20040000034A (ko) * 2002-06-19 2004-01-03 학교법인주성학원 수조에 체결되는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9046U (ko) * 1986-06-05 1987-12-18
JP2000325281A (ja) * 1999-05-24 2000-11-28 Mastec Ltd 流し台ユニット
JP2001212057A (ja) * 2000-02-04 2001-08-07 Tetsuo Sekiya 電動式食器洗い器
JP2002011423A (ja) * 2000-06-29 2002-01-15 Toshiba Tec Corp 超音波式洗浄機
KR200264582Y1 (ko) * 2001-11-15 2002-02-19 권현옥 망 형태의 초음파 등의 식기및 과일 또는 야채 세척기
KR20040000034A (ko) * 2002-06-19 2004-01-03 학교법인주성학원 수조에 체결되는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941A (ko)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22321B (zh) 集成式清洗水槽
KR100452036B1 (ko)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KR100746556B1 (ko)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CN108252372A (zh) 带果蔬清洗的一体式水槽
KR101705773B1 (ko)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기의 절연장치
KR101869373B1 (ko) 싱크 일체형 초음파 세척장치
KR200292069Y1 (ko) 부분 구동형 주방용 초음파세척장치
CN106724961B (zh) 一种淘米机
KR200259143Y1 (ko) 과일 채소류용 초음파 세척기
CN204974594U (zh) 一种医用超声波清洗器
CN217066313U (zh) 一种基于超声波空化作用的餐具清洗设备
KR20060008627A (ko) 샤워 기능을 갖는 전자동 3차원 초음파 세척기
JP2002011423A (ja) 超音波式洗浄機
CN212656327U (zh) 一种双槽多功能清洗池
CN106703138B (zh) 台阶式清洗水槽
KR200355141Y1 (ko) 간접조사 방식의 다목적 초음파 세척기
CN212307757U (zh) 一种水槽式超声波智能洗碗机
KR20020026223A (ko) 초음파와 오존을 이용한 이동식 세척기
CN105855228A (zh) 一种净化水槽的超声波清洁方法
KR200276506Y1 (ko) 초음파와 오존을 이용한 이동식 세척기
KR200412599Y1 (ko) 초음파 세척기
CN210597498U (zh) 一种装有超声波换能器的家用水槽
CN218814120U (zh) 一种具有实用性的集成水槽
KR200313517Y1 (ko) 수류 발생구조를 갖는 초음파세척장치
CN105852761A (zh) 一种商用净化水槽的超声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