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911B1 -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911B1
KR100451911B1 KR10-2002-0065676A KR20020065676A KR100451911B1 KR 100451911 B1 KR100451911 B1 KR 100451911B1 KR 20020065676 A KR20020065676 A KR 20020065676A KR 100451911 B1 KR100451911 B1 KR 100451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support
human body
belt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471A (ko
Inventor
김성범
Original Assignee
김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범 filed Critical 김성범
Priority to KR10-2002-006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911B1/ko
Priority to AU2003273102A priority patent/AU2003273102A1/en
Priority to PCT/KR2003/002245 priority patent/WO2004036980A2/en
Publication of KR2004003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66Tubular, rod-shaped articles, e.g. bat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2Fishing rod hold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 양단이 벨트에 결합되는 지지부, 낚싯대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가 구비되는 받침부, 받침부를 회전시켜 상기 낚싯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Support-unit of fishing rod put on human body}
본 발명은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할 수 있는 낚싯대 받침장치가 구비되어 낚싯대를 드리운 상태에서도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낚싯대를 드리운 상태로 장시간의 기다림을 요구하는 레저스포츠로, 낚싯대를 장시간 지속적으로 들고 있게 되면,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없음과 함께 신체에 무리가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여러 가지 형태의 낚싯대 받침장치가 제공된다.
종래의 받침장치들은 낚싯대를 고정시킴으로써, 낚싯대를 드리운 후에 다른 용무를 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받침장치가 지면에 가깝게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기의 입질을 발견하고 허리를 숙이는 동안 고기를 놓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받침장치들은 고정위치에서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효율적이나, 기립자세에서 낚시를 해야 하는 경우, 장소를 옮기면서 낚시를 해야 하는 경우,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낚시를 하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는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고정 설치되는 받침장치들을 보완한 것으로, 벨트를 삽입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하도록 구성된 받침장치가 제안되나, 낚싯대의 각도조절이 어려워 효율적이지 못하고, 사용자의 허리에 과도한 무리가 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의 낚시가 물가에서 이루어지나, 우리나라 고유의 견지낚시로 물 속에 들어가 하반신이 잠긴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여울견지낚시와, 배 위에서 이루어지는 배 견지낚시가 있다.
여울견지낚시는 물 속에서 이루어지므로 낚싯대를 내려놓을 수가 없고, 이로 인해 장시간 낚시를 할 경우 신체에 무리가 가해진다. 또한, 미끼 교환을 위해 낚싯대와 미끼통을 모두 소지한 채로 낚시를 하면, 양손이 자유롭지 않아 미끼 교환등이 어렵고, 미끼통을 지면에 놓은 채로 낚시를 하면, 미끼를 교환하기 위해 수 차례 드나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이 가능한 낚싯대 받침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낚싯대를 드리운 상태에서 낚싯대를 지면에 내려놓지 않고도 양손의 자유로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받침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낚싯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 양단이 벨트에 결합되는 지지부, 낚싯대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가 구비되는 받침부, 받침부를 회전시켜 상기 낚싯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받침부재는 받침부의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한 쌍의 곡면 요홈이 형성되고, 하나의 받침부재에는 낚싯대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낙하방지편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는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도조절장치는 톱니바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와, 회전기어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벨트에 양단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매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어깨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100), 벨트(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부(200), 지지부(200)에 장착되어 낚싯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300), 낚싯대를 지지하는 받침부(400)를 포함하고, 낚싯대를 받침부(400)에 장착한 상태에서 낚싯대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벨트(100)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것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고, 착용시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하여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부드러우면서도 지지부(200)를 지탱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00)는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지고, 제 1 프레임(210)은 판 형상의 제 1 평면판(212)과, 제 1 평면판(212)의 일측에서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인체착용이 용이하도록 호 형상을 형성한 제 1 호형판(21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평면판(212)은 일측에 홈이 형성되고, 홈의 주연부를 따라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하는 회전기어 삽입부(216)를 포함한다.
제 2 프레임(220)은 판 형상의 제 2 평면판(222)과, 제 2 평면판(222)의 일측에서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인체착용이 용이하도록 호 형상을 형성한 제 2 호형판(224)으로 이루어지고, 제 2 평면판(222)의 일단이 제 1 평면판(212)의 중앙부분에 결합한다.
제 1 호형판(214)과 제 2 호형판(224)은 벨트(100)의 일면에 장착되는데, 볼트 체결 등으로 견고하게 결합함과 함께 사용자가 손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조절장치(300)는 낚싯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맞물려 작용하는 회전기어(310)와 스톱퍼(320)를 적용한다.
회전기어(310)는 원통형의 외주연에 래치가 형성된 기어부(312)와, 일단이 기어부(312) 일면 중앙부분에 결합된 기어축(314)으로 이루어진다.
스톱터(320)는 일단에 좌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레버(322)와, 타단에 일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된 경사면(324)과, 스톱퍼(320)의 몸체가 스프링을 개재하여 삽입된 스톱퍼 하우징(32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톱퍼 하우징(326)의 외측벽 일단에는 돌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도조절장치(300)의 예로 들어 설명한 회전기어(310)와 스톱퍼(320)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워엄과 워엄기어를 장착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스위치를 장착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받침부(400)는 낚싯대(500)를 받쳐주는 것으로, 받침대(410)와 받침대(410)의 양단에 부착되는 받침부재(420)를 포함한다.
받침대(410)는 일자형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양단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와, 프레임의 중앙부분에 연장부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고, 각 연장부에는 받침부재(420)가 결합된다.
또한, 받침대(410)에 형성된 돌기에는 상면과 저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결합부재(430)가 부착된다.
받침부재(420)는 낚싯대(500)의 손잡이 부분이 안치될 수 있는 한 쌍의 곡면 요홈이 형성되고, 한 쌍의 곡면 요홈은 개구된 면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받침대(410)의 연장부와 결합하며, 하나의 받침부재(420)에는 낚싯대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측면에 부착되는 낙하방지편(422)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의 결합형태를 설명한다.
벨트(100)와 지지부(200)가 볼트 체결로 결합되고, 회전기어 삽입부(216)에 기어축(314)이 결합부재(430)를 개재하여 장착된다. 이때, 받침부재(420)가 외측을 향하도록 하고, 기어축(314)과 결합부재(430)는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각도 조절시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스톱퍼 하우징(326)의 외측에 형성된 돌기의 일면이 제 2 평면판(222)의 일면 상부에 부착된다. 이때, 레버(322)가 상향하고, 경사면(324)이 기어부(312) 톱니의 경사방향과 대향하게 위치함과 함께 톱니 사이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의 벨트(100)를 허리둘레에 맞추어 착용하고, 받침부재(420)에 낚싯대(500)를 장착한다.
낚싯대(500) 및 각 장치의 무게가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하게 치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단이 벨트(1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매도록 형성하는 어깨벨트(110)를 포함할 수 있고, 어깨벨트(110)의 양단은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낚싯대(500)의 방향을 위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받침부(400)를 위로 당겨 원하는 위치에 놓으면 스톱퍼(320)가 회전기어(310)의 톱니 사이에 맞물려 변경된 위치에 고정된다.
낚싯대(500)의 방향을 아래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톱퍼(320)의 레버(322)를 당기면 회전기어(310)가 자유로워지고, 이 상태에서 받침부(400)를 원하는 위치에 놓은 후, 레버(322)를 놓으면 다시 스톱퍼(320)가 회전기어(310)의 톱니 사이에 맞물려 변경된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오른손잡이용과 왼손잡이용을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오른손잡이용은 지지부(200)가 벨트(100)의 오른쪽에 치우치도록 장착하고, 왼손잡이용은 지지부(200)가 벨트(100)의 왼쪽에 치우치도록 장착하며, 왼손잡이용은 받침부(400)도 왼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는 낚싯대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장치가 벨트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함으로써, 낚싯대를 내려놓기 어려운 장소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낚싯대를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낚싯대를 드리운 상태에서도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동하면서도 낚시가 가능하며, 장시간 낚시로 인해 느끼게 되는 사용자의 팔과 허리 등의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받침장치에 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되어, 낚싯대의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낚시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
    양단이 상기 벨트에 결합되는 지지부;
    낚싯대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가 구비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회전시켜 상기 낚싯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한 쌍의 곡면 요홈이 형성되고, 하나의 받침부재에는 낚싯대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낙하방지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외주연에 래치가 형성되고, 회전축에 받침부가 연결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양단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매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어깨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KR10-2002-0065676A 2002-10-26 2002-10-26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KR10045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676A KR100451911B1 (ko) 2002-10-26 2002-10-26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AU2003273102A AU2003273102A1 (en) 2002-10-26 2003-10-23 Device for supporting the fishing rod to the human body
PCT/KR2003/002245 WO2004036980A2 (en) 2002-10-26 2003-10-23 Device for supporting the fishing rod to the human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676A KR100451911B1 (ko) 2002-10-26 2002-10-26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994U Division KR200301461Y1 (ko) 2002-10-26 2002-10-26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471A KR20040036471A (ko) 2004-04-30
KR100451911B1 true KR100451911B1 (ko) 2004-10-13

Family

ID=3733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676A KR100451911B1 (ko) 2002-10-26 2002-10-26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73B1 (ko) * 2008-03-17 2008-10-13 김대현 낚시대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471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5714A (en) Arm exercise device
US4509667A (en) Wrist or armband for holding camera
US4017998A (en) Fishing rod holder
US5956883A (en) Fishing rod holder
US5749010A (en) Camera support
US5690604A (en) Sexual appliance having a phallic device and a device for mounting the same onto a support structure
US5557877A (en) Universal mount fishing rod holder
US20060076381A1 (en) Carr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rtable device
US9066507B2 (en) Back strain alleviating fishing pole harness with rotatably engaging pole receptacles
US20200261758A1 (en) Exercise accessories and system
US10244746B1 (en) Arm rest for a fishing pole
US5044109A (en) Fishing rod holder
US5105574A (en) Fishing rod holder
US6138976A (en) Fishing pole holder
FR2664811A1 (fr) Dispositif pour massage capillaires.
US20110209383A1 (en) Fishing equipment for fishing rods
KR100451911B1 (ko)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US5953846A (en) Fishing rod controller
KR200301461Y1 (ko)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US6141898A (en) Fishing rod controller
US2561046A (en) Fishing rod holder
US5988548A (en) Easy hold fishing reel body
US6361511B1 (en) Adjustable massaging exerciser worn on wrist
US5941012A (en) Power rod extension
US5913837A (en) Automatic cardiac compre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