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889B1 - 조가선 접속클램프 - Google Patents

조가선 접속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889B1
KR100451889B1 KR10-2002-0016012A KR20020016012A KR100451889B1 KR 100451889 B1 KR100451889 B1 KR 100451889B1 KR 20020016012 A KR20020016012 A KR 20020016012A KR 100451889 B1 KR100451889 B1 KR 100451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leeve
wire
line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100A (ko
Inventor
김철규
Original Assignee
(주) 신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신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2-001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8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선로에서 전차선을 수평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가설되는 조가선이 절단되었을 때나 조가선을 서로 연결시켜 주고자 할 때에 조가선의 양단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조가선 접속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써, 공간부 및 장착홈이 형성된 클램프본체와 볼트부에 너트를 결합시키도록 된 슬리브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클램프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을 통하여 조가선을 클램프본체의 내부로 삽입시켜 조가선의 단부에 슬리브를 고정시켜 장착홈에 결합시켜 주는 것에 의해 조가선을 연결시켜 줄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클렘프본체의 장착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슬리브의 볼트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슬리브를 견고하고 요지부동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과 기계적진동에 의해 조가선이 흔들리더라도 결합 및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기적인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조가선 접속클램프{A Clamp for Messenger Wire}
본 발명은 전차선로에서 전차선을 수평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가설되는 조가선이 절단되었을 때나 조가선을 서로 연결시켜 주고자 할 때에 조가선의 양단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조가선 접속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클램프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결속공을 통하여 절단된 조가선의 단부를 클램프본체의 내부에 삽입시켜 주도록 하고, 클램프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조가선의 각 단부에 슬리브를 일체형으로 결속시켜 슬리브가 장착공에 삽입되어 억류되어지도록 하여 절단된 조가선의 양단을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클램프본체와 슬리브를 도체(금속)로 형성하여 전차선로의 조가선을 통하여 흐르는 순환전류가 클램프본체를 도통하도록 된 조가선 접속클램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차선로에 설치되는 조가선은 커티너리곡선을 그리며 최상부에 가설되어 행거 또는 드로퍼를 매개로 하여 전차선을 조가하면서 전차선을 동일한 높이로 수평하게 유지시켜주는 전선이다.
도 1은 조가선(3)이 전차선로(1)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설치되는 전주(9)의 사이에는 조가선(3)과 전차선(2)이 상하로 설치되고, 상기 조가선(3)과 전차선(2)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장주(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가동브래킷(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의해 지지되어지는데 조가선(3)은 가동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점(3-1)들에 의해 하측으로 만곡되는 커티너리곡선을 유지하게 되며, 전차선(2)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드로퍼(4)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전차선(2)과 조가선(3)은 조정스트랩(5)를 통하여 견인와이어(6)가 연결되어 전주(9)에 설치되는 소활차(7-1)에 의해 인류되어지고, 소활차(7-1)와 동일측으로 설치되는 대활차(7)에는 중추(8)를 걸어 장력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전차선로(1)에서 조가선(3)은 각종가스 등에 의한 부식과, 기계적 진동에 의한 마모와, 천재지변 등에 의해 단선(절단)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조가선(3)이 절단되어지면 절단된 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되 순환전류가 도통될 수 있도록 연결시켜 주어야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단선된 조가선(3)의 양단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종래의 쇄기형클램프(10)를 보인 것이다.
종래의 쇄기형클램프(10)는 더블이어(11)의 양측에 축봉(16)과 핀(16-1)을 이용하여 쇄기클램프(12)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 쇄기클램프(12)에는 쇄기(13)를 결합해 주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쇄기형클램프(10)를 이용하여 절단된 조가선(3)을 연결시켜 주거나 조가선(3)을 서로 연결시켜 주고자 할 때에는 각 조가선(3)의 단부를 쇄기(13)에 감아 단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감겨져 있는 조가선(3)의 단부와 함께 쇄기(13)를 쇄기클램프(12)의 내부에 강제로 억지 끼움하여 주고, 일측의 쇄기클램프(12)에 장착된 조가선(3)의 단부에는 규압선(15)을 연결하며,균압선(15)의 타단은 통상의 볼트(17)·너트(17-1)를 이용한 점퍼클램프(14)에 의해 타측의 쇄기클램프(12)에 억류되어있는 조가선(3)에 연결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쇄기형클램프(10)를 이용하여 양측 조가선(3)의 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된다.
종래의 쇄기형클램프(10)는 중앙의 더블이어(11)의 양측에 장착되는 쇄기클램프(13)가 축봉(16)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진동등에 의해 요동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드로퍼(4)에 의해 지지되는 전차선(2)에도 요동이 전이되며, 각 쇄기클램프(12)의 외측에서 쇄기(13)와 함께 조가선(3)을 결합하여 고정시켜 주므로 조가선(3)에 강한 장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쇄기(13)가 외측으로 탈출되어지는 것을 배제할 수 없었다.
또한, 쇄기형클램프(10)는 중앙의 더블이어(11)의 양측에 장착되는 쇄기클램프(13)가 축봉(16)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순환전류를 직접 통전시키게 되면 축봉(16)으로 결합되어 있는 더블이어(11)와 쇄기클램프(12)와의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방지학 위해서는 더블이어(11)와 쇄기클램프(12)를 통하여 순환전류를 유통시키지 못하고 양측 조가선(3)의 사이를 별도의 균압선(15)을 이용하여 연결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측의 쇄기클램프(12)를 통하여 일측의 조가선(3)과 연결되는 균압선(15)의 타단을 타측의 조가선(3)에 고정시킬 때에 별도의 점퍼클램프(14)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점퍼클램프(14)에 의해균압선(15)의 타단을 타측의 조가선(3)에 고정시킬 때에 통상의 볼트(17) 및 너트(17-1)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주므로 외부의 충격과 기계적 진동에 의해 볼트(17) 및 너트(17-1)가 풀려 결속상태가 약화되어지게 되며, 따라서 결속상태의 불량으로 인하여 전기적인 접속상태도 불량하게 되어 스파크 등이 발생하게 되고 조가선(3)이 산화되어 또 다른 단선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가 폐단을 해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조가선 접속클램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선되거나 분리되어 있는 각 조가선의 양단을 서로 연결시켜 줌에 있어서, 내부 중앙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그 공간부의 양측으로 장착공과 장착홈이 구비된 클램프본체를 형성하고, 양측의 장착공을 통해서는 각 조가선의 양단을 클램프본체의 내부로 삽입시키되 각 조가선의 단부에는 슬리브를 고정시켜 슬리브가 장착홈에 밀접하게 억류 고정되어지도록 된 조가선 접속클램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프본체와 슬리브를 도체로 형성하고 클램프본체에 결합 고정되는 슬리브가 요동되지 않도록 하여 별도의 균압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순환전류를 도통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조가선 접속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조가선의 단부에 고정되는 슬리브를 통상의 압축기계를 이용하여 압축시켜 줌으로써 슬리브를 조가선에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결속시켜주도록 하고, 슬리브에는 볼트부를 형성하여 장착공을 통하여 클램프본체의외측으로 노출되어지도록 하되 클램프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볼트부에 너트를 결합하여 슬리브를 클램프본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기계적 진동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조가선 접속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단선된 조가선(3)의 양단을 연결시키거나 또는 두 개의 조가선(3)을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내부 중앙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부(22)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22)의 양측으로 장착공홈(23)과 장착공(24)이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기가 도통되는 재질로 된 클램프본체(21)와,상기 클램프본체(21)의 내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통되게 형성된 장착홈(23)과 장착공(24)에 외측을 향하여 각각 삽입 장착되고 외면에 압축되는 압축부(26)에 의해 조가선(3)의 단부가 고정되어지는 슬리브(25)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형접속클램프(20)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조가선이 전차선로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조가선을 연결시켜 주는 쇄기형 클램프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클램프를 보인 결합상태의 사시도 와 부분단면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클램프의 클램프본체와 슬리브를 보 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차선로 2. 전차선 3. 조가선
4. 드로퍼 5. 조정스트랩 6. 견인와이어
7. 대활차 7-1. 소활차 8. 중추
10. 쇄기형클램프 11. 더블이어 12. 쇄기클램프
13. 쇄기 14. 점퍼클램프 15. 균압선
20. 연결형접속클램프 21. 클램프본체 22. 공간부
23. 장착홈 24. 장착공 25. 슬리브
26. 압축부 27. 볼트부 28. 너트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3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형접속클램프(2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써,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와 부분단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클램프본체(21)와 슬리브(25)를 분리시킨 상태도이다.
전기가 도통되는 금속제를 이용하여 클램프본체(21)를 형성하였다.상기 클램프본체(21)는 중앙부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공간부(22)를 형성하였고, 공간부(22)의 양측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슬리브(2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장착홈(23)을 형성하였으며, 각 장착홈(23)의 외측으로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장착공(24)을 각각 뚫어 주었다.
특히. 클램프본체(21)는 중앙부(21-1)를 가장자리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연결되는 조가선(3)에 큰 장력이 발생하더라도 능히 견딜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클램프본체(21)에 형성된 장착홈(23)에는 조가선(3)의 단부에 고정되는 슬립브(25)를 삽입하여 장착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슬리브(25)는 전기가 도통되는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내부에 조가선(3)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관의 형상으로 형성하였고, 슬리브(25)의 일측 단면에는 볼트부(27)를 형성하여 장착공(24)을 통해 클램프본체(21)의 각 측면으로 노출되어지도록 하였으며, 장착공(24)을 통해 클램프본체(21)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볼트부(27)에는 너트(28)를 나사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작동관계(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서로 연결시켜 주고자 하는 각 조가선(3)의 단부를 통하여 볼트부(27)에서 풀어놓은 너트(28)를 먼저 끼워준 후에 클램프본체(21)의 측면에서 장착공(24)을 통하여 내부로 삽입시켜 주고, 장착공(24)을 통하여 클램프본체(21)의 내부로 삽입된 조가선(3)의 단부를 공간부(22)를 통하여 클램프본체(21)의 외측으로 인출하며,인출된 조가선(3)에는 슬리브(25)를 끼워 결합시켜 주되 도 4b에 도시된바와 같이 볼트부(27)가 조가선(3)을 향하도록 하여 삽입시켜준다.
상기와 같이 각 조가선(3)의 단부에 끼워진 슬리브(25)는 별도의 압착공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사용하여 외면을 압착시켜 압축부(26)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압축부(26)에 의해 조가선(3)이 더욱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결합(고정)되어지도록 하였다.
클램프본체(21)의 공간부(22)를 통하여 외측으로 인출된 각 조가선(3)의 단부에 슬리브(25)를 각각 결합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일측 장착공(24)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일측의 조가선(3)을 당겨 주되 그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슬리브(25)를 클램프본체(21)의 공간부(22)로 인입시켜 주어서 슬리브(25)를 장착홈(23)과 일치시키며, 이와 같이 일측 조가선(3)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슬리브(25)를 장착홈(23)과 일치시켜 준 상태에서 그의 조가선(3)을 외측으로 당겨주게 되면 슬리브(25)는 장착홈(23)에 삽입되어 결합되어진다.
장착홈(23)에 삽입 장착되는 슬리브(25)는 그의 볼트부(27)가 장착공(24)을 통하여 클램프본체(21)의 측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지며, 장착공(24)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볼트부(27)에는 풀어 놓았던 너트(28)를 나사 결합시켜 슬리브(25)가 요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준다.
또한, 클램프본체(21)의 반대편의 장착홈(23)에 고정시켜 주어야 할 조가선(3)도 상기와 같은 과정을 실시하여 고정시켜 준다.
이와 같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 양측의 조가선(3)을 슬리브(25)를 이용하여 클램프본체(21)의 양측에 고정시켜 줄 수 있게 되며, 클램프본체(21)에 형성되어있는 양측의 장착홈(23)에 삽입되어진 슬리브(25)는 볼트부(27)와 너트(28)에 의해 견실하게 요지부동으로 고정되어지므로 외부의 충격과 기계적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흔들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 접속클램프는 공간부 및 장착홈이 형성된 클램프본체와 볼트부에 너트를 결합시키도록 된 슬리브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클램프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을 통하여 조가선을 클램프본체의 내부로 삽입시켜 조가선의 단부에 슬리브를 고정시켜 장착홈에 결합시켜 주는 것에 의해 조가선을 연결시켜 줄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클렘프본체의 장착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슬리브의 볼트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슬리브를 견고하고 요지부동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과 기계적진동에 의해 조가선이 흔들리더라도 결합 및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기적인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Claims (4)

  1. 단선된 조가선(3)의 양단을 연결시키거나 또는 두 개의 조가선(3)을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내부 중앙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부(22)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22)의 양측으로 장착공홈(23)과 장착공(24)이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기가 도통되는 재질로 된 클램프본체(21)와,
    상기 클램프본체(21)의 내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통되게 형성된 장착홈(23)과 장착공(24)에 외측을 향하여 각각 삽입 장착되고 외면에 압축되는 압축부(26)에 의해 조가선(3)의 단부가 고정되어지는 슬리브(25)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접속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램프본체(21)의 장착공(24)에 삽입 장착되는 슬리브(25)에 볼트부(27)를 형성하고, 장착공(24)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볼트부(27)에 너트(28)를 나사 결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접속클램프.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램프본체(21)는 중앙부(21-1)가 양측 가장자리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접속클램프.
KR10-2002-0016012A 2002-03-25 2002-03-25 조가선 접속클램프 KR100451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012A KR100451889B1 (ko) 2002-03-25 2002-03-25 조가선 접속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012A KR100451889B1 (ko) 2002-03-25 2002-03-25 조가선 접속클램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759U Division KR200279093Y1 (ko) 2002-03-25 2002-03-25 조가선 접속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100A KR20030077100A (ko) 2003-10-01
KR100451889B1 true KR100451889B1 (ko) 2004-10-12

Family

ID=3237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012A KR100451889B1 (ko) 2002-03-25 2002-03-25 조가선 접속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88B1 (ko) * 2008-09-22 2010-09-01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일체형 조가선 접속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1526A (ja) * 1987-12-28 1989-07-0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装置
JPH01244931A (ja) * 1988-03-28 1989-09-29 Hitachi Cable Ltd トロリー線の導体接続部
JPH0357734A (ja) * 1989-07-26 1991-03-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絶縁トロリー線用継手
JPH0359969A (ja) * 1989-07-26 1991-03-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絶縁トロリー線およびその接続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1526A (ja) * 1987-12-28 1989-07-0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装置
JPH01244931A (ja) * 1988-03-28 1989-09-29 Hitachi Cable Ltd トロリー線の導体接続部
JPH0357734A (ja) * 1989-07-26 1991-03-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絶縁トロリー線用継手
JPH0359969A (ja) * 1989-07-26 1991-03-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絶縁トロリー線およびその接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100A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5472B1 (en) Cable clamp
US4027939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891384B1 (ko)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100451889B1 (ko) 조가선 접속클램프
KR200279093Y1 (ko) 조가선 접속클램프
JP5355552B2 (ja) 冷凍圧縮機の電動機の通電ケーブルのための取付け装置
EP1419324B1 (en) Suspending equipment
KR100503025B1 (ko) 가공 송전 선로 철탑용 점퍼선 고정장치
AU2002321453A1 (en) Suspending equipment
US5934947A (en) Battery connector
KR101831263B1 (ko)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200156698Y1 (ko) 가공지선 지지대
CN211878267U (zh) 一种光缆用耐张金具
RU2200096C1 (ru) Зажим косой и рессорной струны
CA2757909A1 (en) Dead end connector
KR100791127B1 (ko) 전력선 연결장치
JP3229095B2 (ja) 耐張装置
CN221009768U (zh) 一种楔形安全备份线夹
CN213602377U (zh) 一种拉线用电力金具耐张线夹
KR200417027Y1 (ko) 전력선 연결장치
KR900000652Y1 (ko) 알루미늄 배전선용 인장 클램프
CN100523417C (zh) 拉线装配工具以及装配方法
RU2131362C1 (ru) Струновой зажим фасонного контактного провода
JP2000236613A (ja) 架空送電線路のジャンパ装置および架空送電線路の系統分断方法
JPH01308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