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526B1 -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미니 검색창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미니 검색창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526B1
KR100450526B1 KR1020030079453A KR20030079453A KR100450526B1 KR 100450526 B1 KR100450526 B1 KR 100450526B1 KR 1020030079453 A KR1020030079453 A KR 1020030079453A KR 20030079453 A KR20030079453 A KR 20030079453A KR 100450526 B1 KR100450526 B1 KR 10045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mini
screen
box
search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식발전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식발전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식발전소
Priority to KR102003007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미니 검색창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요청된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결과정보와 함께 미니 검색창 삽입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검색엔진서버, 및 검색엔진서버로부터의 미니 검색창 삽입정보를 분석하여 검색화면에 미니 검색창을 출력하고, 화면출력된 미니 검색창이 화면 스크롤신호에 대응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검색화면의 상하부 어느 쪽이 윈도우창에 출력되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검색식을 입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미니 검색창 제공 방법{Search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mini window}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검색엔진에서의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색엔진에서 검색어 입력을 위한 주 검색창 외에 미니 검색창을 별도로 제공하여 화면의 스크롤상태와 동일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미니 검색창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웹사이트 상에서 무수한 웹문서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검색 기능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단어 형식이 아닌 일상적인 자연어로도 인터넷 검색이 가능한 인터넷 정보 검색 기능도 널리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검색방법은 검색 로봇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상의 자료를 찾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용자가 찾고자하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입력된 검색어와 매칭되는 사이트나 웹페이지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용자에게 검색 업체가 구축한 분류 트리를 제시하여 이용자 자신이 분류트리를 따라 내려가며 자신이 원하는 사이트나 웹페이지를 탐색하는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테넷을 통한 정보 검색 모델로는 야후, 범주 구분을 통한 디렉토리 제공 형태 및 홈페이지 검색 형태인 알타비스타, 라이코스, 엠파스 등과 같은 웹 문서 검색 형태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보 검색 모델에서는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하면 해당 문서의 범주를 제시하거나 문서의 일부분을 추출하거나 혹은 기술문(description)에 지정된 부분을 제시하거나, 해당 검색어가 포함되어 있는 문장을 조합하여 정확도 수치와 함께 제시하거나 해당 문서의 텍스트만을 추출하여 제시하는 미리 보기 기능을 제시하는 형태를 취한다.
인터넷 포탈 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정보 검색 기능은 일반적으로 검색 엔진서버를 통하여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정보검색 엔진 서버를 사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검색 엔진 서버(11), 검색 DB(13)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상용되는 일반 컴퓨터로서 여기서는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주체가 된다. 검색 엔진 서버(11)는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있는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색인하고 검색 DB(13)를 구축하며, 사용자로부터 정보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검색된 정보를 텍스트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웹브라우저로 전송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검색 엔진 서버에서 수행되는 정보 검색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의 검색 엔진 서버(11)의 검색엔진은 웹로봇, 색인기, 검색기의 3가지 기능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요소가 검색 엔진의 기능인 문서 수집 단계, 색인 단계, 검색 단계를 각각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웹로봇은 인터넷상에서 웹을 통하여 문서를 수집한다(단계 201). 또한, 문서 수집은 사람이 수작업으로 편집한 것일 수도 있으며, 오프라인으로 수집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수집된 문서는 HTML 또는 XML 등의 형식인 웹문서를 텍스트 형식으로 전환하여 문서정보로 일반 파일형태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사용하여 저장한다(단계 202). 이렇게 수집된 문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문서가 담고 있는 주요 정보를 표현하거나 주요정보와 밀접한 키워드(즉, 색인어)를 추출하여 문서를 색인한다. 그리고, 문서 색인이 완료되면, 그 문서의 ID정보와 그 문서내의 색인어들에 대한 색인정보를 구조화 및 DB화하여 저장한다(단계 203). 이렇게 하여 정보 검색을 위한 DB가 구축되면,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04). 검색어가 입력되면, 이미 구축된 검색 DB(12)를 검색하여 검색어와 관련된 문서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생성한다(단계 205). 이러한 검색결과의 생성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조건에 맞도록 검색결과를 문서정보로 전송한다(단계 206). 이때, 사용자의 질의에 가장 부합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 문서에 대해 순위를 계산하여 순서대로 문서를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이러한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출력한다.
도 3은 일반적인 검색화면의 화면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색식 입력란에 검색어가 입력되어 있고 그에 따른 검색결과가 모니터상에 화면출력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방대한 검색결과가 디스플레이되므로 하나의 윈도우창에 검색결과를 모두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검색결과를 모두 확인하기 위해서는 화면 오른쪽에 위치하는 스크롤바를 이동하여 상하로 움직이면서 검색결과를 확인한다. 즉, 컴퓨터 단말 장치의 문자출력을 CRT의 화면상에 표시한 다음 사용자에 의하여 스크롤이 요구되거나 혹은 컴퓨터 단말장치의 출력에 따라서 스크롤이 요구되면 CRT의 화면상에 표시된 문자행이 전체적으로 1행씩 화면 상단으로 올려져서 화면상단에 있던 문자행이 1행만큼 없어지고 화면하단에 새로운 행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스크롤기능을 이용하여 CRT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하단의 정보도 모두 디스플레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검색방법에서 검색결과 화면을 스크롤하여 상하단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검색하는 도중에 다시 재검색어를 입력해야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런데 검색어 입력란은 검색화면의 최상부나 최하부에만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다시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검색화면의 최상부 또는 최하부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크롤바를 과도하게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검색화면에 검색란을 포함하는 미니 검색창을 윈도우창에 제공하여 화면이 스크롤 될 때 함께 이동하도록 하므로 현재 검색화면의 상하부 어느 쪽이 윈도우창에 출력되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검색식을 입력할 수 있는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미니 검색창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정보검색 엔진 서버를 사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검색 엔진 서버에서 수행되는 정보 검색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일반적인 검색화면의 화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검색창이 구현된 화면상태도,
도 6은 도 5의 미니검색창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니 검색창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도 7에 의해 제공된 미니검색창을 이용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사용자 단말 41 : 데이터 입출력부
42 : 미니검색창 제어부 43 : 미니검색창 저장부
44 : 검색화면 생성부 45 : 검색화면 출력부
46 : 스크롤 구동부 50 : 검색엔진서버
60 : 검색 DB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니 검색창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은 요청된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결과정보와 함께 미니 검색창 삽입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검색엔진서버, 및 검색엔진서버로부터의 미니 검색창 삽입정보를 분석하여 검색화면에 미니 검색창을 출력하고, 화면출력된 미니 검색창이 화면 스크롤신호에 대응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미니 검색창 삽입정보는 미니 검색창이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검색화면에 포함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소스와 미니 검색창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은 검색엔진서버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와, 상기 미니 검색창에 대한 영상출력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미니 검색창 저장부와, 검색화면에 미니 검색창의 레이어화면을 구성하여 화면출력을 위한 검색화면을 생성하는 검색 화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검색화면을화면출력하기 위한 검색화면 출력부와, 사용자로부터 스크롤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구동부, 및 각 구성을 제어하여 미니 검색창을 검색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스크롤 구동부에 의해 스크롤 되도록 제어하는 미니 검색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미니 검색창은 사용자가 미니 검색창을 닫기 위한 검색창 닫기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미니 검색창은 기 검색된 결과 내에서 재검색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결과내 재검색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미니 검색창은 검색결과 화면상에 미니 검색창을 고정시키기 위한 창고정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미니 검색창 제공 방법은 검색창의 검색내용의 길이가 긴 경우, 미니 검색창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판단결과, 미니 검색창이 활성화된 경우, 미니 검색창의 레이어화면을 출력하는 제 2단계, 및 제 2단계에서 스크롤신호가 입력되면 검색창내의 미니 검색창을 스크롤 이동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단계의 판단결과, 미니 검색창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미니 검색창 닫기 상태의 레이어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 3단계 이후, 스크롤모드 오프신호가 입력된 경우 미니 검색창을 검색창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 3단계 이후, 결과내 재검색 모드 온 신호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이를 주 검색폼의 검색필드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40)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검색엔진 서버(50) 및 검색 DB(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은 상용화 되는 일반 컴퓨터이며 일반적인 구성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사용자 단말(40)은 검색을 위한 검색사이트의 접속을 요청하고 검색어를 입력받는다. 입력된 검색어는 인터넷을 통해 검색엔진 서버(50)로 전달되고, 검색엔진 서버(50)는 해당 검색어를 이용해 기 구축된 검색 DB(60)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40)은 검색결과를 입력받아 미니 검색창을 포함하는 검색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화면 출력한다.
이러한 인터넷 검색시에 검색화면에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40)은 검색엔진서버(50)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41)와,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기 위해 각 구성을 제어하는 미니 검색창 제어부(42)와, 미니검색창에 대한 영상출력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미니 검색창 저장부(43)와, 검색화면에 미니 검색창의 레이어화면을 구성하여 화면출력을 위한 검색화면을 생성하는 검색 화면 생성부(44)와, 생성된 검색화면을 화면출력하기 위한 검색화면 출력부(45) 및 스크롤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화면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구동부(46)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사용자 단말(40)의 데이터 입출력부(41)는 검색엔진 서버(50)로부터 정보 검색결과와 미니 검색창 삽입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미니 검색창 삽입 정보는 미니검색창이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검색화면에 포함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소스와 미니 검색창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소스를 말한다. 미니 검색창 제어부(42)는 정보 검색결과와 미니 검색창 삽입 정보를 입력받아 미니 검색창을 구성하기 위한 미니 검색창 삽입 정보를 미니 검색창 저장부(43)로 출력한다. 그러면, 미니 검색창 저장부(43)는 미니 검색창을 구성하여 저장한다. 그런 다음, 미니 검색창 제어부(42)는 미니 검색창 삽입 정보를 분석하여 미니검색창이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검색화면에 포함되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미니 검색창 저장부(43)로 미니 검색창 독출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미니 검색창 저장부(43)는 실질적으로 미니 검색창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소스를 이용한 미니 검색창 구성파일을 저장하고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미니 검색창 제어부(42)는 미니 검색창 저장부(43)로부터 미니 검색창을 입력받아 검색화면 생성부(44)로 출력한다. 검색화면 생성부(44)는 미니 검색창 제어부(42)로부터 입력된 미니 검색창을 검색화면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화면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검색화면은 검색화면출력부(45)에 입력되며 검색화면 출력부(45)는 검색결과를 디스플레이부로출력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미니 검색창이 구현된 검색결과화면이 출력된다.
도 5를 보면, 검색화면 최상부의 주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어 입력란(c)이 있으며, 그 하부로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검색화면의 오른쪽에 미니 검색창(화면에는 꼬마 검색창이라고 도시됨 : b)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윈도우창 하단의 검색결과를 보기위해 스크롤바(a)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미니 검색창 제어부(42)는 스크롤신호를 입력받아 미니 검색창(b)이 검색화면과 함께 스크롤 되도록 스크롤구동부(46)를 제어한다. 따라서, 스크롤 구동부(46)가 구동되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검색화면과 미니 검색창(b)이 스크롤신호에 대응하여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은 도 5의 미니검색창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색결과화면이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미니 검색창이 함께 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미니 검색창(b)을 보면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어 입력란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단에 검색창 닫기와 결과내 재검색 및 창고정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검색창 닫기는 미니 검색창을 검색결과 화면에서 닫는 기능이다. 또한, 결과내 재검색은 기 검색된 검색결과 내에서 재검색을 원할 경우에 사용한다. 그리고, 창고정은 미니 검색창을 검색결과화면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능이다.
도 6에 미니 검색창(b)에 개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부가기능들을 추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예를 들면, 기 검색된 결과 내에서 제외검색을 하도록 하기 위한 제외검색버튼이나, 기 검색된 결과 내에서 검색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검색영역 선택 버튼 등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니 검색창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이하의 설명은 도 4의 구성도를 참조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미니 검색창제어부(42)는 검색엔진 서버(50)로부터 검색결과와 미니 검색창 삽입정보를 입력받아 검색결과를 출력하는 검색화면의 내용이 긴지를 판단한다(단계 701). 검색화면이 길다고 판단한 경우 미니 검색창 삽입정보를 분석하여 미니 검색창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702). 미니 검색창제어부(42)는 판단결과 미니 검색창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검색화면 생성부(44)를 제어하여 닫기상태의 미니 검색창 레이어 화면을 출력하도록 한다(단계 703). 반면, 미니 검색창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는 검색화면 생성부(44)를 제어하여 미니 검색창 레이어 화면을 출력한다(단계 704). 이후, 사용자로부터 스크롤신호가 입력되면, 미니 검색창 제어부(42)는 스크롤구동부(46)를 제어하여 검색화면과 미니 검색창을 동시에 스크롤 이동한다(단계 705). 이러한 미니 검색창이동을 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창고정기능을 선택한다. 그러면, 미니 검색창 제어부(42)는 스크롤모드 오프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706). 판단결과, 스크롤모드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검색화면상에 미니 검색창을 고정한다(단계 707).
도 8은 도 7에 의해 제공된 미니 검색창을 이용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검색결과 내에서의 재검색을 원할 경우, 미니 검색창에 결과내 재검색기능을 선택한다. 그리고, 검색어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40)은 미니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받는다(단계 801). 그리고, 결과내 재검색 모드가 온인지를 판단하고(단계 802), 판단결과 결과내 재검색 모드가 온 상태이면, 사용자 단말(40)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해당하는 검색어입력신호를 주검색폼의 검색필드에 삽입하여 입력한다(단계 803). 그러면, 검색엔진 서버(50)는 해당 검색결과내에서 재검색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40)은 검색엔진 서버(50)로부터 수신된 재검색결과를 검색결과화면에 출력한다(단계 804).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시된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은 기 등록된 특허등록 제 0374532호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할 경우 미니 검색창을 이용하여 광고를 할 수도 있다. 특허 등록 제 0374532호에 개시된 내용은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검색을 요구하게 되면 해당 검색 결과물과 연관된 광고물을 해당 검색 결과물과 연계하여 디스플레이하되, 연계된 광고물이 존재하는 사이트를 우선 순위로 출력하는 것입니다. 이 기술을 본 실시예에 적용할 경우, 해당 기 검색된 결과중 입력어에 해당하는 특정광고를 미니 검색창 레이어의 내부 또는 입력창에 텍스트 및 이미지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검색화면의 상하부 어느 쪽이 윈도우창에 출력되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검색식을 입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검색결과를 확인하는 도중에 검색식을 입력해야 할 때 스크롤바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검색화면에 함께 출력되는 미니 검색창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측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측으로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측으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측으로 검색결과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측의 웹 브라우저 검색화면내의 소정 위치에 제공되는 미니 검색창에 대한 미니 검색창 삽입정보-여기서, 상기 미니 검색창 삽입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웹 브라우저 검색 화면내에 포함되어 작동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소스와 미니 검색창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소스를 포함함-를 전송하는 검색엔진서버; 및
    상기 검색엔진서버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와, 상기 미니 검색창에 대한 영상출력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미니 검색창 저장부와, 웹 브라우저 검색화면내에 미니 검색창의 레이어화면을 구성하여 화면출력을 위한 웹 브라우저 화면을 생성하는 웹 브라우저 검색 화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웹 브라우저 검색화면을 화면출력하는 웹 브라우저 검색화면 출력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스크롤신호에 따라 웹 브라우저 화면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구동부와,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여 미니 검색창을 웹 브라우저 검색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스크롤 구동부에 의해 스크롤 되도록 제어하는 미니 검색창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을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검색엔진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미니 검색창 삽입정보에 의거하여 웹 브라우저 검색 화면내의 소정 위치에 미니 검색창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스크롤 신호에 따라 상기 미니 검색창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검색창은 사용자가 미니 검색창을 닫기 위한 검색창 닫기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검색창은 기 검색된 결과 내에서 재검색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결과내 재검색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검색창은 웹 브라우저 검색 화면내의 소정 위치에 미니 검색창을 고정시키기 위한 창고정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7. 검색엔진서버로부터 웹 브라우저 검색 화면내의 소정 위치에 출력되는 미니 검색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의 미니 검색창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검색내용의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긴 경우, 미니 검색창이 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
    상기 판단결과, 미니 검색창이 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검색엔진서버로부터 수신된 미니 검색창 삽입정보에 의거하여 미니 검색창의 레이어화면을 구성하는 제2 단계;
    상기 구성된 레이어화면에 따라 웹 브라우저 검색 화면내의 소정 위치에 미니 검색창의 레이어화면을 출력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제 3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스크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출력된 미니 검색창을 스크롤이동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검색창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판단결과, 미니 검색창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미니 검색창 닫기 상태의 레이어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검색창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후, 사용자로부터 스크롤모드 오프신호가 입력된 경우 미니 검색창을 웹 브라우저 검색 화면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검색창 제공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후, 사용자로부터 결과내 재검색 모드 온 신호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이를 웹 브라우저 화면내의 주 검색폼의 검색필드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검색창 제공 방법.
KR1020030079453A 2003-11-11 2003-11-11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미니 검색창 제공방법 KR10045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453A KR100450526B1 (ko) 2003-11-11 2003-11-11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미니 검색창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453A KR100450526B1 (ko) 2003-11-11 2003-11-11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미니 검색창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526B1 true KR100450526B1 (ko) 2004-10-01

Family

ID=3736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453A KR100450526B1 (ko) 2003-11-11 2003-11-11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미니 검색창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48B1 (ko) * 2010-07-21 2012-05-18 주식회사 오비고 모바일 웹 브라우저 상에서 웹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단말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48B1 (ko) * 2010-07-21 2012-05-18 주식회사 오비고 모바일 웹 브라우저 상에서 웹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단말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761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search query results
US6968332B1 (en) Facility for highlighting documents accessed through search or browsing
KR100341339B1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크기 및 윈도우 크기와 관련된 웹 페이지 적응 시스템
US70435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ed browsing and searching in a document collection based on information scent
US9984164B2 (en) Search systems and methods with integration of aggregate user annotations
US76852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rmalizing user-selected keywords in a folksonomy
US6415319B1 (en) Intelligent network browser using incremental conceptual indexer
US10133823B2 (en) Automatically providing relevant search results based on user behavior
US200400029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xt sensitive support for data processing device user search requests
US20090248674A1 (en) Search keyword improvement apparatus, server and method
CN102096667B (zh) 一种信息检索方法及系统
KR101393839B1 (ko) 링크된 용어들을 포함하는 활성 요약들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JP2002207749A (ja) 画像の統合された注釈及び検索のためのエージェント
CN101751428A (zh) 信息搜索方法及装置
KR20000006838A (ko) 인터넷상의 검색전문웹사이트 및 그 검색방법
JP2007280011A (ja) Webページ閲覧履歴の提示方法および装置
JP6932162B2 (ja) 地域に基づくアイテム推薦端末装置及びアイテム推薦情報提供方法。
JP2006285656A (ja) 文書検索システム、記録媒体、プログラム、および文書検索方法
JP2007034772A (ja) Webサイト検索結果の最適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装置及び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0231570A (ja) インターネット情報処理装置、インターネット情報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450526B1 (ko) 미니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미니 검색창 제공방법
Buzzi et al.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search engine interfaces: Preliminary testing
KR100494113B1 (ko)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
KR20000064069A (ko) 관계형 검색 시스템 및 검색결과의 표현방법
KR100622631B1 (ko) 정보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