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098B1 -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 Google Patents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098B1
KR100449098B1 KR10-2002-0039902A KR20020039902A KR100449098B1 KR 100449098 B1 KR100449098 B1 KR 100449098B1 KR 20020039902 A KR20020039902 A KR 20020039902A KR 100449098 B1 KR100449098 B1 KR 100449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guide hole
weight
writing instrument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372A (ko
Inventor
윤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to KR10-2002-003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098B1/ko
Publication of KR2004000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flicking or tilting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펜심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핀과, 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1안내홀을 갖는 추와, 추를 파지하는 탄성파지부, 및 추가 삽입되며 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2안내홀을 갖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핀이 상기 추의 제 1안내홀과 안내부재의 제 2안내홀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제 1안내홀이 제 2안내홀을 따라 핀이 이동함으로써 펜심이 출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가 필기구를 사용함에 있어 펜심을 돌출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며, 필기구를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세우기만 하면 펜심이 돌출되어 필기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Writing instrument having automatic pen-tip appearing and disappearing system}
본 발명은 펜심이 자동으로 돌출 및 몰입되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필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파지하면 펜심이 자동으로 돌출되고 파지력이 상실되면 펜심이 자동으로 몰입되는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펜심과 스프링, 펜심케이스 및 펜심 출몰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필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펜심출몰장치를 조작하여 펜심을 돌출시켜 사용하고,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펜심출몰장치를 조작하여 펜심을 몰입시켜 포켓 등에 꼽아 소지한다. 이러한 펜심출몰장치를 포함하는 필기구는 펜심의 출몰을 위해 버튼등을 이용하여 조작한다.
또한, 펜심출몰장치를 조작하는 것 이외에 뚜껑을 포함하는 필기구는 사용시에는 뚜껑을 열어 사용하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뚜껑을 닫아 소지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필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 구비된 펜심출몰장치를 조작하여 펜심을 돌출시켜 사용하여야 하고, 사용후에는 다시 펜심출몰장치를 조작하여 펜심을 몰입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필기구를 사용후 펜심을 몰입시키지 않고 포켓에 꼽아 소지하게 되면 몰입되지 않은 펜심의 잉크로 인하여 옷에 잉크가 뭍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뚜껑을 포함하는 필기구의 사용시는 일일이 뚜껑을 개폐해야하며, 뚜껑을 분실할 우려가 많아 사용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필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파지하면 펜심이 자동으로 돌출되고 파지력이 상실되면 펜심이 자동으로 몰입되어 필기구 사용을 위한 별도의 버튼조작이나 뚜껑을 개폐하는 등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펜심이 출몰되는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펜심이 몰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펜심이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핀 2 : 제 1안내홀
3 : 제 1추 4 : 제 2추
5 : 제 2안내홀 6 : 안내부재
7 : 캡 8 : 핀고정홀
9 : 펜심 10 : 잠금버튼
11 : 탄성파지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는 펜심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핀과, 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1안내홀을 갖는 추와, 추를 파지하는 탄성파지부, 및 추가 삽입되며 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2안내홀을 갖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핀이 상기 추의 제 1안내홀과 안내부재의 제 2안내홀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제 1안내홀이 제 2안내홀을 따라 핀이 이동함으로써 펜심이 출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핀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핀고정홀을 가지며 펜심과 결합하여 일체로 이동하도록 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추는 제 1안내홀을 형성한 제 1추와, 일정한 무게를 갖도록 금속재질로 된 제 2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핀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잠금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펜심이 몰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도이다.
도 1의 필기구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여 펜심이 몰입되어 있다.
도 1은 펜심(9)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부케이스를 도시했으며, 상부케이스는 제거된 상태이다. 안내부재(6)의 내부에는 제 1추(3)와 제 2추(4)가 탄성파지부(11)의 지지하에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추(3)는 핀(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1안내홀(2)을 구비하며, 안내부재(6)는 핀(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2안내홀(5)을 구비한다.
핀(1)은 제 1안내홀(2)과 제 2안내홀(5)을 따라 이동하도록 두 개의 홀안에 동시에 삽입되어 있다. 제 1추(3)는 탄성파지부(11)에 파지되어 있으며, 제 1추(3)의 양쪽 고리가 제 2추(4)의 홈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 2안내홀(5)을 구비한 안내부재(6)는 제 1추(3)의 전체와 제 2추(4)의 일부를 감싸고 있다.
여기서, 제 1추(3)의 제 1안내홀(2)과 안내부재(6)의 제 2안내홀(5)은 핀(1)이 두 개의 홀에 함께 관통되도록 동시에 삽입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펜심이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도이다.
즉, 사용자가 필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파지하여 지면과 직각으로 세운 경우 펜심이 돌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펜을 세워 드는 경우, 탄성파지부(11)에 파지되어 있던 제 1 및 제 2추(3, 4)는 중력에 의해 아래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 2추(4)는 중력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일정한 무게를 갖는 금속을 이용하며, 제 1추(3)는 제 1안내홀(2)을 구비해야 하므로 플라스틱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추(3, 4)의 결합을 위해 제 1추(3)는 양쪽에 두 개의 고리를 형성하며, 제 2추(4)는 양쪽에 두 개의 홈을 구비하여 서로 결합시킨다.
이러한 중력에 의해 제 1 및 제 2추(3, 4)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부재(6)는 그대로 위치하므로 제 2안내홀(5)의 위치가 변경되지는 않는다.
반면, 제 1안내홀(2)을 구비하는 제 1추(3)가 아래로 이동하면, 핀(1)은 제 1안내홀(2)의 오른쪽 하단에 고정된 채로 제 2안내홀(5)을 따라 아래로 이동한다.
핀(1)이 제 2안내홀(5)의 하부로 이동된 상태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그런다음 최대로 탄성파지부(11)가 탄성력을 발휘하면, 핀(1)은 더 이상 아래로 이동할 제 2안내홀(5)의 공간이 없는 상태에서 제 1추(3)가 더욱 아래로 내려온다. 따라서 핀(1)이 상대적으로 제 1안내홀(2)의 왼쪽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제 2안내홀(5)의 왼쪽으로 이동한다.
핀(1)이 제 2안내홀(5)의 왼쪽으로 이동된 상태는 도 2b에 되시되어 있다.
즉, 핀(1)이 제 2안내홀(5)을 따라 아래로 이동한 만큼 펜심(9)도 아래로 이동하여 돌출된다. 제 1단계로서 도 2a는 핀(1)이 제 2안내홀(5)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펜심(9)이 돌출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어서, 제 2단계로서 도 2b는 핀(1)이 제 1안내홀(2)을 따라 제 2안내홀(5)의 왼쪽으로 이동하여 펜심(9)이 고정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펜심(9)의 고정상태에서 필기를 마친 후에는 다시 펜심(9)이 몰입되도록 펜을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한다. 그러면, 중력이 상실되어 탄성파지부(11)가 원위치로 수축되도록 탄성을 받게 된다. 따라서, 핀(1)은 펜심(9)의 돌출을 위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거쳐 다시 올라가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 1추(3)가 탄성파지부(11)의 수축되는 탄성을 이용해 위로 딸려 올라간다. 그러므로, 핀(1)도 자동으로 원상태의 위치로 복귀하므로 펜심(9)이 몰입하게 된다.
여기서, 포켓 등에 꼽아 소지하고자 하는 경우는 펜을 세워야 하므로,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잠금버튼(10 : 도 3참조)을 이용하여 핀(1)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펜심(9)이 몰입된 상태에서, 제 2안내홀(5)의 핀(1)이 위치하지 않은 나머지부분에 삽입되도록 하는 잠금버튼(10)을 상부케이스에 형성한다. 사용자가 잠금버튼(10)을 조작했을 경우 핀(1)의 이동을 막아 펜심(9)의 돌출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잠금버튼(10) 이외에도 핀(1)의 이동을 막아 펜심(9)이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내부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서, 핀(1)은 핀고정홀(8)에 삽입고정되며, 캡(7)은 펜심(9)의 반대쪽 뚜껑의 역할을 하므로 펜심(9)과 핀(1)이 일체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핀(1)이 아래로 이동하면 펜심(9)도 동일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됨을 알 수 있고, 핀(1)이 반대로 이동하면 펜심(9)도 동일방향으로 이동하여 몰입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바깥쪽에 하부케이스가 케이싱된다.
안내부재(6)의 내부에는 탄성파지부(11)가 형성되며, 탄성파지부(11)에 제 1추(3)가 파지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제 2추(4)의 상부 양쪽에 형성된 홈과 제 1추(3)의 양쪽에 형성된 고리가 결합된다. 제 1추(3)는 안내부재(6)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 1안내홀(2)과 제 2안내홀(5)의 내부에 동시에 핀(1)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안내홀(5)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케이스 상에 잠금버튼(10)이 형성된다. 잠금버튼(10)을 눌러서 조작한 경우에는 제 2안내홀(5)의 핀(1)이 위치하지 않은 나머지부분에 삽입되어 핀(1)의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추(3, 4)가 중력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당겨지면, 제1추(3)의 제 1안내홀(2)이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2안내홀(5)을 따라 핀(1)이 이동하므로써 펜심(9)이 돌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가 필기구를 사용함에 있어 펜심을 돌출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며, 필기구를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세우기만 하면 펜심이 돌출되어 필기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필기를 위한 펜심(9)을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펜심(9)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핀(1);
    상기 핀(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1안내홀(2)을 갖는 추(3, 4);
    상기 추(3, 4)를 파지하는 탄성파지부(11); 및
    상기 추(3, 4)가 삽입되며, 상기 핀(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2안내홀(5)을 갖는 안내부재(6)를 포함하며,
    상기 핀(1)이 상기 추(3, 4)의 제 1안내홀(2)과 상기 안내부재(6)의 제 2안내홀(5)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제 1안내홀(2)과 제 2안내홀(5)을 따라 핀(1)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펜심(9)이 출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1)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핀고정홀(8)을 가지며, 상기 펜심(9)과 결합하여 일체로 이동하도록 하는 캡(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3, 4)는 제 1안내홀(2)을 형성한 제 1추(3)와, 일정한 무게를 갖도록 금속재질로 된 제 2추(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1)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잠금버튼(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KR10-2002-0039902A 2002-07-10 2002-07-10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KR10044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902A KR100449098B1 (ko) 2002-07-10 2002-07-10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902A KR100449098B1 (ko) 2002-07-10 2002-07-10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372A KR20040005372A (ko) 2004-01-16
KR100449098B1 true KR100449098B1 (ko) 2004-09-18

Family

ID=3731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902A KR100449098B1 (ko) 2002-07-10 2002-07-10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1762B2 (en) 2022-03-23 2024-04-09 BIC Violex Single Member S.A. Writing instrument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391B1 (ko) * 2002-12-06 2005-03-10 주식회사 모리스 펜심 노크식 필기구
KR101538275B1 (ko) * 2014-11-18 2015-07-22 천광주 출몰식 필기구의 푸쉬 로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1081U (ko) * 1980-12-12 1982-06-22
JPS57118877U (ko) * 1981-01-19 1982-07-23
US4377349A (en) * 1981-06-12 1983-03-22 Shusaku Kunii Ball point pen
JPS6135883U (ja) * 1984-08-02 1986-03-05 末峰 高橋 振ることにより筆記部を出入せしめる筆記具出入機構
KR19990004562U (ko) * 1997-07-04 1999-02-05 허정 자동필심 출몰식 필기구
KR200259253Y1 (ko) * 2001-09-11 2002-03-13 윤현선 자동 펜촉 수납 필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1081U (ko) * 1980-12-12 1982-06-22
JPS57118877U (ko) * 1981-01-19 1982-07-23
US4377349A (en) * 1981-06-12 1983-03-22 Shusaku Kunii Ball point pen
JPS6135883U (ja) * 1984-08-02 1986-03-05 末峰 高橋 振ることにより筆記部を出入せしめる筆記具出入機構
KR19990004562U (ko) * 1997-07-04 1999-02-05 허정 자동필심 출몰식 필기구
KR200259253Y1 (ko) * 2001-09-11 2002-03-13 윤현선 자동 펜촉 수납 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1762B2 (en) 2022-03-23 2024-04-09 BIC Violex Single Member S.A. Writing instrument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372A (ko)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0891A (en) Digitizer tablet with internally stored wireless stylus
KR100938409B1 (ko) 정보 처리 장치
US10377166B2 (en) Knock type pen
CN108847859A (zh) 电子设备
KR100449098B1 (ko) 자동 펜심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KR200483197Y1 (ko)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
CN209859396U (zh) 一种英语单词学习工具
JP4761456B2 (ja) キーケース、キー、およびキーシリンダ
CN208445550U (zh) 电子设备
KR200308080Y1 (ko) 흔들 필기구
KR200398230Y1 (ko) 동태적 루트 안내 및 위치고정장치
KR200305443Y1 (ko) 펜심 돌출 방지장치를 갖는 필기구
JP4761455B2 (ja) キーケース、キー、およびキーシリンダ
KR200267703Y1 (ko) 필기구의 클립형 필심 출몰장치
KR200235127Y1 (ko) 키이홀더
KR20130142828A (ko) 스타일러스 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KR101063564B1 (ko) 유에스비 커넥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04765B1 (ko)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샤프펜슬
KR102465553B1 (ko) 전자칠판용 전자펜 살균케이스
KR20040049440A (ko) 펜심 노크식 필기구
KR100444652B1 (ko) 필기구
KR19990004562U (ko) 자동필심 출몰식 필기구
KR1008442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보드 장치
KR930005024Y1 (ko) 퍼즐(puzzle)게임기가 부설된 필통
KR200259253Y1 (ko) 자동 펜촉 수납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