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884B1 - 조리용기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884B1
KR100444884B1 KR10-2002-0038207A KR20020038207A KR100444884B1 KR 100444884 B1 KR100444884 B1 KR 100444884B1 KR 20020038207 A KR20020038207 A KR 20020038207A KR 100444884 B1 KR100444884 B1 KR 10044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ver
handle body
hole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490A (ko
Inventor
손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경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경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경금속
Priority to KR10-2002-0038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884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47L1/05Hand apparatus with built-in electric motor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봉체와 같은 밀폐형 편수손잡이를 손잡이 본체와 덮게로 분할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덮게에는 엄지손가락 받침부와 걸고리구멍을 일체로 형성하여 생산 및 사용할 때 편리하고 또, 손잡이 본체와 금속연결구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손잡이 본체(1)와 덮게(2)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손잡이 본체(1)는 상부를 개방시키고 내부에는 공간부(3)와 보강편(4)들을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양쪽에 걸림턱(5')이 마련되도록 결합공(5)을 형성하고 후미에는 걸고리구멍(6)을 형성하며, 덮게(2)는 전방에 엄지손가락 받침부(7)와 후미에는 걸고리구멍(6')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공(5)과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턱(8')이 한쪽에 형성된 고정핀(8)을 형성하여 덮게(2)의 고정핀(8)을 상기 손잡이 본체(1)의 결합공(5)에 끼워서 덮게(2)와 손잡이 본체(1)를 일체로 구성하며, 상기 손잡이 본체(1)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부(9)에 금속연결구(10)를 설치하여 체크리벳(13)으로 리벳딩함으로써 돌조(11')(12')들 사이로 체크리벳(13)의 살부분(몸체)이 끼움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봉체형 손잡이를 손잡이 본체와 덮게를 분할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덮게와 손잡이 본체가 서로 다른 다양한 색상의 손잡이를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공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 보강편을 형성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엄지손가락 받침부와 걸고리구멍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생산/조립할 때 간편하고 사용할 때 편리한 장점있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손잡이{cooking vessel handle}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봉체와 같은 밀폐형 편수손잡이를 손잡이 본체와 덮게로 분할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덮게에는 엄지손가락 받침부와 걸고리구멍을 일체로 형성하며, 손잡이 본체와 금속연결구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양수손잡이와 편수손잡이가 있는데 본 발명은 편수손잡이에 관한 것이며, 편수손잡이는 도 6, 7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봉체와 같은 밀폐형 손잡이와 하부가 오픈된 개방형 손잡이로 크게 두가지 유형이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은 편수손잡이들 중에 밀폐형 손잡이는 손잡이 본체(50)를 사출할 때 공법상 코어를 사용함으로써 내부에 보강편이 없는 공간부(51)와 후미가 개방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손잡이 본체에 걸고리구멍(52)을 일체로 형성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매우 약하다.
그리고, 특히 손잡이 본체를 동질의 재질을 이용하여 단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색상과 디자인이 단조로워 소비자가 요구하는 시각적인 미감을 충족시킬 수 없으므로 상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 본체의 선단부에 금속연결구(53)와 후단부에 걸고리(54)를 조립하기 위하여서는 금속연결구에 암나사를 형성하는 공정과 걸고리를 별도로 생산하는 공정이 추가되고 또, 손잡이 본체에 형성된 공간부를 관통하는 길이의볼트(55)를 사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또 다른 유형의 개방형 손잡이(60)는 사출공법상 보강편(61)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상기 밀폐형 손잡이의 단점들 중에 색상이 단조로워 시각적인 미감을 부여할 수 없는 단점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고 또, 조리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잡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구석진부분에 이물질이 쌓이게 된다.
이렇게 쌓인 이물질은 세척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세균을 번식시키는 장소를 제공하므로서 비 위생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의 하부가 개방면서 모서리가 형성되기 때문에 손잡이를 잡았을 때 손가락이 모서리에 닿아 촉감을 나쁘게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단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밀폐형 손잡이를 구성하는 본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생산 및 사용할 때 편리하도록 하며 또, 손잡이 본체와 덮게를 다른 색상으로 연출시켜 시각적인 미감을 부여함으로써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키며, 손잡이 본체와 금속연결구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잡이 본체와 덮게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 보강편과 후미에는 걸고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덮게에는 엄지손가락 받침부와 걸고리구멍을 일체로 형성하여 손잡이 본체에 조립시키며 또, 손잡이 본체와 금속연결구는 체크리벳으로 조립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을 확대한 절단면도
도 4는 도 2의 C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D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밀폐형 편수손잡이의 단면도
도 7은 종래 개방형 편수손잡이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손잡이 본체 2: 덮게
3: 공간부 4: 보강편
5: 결합공 6:6': 걸고리구멍
7: 엄지손가락 받침부 8: 고정핀
9: 결합부 10: 금속연결구
11: 리벳구멍 11':12': 돌조
13: 체크리벳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구성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1)와 덮게(2)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손잡이 본체(1)는 상부를 개방시키고 내부에는 공간부(3)와 보강편(4)들을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양쪽에 걸림턱(5')이 마련되도록 결합공(5)을 형성하고 후미에는 걸고리구멍(6)을 형성하였다.
상기 손잡이 본체(1)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덮게(2)는 상부 전방에 엄지손가락 받침부(7)와 후미에는 걸고리구멍(6')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공(5)과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턱(8')이 한쪽에 형성된 고정핀(8)을 형성하여 덮게(2)의 고정핀(8)을 상기 손잡이 본체(1)의 결합공(5)에 끼워서 덮게(2)와 손잡이 본체(1)를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본체(1)의 선단부에는 중심부 아랫쪽으로 결합부(9)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금속연결구(10)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9)와 금속연결구(10)에 리벳구멍(11)을 형성시키되 내부에 돌조(11')들을 형성하고 또, 양쪽면(12)에 돌조(12')들을 형성하여 체크리벳(13)으로 리벳딩함으로써 돌조(11')(12')들 사이로 체크리벳(13)의 살부분(몸체)이 끼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30은 조리용기 고정용 구멍, 31은 배수공, 32는 조리용기 조립시 위치안내홈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속연결구(10)에 형성된 조리용기 고정용 구멍(30)을 이용하여 조리용기에 연결/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한데 손잡이 본체(1)와 덮게(2)를 분할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손잡이 본체(1)의 내부에는 공간부(3)와 보강편(4)들을 일체로 시킬 수 있고, 이렇게 손잡이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된 보강편(4)들의 작용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 본체(1)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덮게(2)는 보강편(4)의 윗부분에 받쳐지기 때문에 외부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덮게(1)가 울렁이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본체(1)에 걸림턱(5')이 마련되도록 결합공(5)을 형성하고 덮게(2)에 걸림턱(8')이 한쪽에 형성된 고정핀(8)을 형성함으로써 손잡이 본체(1)와 덮게(2)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덮게(2)를 여러가지 색상으로 생산하여 손잡이 본체(1)에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간편하게 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 본체(1)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덮게(2)의 전방에 엄지손가락 받침부(7)를 후미에는 걸고리구멍(6')을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생산, 조립 및 사용할 때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본체(1)의 선단부에는 중심부 아랫쪽으로 결합부(9)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금속연결구(10)를 결합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긴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가격이 저렴한 리벳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9)와 금속연결구(10)에 리벳구멍(11)을 형성시키되 내부에 돌조(11')들을 형성하고 또, 양쪽면(12)에 돌조(12')들을 형성하여 체크리벳(13)으로 리벳딩함으로써 돌조(11')(12')들 사이로 체크리벳(13)의 살부분(몸체)이 끼움되록 하였기 때문에 금속연결구(10)와 체크리벳(13) 그리고 손잡이 본체(1)가 서로 맞물려져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봉체형 손잡이를 손잡이 본체와 덮게를 분할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덮게와 손잡이 본체가 서로 다른 다양한 색상의 손잡이를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공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 보강편을 형성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엄지손가락 받침부와 걸고리구멍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생산/조립할 때 간편하고 사용할 때 편리한 장점있다.

Claims (2)

  1.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1)는 상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공간부(3)와 보강편(4)들을 일체로 형성하고 양쪽에 걸림턱(5')이 마련된 결합공(5)과 후미에는 걸고리구멍(6)을 일체로 형성하며,
    덮게(2)는 전방에 엄지손가락 받침부(7)와 후미에는 걸고리구멍(6')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공(5)과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턱(8')이 한쪽에 형성된 고정핀(8)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 본체(1)에 결합하고 손잡이 본체(1)의 선단부에는 중심부 아랫쪽으로 금속연결구(10)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금속연결구(10)와 결합부(9)에 리벳구멍(11)을 형성시키되 내부에 돌조(11')들과 양쪽면(12)에 돌조(12')들을 형성하여 체크리벳(13)으로 리벳딩함으로써 돌조(11')(12')들 사이로 체크리벳(13)의 살부분(몸체)이 끼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2002-0038207A 2002-07-03 2002-07-03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044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207A KR100444884B1 (ko) 2002-07-03 2002-07-03 조리용기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207A KR100444884B1 (ko) 2002-07-03 2002-07-03 조리용기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490A KR20040003490A (ko) 2004-01-13
KR100444884B1 true KR100444884B1 (ko) 2004-08-21

Family

ID=3731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207A KR100444884B1 (ko) 2002-07-03 2002-07-03 조리용기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8518A1 (ko) * 2009-02-27 2010-09-02 김차식 이중조리기구와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256U (ko) * 1991-06-12 1993-01-20 왕수창 조리용 뒤지게의 손잡이 결착장치
KR19990041338U (ko) * 1998-05-18 1999-12-15 이충관 조리용구 손잡이
KR20000075452A (ko) * 1999-05-10 2000-12-15 라 떠모플라스띠끄 에프.비.엠. 에세.알.엘. 조리기구용 양면 손잡이
KR200232571Y1 (ko) * 2001-02-09 2001-09-25 감죽일 프라이팬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256U (ko) * 1991-06-12 1993-01-20 왕수창 조리용 뒤지게의 손잡이 결착장치
KR19990041338U (ko) * 1998-05-18 1999-12-15 이충관 조리용구 손잡이
KR20000075452A (ko) * 1999-05-10 2000-12-15 라 떠모플라스띠끄 에프.비.엠. 에세.알.엘. 조리기구용 양면 손잡이
KR200232571Y1 (ko) * 2001-02-09 2001-09-25 감죽일 프라이팬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8518A1 (ko) * 2009-02-27 2010-09-02 김차식 이중조리기구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490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356B2 (en) Slider for fastener
CA118900S (en) Toner cartridge
JPS58165805A (ja) 引手を着脱できるスライドフアスナ−用スライダ−
RU2008112608A (ru) Корпус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KR100444884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EG24454A (en) Device for fastening a connecting member to a handle of a cooking vessel
USD572112S1 (en) Window fastener
KR200424501Y1 (ko) 가구용 도어 손잡이 구조
KR100683634B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핸들과 도어 커버의 결합 구조
KR200489012Y1 (ko) 가구용 손잡이
CN218128465U (zh) 一种带把手的碗篮及其洗碗机
CN106766597B (zh) 冰箱门框装饰条及拉手的装配结构
KR101693368B1 (ko) 미닫이 및 여닫이 도어 겸용 매립 손잡이
KR200311050Y1 (ko) 패스너 슬라이드 피스의 탄성편 위치 결정 구조
KR200347419Y1 (ko) 유리도어 안전장치
KR20200002584U (ko)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
CN211526851U (zh) 一种冰箱抽屉式门体上端盖与装饰条装配结构
KR100880694B1 (ko) 냉장고 도어핸들 결합구조
KR102021638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CA104676S (en) Latch furniture
CN220988730U (zh) 洗碗机的门体和洗碗机
KR200331238Y1 (ko) 머리핀의 덮개장식부 결합구조
KR200438260Y1 (ko) 냉장고 도어
KR102506375B1 (ko) 가구용 손잡이
CN112826179B (zh) 拉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