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745B1 - 오일 펜스 - Google Patents

오일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745B1
KR100444745B1 KR10-2001-0056215A KR20010056215A KR100444745B1 KR 100444745 B1 KR100444745 B1 KR 100444745B1 KR 20010056215 A KR20010056215 A KR 20010056215A KR 100444745 B1 KR100444745 B1 KR 100444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resent
buoyancy
net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0221A (ko
Inventor
고영근
Original Assignee
고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근 filed Critical 고영근
Priority to KR10-2001-0056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745B1/ko
Publication of KR2001011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에 오일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오일의 확산을 방지하는 오일펜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부력통이 고정된 부력통 고정틀을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 하부에 설치된 연결고리에 오일차단망을 끼워주되 상기 오일차단망은 흡착포를 그물로 감싸고 하부에 샤클을 달아주므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오일 펜스{Oil fence}
본 발명은 수면에 오일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오일의 확산을 방지하는 오일펜스에 관한 것으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하는 한편 수면을 타고 떠내려 가는 부유쓰레기를 모아줄 수도 있다.
해수면이나 내수면에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기름확산을 방지하여야만 피해범위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는 에어가 들어간 풍선형태의 오일펜스를 사용하여 오일확산을 방지하고 있으며 오일펜스로 둘러 쌓인기름유출면에는 흡착포를 띄워 기름을 흡착시킨 후 이를 제거해 주고 있다.
상기된 오일펜스는 바람이나 물건의 영향에 의해 오일이 오일펜스를 타고 넘거나 밑으로 흘러나가게 되어 효과적인 오일확산 방지를 할 수 없었다.
특히 오일은 물위에 뜨게되나 실질적으로 수면에 가까운 물속에서는 오일이 부분적으로 물과 혼합되어 흐르게 되므로 기존 오일펜스와 같이 물표면을 따라 흐르는 오일만을 차단시킬 경우 물 표면층 하부로 이동되는 오일은 차단시킬 수 없어제 2, 제 3 의 오일펜스를 계속 설치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서 오일차단망을 분리하고 부유물과 쓰레기를 걸러내는 차단망을 설치할 경우 물을 타고 떠내려 오는 쓰레기와 부유물을 걸러내어 제거해 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면에 오일이 유출되었을 때 물표면과 물표면 하부를 통하여 이동하는 오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오일차단망이 물표면 상부에서 일정깊이까지 쳐지도록 하므로써 오일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차단망 내부에 흡착포를 삽입시켜 오일이 오일펜스를 통하여 확산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키는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부력통이 고정된 부력통 고정틀을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 하부에 설치된 연결고리에 오일차단망을 끼워주되 상기 오일차단망은 흡착포를 그물로 감싸고 하부에 샤클을 달아주므로써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오일펜스 사용상태 사시도
도 2 은 본 발명의 오일펜스 사용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부력통 연결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봉 연결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오일차단망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항로구 설치상태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항로구 설치상태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 정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 측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결합고리 부분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기 설치상태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기 설치상태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기 요부측면도
도 16 는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기 요부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차단망 설치상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력틀 고정틀 11 : 부력통
13 : 연결봉 15 : 고정봉
20 : 결합구 21 : 결합돌기
30 : 오일차단망 31 : 그물
32 : 흡착포 40 : 연결고리
45 : 항로구 50 : 차단망
60 : 쓰레기수거기 62 : 회동편
63 : 연결편 65 : 모터
본 발명은 2개의 부력통(11)이 설치된 부력통 고정틀(10)과, 부력통 고정틀(10)의 양측으로 볼 죠인트(14)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봉(13)과, 상기 연결봉(13)선단에 설치되어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돌기(21) 및 결합구(20)와, 상기 부력통 고정틀(10)의 고정봉(15)과 연결봉(13)에 하부에 고정된 연결고리(40)와, 상기 연결고리(40)에 상부가 끼워지며 로프로 연결된오일차단망(30)으로 구성된다.
오일차단망(30)은 양측으로 그물(31)이 흡착포(32)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에는 물속에 가라앉히기 위한 샤클(33)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부에는 부력을 견디기 위해 로프를 묶어 놓는다.
부력통(11)을 고정시키는 부력통 고정틀(10)의 중앙에는 연결고리(40)가 고정된 고정봉(15)이 설치되고 상기 부력통 고정틀(10)의 양측으로는 연결봉(13)이 볼죠인트(14)방식으로 결합되어 좌,우,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하므로써, 연결봉(13)이유속과 부력 및 바람에 의해 이동이 될 때 전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하여 연결봉(13)이 휘거나 부러질 경우를 방지한다.
연결봉(13)선단에 고정된 결합돌기(21)는 결합구(20)에 끼워지고 스프링(23)에 탄지된 볼(24)이 결합홀(25)에 끼워지므로써 결합된다.
연결고리(40)는 오일차단망(30)상부에 끼워지게 되며 걸림편(41)이 설치되어 일부러 빼내지 않는한 자력에 의해 빠지지는않는다.
부력통 고정틀(10)에는 반사경(12)을 설치하여 야간에도 쉽게 오일펜스 설치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바다 양식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부력통고정틀(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13)을 양측으로 두개가 되도록 설치하여 하나의 연결봉에는 양식용 가두리 그물이 끼워지게 하고 다른 하나의 연결봉에는 오일차단망(30)을 끼워주도록 한다.
그러면 가두리 양식장의 외측까지 밀려온 기름이나 부유물이 오일차단망(30)에 차단되어 가두리 양식 그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부력통 고정틀(10)은 1개씩 분리시킨 상태로 배에 싣게 되고 오일차단망(30)은 일정길이로 잘 접어서 배에 싣게 된다.
부력통 고정틀(10)과 오일차단망(30)을 싣고 다니다가 오일 유출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부력통 고정틀(10)의 고정봉(15)과연결봉(13)에 설치된 연결고리(40)에 오일차단망(30)의 상부를 끼워주며 오일이 확산되지 않도록 물에 띄워준다.
이때 부력통 고정틀(10)은 결합돌기(21)를 결합돌기(20)에 끼워주는 방법으로 연속 연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오일차단망(30)은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상부에서 돌출되는 한편 수면 하부로 샤클(33)에 의해 잠기게되고 오일차단망(30)내부에 흡착포(32)가 끼워져 있게 되므로 물표면과 물표면 하부를 통하여 오일이 확산되지 않는다.
오일차단망(30)의 길이를 연결시킬 때에는 도 12 에 도시된 결합고리(35)를 사용하여 오일차단망(30)끼리 연결시키도록하며, 이때 결합고리(35)는 결합핀(36)이 스프링(37)에 탄지되어 있어 인력으로 분리시키지 않는 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같이 본 발명은 부력통 고정틀(10)과 오일차단망(30)의 연결로 길이에 관계없이 오일펜스를 칠 수 있으며, 특히 흡착포(32)가 내장된 오일차단망(30)으로 오일확산을 방지하되 오일차단망(30)이 수면위쪽에서부터 아래쪽까지 쳐지게 되어 물표면과 물표면 하부에 떠있는 기름이 오일차단망(30)을 통과하여 확산되지 않는다.
오일확산을 방지한 후에는 부력통 고정틀(10)에서 오일차단망(30)을 분리시킨 후 흡착포(32)를 제거하고 새로운 흡착포를끼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쳐진 오일펜스 중간에 도 7 과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로구(45)를 설치하여 배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한다.
항로구(45)는 양측에 부력통(46)이 고정되고 수면 깊숙이 꺽인 형태로 되어 있어 항로구(45)를 통하여 배가 운항할 수 있다.
항로구(45)를 설치하는 이유는 오일펜스에 갖힌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선박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차단망(30)대신에 폭이 넓은 그물로 된 차단망(50)을 설치하고하부에 심추(51)를 달아 줄 경우 수면을 타고 흐르는 각종 부유물이나 쓰레기를 걸러줄 수 있다.
여기서 부력통(11)과 부력통 고정틀(10)의 구조 및 결합구(20)와 결합돌기(21)에 의한 연결 그리고 연결고리(40)에 의한결합방식은 전술된 바와 같으며, 다만 오일차단망(30)을 사용치 않고 그물로만된 차단망(50)을 사용하는 것이 상이하다.
차단망(50)은 물속 깊숙히 쳐지도록 폭이 넓은 것을 사용하고 심추(51)를 달아 수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차단망(5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이나 수로의 양쪽에 설치된 콘크리트 고정물(50')에 연결하여 수로를타고 흘러내리는 쓰레기나 부유물을 걸러줄 수 있도록 한다.
쓰레기는 차단망(50)에 걸려 항로구(45)쪽으로 유도되며, 상기 항로구(45)쪽으로 유도된 쓰레기를 집중적으로 수거하게한다.
차단망(50)사이에는 도 7 과 도 8 에 도시된 항로구(45)를 설치하여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한 경우 선박을 왕래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항로구(45)에는 쓰레기수거기(60)를 설치하여 차단망(50)에 걸려 모아진 쓰레기를 걷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걷어낸 쓰레기는 바지선(61)에 쌓이도록 한다.
쓰레기 수거기(60)는 날개가 형성된 회동편(62)을 연결편(63)으로 연결하여 체인과 같이 구성시키게 되며 양쪽에 스프라켓(64)을 설치하되 상부 스프라켓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65)를 연결한다.
쓰레기수거기(60)는 지지틀(66)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틀(66)은 가이드편(67)에 끼워져 슬라이딩되게 하며 가이드편(67)과지지틀(66)사이에 유압실린더(68)를 설치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편(67)에는 수직으로 유압실린더(69)를설치하여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쓰레기를 걷어내기 위해서는 유압실린더(69)를 작동시켜 쓰레기수거기(60)를하향이동시킨 후 다시 유압실린더(68)를 작동시켜 쓰레기수거구(60)를 물속으로 이동시킨 다음 모터(65)를 작동시키면 쓰레기 수거기(60)가 회전하면서 회동편(62)의 날개로 쓰레기를 걷어내게 된다.
쓰레기 수거기(60)로 걷어낸 쓰레기는 바지선(61)위에 쌓이게되므로 주기적으로 이를 운반하면 물을 타고 흐르는 부유물이나 쓰레기를 제거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일펜스에 관한 것으로 오일차단망을 물위로 돌출시키는 한편 물아래도 가로막아 물표면과 그 하부를 따라 이동 확산되는 오일을 차단시키는 한편 오일차단망에 흡착포를 내장시켜 오일확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차단망 대신 차단망을 설치하여 물을 따라 흐르는 부유물이나 쓰레기를 걷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3)

  1. 수면에 뜨는 부력통(11)이 설치된 부력통 고정틀(10)과,
    부력통 고정틀(10)의 양측으로 볼죠인트(14)결합되는 연결봉(13)과,
    연결봉(13)선단에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결합돌기(21) 및 결합구(20)와,
    상기 연결봉(13)하부와 부력통고정틀(10)의 고정봉(15)하부에 고정된 연결고리(40)와,
    상기 연결고리(40)에 상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오일차단망(30)으로 이루어진 오일 펜스.
  2. 제 1 항에서, 오일차단망(30)은 흡착포(32)를 사이에 두고 그물(31)을 씌워주며, 하부에는 샤클(33)이 결합된 오일 펜스.
  3. 제 1 항에서, 연결고리(40)에는 그물로 이루어진 차단망(50)의 상부가 끼워지고 상기 차단망(50)의 하부는샤클(33)과 심추(51)가 결합되는 오일 펜스.
KR10-2001-0056215A 2001-09-12 2001-09-12 오일 펜스 KR100444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215A KR100444745B1 (ko) 2001-09-12 2001-09-12 오일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215A KR100444745B1 (ko) 2001-09-12 2001-09-12 오일 펜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779U Division KR200204686Y1 (ko) 2000-06-02 2000-06-02 오일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221A KR20010110221A (ko) 2001-12-12
KR100444745B1 true KR100444745B1 (ko) 2004-08-21

Family

ID=4592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215A KR100444745B1 (ko) 2001-09-12 2001-09-12 오일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7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306B1 (ko) * 2016-10-27 2018-03-12 대한민국 오일펜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81B1 (ko) * 2008-10-07 2012-03-16 김학근 오일 펜스
KR20180060963A (ko) 2016-11-28 2018-06-07 한국과학기술원 진공 압축 보관이 가능한 매트형 오일펜스 장치
KR20180062322A (ko) 2016-11-29 2018-06-08 한국과학기술원 폭발용접 방식을 이용한 선체 부착 장치
KR20180060961A (ko) 2016-11-29 2018-06-07 한국과학기술원 마그네틱 오일펜스 장치
KR102428118B1 (ko) * 2022-02-23 2022-08-01 조경수 오탁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306B1 (ko) * 2016-10-27 2018-03-12 대한민국 오일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221A (ko)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5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sorptive boom
KR102020273B1 (ko) 해양 미세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포집 시스템
DE60226064T2 (de) Filtersystem für Wasserentnahmen aus Oberflächengewässern
CA3052568C (en) A floating plant
KR102246001B1 (ko) 조류를 이용한 해상 부유 쓰레기 차집장치 및 그 방법
KR100444745B1 (ko) 오일 펜스
CN213448379U (zh) 污染物拦截装置
RU22663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удержания разливов нефти
US83888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kimming oil from water using absorbent pads
KR200204686Y1 (ko) 오일 펜스
KR100692362B1 (ko)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2457092B1 (ko) 오일펜스
JP5645141B2 (ja) 取水装置
JP3740146B2 (ja) 汚濁拡散防止膜
KR20130125989A (ko) 거품포집장치
CN219386244U (zh) 一种水生态修复不透水围隔
JPH07250586A (ja) 湧昇流発生装置
KR200376715Y1 (ko)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CN216108391U (zh) 流动水体拦截装置
KR200174215Y1 (ko) 개량 정치어망
AU2015101729A4 (en) Barrier
KR10260636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KR900008717Y1 (ko) 간척지용 실트 차단막
US11859362B2 (en) Self-filling erosion control apparatus
KR200286213Y1 (ko) 원통관로가 결합된 상승,하강이조종되는 어구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