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442B1 -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 - Google Patents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442B1
KR100439442B1 KR1020040014368A KR20040014368A KR100439442B1 KR 100439442 B1 KR100439442 B1 KR 100439442B1 KR 1020040014368 A KR1020040014368 A KR 1020040014368A KR 20040014368 A KR20040014368 A KR 20040014368A KR 100439442 B1 KR100439442 B1 KR 100439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octor
home
medical
medical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기
Original Assignee
조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기 filed Critical 조남기
Priority to KR102004001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원을 온 시키면 셋톱 박스 내의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TV와 의료단말기 및 인터넷 전화 등이 켜지는 단계; 환자가 TV 화면에 나타난 ID 입력창에 자신의 ID를 입력하면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정병원 서버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지정병원 서버에서 환자의 ID가 확인되면 환자의 병원이력이 자동으로 환자의 TV 화면에 나타나는 단계; 상기 셋톱 박스와 연결된 의료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가 혈압, 혈당, 체온, 심전도 등을 측정하면 환자의 측정자료가 환자의 TV 화면에 나타나는 단계; 상기 환자의 TV 화면에 나타난 환자의 측정자료가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정병원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측정자료가 지정병원 서버에서 환자의 진료그래프로 변환되어 저장되고, 정상인 그래프와의 비교치를 대비하여 환자의 이상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진료그래프가 정상이면 환자의 정기검진 예약과 동시에 검진일자가 환자에게 통보되어 정해진 검진일자에 의사와의 재택진료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진료그래프가 비정상이면 의사의 재택진료가 접속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의사의 재택진료가 접속 불가능 할 경우 우선 진료로 접속 대기하는 단계; 의사의 재택진료가 접속 가능하면 환자의 검진 기록이 의사의 모니터에 나타나 이를 확인하는 단계; 환자와 의사가 인터넷전화와 화상카메라를 통하여 환자의 TV와 의사의 모니터에 나타난 진료기록을 토대로 환자의 재택진료를 실행하는 단계; 환자가 의사와의 재택진료 접속이 불가능 하더라도 환자가 긴급진료를 요청할 경우에는 의사를 자동 호출하여 재택진료를 실행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이상여부에 따라 정상인 경우에는 환자의 정기검진 예약과 동시에 검진일자가 환자에게 통보되어 검진일자에 재택진료를 할 수 있으며, 환자가 비정상인 경우라도 의사의 재택진료 접속여부가 확인되어 접속이 불가능하면 재택진료가 예약되며, 또한 환자가 긴급진료를 요청할 경우 의사를 자동 호출하여 재택진료를 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 {home consultation, appointment system by wire, wireless network }
본 발명은 환자의 이상여부에 따라 정상인 경우에는 환자의 정기검진 예약과 동시에 검진일자가 환자에게 통보되어 검진일자에 재택진료를 할 수 있으며, 환자가 비정상인 경우라도 의사의 재택진료 접속여부가 확인되어 접속이 불가능하면 재택진료가 예약되며, 또한 환자가 긴급진료를 요청할 경우 의사를 자동 호출하여 재택진료를 할 수도 있는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택진료를 받고자 하는 경우 환자가 의료정보에 관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증상, 혹은 궁금한 내용을 입력하면 그에 따른 응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여러 의료 정보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병원을 가지 않고도 자신의 증상을 알고 싶으나 환자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거나 컴퓨터가 없어 인터넷에 접속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상기와 같은 재택진료방식은 무리가 있다.
또한, 각 가정에 인터넷이 있다할지라도 사용하는 연령층이 낮고 각 가정마다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를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며,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령층은 중 장년층 이상으로 이들 중 다수는 인터넷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어 실제로는 사용자의 제한이 따른다.
그리고 일반인들이 자신의 증상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또한 병에 걸렸다하더라도 초기단계인 경우 그 증상은 인식되지 못할 정도로 미약하므로 질병을 예방한다는 차원에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았고 활용되지도 못하였다.
특히, 노인들이나 퇴원환자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나 종래에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개특허공보 2001-37228호 원격진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정보관리시스템이 제시되었다.
상기 원격진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정보관리시스템은 사용자가 진료측정치를 무선이나 유선통신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송신할 수 있고 자동진단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관리시스템은 혈압/혈당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치를 송신하고 그에 따른 원격진료장치와 상기 원격진료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자동진단데이터 결과를 해당 원격진료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교환장치와, 상기 데이터 교환장치에 수신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진단/관리하는 전문가시스템으로 구성된 자동진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관리시스템 또한 환자와 의사간에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진료에 대한 상담을 할 수 없이 측정치에 대한 자료 확인만 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의한 진료예약 시스템이 없고 환자가 언제나 의사와 상담을 원할 시 상담할 수도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환자의 이상여부에 따라 정상인 경우에는 환자의 정기검진 예약과 동시에 검진일자가 환자에게 통보되어 검진일자에 재택진료를 할 수 있으며, 환자가 비정상인 경우라도 의사의 재택진료 접속여부가 확인되어 접속이 불가능하면 재택진료가 예약되며, 또한 환자가 긴급진료를 요청할 경우 의사를 자동 호출하여 재택진료를 할 수도 있는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을 온 시키면 셋톱 박스내의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TV와 의료단말기 및 인터넷 전화 등이 켜지는 단계; 환자가 TV 화면에 나타난 ID 입력창에 자신의 ID를 입력하면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정병원 서버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지정병원 서버에서 환자의 ID가 확인되면 환자의 병원이력이 자동으로 환자의 TV 화면에 나타나는 단계; 상기 셋톱 박스와 연결된 의료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가 혈압, 혈당, 체온, 심전도 등을 측정하면 환자의 측정자료가 환자의 TV 화면에 나타나는 단계; 상기 환자의 TV 화면에 나타난 환자의 측정자료가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정병원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측정자료가 지정병원 서버에서 환자의 진료그래프로 변환되어 저장되고, 정상인 그래프와의 비교치를 대비하여 환자의 이상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진료그래프가 정상이면 환자의 정기검진 예약과 동시에 검진일자가 환자에게 통보되어 정해진 검진일자에 의사와의 재택진료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진료그래프가 비정상이면 의사의 재택진료가 접속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의사의 재택진료가 접속 불가능 할 경우 우선 진료로 접속 대기하는 단계; 의사의 재택진료가 접속 가능하면 환자의 검진 기록이 의사의 모니터에 나타나 이를 확인하는 단계; 환자와 의사가 인터넷전화와 화상카메라를 통하여 환자의 TV와 의사의 모니터에 나타난 진료기록을 토대로 환자의 재택진료를 실행하는 단계; 환자가 의사와의 재택진료 접속이 불가능 하더라도 환자가 긴급진료를 요청할 경우에는 의사를 자동 호출하여 재택진료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진료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택진료예약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택진료예약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TV 2 : 화상 카메라
3 : 셋톱 박스 4 : 의료단말기
5 : 인터넷 전화 6 : 지정병원 서버
7 : 의사 모니터 8 : 긴급전화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택진료예약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택진료예약 흐름도로서 같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TV(1)와, 환자와 의사간의 화상 상담을 하기 위한 화상 카메라(2)와, 환자의 원격진료 기초자료가 되는 혈압, 혈당, 체온, 심전도 등을 환자가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의료단말기(3)와, 유, 무선통신망으로 사용하는 인터넷 전화(4) 및 이들과 상호 연결되어 있는 셋톱 박스(5), 그리고 상기 셋톱 박스(5)와 유,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환자와 의사간의 진료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지정병원 서버(6)와 원격진료 기초자료의 결과확인과 화상상담 시 화상이 나타나는 의사 모니터(7)와 긴급진료 시 연결되는 긴급전화(8)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보면서 상기 도 1에 대한 구성간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환자가 원격진료를 하고자 할 때 셋톱 박스(5)를 온 시키면 셋톱 박스(5) 내의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TV(1)와 의료단말기(3) 및 인터넷 전화(4)등이 켜지게 된다.
이 때, 상기 TV(1) 화면에 나타난 ID 입력창에 자신의 ID를 입력하면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정병원 서버(6)에 연결되며, 상기 지정병원 서버(6)에서 환자의 ID가 확인되면 환자의 병원이력이 자동으로 환자의 TV(1)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상기 셋톱 박스(5)와 연결된 의료단말기(3)를 이용하여 환자가 혈압, 혈당, 체온, 심전도 등을 측정하면 환자의 측정자료가 환자의 TV(1) 화면에 나타나며, 상기 환자의 TV(1) 화면에 나타난 환자의 측정자료가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정병원 서버(6)에 저장된다.
상기 환자의 측정자료가 지정병원 서버(6)에서 환자의 진료그래프로 변환되어 저장되며, 이미 입력되어 있는 정상인 그래프와 대비하여 환자의 이상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환자의 진료그래프가 정상으로 판정되면 의사와의 재택진료로 접속하지 않고, 지정병원 서버에서 자동으로 환자의 정기검진 예약과 동시에 검진일자를 환자에게 통보하고 정해진 검진일자에 의사와의 재택진료가 접속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환자의 정해진 검진일자에 의사와의 재택진료가 접속되면 환자와 의사는 인터넷 전화(4)와 화상 카메라(2)를 통하여 환자의 TV(1)와 의사의 모니터(7)에 나타난 진료기록을 토대로 환자의 재택진료를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재택진료 시 화상 카메라(2)를 통하여 환자의 화상을 보면서 진료하기 때문에 얼굴에 나타난 피부색을 통하여 임상적인 진료가 가능하며, 또한 환자가 사용하는 의료단말기(3)에 청진기를 접속하면 보다 효과적인 재택진료를 할 수도 있다.
상기 환자의 진료그래프가 비정상으로 나타날 경우에는 먼저 지정병원 서버(6)에서 의사와의 재택진료가 접속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의사가 타 환자를 접속하여 진료를 하거나 의사가 의사의 모니터(7)를 끈 상태에서는 재택진료를 할 수가 없으며, 이러한 경우 지정병원 서버에서 환자 우선 진료 대상으로 확인되어 의사와의 접속을 대기하는 재택진료 예약상태로 된다.
그리고 재택진료 예약상태에서 재택진료 접속이 가능하게 되면 상기와 같이 환자와 의사는 인터넷 전화(4)와 화상 카메라(2)를 통하여 환자의 TV(1)와 의사의 모니터(7)에 나타난 진료기록을 토대로 환자의 재택진료를 실행한다.
처음부터 의사와의 재택진료가 접속가능하게 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환자와 의사는 인터넷 전화(4)와 화상 카메라(2)를 통하여 환자의 TV(1)와 의사의 모니터(7)에 나타난 진료기록을 토대로 환자의 재택진료를 실행한다.
하지만 환자가 의사와의 재택진료 접속이 불가능하더라도 환자가 긴급진료를 요청해야만 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환자가 의사를 자동 호출할 수 있도록 재택진료 시 환자나 의사가 사용하는 인터넷 전화(4)에 호출번호를 입력하여 긴급전화(8)가 울리도록 하며, 의사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환자를 자동 호출하여 재택진료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인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은 환자의 이상여부에 따라 정상인 경우에는 환자의 정기검진 예약과 동시에 검진일자가 환자에게 통보되어 검진일자에 재택진료를 할 수 있으며, 환자가 비정상인 경우라도 의사의 재택진료 접속여부가 확인되어 접속이 불가능하면 재택진료가 예약되며, 또한 환자가 긴급진료를 요청할 경우 의사를 자동 호출하여 재택진료를 할 수도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Claims (1)

  1.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에 있어서,
    전원을 온 시키면 셋톱 박스 내의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TV와 의료단말기 및 인터넷 전화 등이 켜지는 단계;
    환자가 TV 화면에 나타난 ID 입력창에 자신의 ID를 입력하면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정병원 서버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지정병원 서버에서 환자의 ID가 확인되면 환자의 병원이력이 자동으로 환자의 TV 화면에 나타나는 단계;
    상기 셋톱 박스와 연결된 의료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가 혈압, 혈당, 체온, 심전도 등을 측정하면 환자의 측정자료가 환자의 TV 화면에 나타나는 단계;
    상기 환자의 TV 화면에 나타난 환자의 측정자료가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정병원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측정자료가 지정병원 서버에서 환자의 진료그래프로 변환되어 저장되고, 정상인 그래프와의 비교치를 대비하여 환자의 이상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진료그래프가 정상이면 환자의 정기검진 예약과 동시에 검진일자가 환자에게 통보되어 정해진 검진일자에 의사와의 재택진료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진료그래프가 비정상이면 의사의 재택진료가 접속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의사의 재택진료가 접속 불가능 할 경우 우선 진료로 접속 대기하는 단계;
    의사의 재택진료가 접속 가능하면 환자의 검진 기록이 의사의 모니터에 나타나 이를 확인하는 단계;
    환자와 의사가 인터넷전화와 화상카메라를 통하여 환자의 TV와 의사의 모니터에 나타난 진료기록을 토대로 환자의 재택진료를 실행하는 단계; 환자가 의사와의 재택진료 접속이 불가능 하더라도 환자가 긴급진료를 요청할 경우에는 의사를 자동 호출하여 재택진료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
KR1020040014368A 2004-03-03 2004-03-03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 KR100439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368A KR100439442B1 (ko) 2004-03-03 2004-03-03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368A KR100439442B1 (ko) 2004-03-03 2004-03-03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9442B1 true KR100439442B1 (ko) 2004-07-09

Family

ID=3734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368A KR100439442B1 (ko) 2004-03-03 2004-03-03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555A1 (ko) * 2012-07-04 2014-01-09 인텔렉추얼 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건강관리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스마트 tv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555A1 (ko) * 2012-07-04 2014-01-09 인텔렉추얼 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건강관리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스마트 tv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eland et al. Caring for people with heart failure and many other medical problems through and beyond the COVID‐19 pandemic: the advantages of universal access to home telemonitoring
US116331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health care
US8721543B2 (en) Data analytics system
JP4154559B2 (ja) 医療診断システムとその診断処理方法
KR101051263B1 (ko) 만성질환자를 위한 재택 원격 가정 간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601737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US20010051765A1 (en) Patient care delivery system
US20110301429A1 (en) Method for remote diagnostic monitoring and support of patients and device and telemedical center
US20120089412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atient Advocacy Through Online Healthcare Provisioning
US20030092976A1 (en) Interactive medical diagnostic device
US20070129610A1 (en) Method of providing automated medical assistance
JP2007287144A (ja) リアルタイム監視システムの症例ベース結果予測
JP2012008931A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表示装置、遠隔診療システム、遠隔診療方法、処理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40236627A1 (en) Dynamic medical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060074722A1 (en)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and related measurement apparatus
US201000638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wing Patient Access to a Patient Electronic Health Records
JP2002099615A (ja) 病院予約支援装置、病院予約支援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病院予約支援方法
CN108831545A (zh) 社区诊疗预约服务系统
JPH09101998A (ja) 在宅医療システム
KR100561041B1 (ko) 당뇨병 환자 원격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397166A (zh) 一种慢性疾病医疗管理系统
KR100439442B1 (ko)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재택진료예약방법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A28391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KR20010037228A (ko) 원격진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정보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