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192B1 -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192B1
KR100439192B1 KR10-2001-0076377A KR20010076377A KR100439192B1 KR 100439192 B1 KR100439192 B1 KR 100439192B1 KR 20010076377 A KR20010076377 A KR 20010076377A KR 100439192 B1 KR100439192 B1 KR 10043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saturation concentration
electrocardiogram
ec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622A (ko
Inventor
최성환
나학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to KR10-2001-0076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1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2Heart stimulators
    • A61N1/365Heart stimulators controlled by a physiological parameter, e.g. heart potent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1Emergency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제세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은 환자로부터 심전도, 혈중 산소 포화농도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혈중 산소 포화농도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이용하여 맥박을 검출하는 단계와; 맥박을 이용하여 검출된 심전도가 정상신호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심장박동률이 정상범위를 벗어났을 때 이상신호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을 송출함과 아울러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DEFIBRILLATE METHOD AND APPRATUS OF USING ORGANISM SIGNAL}
본 발명은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심장은 혈액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심근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작용시키는 명령체계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여, 심장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수축과 팽창을 되풀이 하면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한다. 만약, 심장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움직이지 않으면 심장은 효율적으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할 수 없다.
심장이 일정한 순서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 경우를 심세동(Cardiac fibrillation)이라 한다. 심세동은 다시 심실세동과 심방세동으로 나뉜다.
심실세동은 심방이 일정한 순서로 움직이고 있으나, 심실근의 움직임이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경우다. 심실근이 무질서하게 움직이면 심실근 전체가 거의 동시에 수축하지 않고 심실 각 부분이 수축과 확장이 랜덤(Random)하게 된다. 심실근의 수축과 확장이 랜덤하게 되면 심장은 동맥으로 혈액을 보낼 수 없다. 이와 같이 심장이 동맥으로 혈액을 보내지 못하게 되면 환자는 2 내지 3분 안에 죽게된다.
심방세동은 심실은 일정한 순서로 움직이고 있으나, 심방이 무질거하게 움직이는 경우다. 심방이 무질서하게 움직이면 심실로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심방세동 상태가 소정상태 이상되면 환자는 치명적인 손상(또는 죽음)을 입게된다.
환자에게 심세동이 발생될 경우 제세동기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소정의 전기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때, 제세동기는 소정의 펄스를 환자에게 가하여 환자의 심장이 정상적인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제세동기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 ECG)를 이용하여 제세동기를 작동시키게 된다. 심전도는 심장전기도의 약칭으로 심방 및 심실 임의의 두 점에서 일어나는 전류를 측정하여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심전도는 도 1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즉, 심전도는 R,S,T,Q,P 로 나뉘어서 나타나게 된다.
종래의 제세동기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환자로부터 심전도가 실시간으로 측정되고, 측정된 심전도는 모니터에 표시된다. 이때, 제세동기 사용자는 모니터에 비 정상적인 심전도가 표시될 때 제세동기를 이용하여 환자에세 소정의 펄스를 인가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세동기는 심전도만을 이용하여 동작된다. 하지만, 심전도는 전류신호이기 때문에 외부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다시 말하여, 전자파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nce : 이하 "EMI"라 함)이 많은 곳에서 환자가 정상상태임에도 심전도는 비정상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제세동기 사용자는 비정상적으로 측정된 심전도를 보고 제세동기를 작동함으로써 환자에게 치명적은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심전도, 혈류 및 맥막등을 이용하여 제세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심전도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혈중 산소 포화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기를 나타낸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적외선 다이오드 4 : 수광 다이오드
6 : 손가락 30 : 심전도 검출부
32 : 혈류 검출부 34 : 맥박 검출부
36A,36B,36C : 버퍼 38 : 모드 선택기
40 : MUX 42 : 상관 분석부
44 : 오류 분석부 46 : 모니터
48 : 알람부 50 : 펄스 발생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은 환자로부터 심전도, 혈중 산소 포화농도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혈중 산소 포화농도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이용하여 맥박을 검출하는 단계와; 맥박을 이용하여 검출된 심전도가 정상신호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심장박동률이 정상범위를 벗어났을 때 이상신호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을 송출함과 아울러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된 심전도가 정상신호가 아닐 때 맥박률이 정상범위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맥박률이 정상범위를 벗어났을 때 이상신호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을 송출함과 아울러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장치는 환자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심전도 검출부와; 환자로부터 혈중 산소 포화농도를 검출하는 혈중 산소 포화농도 검출부와; 환자로부터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검출하는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검출부와; 혈중 산소 포화농도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이용하여맥박신호를 검출하는 맥박 검출부와; 혈중 산소 포화농도 검출부와 맥박검출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혈중 산소 포화농도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제 1필터부와;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검출부와 맥박검출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제 2필터부와; 심전도 검출부 및 맥박 검출부 각각에 설치되어 심전도 신호 및 맥박 신호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들과; 버퍼들과 심전도 검출부, 맥박 검출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심전도신호 및 맥박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제 3필터들과; 버퍼들에 일시저장된 심전도 신호 및 맥박 신호를 공급받는 멀티 플렉서와; 버퍼들로 공급되는 심전도 신호 및 맥박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입력받아 멀티 플렉서에 저장된 값들을 출력시키기 위한 제 1제어신호를 멀티 플렉서에 공급하는 모드 선택기와; 멀티 플렉서로부터 심전도 신호 및 맥박 신호를 입력받고, 심전도 신호로부터 측정된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을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심전도 신호의 이상유무를 검출하는 상관 분석부와; 상관 분석부로부터 입력되는 심전도 신호 또는 맥박 신호가 정상범위에 포함되는지를 측정하고, 심전도 신호 또는 맥박 신호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을 때 심전도 신호 또는 맥박 신호를 모니터에 표시함과 아울러 제 2 및 제 3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오류 분석부와; 제 2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음성 및 사운드를 발생하는 음성/사운드부와; 제 3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환자에게 공급될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부를 구비한다.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에게 의해 입력되면, 임계값은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의 허용오차 범위를 갖는다.
상기 상관 분석부는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이 임계값보다 작을 때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고,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이 임계값보다 클 때 맥박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혈중 산소 포화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혈중 산소 포화농도 측정기는 적외선 다이오드(2)와 수광 다이오드(4)로 구성된다. 적외선 다이오드(2) 및 수광 다이오드(4)는 손가락(6)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적외선 다이오드(2)는 적외선을 손가락(6)으로 공급한다. 수광 다이오드(4)는 손가락(6)을 통하여 공급되는 적외선을 수광한다. 이때, 수광 다이오드(4)에 공급되는 적외선의 양은 혈액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이하게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심장으로부터 손가락에 혈액이 공급될 때 적외선의 양과 그 외의 경우에 적외선의 양이 상이하다. 이후, 수광 다이오드(4)에 공급된 적외선의 양을 이용하여 혈중 산소 포화농도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혈중 산소 포화농도 검출기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먼저 환자로부터 혈중 산소 포화농도,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및 심전도가 검출된다.(S6,S7,S8)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는 산호호흡기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후, S7 및 S8단계에서 혈중 산소 포화농도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이용하여 맥박을 검출한다.(S10)
S6 및 S7 단계에서 검출된 심전도 및 맥박신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S12) 예를 들어, 심전도를 이용하여 측정된 심장박동수와 맥막수 등을 체크한다.
이후, 측정된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지를 체크한다.(S14) 임계값(예를 들면, 10)은 심전도에서 측정되는 심장박동수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다. S14단계에서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이 임계값보다 작다면 현재 측정된 심장박동수가 정상범위를 벗어났는지를 체크한다.(S16) 한편, S14단계에서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이 임계값보다 작다면 현재 측정되는 심전도가 정상신호임을 알 수 있다.
S16단계에서 심장박동수가 정상범위를 초과하지 않았다면 S12단계 내지 S16단계를 반복한다. S16단계에서 심장박동수가 정상범위를 초과하였다면 다시한면 검출된 심전도 및 맥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를 체크한다.(S18,S20) S20 단계에서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이 임계값보다 작다면 이상신호가 검출되었음을 모니터에 표시함과 아울러 소정의 알람신호(예를 들면, 특정소리 및 사운드)를 발생한다.(S24)
이후, 사용자는 이상신호의 검출에 대응하여 소정의 펄스신호를 환자에게 공급된다.(S26) 한편, S14 및 S20단계에서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이 임계값보다 크다면, 즉 현재 측정되는 심전도가 외부 요인에 의하여 정확한 값을 나타내지 않는다면 맥박률이 정상범위를 초과하였는지를 체크한다.(S22)
S22단계에서 맥박률이 정상범위를 초과하지 않았다면 S12 내지 S24 단계를 반복한다. S22 단계에서 맥박률이 정상범위를 초과하였다면 이상신호가 검출되었음을 모니터에 표시함과 아울러 소정의 알람신호를 발생한다.(S24) 이후, 사용자는 이상신호의 검출에 대응하여 소정의 펄스신호를 환자에게 공급된다.(S26)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장치는 혈중 산소 포화농도 검출부(32),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검출부(31), 맥박 검출부(34), 심전도 검출부(30), 버퍼들(36A,36B), 멀티플렉서(Multiplexer : 이하 "MUX"라함)(40), 모드 선택기(38), 상관 분석부(42), 오류 분석부(44), 모니터(46), 음성/사운드부(48) 및 펄스 발생부(50)를 구비한다.
심전도 검출부(30)는 환자로부터 심전도를 검출한다. 혈중 산소 포화농도 검출부(32)는 환자로부터 혈중 산소 포화농도를 검출한다.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검출부(31)는 환자로부터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검출한다. 혈중 산호 포화농도 검출부(32)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검출부(31)에서 검출된 값들은 각각 제 1필터부(33A,33B)로 입력된다.
제 1필터부(33A,33B)는 혈중 산호 포화농도 검출부(32)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검출부(31)에서 입력된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 1필터부(33A,33B)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혈중 산소 포화농도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는 맥박 검출부(34)로 입력된다.
맥박 검출부(34)는 혈중 산호 포화농도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이용하여 환자의 맥박을 검출한다. 심전도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심전도 값 및 맥박 검출부(34)에서 검출된 맥박 값은 각각 제 2필터부(35A,35B)로 입력된다.
제 2필터부(35A,35B)는 자신들에게 입력되는 심전도 값 및 맥박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 2필터부(35A,35B)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심전도 값 및 맥박 값은 제 1버퍼(36A) 또는 제 2버퍼(36B)로 입력된다.
제 1버퍼(36A)는 심전도 신호를 일시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심전도 신호를 MUX(40)로 공급한다. 제 2버퍼(36B)는 맥박 신호를 일시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맥박 신호를 MUX(40)로 공급한다.
모드 선택기(38)는 제 1버퍼(36A)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한다. 이와 같은 모드 선택기(38)는 제 2버퍼(36B)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심전도 신호를 입력받은 모드 선택기(38)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제어신호를 MUX(40)로 공급한다.
MUX(40)는 모드 선택기(38)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심전도 신호 및 맥박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관 분석부(42)로 공급한다. 상관 분석부(42)는 심전도로부터 심장박동수를 계산한다. 이후,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이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지를 체크한다.
이때,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이 임계값보다 작다면 심전도 신호를 오류분석부로 공급한다. 하지만,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이 임계값보다 크다면 맥박 신호를 오류 분석부로 공급한다.
한편, 임계값은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차값의 허용오차범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심장박동수와 맥박수의 오차한계가 5라면, 임계값은 5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다.
오류 분석부(44)는 상관 분석부(42)로부터 공급된 심전도 신호 또는 맥박신호가 정상범위인지를 체크한다. 이때, 심전도 신호 또는 맥박신호가 정상범위라면 현재 측정된 심전도 신호 및/또는 맥박신호를 모니터에 표시한다. 하지만, 심전도 신호 또는 맥박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아나면 현재 심전도 신호 및/또는 맥박신호를 모니터에 표시함과 아울러 음성/사운드부(48) 및 펄스 발생부(50)로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알람부(48)는 오류 분석부(44)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소정의 알람을 발생함으로써 환자의 이상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펄스 발생부(50)는 오류 분석부(44)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심전도의 R파 또는 S파에 동기되는)소정의 펄스신호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환자가 정상상태가 되도록 펄스 발생부(50)에서 발생된 펄스신호를 환자에게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심전도, 혈류 및 맥박신호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검출할 수있다. 또한, EMI등의 외부요인에 의하여 심전도가 정확히 측정되지 않았을 때 맥박신호를 이용하여 제세동기의 작동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환자로부터 심전도, 혈중 산소 포화농도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혈중 산소 포화농도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이용하여 맥박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맥박을 상기 검출된 심전도로부터 측정된 심장박동수와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심전도가 정상신호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심전도가 정상신호이고, 상기 검출된 심전도로부터 측정된 상기 심장박동수가 정상범위를 벗어났을 때, 이상신호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을 송출함과 아울러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심전도가 정상신호가 아닐 때, 상기 검출된 맥박이 정상범위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맥박이 정상범위를 벗어났을 때, 이상신호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을 송출함과 아울러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3. 환자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심전도 검출부와;
    상기 환자로부터 혈중 산소 포화농도를 검출하는 혈중 산소 포화농도 검출부와;
    상기 환자로부터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검출하는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검출부와;
    상기 혈중 산소 포화농도 및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를 이용하여 맥박신호를 검출하는 맥박 검출부와;
    상기 혈중 산소 포화농도 검출부와 상기 맥박검출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혈중 산소 포화농도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제 1필터부와;
    상기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검출부와 상기 맥박검출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혈중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제 2필터부와;
    상기 심전도 검출부 및 상기 맥박 검출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심전도 신호 및 맥박 신호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들과;
    상기 버퍼들과 상기 심전도 검출부, 맥박 검출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심전도신호 및 상기 맥박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제 3필터들과;
    상기 버퍼들에 일시저장된 심전도 신호 및 맥박 신호를 공급받는 멀티 플렉서와;
    상기 버퍼들로 공급되는 심전도 신호 및 맥박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멀티 플렉서에 저장된 값들을 출력시키기 위한 제 1제어신호를 상기 멀티 플렉서에 공급하는 모드 선택기와;
    상기 멀티 플렉서로부터 상기 심전도 신호 및 맥박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심전도 신호로부터 측정된 심장박동수와 상기 맥박수의 차값을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심전도 신호의 이상유무를 검출하는 상관 분석부와;
    상기 상관 분석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심전도 신호 또는 맥박 신호가 정상범위에 포함되는지를 측정하고, 상기 심전도 신호 또는 맥박 신호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을 때 상기 심전도 신호 또는 맥박 신호를 모니터에 표시함과 아울러 제 2 및 제 3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오류 분석부와;
    상기 제 2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음성 및 사운드를 발생하는 음성/사운드부와;
    상기 제 3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환자에게 공급될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에게 의해 입력되면, 상기 임계값은 상기 심장박동수와 상기 맥박수의 차값의 허용오차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분석부는 상기 심장박동수와 상기 맥박수의 차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심전도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심장박동수와 상기 맥박수의 차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맥박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장치.
KR10-2001-0076377A 2001-12-04 2001-12-04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 KR100439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77A KR100439192B1 (ko) 2001-12-04 2001-12-04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77A KR100439192B1 (ko) 2001-12-04 2001-12-04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622A KR20020021622A (ko) 2002-03-21
KR100439192B1 true KR100439192B1 (ko) 2004-07-07

Family

ID=1971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377A KR100439192B1 (ko) 2001-12-04 2001-12-04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1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42B1 (ko) * 2009-06-22 2010-04-29 광주과학기술원 심전도분석을 이용한 전기충격 판정 방법
KR101251081B1 (ko) 2011-02-17 2013-04-05 (의료)길의료재단 가중 퍼지 소속 함수 기반 신경망을 이용한 제세동기의 쇼크 신호 검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4574A (en) * 1992-06-24 1995-12-12 Cardiac Science, Inc. Automatic external cardioverter/defibrillator
KR970020056A (ko) * 1995-09-19 1997-05-28 노보루 아까사까 환자 모니터 장치
KR200218736Y1 (ko) * 2000-10-10 2001-04-02 주식회사퓨트로닉 응급신호발생장치
KR20020003932A (ko) * 2000-06-27 2002-01-16 방영수 비정상 맥박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4574A (en) * 1992-06-24 1995-12-12 Cardiac Science, Inc. Automatic external cardioverter/defibrillator
KR970020056A (ko) * 1995-09-19 1997-05-28 노보루 아까사까 환자 모니터 장치
KR20020003932A (ko) * 2000-06-27 2002-01-16 방영수 비정상 맥박 감지장치
KR200218736Y1 (ko) * 2000-10-10 2001-04-02 주식회사퓨트로닉 응급신호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42B1 (ko) * 2009-06-22 2010-04-29 광주과학기술원 심전도분석을 이용한 전기충격 판정 방법
KR101251081B1 (ko) 2011-02-17 2013-04-05 (의료)길의료재단 가중 퍼지 소속 함수 기반 신경망을 이용한 제세동기의 쇼크 신호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622A (ko)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0860B2 (en) Detection of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with 1:1 atrial to ventricular conduction
US48936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ring waveform shapes of time-varying signals
CN106659900B (zh) 用于估计心率的具有自相关装置并具有分析装置的可植入医疗装置
US63123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the integrity of normal sinus rhythm templates
CN102670189B (zh) 心脏监视系统及方法
Jekova et al. Real time detection of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tachycardia
EP240835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correlation
US200802080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Between Clinically Significant Changes and Artifacts in Patient Physiological Information
US20110190643A1 (en) System for Cardiac Status Determination
US20080215102A1 (en) Method and system aiding decision making during CPR
JPS6242612B2 (ko)
JP2016509937A (ja) 心肺蘇生中にショック勧告の信頼性をスコア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700731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from a surface electrocardiogram
US201000490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tory feedback during catheter placement
US11006843B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breathing rates from oscillometric data
KR100439192B1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및 장치
KR20090081885A (ko) 심박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15906B1 (ko) 심전도 검출 회로 및 심전도 분석 알고리즘의 점검 장치 및 방법
KR100439193B1 (ko) 자동 제세동기 및 제세동 방법
US20020136264A1 (en) Spread spectrum measurement device
US6506163B1 (en) Method and system of distinguishing pressure pulses from v waves during wedge pressure measurement
KR100452748B1 (ko) 전자 혈압계를 이용한 심전도 측정 방법
US20200323457A1 (en) Heartbeat analyzer
US20220202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rrhythmia detection during an at home sleep test
KR102600954B1 (ko) 생체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