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092B1 - 유아용 모빌 - Google Patents

유아용 모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092B1
KR100439092B1 KR10-2003-0019499A KR20030019499A KR100439092B1 KR 100439092 B1 KR100439092 B1 KR 100439092B1 KR 20030019499 A KR20030019499 A KR 20030019499A KR 100439092 B1 KR100439092 B1 KR 10043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audio signal
infant
unit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756A (ko
Inventor
정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안
Priority to KR10-2003-001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0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7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B67D3/0067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relating to shape or materials, e.g. bag-in-box packages [BIB], pou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모빌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모빌은 대부분이 태엽을 동력원으로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모빌을 동작시킬때 마다 부모들이 일일이 태엽을 감아주어야만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워지고, 또한 모빌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몇 곡의 멜로디만이 반복적으로 출력됨에 따라 유아가 금방 실증을 느끼게 되어 유아의 시선집중을 유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CD 재생기 또는 테이프 재생기와 같은 오디오 출력기기의 이어폰잭에 접속되어 오디오 출력기기에서 출력되는 어린이용 음악에 대한 오디오신호를 무선전송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에서 전송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수단을 모빌의 내부에 설치하므로서, 오디오출력기기로부터 무선 전송된 어린이용 음악이 모빌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때 모빌이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다양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다양한 음악을 모빌을 통해 유아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유아가 금방 실증을 느끼지 않게 되어 유아의 안정적인 정서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모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모빌{Infant-stimulating mobile}
본 발명은 유아용 모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출력기기로부터 무선 전송된 어린이용 음악이 모빌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때 모빌이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다양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다양한 음악을 모빌을 통해 유아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유아가 금방 실증을 느끼지 않게 되어 유아의 안정적인 정서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모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이라 함은 그 내부에 6~7곡의 멜로디가 저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멜로디가 출력될 때 모빌의 회전부가 회전되도록 하여 유아의 집중력을 길러주고, 유아의 시선을 집중시킴에 따라 유아의 안구 운동에도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모빌은 대부분이 태엽식으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태엽을 감아줌에 따라 모빌이 회전하면서 저장되어 있는 멜로디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빌은 대부분이 태엽을 동력원으로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모빌을 동작시킬 때 마다 부모들이 일일이 태엽을 감아주어야만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워지고, 또한 모빌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몇 곡의 멜로디만이 반복적으로 출력됨에 따라 유아가 금방 실증을 느끼게 되어 유아의 시선집중을 유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CD 재생기 또는 테이프 재생기와 같은 오디오 출력기기의 이어폰잭에 접속되어 오디오 출력기기에서 출력되는 어린이용 음악에 대한 오디오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에서전송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수단을 모빌의 내부에 설치하므로서, 오디오 출력기기로부터 무선 전송된 어린이용 음악이 모빌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때 모빌이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다양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다양한 음악을 모빌을 통해 유아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유아가 금방 실증을 느끼지 않게 되어 유아의 안정적인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모빌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오디오 출력기기의 이어폰잭에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접속단자를 통해 오디오출력기기(CD 재생기, 테이프 재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어린이 동요와 같은 유아용 음악의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일정 주파수대역으로 변조하는 변조부와;
변조부에서 변조된 오디오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로 구성된 송신수단과;
모빌 내부에 설치되고, 송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로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원래의 신호로서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서 복조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모빌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구동부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수신신호 감지부와;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될때 모터를 구동시켜 모빌이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터구동부로 구성된 수신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유아용 모빌을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송신수단과 수신수단을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이 설치된 모빌을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오디오출력기기, 2: 이어폰잭,
3: 송신수단, 4: 수신수단,
5: 모빌, 6: 회전부,
31: 접속단자, 32: 증폭부,
33: 변조부, 34: 송신부,
41: 수신부, 42: 복조부,
43: 증폭부, 44: 스피커,
45: 수신신호 감지부, 46: 모터구동부,
47: 모터,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크게 송신수단(3)과 수신수단(4)으로 대별 구성된다.
송신수단(3)은 CD재생기, 오디오, 카세트, PC 등과 같이 오디오신호의 재생 출력이 가능한 오디오출력기기(1)의 이어폰잭(2)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어폰잭(2)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접속단자(31)를 통해 공급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32), 상기 증폭부(32)에서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무선 송신이 가능하도록 변조하는 변조부(33), 상기 변조부(33)에서 변조된 오디오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3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송신수단(3)은 모듈화되어 사용하고자 하는 오디오출력기기(1)의 이어폰잭(2)에 접속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수신수단(4)은 모빌(5)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송신수단(3)으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1), 수신부(41)로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원래의 신호로서 복조하는 복조부(42), 상기 복조부(42)에서 복조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모빌(5)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44)를 통해 출력하는 증폭부(43), 상기 수신부(41)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구동부(46)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수신신호 감지부(45),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45)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모터(47)를 구동시켜 모빌(5)의 회전부(6)가 회전하도록 하는 모터구동부(46)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수단(4)이 설치되는 모빌(5)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부(6)의 중심과 연결된 회전축을 모터(47)의 축과 연결하여 상기 모터(47)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6)가 회전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유아에게 들려줄 유아용 음악, 예를들면 어린이동요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CD 또는 테이프)를 오디오출력기기(1)에 장착한 후 이 오디오출력기기(1)의 이어폰잭(2)에 송신수단(3)의 접속단자(31)를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오디오출력기기(1)를 구동시키면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신호가 재생되어 상기 이어폰잭(2)을 통해 송신수단(3)의 증폭부(32)로 공급되고, 상기 증폭부(32)는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여 변조부(33)로 공급하며, 상기 변조부(33)는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변조한 후 송신부(34)를 통해 무선 전송한다.
상기 송신부(34)에서 무선 전송된 오디오신호는 모빌(5)에 탑재되어 있는 수신부(41)에 의해 수신되어 복조부(42)로 공급되고, 상기 복조부(42)는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원상태의 오디오신호로 복조하여 증폭부(43)로 공급하며, 상기 증폭부(43)는 복조된 오디오신호를 모빌(5)에 설치되어있는 스피커(44)를 통해 출력하여 유아가 들을 수 있게 한다.
이때, 수신신호 감지부(45)는 상기 수신부(41)로부터 오디오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한 후 모터구동부(46)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상기 모터구동부(46)는 모터(47)를 구동시켜 모빌(5)의 회전부(6)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유아로 하여금 회전하는 모빌(5)로 시선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유아용 모빌에 의하면 오디오출력기기(1)로부터 음악이 전송되는 동안 모빌(5)이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유아가 장시간 동안 시선을 집중하게되고, 이에 의해 유아의 안구 운동에도 많은 효과를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유아용 모빌은 오디오출력기기(1)로부터 음악 전송이 중단되면 수신신호감지부(45)에서 수신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때에 비로서 모터(47)가 정지하게 되어 모빌(5)이 정지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CD재생기, 오디오, 테이프재생기, PC 등과같이 오디오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출력기기(1)에 모듈화된 송신수단(3)을 접속하여 이 송신수단(3)을 통해 무선전송되는 오디오신호를 모빌(5)에 설치된 수신수단(4)을 통해 재생하여 유아에게 들려줌에 따라 보다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신호를 손쉽게 구입하여 유아에게 들려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6)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으로서 모터(47) 대신에 태엽을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때에는 자동으로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CD 재생기 또는 테이프 재생기와같은 오디오 출력기기의 이어폰잭에 접속되어 오디오 출력기기에서 출력되는 어린이용 음악에 대한 오디오신호를 무선전송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에서 전송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수단을 모빌의 내부에 설치하므로서, 오디오출력기기로부터 무선 전송된 어린이용 음악이 모빌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때 모빌이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다양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다양한 음악을 모빌을 통해 유아에게 제공할 수 있게되므로 유아가 금방 실증을 느끼지 않게 되어 유아의 안정적인 정서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모빌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모빌부가 자동 회전하는 유아용 모빌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기기의 이어폰잭에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접속단자를 통해 오디오출력기기(CD 재생기, 테이프 재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어린이 동요와 같은 유아용 음악의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일정 주파수대역으로 변조하는 변조부와, 변조부에서 변조된 오디오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로 구성된 송신수단과;
    모빌 내부에 설치되고, 송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로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원래의 신호로서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서 복조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모빌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구동부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수신신호 감지부와,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될때 모터를 구동시켜 모빌이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터구동부로 구성된 수신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오디오출력기기에서 출력되는 유아용 음악의 오디오신호가 상기 송신수단에서 무선으로 수신수단에 전송되어 상기 음악이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때 모빌이 자동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아용 모빌.
KR10-2003-0019499A 2003-03-28 2003-03-28 유아용 모빌 KR100439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499A KR100439092B1 (ko) 2003-03-28 2003-03-28 유아용 모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499A KR100439092B1 (ko) 2003-03-28 2003-03-28 유아용 모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245U Division KR200281637Y1 (ko) 2002-03-28 2002-03-28 유아용 모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756A KR20030078756A (ko) 2003-10-08
KR100439092B1 true KR100439092B1 (ko) 2004-07-06

Family

ID=3238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499A KR100439092B1 (ko) 2003-03-28 2003-03-28 유아용 모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0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756A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1721B1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reception apparatus
US201001002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ferring music and other audio content to a car stereo or home stereo
EP1058480A2 (en) Audio system and head attachment audio unit
EP1351217A4 (en) COMPOSED WITH MUSIC DISTRIBUTION COMPATIBLE PORTABLE END UNIT AND PORTABLE TERMINAL
KR100439092B1 (ko) 유아용 모빌
KR200281637Y1 (ko) 유아용 모빌
US20060034197A1 (en) Electric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apparatus
JP4906241B2 (ja) オーディオ伝送システム
JP4021217B2 (ja) 無線ヘッドセット
WO2003097198A1 (en) Sound-producing toy
KR102355536B1 (ko) 음성재생 및 변조 기능이 포함된 영유아용 장난감
US4472751A (en) Tape recorder apparatus with portable plug-in module
JP2001054184A (ja) 音響システムおよび頭部装着型音響装置
JP3465457B2 (ja) ワイヤレス送信装置
JP2005310287A (ja) 情報再生システム
KR200302274Y1 (ko) 인형타입 무선 인터넷 오디오 청취기
JP2953214B2 (ja) リモコン装置
KR200402035Y1 (ko) 음향기기의 소리제어장치
JP2004145911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KR200239284Y1 (ko) 발신기를 이용한 영상 교육 시스템
JPH08172679A (ja) 受話装置
JP3077772U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カセット
KR20070018366A (ko) 음향기기의 소리제어장치
JPH04287528A (ja) 光空間伝送装置
JP2001222296A (ja) 携帯型音声再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ガイ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