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929B1 - 방사선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방사선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929B1
KR100438929B1 KR10-2001-0061670A KR20010061670A KR100438929B1 KR 100438929 B1 KR100438929 B1 KR 100438929B1 KR 20010061670 A KR20010061670 A KR 20010061670A KR 100438929 B1 KR100438929 B1 KR 10043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e
diameter portion
radiation sour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9317A (ko
Inventor
박춘득
Original Assignee
호진산업기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진산업기연(주) filed Critical 호진산업기연(주)
Priority to KR10-2001-006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9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4/00Radioactive sour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파괴검사용으로 사용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비파괴검사시 함께 사용되는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와 어떠한 작업상황에서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구성부품간의 결합을 더욱 신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피치간격으로 감긴 단선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와, 방사선원이 장입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결합하는 캡슐, 및
상기 단선와이어의 피치간격과 동일한 피치의 암나사가 가공된 대직경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의 수커넥터와의 분리를 방지하는 안전튜브, 커넥터 키, 스프링 및 스프링핀으로 구성되는 암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제어 커넥터 어셈블리와의 결합 및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되고, 작업중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상호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보호는 물론 작업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와이어와 암커넥터를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조립성 향상 및 품질관리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롤링압착된 후에는 와이어와 커넥터가 분리될 수 있는 요인을 철저히 배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사선원 어셈블리 {An assembly comprising radioactive material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본 발명은 비파괴검사용으로 사용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파괴검사 작업시 함께 사용되는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와의 결합을 더욱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작업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비파괴검사란 생산된 제품 또는 제작중에 있는 제품에 대한 내부결함을 검사하기 위하여 방사선원(radioactive material)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중 감마선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후 이것을 현상·인화하여 흑화도(blackness)를 분석하므로써 제품에 대한 내부결함을 검사하는 것으로, 특히 용접물에 대한 내부결함 검사 및 주조물에 대한 내부검사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등 산업체 전반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방사선원을 이용한 비파괴검사는 전원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때와 장소에 구분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개발도상에 있는 동남아지역에서도 사용량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포함한 비파괴검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저장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b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c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촬영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방사선원 어셈블리와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비파괴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준비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선원(2)을 내부에 삽입한 방사선원 어셈블리(1)와, 방사선원 어셈블리(1)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용기(3)와, 방사선원 어셈블리(1)와 연결하여 방사선원 어셈블리(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와, 상기 운반용기(3)에 연결되어 검사시 검사대상물체의 위치까지 방사선원을 안내하는 가이드 튜브(7) 등이 준비되어야 하며, 이 외에 필름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부속적인 준비물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파괴검사에 사용되는 요소들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선원으로 이리듐-192가 내장되는 캡슐(25)과, 캡슐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wire)(27) 및 와이어의 나머지 일단에에 연결되는 암커넥터(female connector)(29)가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진다.
방사선원 운반용기(3)는 방사선원 어셈블리 출입구(9)와, 상기 암커넥터(29)가 운반용기(3) 바깥으로 나올수 있도록 하여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와 결합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구(11)를 포함한 두개의 구멍을 양측에 구비하고 있으며, 방사선원 어셈블리(1)를 내부로 복귀시킨 후 그 출입구(9)를 막아주는 마개(도시안됨)와, 상기 암커넥터(29)를 고정시켜 주는 잠금장치(도시안됨), 내부에 위치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1)의 방사선을 차폐시키는 방사선 차폐부재(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운반용기(3)는 방사선을 차폐하는 구조로 되어있어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방사선원 어셈블리(1)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작업시에는 현장에 운반하여 비파괴검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휴대용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방사선 누출에 관한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상기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는 계락적으로 손잡이부(15), 기어부(17), 와이어부(19) 및 와이어부 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방사선원 어셈블리(1)를 구성하는 상기 암커넥터(29)와 결합하게 되는 수커넥터(male connector)(21: 도3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는 구비된 수커넥터(21)를 이와 대응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10)의 암커넥터(29)에 연결한 다음 손잡이부(15)를 회전시켜 방사선원 어셈블리(1)를 피사체에 보내거나 작업 후 운반용기(3)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가이드 튜브(7)는 끝단의 노즐(23)을 피사체의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운반용기(3)의 방사선원 어셈블리 출입구(9)에 연결되어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를 조작하여, 상기 출입구(9)를 빠져나온 방사선원 어셈블리(1)를 피사체까지 안내하여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요소들을 사용하여 비파괴검사를 수행하는 작업절차를 설명하면,
우선 방사선 차폐기능의 운반용기(3) 내에 장전되어 보관상태에 있는 방사선원 어셈블리(1)의 암커넥터(29)와 대응하는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의 수커넥터(21)를 연결하여 조립한 후, 운반용기(3)에 구비된 방사선원 어셈블리 출입구(9)를 밀봉하고 있는 마개를 제거하고, 상기 가이드 튜브(7)를 운반용기(3)의 어셈블리 출입구(9)에 연결시키고, 운반용기(3)에 구비되어 방사선원 어셈블리(1)의 암커넥터(29)를 록킹하는 잠금장치를 해제한다.
이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7)의 노즐(23)을 검사대상물이 되는 피사체에 근접시킨 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의 손잡이부(15)를 회전시켜 방사선원 어셈블리(1)를 가이드 튜브(7)의 끝단의 노즐(23)까지 보낸상태에서 촬영작업을 실시한다.
방사선을 이용한 촬영작업이 끝나면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에 구비된 손잡이부(15)를 역회전시켜 방사선원 어셈블리(1)가 운반용기(3) 내에 들어오도록 한 후, 방사선원 어셈블리(1)의 장입상태를 확인하고, 잠금장치(도시 안됨)로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암커넥터(29)를 록킹시킨 후, 방사선원 어셈블리(1)의 암커넥터(29)와 결합상태에 있는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의 수커넥터(21)를 분리시키고, 운반용기(3)에 구비된 방사선원 출입구(9)에 마개를 조립하여 밀봉하여 보관한다.
일반적으로 비파괴검사에 사용되는 종래기술의 방사선원 어셈블리(1)는, 도 2 내지 도 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선원(2)이 내부에 삽입되는 캡슐(25)과, 이 캡슐(25)에 일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당업자들 간에서는 피그테일(pig tail)이라고 불리우기도 하는 와이어(27)와, 이 와이어(27)의 나머지 일단에 연결되는 암커넥터(29)로 구성된다.
상기 캡슐(25)은 일단이 밀폐된 중공실린더 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입구측은 상기 와이어(27)의 일단이 결합되는 대직경부(31)가 형성되고, 이 대직경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방사선원(2)이 장입되어 위치하게 되는 소직경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27)는 직경이 가는 다수의 소선을 꼬아서 중심코어(35)를 형성하고, 그 외측에 상대적으로 굵은 단선 와이어(37)를 일정한 피치간격을 가지도록 나선형으로 감은 후, 양 끝단을 적절한 다듬질 가공으로 마무리하여 형성하며,
상기 암커넥터(29)는 커넥터 몸체(39)와, 커넥터 키(41), 스프링(43) 및 스프링 핀(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암커넥터(29)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 몸체(39)는 함께 암커넥터(29)를 구성하는 상기 커넥터 키(41), 스프링(43), 스프링 핀(45) 및 상기 와이어(27)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계략적 원통형으로서,
일측은 상기 와이어(27)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대직경부(47)로 형성되고,
이어서 다른 일측단을 향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커넥터 키(41)를 그 내부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소직경부(49)로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49)와 연통되도록 다른 일측 끝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49)보다 작은 소정의 폭으로 끝단면의 중심부에서부터 일측방향으로 에지부까지 트이도록 형성되어 U자형을 이루는 단면홀(51)이 형성되며,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에 구비되는 수커넥터(21)의 결합돌기(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단면홀(51)과 연결되도록 끝단면에 인접한 외주면에 전구(bulb)형상의 삽입홀(5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53)이 형성된 위치에서 90。각도 위치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가이드홀(55)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키(41)는 상기 커넥터 몸체(39)의 소직경부(49) 내에서 가이드되어 왕복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소직경부(49)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고 상기 단면홀(51)의 중심부 직경보다는 큰 외경으로 구비된 파이프형으로써, 내부 소정의 위치에 격판(57: 도3 참조)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개구된 두 구멍으로 양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격판(57) 위치의 외주면 일방향에서 소정의 갚이로 축 중심을 지나도록 뚫린 스프링핀 홀(5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커넥터 몸체(39)와 커넥터 키(41)는, 스프링(43) 및 스프링 핀(45)과 함께 조립하여 암커넥터(29)를 구성하고, 상기 와이어(27)와 캡슐(25)을 포함하여 방사선원 어셈블리(1)로 형성되는데, 조립과정 및 완성된 방사선원 어셈블리에 관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캡슐(25)의 소직경부(33)에 방사선원(2)을 삽입하여 장전하고,
이어서, 상기 와이어(27)의 일단을 상기 캡슐(25)의 대직경부(31)에 삽입하여 결합한 후, 캡슐(25)의 대직경부(31) 외주면을 롤링 압착하여 완벽한 밀봉 및 결합이 되도록 하며,
이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29)의 소직경부(33)에 커넥터 키(41)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커넥터 키(41)에 형성된 스프링핀 홀(59)과 커넥터 몸체(39)에 형성된 가이드홀(55)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핀(45)을 스프링핀 홀(59)에 삽입하여 커넥터 키(41)가 스프링 핀(45)에 의해 가이드홀(55)에 구속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43)을 대직경부(47) 측으로 삽입하여 커넥터 키(41)에 형성된 격판(57)으로 구분되는 두 구멍중 대직경부측 구멍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와이어(27)의 나머지 일단을 커넥터 몸체(39)의 대직경부(47)에 삽입하여 결합한 후, 이 대직경부(47) 외주면을 롤링 압착하여 더욱 단단한 결합이 되도록 하여 하나의 방사선원 어셈블리(1)로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 완성된 방사선원 어셈블리(1)의 암커넥터(29)는 커넥터 몸체(39)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해 커넥터 키(41)를 항상 끝단의 단면홀(51) 측으로 밀게 되어 삽입홀(53)을 커넥터 키(41)가 막고 있는 구조가 되며, 상기 커넥터 키(41)의 스프링핀 홀(59)에 삽입되는 스프링핀(45)의 길이가 상기 가이드홀(55)의 외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이 스프링핀(45)은 상기 스프링(43)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커넥터 키(41)를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시 힘을 가할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방사선원 어셈블리(1)는 비파괴검사 작업시, 구비된 암커넥터(29)에 상기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의 수커넥터(21)를 결합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에 사용하게 되는데,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핀(45)에 힘을 가해 가이드홀(55)을 따라 후방으로 커넥터 키(41)를 후퇴시켜 삽입홀(53)을 개방 시킨 후,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의 수커넥터(21) 끝단의 결합돌기(22)를 상기 암커넥터(29)의 삽입홀(53)에 수직으로 삽입한 다음, 수커넥터(21)를 단면홀(51) 측으로 직각으로 꺽어 방사선원 어셈블리(1)와 제어케이블 어셈블리(5)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핀(45)에서 가했던 힘을 해제하여 스프링(43)의 복원력이 상기 암커넥터(29) 내부에 위치하는 수커넥터(21)의 결합돌기(22)를 밀게 하고, 상기 결합돌기(22)의 최대직경이 단면홀(51)의 폭보다 큼에 따라 단면홀(51)이 걸림턱의 역할을 수행하여, 수 커넥터(21)의 결합돌기(22)가 암커넥터(29) 내부에서 걸림턱 역할의 단면홀(51)과 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하는 방식으로 결합하여 비파괴 검사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암커넥터(29)와 수커넥터(21)의 결합은 작업시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의 휘어짐이 심한 위치에서 검사작업를 수행할 때, 수커넥터(21)가 암커넥터(29)의 삽입홀(53)측으로 꺽여 분리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위험성이 더욱 커질 수 있으며, 스프링 핀(45)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음에 따라 외부충격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빠질 위험이 있어, 자칫하면 방사선원 어셈블리로서의 기능을 할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감수할 수 밖에 없으며, 작업자의 안전에도 큰 위험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27)의 표면이 균일하지 못한 반면 암커넥터(29) 대직경부(47) 내주면의 표면은 매끈함에 따라, 와이어(27)의 일단을 암커넥터(29)의 대직경부(47)에 삽입하여 롤링 압착하는 과정에서 방사선원 어셈블리(1)가 곧은 직선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휘어지는 불량 발생의 가능성이 있으며, 롤링압착을 한 이후에도 대직경부(47) 내주면과 와이어(27)의 중심코어 외주면간에는 공간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한계성에 따라 순간적으로 큰 인장력이 암커넥터(29)와 와이어(27)의 결합부에 가해질 경우 상호 분리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의 수커넥터와 결합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암커넥터를 어떠한 작업상황에서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와이어와 암커넥터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요인을 철저히 배제하며, 조립시 와이어의 장입길이를 일정하게 하여 조립성의 향상과 함께 품질관리를 더욱 철저히 할 수 있는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포함한 비파괴검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저장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b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c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촬영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방사선원 어셈블리와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와의 결합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암커넥터와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의 수 커넥터와의 결합방법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암커넥터와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의 수커넥터와의 결합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1: 방사선원 어셈블리 103: 캡슐
105: 암커넥터 107: 와이어
110: 방사선원 111: 중심코어
113: 단선와이어 115,133: 소직경부
117,131: 대직경부 119: 커넥터 몸체
121: 커넥터 키 123: 안전튜브
125: 스프링 127: 스프링 핀
129: 암나사 135: 단면홀
137: 삽입홀 139: 가이드홀
141: 격판 143: 제1스프링핀 홀
145: 제2스프링핀 홀 147: 이송제어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소선을 꼬아서 중심코어를 형성하고, 그 외부에 상기 소선보다 굵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단선와이어를 일정한 피치간격을 가지도록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되는 와이어;
일단이 밀폐된 중공실린더 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방사선원이 장입되어 위치하게 되는 내측의 소직경부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는 입구측의 대직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에 장입되는 방사선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캡슐; 및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대직경부와, 상기 대직경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소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와 연통되도록 다른 일측 끝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보다 작은 소정의 폭으로 끝단면의 중심부에서부터 일측방향으로 에지부까지 트이도록 형성되어 U자형을 이루는 단면홀과,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수커넥터의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단면홀과 연결되도록 끝단면에 인접한 외주면에 전구(bulb)형으로 형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위치에서 90。각도 위치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와,
상기 커넥터 몸체의 소직경부 내부에서 가이드되어 왕복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내·외경을 가지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격판이 형성됨으로써 양단에 입구를 가지는 두개의 구멍으로 양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격판 위치의 외주면 일방향에서 소정의 깊이로 축중심을 지나도록 뚫린 제1스프링핀 홀이 형성되는 커넥터 키와,
상기 커넥터 몸체의 외주면에 가이드 되어 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으로,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제2스프링핀 홀이 형성되며, 이 스프링핀 홀의 180。각도 위치의 외주면에 이송제어홀이 형성되는 안전튜브와,
조립시 상기 커넥터 키의 일측 구멍에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 몸체의 대직경부에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 및
상기 안전튜브의 제 2스프링핀 홀, 상기 커넥터 몸체의 가이드 홀 및 상기 커넥터 키의 제 1스프링핀 홀 입구의 위치를 모두 일치시킨 상태에서 삽입되어 상기 안전튜브와 커넥터 키를 결합하고, 커넥터 몸체의 가이드 홀 내에서 구속되는 스프링핀을 포함한 구성의 암커넥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장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암커넥터의 커넥터 몸체에 형성되는 상기 대직경부의 내주면에 상기 와이어의 외부에 나선형으로 감긴 단선와이어와 동일한 피치의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암커넥터와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의 수 커넥터와의 결합방법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암커넥터와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의 수커넥터와의 결합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선원 어셈블리(101)는 방사선원(radioactive material)이 내부에 밀봉되어 위치하는 캡슐(103)과, 비파괴검사시 방사선원 어셈블리(101)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의 수커넥터(21)에 연결되는 암 커넥터(105)와, 상기 캡슐(103)과 암커넥터(105)에 양단부가 각각 장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107)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107)는 종래기술의 와이어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소선을 꼬아서 중심코어(111)를 형성하고, 그 외부에 상대적으로 굵은 단선와이어(113)를 일정한피치간격을 가지도록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된다.
상기 캡슐(103)은 일단이 밀폐된 중공실린더 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방사선원(110)이 장입되어 위치하게 되는 내측의 소직경부(115)와, 와이어(107)의 일단이 장입되어 결합되는 입구측의 대직경부(117)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파괴 검사 작업시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의 수커넥터(21)와 결합하는 상기 암커넥터(105)는 커넥터 몸체(119), 커넥터 키(121), 안전튜브(123), 스프링(125) 및 스프링핀(127)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 몸체(119)는 일측단에 입구를 가지고 상기 와이어(107)의 일단이 나사결합으로 장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상기 와이어(107)를 구성하는 단선와이어(113)의 피치와 동일하게 암나사(129: 도 8참조)가 형성되는 대직경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부(131)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키(121)가 내부에서 왕복운동하게 되는 소직경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소직경부(133)와 연통되도록 다른 일측 끝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133)보다 작은 소정의 폭으로 끝단면의 중심부에서부터 일측방향으로 에지부까지 트이도록 형성되어 U자형을 이루는 단면홀(135)이 형성되며,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에 구비되는 수커넥터(21)의 결합돌기(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단면홀(135)과 연결되도록 끝단면에 인접한 외주면에 전구(bulb)형상의 삽입홀(13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137)이 형성된 위치에서 90。각도 위치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가이드홀(139)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키(121)는 상기 커넥터 몸체(119)의 소직경부(133) 내에서 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내·외경을 가지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격판(141)이 형성됨으로써 양단에 입구를 가지는 두개의 구멍으로 양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격판(141) 위치의 외주면 일방향에서 소정의 깊이로 축중심을 지나도록 뚫린 제1스프링핀 홀(143)이 형성된다.
상기 안전튜브(123)는 상기 커넥터 몸체(119)의 외주면에 가이드 되어 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으로,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제2스프링핀 홀(145)이 형성되며, 이 제2스프링핀 홀(145)의 180。각도 위치의 외주면에 이송제어홀(147)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25)은 조립시 상기 커넥터 키(121)의 일측 구멍, 즉 커넥터 몸체(119) 내부에서 와이어(107)의 일단과 마주하는 측의 구멍에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대직경부(131)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와이어(107)의 단부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스프링핀(127)은 조립시 상기 안전튜브(123)의 제 2스프링핀 홀(145), 상기 커넥터 몸체(119)의 가이드홀(139) 및 상기 커넥터 키(121)의 제1스프링핀 홀(143) 입구의 위치를 모두 일치시킨 상태에서 삽입되어 상기 안전튜브(123)와 커넥터 키(121)를 결합하고, 커넥터 몸체(119)의 가이드 홀(139) 내에서 구속되어 왕복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사선원 어셈블리(101)의 조립과정 및 사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캡슐(103)의 소직경부(115)에 방사선원(110)을 장입하여 위치시키고, 상기 와이어(107)의 일단을 상기 캡슐(103)의 대직경부(117)와 상호 나사결합을 통해 장입하여 결합한 후, 캡슐(103)의 대직경부(117) 외주면을 롤링압착하여 완벽하게 밀봉되도록 결합된다.
이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119)의 소직경부(133)에 커넥터 키(121)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커넥터 키(121)에 형성된 제1스프링핀 홀(143) 입구와 커넥터 몸체(119)에 형성된 가이드홀(139) 및 상기 안전튜브(123)의 제2스프링핀 홀(145)이 연통되도록 위치를 모두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핀(127)을 외부에서 삽입하여, 커넥터 키(121)와 안전튜브(123)가 상호 결합되어 일체화되고 또한 스프링핀(127)에 의해 가이드홀(139)의 범위내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스프링(125)을 커넥터 몸체(119)의 대직경부(131) 측으로 삽입하여 커넥터 키(121)에 형성된 격판(141)으로 구분되는 두 구멍중 대직경부(131)측 구멍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와이어(107)의 나머지 일단을 커넥터 몸체(119)의 암나사(129)가 형성된 대직경부(131)와 나사결합을 통해 장입하여 결합한 후, 이 대직경부(131) 외주면을 롤링 압착하여 완벽한 결합이 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방사선원 어셈블리(101)로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 완성된 방사선원 어셈블리(101)의 암커넥터(105)는 커넥터 몸체(119)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125)의 복원력에 의해 커넥터 키(121) 및 이와 결합된 안전튜브(123)를 항상 끝단의 단면홀(135) 측으로 밀게 되어 커넥터 몸체(119)의 삽입홀(137)을 커넥터 키(121)가 내부에서 막고, 커넥터 몸체(119)의외주면에 가이드되는 안전튜브(123)가 외부에서 덮는 구조가 되며,
상기 삽입홀(137)을 개방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안전튜브(123)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송제어홀(147)에 힘을 가해, 안전튜브(123) 및 안전튜브(123)와 결합된 커넥터 키(121)를 와이어(107)측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삽입홀(137)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사선원 어셈블리(101)는 비파괴검사 작업시, 암커넥터(105)에 상기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의 수커넥터(21)를 결합함으로써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도 6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안전튜브(123)에 구비된 이송제어홀(147)에 힘을 가해 가이드홀을 따라 후퇴시켜 삽입홀(137)이 개방되도록 노출시킨 후,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의 수 커넥터(21) 끝단부분에 상기 삽입홀(37)에 대응하도록 전구형으로 형성된 결합돌기(22)를 수직으로 삽입홀(137)에 삽입한 다음,
수커넥터(21)를 삽입홀(137)과 연결된 단면홀(135) 측으로 소정의 각도(α)로 꺽어 방사선원 어셈블리(101)와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5)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이송제어홀(147)에 가했던 힘을 해제함으로써, 수축되어있던 스프링(125)의 복원력이 상기 커넥터 몸체(119) 내부의 커넥터 키(121)를 상기 단면홀(135)측으로 밀게 되고, 이 커넥터 키(121)는 커넥터 몸체(119) 내부에 위치하는 수커넥터(21)의 결합돌기(22)를 자체에 형성된 단면홀측 구멍 내부로 들어가게 한 상태에서 연속해서 밀게 되며, 이 결합돌기(22)의 최대직경이 U자형으로 구비되는 단면홀(135)의 폭보다 큼에 따라 단면홀(135)의 가장자리부분이 걸림턱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수커넥터(21)의 결합돌기(22)는 길이방향으로의 압축력에 의해 구속되며,
또한, 상기 안전튜브(123)가 커넥터 키(121)와 함께 스프링(12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삽입홀(137)을 외부에서 폐쇄함에 따라, 수커넥터(21)가 암커넥터(105)에 대하여 꺽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결합돌기(22)가 삽입홀(137)을 통해 외주면 측으로 분리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상태에서 비파괴검사 작업에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암커넥터(105)와 수커넥터(21)의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어떠한 악조건에서 작업이 진행되더라도 수커넥터(21)가 암커넥터(105)의 삽입홀측으로 꺽임에 따라 상호 분리될 수 있는 위험성을 철저히 배제할 수 있게 되고,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에도 큰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암커넥터(105)에 형성된 대직경부(131)의 내주면에 암나사(129)가 형성됨에 따라, 롤링압착되기 전에 와이어(107)와 암커넥터(105)가 나사결합을 통해 각각 소정의 장입길이로 결합하여 제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와이어(107)의 중심코어(111)와 대직경부(131)간의 틈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후속되는 롤링압착시에 연결부가 휘어지는 것과 같은 불량 발생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게 되고,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롤링압착됨에 따라 순간적으로 큰 인장력이 와이어(107)와 암커넥터(105)간의 결합부에 작용하더라도 상호 분리되는 것을철저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방사선원 어셈블리는 커넥터 몸체 외주면에 가이드되며 몸체 내부의 커넥터 키와 결합되는 안전튜브를 장착하므로써, 구비된 이송제어홀을 사용하여 결합 및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되고, 암 커넥터와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의 수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비파괴검사작업에 사용될 시 어떠한 작업조건에서도 상호 분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보호는 물론 작업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와이어와 커넥터 몸체를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대직경부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함에 따라, 와이어의 장입길이를 일정하게 하여 품질관리를 더욱 철저히 할 수 있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롤링압착된 후에는 와이어와 커넥터가 분리될 수 있는 요인을 철저히 배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2)

  1. 비파괴검사에 사용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수의 소선을 꼬아서 중심코어를 형성하고, 그 외부에 상기 소선보다 굵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단선와이어를 일정한 피치간격을 가지도록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되는 와이어;
    일단이 밀폐된 중공실린더 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방사선원이 장입되어 위치하게 되는 내측의 소직경부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는 입구측의 대직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에 장입되는 방사선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캡슐; 및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대직경부와, 상기 대직경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소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와 연통되도록 다른 일측 끝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보다 작은 소정의 폭으로 끝단면의 중심부에서부터 일측방향으로 에지부까지 트이도록 형성되어 U자형을 이루는 단면홀과,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수커넥터의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단면홀과 연결되도록 끝단면에 인접한 외주면에 전구(bulb)형으로 형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위치에서 90。각도 위치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와,
    상기 커넥터 몸체의 소직경부 내부에서 가이드되어 왕복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내·외경을 가지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격판이 형성됨으로써 양단에 입구를 가지는 두개의 구멍으로양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격판 위치의 외주면 일방향에서 소정의 깊이로 축중심을 지나도록 뚫린 제1스프링핀 홀이 형성되는 커넥터 키와,
    상기 커넥터 몸체의 외주면에 가이드 되어 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으로,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제2스프링핀 홀이 형성되며, 이 스프링핀 홀의 180。각도 위치의 외주면에 이송제어홀이 형성되는 안전튜브와,
    조립시 상기 커넥터 키의 일측 구멍에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 몸체의 대직경부에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 및
    상기 안전튜브의 제 2스프링핀 홀, 상기 커넥터 몸체의 가이드 홀 및 상기 커넥터 키의 제 1스프링핀 홀 입구의 위치를 모두 일치시킨 상태에서 삽입되어 상기 안전튜브와 커넥터 키를 결합하고, 커넥터 몸체의 가이드 홀 내에서 구속되도록 하는 스프링핀을 포함한 구성의 암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몸체의 상기 대직경부 내주면에 상기 와이어의 단선와이어와 동일한 피치의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
KR10-2001-0061670A 2001-10-06 2001-10-06 방사선원 어셈블리 KR100438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670A KR100438929B1 (ko) 2001-10-06 2001-10-06 방사선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670A KR100438929B1 (ko) 2001-10-06 2001-10-06 방사선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317A KR20030029317A (ko) 2003-04-14
KR100438929B1 true KR100438929B1 (ko) 2004-07-03

Family

ID=2956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670A KR100438929B1 (ko) 2001-10-06 2001-10-06 방사선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609A (ko) * 2021-11-18 2023-05-25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 집합체의 강제 결합 해제 기구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81B1 (ko) * 2006-11-10 2007-10-09 한국원자력연구원 Ir-192 미세초점 선원 어셈블리를 구비한 방사선원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2579265B1 (ko) * 2021-09-01 2023-09-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핵연료 집합체의 누름 볼잠금핀 구조를 적용한 안내관 삽입체
US20240071642A1 (en) * 2022-08-31 2024-02-29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Nuclear flux thimble irradiation target insertion and retrieval mechanis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8012A (en) * 1980-07-23 1983-06-14 Illinois Tool Works Inc. Swivel connector
US4431330A (en) * 1982-04-12 1984-02-14 Tuthill Corporation Ball joint improvement and method
JPS6456362U (ko) * 1987-10-06 1989-04-07
KR20010018156A (ko) * 1999-08-17 2001-03-05 장인순 방사선원 어셈블리
US6481914B1 (en) * 1999-04-08 2002-11-19 Aea Technology Qsa Inc. Radiographic source connector with improved coupl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8012A (en) * 1980-07-23 1983-06-14 Illinois Tool Works Inc. Swivel connector
US4431330A (en) * 1982-04-12 1984-02-14 Tuthill Corporation Ball joint improvement and method
JPS6456362U (ko) * 1987-10-06 1989-04-07
US6481914B1 (en) * 1999-04-08 2002-11-19 Aea Technology Qsa Inc. Radiographic source connector with improved coupling mechanism
KR20010018156A (ko) * 1999-08-17 2001-03-05 장인순 방사선원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609A (ko) * 2021-11-18 2023-05-25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 집합체의 강제 결합 해제 기구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KR102564516B1 (ko) 2021-11-18 2023-08-07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 집합체의 강제 결합 해제 기구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317A (ko) 200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7319A (en) Termination means for fiber optic bundle
US4801191A (en) Connecting section for optical fiber cable
JPH0777630A (ja) 光ファイバーコネクター
CA2593770C (en) Method for assembling connecting part of superconducting cables
KR100438929B1 (ko) 방사선원 어셈블리
CN110208913A (zh) 一种现场施工的光纤连接器
US5381706A (en) Connector for remote valve actuating assemblies
WO2020077700A1 (zh) 一种室外光纤连接器
US10254489B2 (en) Connector for optic fiber cable and crimping tool for optic fiber cable
US4239334A (en) Optical three rod waveguide connector
CA2445849C (en) Inspection apparatus housing electrical cable
US6485196B2 (en) Optical fiber cord fixing component
US20050031270A1 (en) Optical plug and mounting method thereof
US4746187A (en) Kink-free fiber optic cable connector
US2881496A (en) Ferrule for holding end loops in wire rope
JP4795170B2 (ja) 異種ケーブル三相一括接続部
JP5281310B2 (ja) 管の接続継手
CA1219738A (en) One die system of compression transmission fittings
JPH085868A (ja) 光ケーブルの結合補助部材および光ケーブルの結合方法
US3716653A (en) Wire splice gauge and connector
RU2374521C2 (ru) Гибкое запорно-пломб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1313191A (zh) 一种电厂电气设备测试用线缆连接系统
CN218824801U (zh) 一种光缆连接器
US5197816A (en) Locking double U-joint assembly
CN103926664B (zh) 一种皮缆连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