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296B1 -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 - Google Patents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296B1
KR100438296B1 KR10-2001-0079597A KR20010079597A KR100438296B1 KR 100438296 B1 KR100438296 B1 KR 100438296B1 KR 20010079597 A KR20010079597 A KR 20010079597A KR 100438296 B1 KR100438296 B1 KR 100438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buoyancy
pulsator
clutc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402A (ko
Inventor
김진웅
이태희
전시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296B1/ko
Priority to US10/157,083 priority patent/US6880192B2/en
Priority to JP2002164367A priority patent/JP4068401B2/ja
Priority to CNB021228906A priority patent/CN1302170C/zh
Publication of KR2003004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 클러치가 적용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급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여 세탁 및 탈수를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치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부력 클러치 기어부에 세탁수 유입이 방지되도록 공기층이 형성되는 구조의 부력 클러치를 적용 구성하므로서, 배수 때 세탁시 세탁물에서 발생되었던 보푸라기 등 이물질이 상기 부력 클러치의 기어부에 끼이지 않도록 하여 다음 세탁시 상기 부력 클러치의 이물질 차단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A washing machine with float-type clutch}
본 발명은 부력 클러치가 적용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상승 하강하면서 모터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여 세탁 및 탈수를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치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부력 클러치 기어부에 세탁수 유입이 방지되도록 공기층이 형성되는 구조의 부력 클러치를 적용 구성하므로서, 배수 때 세탁시 세탁물에서 발생되었던 보푸라기 등 이물질이 상기 부력 클러치의 기어부에 끼이지 않도록 하여 다음 세탁시 상기 부력 클러치의 이물질 차단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력방식의 클러치 세탁기는, 펄세이터가 연결된 세탁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플라인(Spline)으로 연결된 부력체가 펄세이터 하부와 세탁조 사이에서 급배수 되는 세탁수에 의하여 승하강하므로서, 동력을 절환하는 방식의 세탁기이다.
즉, 세탁 및 행굼시에는 급수되는 세탁수에 의하여 부력체가 상승하면서 탈수축과 분리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세탁축으로만 전달시켜 펄세이터를 정, 역회전시키면서 세탁 및 행굼을 수행하고, 세탁 및 행굼 완료 후 배수시에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는 부력체가 탈수축과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세탁조를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면서 탈수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세탁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12)와; 상기 저수조(12)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세탁조(14)와; 상기 세탁조(14) 내에 장착되어 세탁축(74)으로 전달된 구동모터(22)의 회전력을 통해 정, 역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펄세이터(16)와; 상기 세탁조(14) 및 펄세이터(16)의 회전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2)와; 상기 세탁조(14)와 고정 연결되는 중공 탈수축(72)과, 상기 중공 탈수축(72)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단이 펄세이터(16)와 고정 연결되고 하단이 구동모터(22)와 연결되는 세탁축(74)과, 상기 탈수축(72)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베어링(76)으로 구성되어 구동모터(22)의 동력을 세탁조(14) 및 펄세이터(16)로 전달하는 트랜스미션(70)과; 세탁수의 유무에 따라 단속되면서 상기 세탁조(14)와 펄세이터(16)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부력 클러치(8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력 클러치(80)는, 세탁축(74)에 상하이동 가능토록 세레이션 결합되며, 세탁수의 급, 배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플로트(82)와, 상기 탈수축(72)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플로트(82)와 분리 결합되는 고정부재(83)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상기 플로트(82)는 세탁축(74)과 세레이션 결합되는 허브부(821)와, 상기 허브부(821) 주변에 구성된 튜브부(822)로 이루어지며, 허브부(821)는 하면이요철형상의 치합구조로 이루어지고, 튜브부(822)는 밀폐된 중공구조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83)는 플로트(82)의 허브부(821) 하면과 치합되도록 상면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부력 클러치가 적용된 세탁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급수행정에 의해 세탁조(14) 내로 세탁수가 공급되면,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82)가 위로 떠올라 고정부재(83)와 분리되어 부력 클러치(80)가 이른바 동력차단상태가 됨으로써 구동모터(22)의 동력이 세탁축으로만 전달된다.
따라서, 세탁행정이 시작되어 구동모터(22)가 회전작동하면 세탁축(74)과 연결된 펄세이터(16)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22)가 간헐적으로 반전되는 정,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펄세이터(16) 역시 동일한 정, 역회전 작동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펄세이터(16)의 회전작동에 의하면 회전수류가 형성되는데, 펄세이터(16)가 일방향으로 일정시간 이상 지속 회전되면 세탁조(14) 역시 수류에 의해 펄세이터(16)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원심력으로 세탁수가 세탁조(14) 밖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세탁수가 세탁조(14)와 저수조(12) 사이의 유로를 거쳐 세탁조(14)로 다시 유입되는 원심세탁(이른바 폭포물살 세탁)도 가능하게 된다.
세탁행정이 종료되고, 행굼행정을 거친 후에는 탈수행정이 진행되는데, 이 때 탈수행정이 시작되기 전 행굼에 사용되었던 행굼수가 배수되게 되면, 도 3 에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82)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와 플로트(82)와 고정부재(83)가 치합됨으로써 부력 클러치(80)가 동력전달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22)에 의해 세탁축(74)이 회전하면, 세탁축(74)과 세레이션 결합된 플로트(82)가 회전하게 되고, 플로트(82)의 허브부(821)와 치합된 고정부재(83) 및 고정부재(83)와 연결된 세탁조(14) 역시 세탁축(74)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조(14)가 일측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하여 세탁물이 세탁조(14)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의 물기가 탈수공(14a)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 탈수작용이 수행되며, 앞서 말한 것처럼 세탁조(14)와 펄세이터(16)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세탁물이 펄세이터(16)에 걸려 훼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부력 클러치 세탁기의 경우, 세탁을 완료하고 탈수 후, 혹은 장시간 세탁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수행시 상기 플로트(82)는 급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상승하면서 고정부재(83)로부터 분리되어 세탁조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야 하지만, 세탁수 수위 상승에 의한 플로트(82) 상승시 상기 플로트(82) 허브부(821)와 고정부재(83) 사이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배수때 세탁수와 같이 배출된 세탁물의 이물질(보푸라기)등이 상기 플로트(82)의 허브부(821)나 고정부재(83)에 끼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로트(82)의 허브부(821) 및 고정부재(83) 사이에 실밥 등 오물이 끼어 고착화된 경우, 상기 플로트 허브부(821)와 고정부재(83)와의 결합 마찰력이 부력보다 크게 작용하여 상기 급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잘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세탁을 진행하게 됨에 따라 상기 플로트 허브부(821)는 물론 고정부재(83) 역시 마모되면서 소음을 유발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세탁조 전체의 회전으로 인해 구동모터(22)에 과부하를 야기시키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탈수시에는, 하강하는 플로트 허브부(821)와 고정부재(83)가 정확하게 치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이에 따른 기어간의 미끄러짐이 발생되고, 상기 미끄러짐 발생에 의해 탈수회전시 기어간에 마모 뿐만 아니라, 상기 기어간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면서 상기 간섭에 따른 소음이 크게 발생되며, 더 나아가 정상적인 탈수가 진행되지 않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급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모터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여 세탁 및 탈수를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치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부력 클러치 기어부에 세탁수 유입이 방지되도록 공기층이 형성되는 구조의 부력 클러치를 적용구성하므로서, 배수 때 세탁시 세탁물에서 발생되었던 보푸라기 등 이물질이 상기 부력 클러치의 기어부에 끼이지 않도록 하여 다음 세탁시 상기 부력 클러치의 치합 및 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상기 부력 클러치의 이물질 차단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급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모터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여 세탁 및 탈수를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치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부력 클러치 기어부에 세탁수 유입이 방지되도록 공기층이 형성되는 구조의 부력 클러치를 적용시켜 구성한 본 발명의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 부력 클러치 세탁기의 부분 단면도.
도 2 는 종래 부력 클러치 세탁기의 세탁작용시 부력 클러치의 작용상태도.
도 3 은 종래 부력 클러치 세탁기의 탈수작용시 부력 클러치의 작용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의 부분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부력 클러치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부력 클러치의 구성요소 중 부력체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7 은 본 발명인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의 세탁작용에 따른 부력 클러치의 작용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인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의 탈수작용에 따른 부력 클러치의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저수조 14. 세탁조 16. 펄세이터 18. 세탁축 결합부재
20. 배리어부 22. 구동모터 70. 트랜스미션 72. 탈수축
74. 세탁축 76. 베어링
80a. 부력 클러치 81, 81a. 부력체 82, 82a. 부력부
83. 연결부 84, 84a. 중앙부 85. 부력체 기어부 86. 관통홀
87. 탈수축 기어부 88. 공기층 89. 세탁수 유입홈 90. 공간부
도 4 는 본 발명의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부력 클러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부력 클러치 세탁기는, 세탁시 급수되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수조(12)와; 상기 저수조(12)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어 세탁물을 세탁, 행굼, 탈수시키는 세탁조(14)와; 상기 세탁조(14) 내의 바닥 중앙에 장착되어 세탁축(74)의 회전력을 통해 정, 역회전하면서 세탁 수류를 형성하여 수류 마찰력으로 세탁물을 세탁하는 펄세이터(16)와; 상기 세탁조(14) 및 펄세이터(16)의 회전작동을 위한 세탁축(74) 및 탈수축(72)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2)와; 상기 세탁조(14)와 고정 연결되어 탈수시 상기 구동모터(2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세탁조(14)를 회전시키는 중공형태의 탈수축(72)과, 상기 탈수축(72) 내에 관통 장착되어 상단이 펄세이터(16)와 고정되는 세탁축 결합부재(18)에 고정 연결되고 하단이 구동모터(22)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펄세이터(16)를 정, 역회전시키는 세탁축(74)과, 상기 탈수축(72)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베어링(76)으로 구성되어 구동모터(22)의 동력을 세탁조(14) 및 펄세이터(16)로 전달하는 트랜스미션(70)과; 세탁수의 유무에 따라 부력체(float)(81)의 승하강을 통해 상기 탈수축(72) 상단에 형성된 기어부(87)와 치합·분리되며, 기어결합시 상기 탈수축(72) 회전을 통해 세탁조(14) 및 펄세이터(16)를 동시에 회전 연동되도록 하는 부력 클러치(80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력 클러치(80a)는, 세탁수의 급, 배수에 의해 세탁축(74)에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하단엔 일정공간형태의 부력부(82)가 형성되어 있고, "U"자형태의 연결부(83)를 통해 상기 부력부(82)와 일체로 형성된 중공 원통의 중앙부(84)의 내주면 상단엔 배수시 하강하여 탈수축(72) 상단에 형성된 기어부(87)와 치합될 수 있게 부력체 기어부(8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력부(82)와 중앙부(84)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83) 하단엔 급수 상승된 세탁수에 의해 상기 연결부(83)에 안착되는 상기 세탁축 결합부재(18)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배리어부(20)의 내측 공기층(88)이 상기 배리어부(20) 외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직경의 관통홀(86)이 형성된 원추형상의 부력체(81)와; 배수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부력체(81)의 중앙부(84) 상단에 형성된 부력체 기어부(85)와 대응 치합되어 탈수축(72)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14) 및 펄세이터(16)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탈수축(72) 상단에 상기 부력체 기어부(85)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탈수축 기어부(87)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부력체(81)의 형상을 원추형으로 형성한 것은, 급수된 세탁수에 의해 상승하는 부력체(81)가 상기 펄세이터(16)에 걸리지 않고 상기 펄세이터(16) 하단부로 완전히 상승되게 하므로서, 세탁기의 구성요소인 세탁조(14)와펄세이터(16)의 축방향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는, 종래기술에 상술한 세탁기의 구성에 본 발명에 적용된 부력 클러치(80a)를 결합시킨 구성으로서, 상기 부력 클러치(80a)의 구성만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부력 클러치(80a)는, 도 4 내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세이터(18)와 세탁조(14) 사이에 위치되어 세탁수의 급, 배수에 의해 세탁축(74)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클러치(80a)의 기어결합시 탈수축(72) 회전을 통해 세탁조(14) 및 펄세이터(16)를 동시에 회전 연동되도록 하는 부력체(81)와 탈수축 기어부(8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부력 클러치(80a)의 구성요소인 부력체(81)는, 펄세이터(16)와 세탁조(14) 사이로 급수 유입된 세탁수가 일정높이로 차 올라 상기 세탁수의 부력에 의해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81) 하단에 일정공간형태의 부력부(82)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깊이의 "U"자형태 연결부(83)를 통해 상기 부력부(82)와 일체로 형성된 중앙부(84)의 내주면 상단부엔 배수시 상기 부력체(81)가 하강하면서 탈수축(72) 상단에 형성된 기어부(87)와 치합될 수 있게 스플라인 형태의 부력체 기어부(8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력부(82)와 중앙부(84)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83) 하단엔 급수 상승된 세탁수에 의해 상기 연결부(83)에 안착된 상기 세탁축 결합부재(18)의 배리어부(20) 내측 공기층(88)이 상기 배리어부(20) 외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직경의 관통홀(8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수축 기어부(87)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부력체(81)의 중앙부(84) 상단에 형성된 부력체 기어부(85)와 대응 치합될 수 있게 상기 부력체 기어부(85)와 동일한 형상의 스플라인 기어부(87)가 탈수축(72) 상단에 형성된 것이며, 특히 배수시 자중에 의해 상기 부력체(81)가 하강하여 상기 탈수축 기어부(87)에 상기 부력체 기어부(85)가 치합될 경우, 탈수축(72)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14) 및 펄세이터(16)(도 4참조)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부력 클러치의 구성요소 중 부력체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도로서, 이는 급수된 세탁수가 부력체(81a)의 부력부(82a) 외부를 거쳐 원통의 중앙부(84a) 외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유입된 세탁수에 의해 상기 세탁축 결합부재(18)의 배리어부(20) 내측 공기층(88)(도4참조)이 상기 배리어부(20) 외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부력체(81a)의 부력부(82a) 외측 원추형상부분엔 다수의 세탁수 유입홈(8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력부(82a)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부력부(82a) 하단엔 격자형태의 일정 공간부(90)가 다수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실시 예를 통해 보여지는 바와 같은 부력체(81a)는 다수의 공간부(90)를 격자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세탁시 상기 부력체(81a)가 세탁축(74) 및 펄세이터(16)와 함께 회전하면서 세탁수의 심한 유동에 의하여 상기 부력부(82a) 하부에 세탁수가 유입되더라도 상기 공간부(90) 중 일부의 공간에만 세탁수가 유입됨으로써 상기 부력부(82a)가 완전히 부력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 행굼 및 탈수시 클러치의 분리 및 결합되는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인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작용에 따른 부력 클러치의 작용 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우선, 본 발명의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의 세탁행정에 의해 세탁조(14) 내로 세탁수가 급수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조(14)와 펄세이터(16)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부력 클러치(80a)의 부력체(81)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탁수의 부력작용에 의해 탈수축 기어부(87)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펄세이터(16) 저면으로까지 상승된다. 상기 부력클러치(80a)가 상승됨에 따라, 탈수축(72)로의 동력 전달은 차단되고, 구동모터(22)의 회전력이 세탁축(74)으로만 전달된다. 이에, 상기 되어 부력체(81), 펄세이터(16)가 동시에 정, 역회전하면서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좀 더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세탁조(14)와 펄세이터(16) 사이에 위치된 부력 클러치(80a)로 급수된 세탁수가 유입될 경우, 세탁수가 부력 클러치(80a)의 부력체(81) 하단으로 점차 차 오르면서 상기 부력체(81) 하단에 형성된 일정공간형태의 부력부(82) 및 중공 원통의 중앙부(84)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세탁수의 부력작용에 의해 상기 부력체(81)가 상승하게 된다.이 때 상기 부력체(81)의 상승은, 상기 부력체(81) 하단의 부력부(82) 내에 존재하던 공기가 상승되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압축됨과 동시에, 가압된 공기층의 압력이 상기 부력체(81)의 자중보다 커 일정무게를 가지고 있는 부력체(81)가 가벼워져 상승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위 상승에 따라 일정높이 즉, 펄세이터(16) 저면까지 상승하게 되며, 상기 부력부(82) 내의 공기층에 의해 세탁수는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부력부(82) 내에 세탁수가 유입될 때 중공 원통 형상의 중앙부(84) 및 상기 중앙부(84)와 부력부(82)를 연결하고 있는 "U"자형 연결부(83)에 세탁수가 유입되게 되는데, 이 때 "U"자형 연결부(83)의 세탁수 유입은, 상기 연결부(83)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86)을 통해 연결부(83) 상단 일정높이 즉, 상기 연결부(83)에 안착된 세탁축 결합부재(18)의 배리어부(20) 일정높이까지 유입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유입된 세탁수에 의해 상기 세탁축 결합부재(18)의 배리어(20) 내측에 형성된 공기층(88)은, 상기 배리어부(20) 끝단을 거쳐 배리어부(20) 외측으로 유동되어 배출되는 유로가 차단되게 되고, 더욱이 상기 중앙부(84) 내에 유입된 세탁수의 경우, 상기와 같이 세탁축 결합부재(18)의 배리어(20) 내측에 형성된 공기층(88)의 유로가 차단됨에 따라 세탁축 결합부재(18)의 배리어(20) 내측에 존재하는 공기층(88)과 상기 부력체(81)의 중앙부(84) 내측에 존재하는 공기층이 상호 유동상태를 이루다가 상기 공기층들이 상호 평형을 이루게 되면서 상기 중앙부(84) 내의 공기층에 의해 세탁수가 일정높이 즉, 상기 중앙부(84)에 삽착된 탈수축 기어부(87)전까지 유입 상승되며, 상기 중앙부(84) 내의 공기층에 의해 세탁수는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 다음으로, 세탁행정이 종료된 다음 탈수행정이 시작되면서 세탁조(14)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게 되면, 펄세이터(16) 저면에 상승된 부력 클러치(80a)의 부력체(81)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부력체 중앙부(84)에 삽착된 탈수축 기어부(87)에 상기 부력체 중앙부(84) 내에 형성된 부력체 기어부(85)가 상호 치합되면서 탈수축(72)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14) 및 펄세이터(16)가 동시에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세탁조(14) 내의 세탁물의 탈수가 이루어지게 된다.이때, 세탁 종료 후 배수되는 물과 함께 완전히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 보푸라기 등의 일부 이물질은 펄세이터(16)의 저면 즉, 세탁조(14) 바닥에 침전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이러한, 침전물은 다음 세탁 시, 급수되는 세탁수와 함께 상부로 떠오르게 되어 일부 부력클러치(80a) 하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세탁축 결합부재(18)의 배리어부(20) 내측에 형성되는 공기층(88)과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체(81)의 중앙부(84)가 상호 평형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세탁수와 함께 상승하는 침전물이 상기 중앙부(84)에 삽착된 탈수축 기어부(87)까지 유입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는, 급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면서 세탁 및 탈수를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치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스플라인 기어부에 세탁수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공기층이 형성된 부력 클러치를 적용 구성하므로서, 배수 때 세탁시 세탁물에서 발생되었던 보푸라기 등 이물질이 상기 부력 클러치의 기어부에 끼이지 않도록 하여 다음 세탁시 상기 부력 클러치의 치합 및 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상기 부력 클러치의 이물질 차단에 대한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세탁시 급수되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바닥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펄세이터와;
    상기 세탁조 및 펄세이터의 회전작동을 위한 세탁축 및 탈수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세탁조와 고정 연결되어 탈수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중공형태의 탈수축과, 상기 탈수축 내에 관통 장착되어 상단이 펄세이터와 고정되는 세탁축 결합부재에 고정 연결되고 하단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펄세이터를 정, 역회전시키는 세탁축과, 상기 탈수축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세탁조 및 펄세이터로 전달하는 트랜스미션과;
    세탁수의 유무에 따라 부력체(float)의 승하강을 통해 상기 탈수축 상단에 형성된 기어부와 치합·분리되며, 기어결합시 상기 탈수축 회전을 통해 세탁조 및 펄세이터를 동시에 회전 연동되도록 하는 부력 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클러치는, 하부가 일정 공간형태로 형성된 부력부와, 내주면 상단에 부력체 기어부가 형성된 중공 원통의 중앙부와, 상기 부력부와 중앙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U"자 형태의 연결부로 구성된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중앙부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부력체 기어부와 대응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탈수축 상단에 상기 부력체 기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탈수축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는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중앙부의 외측까지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의 하단에는 격자형태의 일정 공간부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1-0079597A 2001-12-14 2001-12-14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 KR10043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597A KR100438296B1 (ko) 2001-12-14 2001-12-14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
US10/157,083 US6880192B2 (en) 2001-12-14 2002-05-30 Washing machine with float type clutch and control method for the float type clutch
JP2002164367A JP4068401B2 (ja) 2001-12-14 2002-06-05 浮力方式クラッチ洗濯機及びクラッチ制御方法
CNB021228906A CN1302170C (zh) 2001-12-14 2002-06-17 带有浮筒式离合器的洗衣机和浮筒式离合器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597A KR100438296B1 (ko) 2001-12-14 2001-12-14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402A KR20030049402A (ko) 2003-06-25
KR100438296B1 true KR100438296B1 (ko) 2004-07-02

Family

ID=29575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597A KR100438296B1 (ko) 2001-12-14 2001-12-14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22A1 (ko) * 2016-11-11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737U (ko) * 1993-02-25 1994-09-17 세탁기 교반날개의 끼임 방지구조
KR940021807A (ko) * 1993-03-13 1994-10-19 이헌조 전자동 세탁기
KR950003816U (ko) * 1993-07-23 1995-02-17 세탁기의 끼임 방지 회전 날개
KR19990013036A (ko) * 1997-07-31 1999-02-25 배순훈 부력식 세탁기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세척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737U (ko) * 1993-02-25 1994-09-17 세탁기 교반날개의 끼임 방지구조
KR940021807A (ko) * 1993-03-13 1994-10-19 이헌조 전자동 세탁기
KR950003816U (ko) * 1993-07-23 1995-02-17 세탁기의 끼임 방지 회전 날개
KR19990013036A (ko) * 1997-07-31 1999-02-25 배순훈 부력식 세탁기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세척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22A1 (ko) * 2016-11-11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225741B2 (en) 2016-11-11 2022-01-18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402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90692A (ja) 浮力方式クラッチ洗濯機及びクラッチ制御方法
CN106958127B (zh) 一种波轮洗衣机的排水方法及其装置
KR100438293B1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100436555B1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100438296B1 (ko) 부력 방식 클러치 세탁기
KR19990079507A (ko) 세탁기
KR100271168B1 (ko) 드럼세탁기 배수펌프의 공기배출관
KR100546565B1 (ko) 절수형 전자동 투과세탁기
KR100436558B1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20050113452A (ko) 세탁기의 부력 클러치 장치
KR100438291B1 (ko) 부력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200141148Y1 (ko) 전자동 세탁기의 배수구조
KR100404194B1 (ko) 절수(節水)형 세탁기
KR20000014764U (ko) 펄세이터가 승하강되는 세탁기
KR100474758B1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0125466Y1 (ko) 세탁기의 상부주수장치
CN207699863U (zh) 一种脚踏式洗衣机
KR100468964B1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100411345B1 (ko) 절수형 세탁기
KR200146164Y1 (ko) 세탁기의 탈수장치
KR100579569B1 (ko) 세탁기의 부력 클러치 장치
KR100235899B1 (ko) 부력식 세탁기의 기어물림 제어방법
KR20000014201A (ko) 원심투과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 제어방법
KR100269464B1 (ko) 세탁기의 배수호스 연결장치
KR100210094B1 (ko) 세탁기의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